맨위로가기

찐끄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찐끄엉은 1686년에 태어나 1730년에 사망한 베트남 찐 주의 군주로, 찐깐의 증손자이다. 그는 1709년 찐깐의 뒤를 이어 권력을 승계했으며, 응우옌 주와의 평화를 유지하는 동안 찐깐의 개혁 정책을 지속했다. 찐끄엉은 토지 개혁, 과거제 개혁 등 여러 정책을 추진했지만, 토지 문제는 오히려 악화되었고, 불교를 장려하고 기독교를 탄압했다. 그는 레 유종을 폐위시키고 레주이프엉을 옹립했으며, 44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아들 찐장이 뒤를 이었다. 그의 시호는 의략, 묘호는 희조이며, 인왕으로 존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찐 주 - 찐장
    찐장은 1711년에 태어나 1761년에 사망한 베트남 찐 주의 군주이며, 레조를 폐위하고 레 순종을 옹립한 후 대원수총국정, 상사, 태부, 정왕으로 진봉되었고, 농민들의 어려움과 자연재해 속에서 통치하다 동생에게 전위하고 태상왕으로 물러났다.
  • 찐 주 - 찐똥
    찐똥은 후 레 왕조 찐 주의 제12대 군주로, 삼부군의 반란을 틈타 권력을 장악했으나 정국 혼란과 떠이선 왕조의 침공에 패배하여 자결했다.
  • 1686년 출생 - 한스 에게데
    한스 에게데는 노르웨이 출신의 루터교 선교사로, 그린란드 선교를 위해 덴마크-노르웨이의 지원을 받아 그린란드에 정착지를 건설하고 이누이트의 언어를 연구했으며, 그린란드 주교로 임명되어 선교 활동을 펼치다 사망했다.
  • 1686년 출생 - 단의왕후
    단의왕후는 조선 20대 왕 경종의 첫 번째 왕비로, 1696년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경종 즉위 전에 사망하여 사후 단의왕후로 추존되었으며, 심온과 심강의 후손이다.
  • 1729년 사망 - 리처드 스틸
    아일랜드 출신의 리처드 스틸은 작가, 극작가, 언론인, 정치인으로, 『태틀러』, 『스펙테이터』, 『가디언』 등의 잡지 창간과 희극 작품 활동을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휘그당 소속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했다.
  • 1729년 사망 - 마쓰다이라 요시자네
    마쓰다이라 요시자네는 료가와 번 2대 번주 마쓰다이라 요시카타의 장남이자 어린 나이에 요절한 에도 시대 다이묘로, 번주가 되었으나 어린 나이로 가로가 번정을 운영했고, 요절 후 후계자가 없어 료가와 번은 개역되었다.
찐끄엉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찐끄엉
안도왕 찐끄엉 (『鄭家正譜』에서)
베트남어Trịnh Cương
한자鄭棡
가나チン・クオン
히라가나てい こう
작위
칭호찐 주 군주, 통킹의 군주
칭호 (한국어)안도왕(安都王)
찐끄엉(Trịnh Cương/鄭棡)
별명보안후(Phổ An Hầu), 보군공(Phổ Quận Công), 안국공(An Quốc Công)
생애
출생일1686년 7월 9일
출생지동경, 북베트남
사망일1729년 12월 20일
사망지동경, 북베트남
묘호희조(禧祖)
시호인왕(仁王)
능호알 수 없음
통치
재위 기간1709년 – 1729년
전임자찐깐
후임자찐장
연호알 수 없음
가계
부친찐빙
모친쯔엉티응옥쭈, 응우옌티카오 (계모)
배우자응우옌티응옥 phụng, 팜티응옥 quyền, 응오티응옥 uyên, 쯔엉티 trong
자녀찐장, 찐 doanh, 더 많은 아들과 딸
종교
종교불교

2. 생애

찐끄엉은 찐깐의 증손이자 찐빈(鄭柄)의 둘째 아들로, 1686년 7월 9일(찐호아 7년 5월 19일)에 태어나 1730년 1월 16일(빈카인 원년 11월 28일)에 44세(만 세)로 사망했다.[3] 그의 생애는 초기 생애와 권력 승계, 개혁 정치, 종교 정책, 그리고 최후로 나눌 수 있다.

찐끄엉의 통치 시기는 외부적으로는 평화로웠으나 내부적으로는 갈등이 심화되던 시기였다. 그는 재정 문제와 사법 규칙 등 여러 분야에서 정부 개혁을 단행했다.[3] 주요 관심사는 토지가 없는 농민들의 증가 문제였다. 남쪽으로 끊임없이 영토를 확장했던 응우옌씨 정권과는 달리, 찐씨 정권은 확장할 여지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토지 공급은 본질적으로 고정되어 있었지만 인구는 계속 증가했다.[3]

바오타이 10년(1729년 5월 18일), 찐끄엉은 레 유종을 양위시키고 레주이프엉을 옹립하였으며, 빈카인으로 개원하였다.[4]

빈카인 원년 11월 28일(1730년 1월 16일), 찐끄엉이 병사하자 찐장이 뒤를 이었다. 시호는 '''의략'''(Ý Lược/懿略), 묘호는 '''희조'''(Hy Tổ|히또vi)이며, '''인왕'''(Nhân Vương|년브엉vi)으로 존봉되었다. 찐 주의 왕들이 대대로 미자(美字)를 더하여 최종적으로 온목장숙관유휘준경문위무홍모대략수통헌천신모예산벽국개강요선위즙린화하진강진기화충아형인왕(溫穆莊肅寬裕徽濬經文緯武洪謨大略垂統憲天神謀睿算闢國開彊耀武宣威輯鄰和夏振綱陳紀和衷迓衡仁王)이 되었다.[3]

2. 1. 초기 생애 및 권력 승계

찐끄엉은 찐깐의 증손이자 찐빈(鄭柄)의 둘째 아들로, 찐호아 7년 5월 19일(1686년 7월 9일)에 태어났다.[3]

찐호아 21년(1700년), 부장(副將) 겸 '''보안후'''(Phổ An Hầu/普安侯)로 봉해졌다. 찐호아 23년 12월 28일(1703년 2월 13일), 아버지 찐빈이 사망하자 부장(副將) 겸 '''보군공'''(Phổ Quận Công/普郡公)으로 작위가 올랐다.[3]

이듬해(1703년) 정월, 흠차절제각처수보제영(欽差節制各處水步諸營) 겸 총정기(總政機) 겸 태위(太尉) 겸 '''안국공'''(An Quốc Công/安國公)으로 진봉되었고, 이국부(理國府)를 설치하였다.[3]

빈틴 5년 5월 10일(1709년 6월 17일), 증조부 찐깐이 사망하자 찐끄엉이 뒤를 이었다.[3] 그해 9월, 원수총국정(元帥總國政) 겸 '''안도왕'''(An Đô Vương/安都王)으로 진봉되었다.[3]

빈틴 10년 9월 17일(1714년 10월 24일), 대원수총국정(大元帥總國政) 겸 상사(上師) 겸 '''안왕'''(An Vương/安王)으로 진봉되었다. 빈틴 16년 5월 13일(1720년 6월 18일), 다시 대원수총국정(大元帥總國政) 겸 상사(上師) 겸 상부(尙父) 겸 위인명공성덕안왕(威仁明功聖德安王)으로 진봉되었다.

2. 2. 개혁 정치

찐끄엉은 집권 기간 동안 응우옌 주와 평화를 유지했고, 찐깐의 개혁 정책을 이어갔다. 토지를 잃은 농민을 보호하고자 무학소(武學所)를 설립하고, 정전(丁田)을 균등하게 할당했으며, 과거제의 폐습을 개혁하고 전지를 새로 측량하는 등 재정, 군사, 사법, 과거 등 여러 방면에서 새로운 정책을 제정하였다.[3] 사서에는 그의 통치를 "태평(太平)의 업을 계승하여 병혁(兵革)은 시험하지 않았다. 천하가 무사하니 조정에서 제정하고 만드는 것이 많았고, 법도가 크게 갖추어졌으며 기강은 널리 베풀어졌다. 다른 지방에서는 성심으로 복종하고 상국(上國)에 땅이 돌아오니, 극성지세(極盛之世)라고 칭한다."라고 평가하였다.[3]

찐끄엉은 법을 제정하여 곤경을 해결하고자 했다. 개인이 토지를 영유하는 데 제한을 두고, 각 촌장(村莊)의 토지를 새롭게 분배하였다. 그러나 이 정책은 거의 효과가 없었고, 오히려 다음 10년 동안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다.[3] 역사학자 브루스 록하트(Bruce Lockhart)는 찐깐과 찐끄엉이 제정한 개혁 정책이 찐씨 정권을 강하게 만들었지만 백성의 부담을 가중시켰다고 평가했다. 결과적으로 베트남 북방 백성들은 찐씨 정권 통치자에게 분노를 느끼게 되었다.[3] 찐씨 정권은 지리상 대외 확장에 불리했는데 인구는 계속 증가하여 토지를 잃은 농민도 계속 많아졌다. 반면 응우옌 주는 남방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세력이 날로 커졌다.[3]

찐끄엉 집권 기간 동안 불교 교세가 확장되었고, 불탑을 많이 건축했으며, 기독교 활동에는 제한을 두었다. 빈틴 8년(1712년) 찐끄엉은 경내 백성들이 기독교를 믿는 것을 금지하도록 명했다.[3] 이 법령은 이전의 기독교 탄압 법령과 마찬가지로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3]

2. 3. 종교 정책

찐끄엉은 집권 기간 동안 불교를 장려하여 여러 불탑을 건립하게 하였고, 기독교는 제한하였다.[3] 빈틴 8년(1712년)에는 백성들에게 기독교를 믿는 것을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하였으나,[3] 이전의 기독교 탄압 시도와 마찬가지로 큰 효과는 없었다.[3]

2. 4. 최후

찐깐의 증손자이자 찐빈(鄭柄)의 둘째 아들로, 1686년 7월 9일(찐호아 7년 5월 19일)에 태어났다. 1730년 1월 16일(빈카인 원년 11월 28일)에 44세(만 세)로 병사하였다.[3] 찐장이 그의 뒤를 이었다. 시호는 '''의략'''(Ý Lược/懿略), 묘호는 '''희조'''(Hy Tổ|히또vi)이며, '''인왕'''(Nhân Vương|년브엉vi)으로 존봉되었다. 찐 주의 왕들이 대대로 미자(美字)를 더하여 최종적으로 온목장숙관유휘준경문위무홍모대략수통헌천신모예산벽국개강요선위즙린화하진강진기화충아형인왕(溫穆莊肅寬裕徽濬經文緯武洪謨大略垂統憲天神謀睿算闢國開彊耀武宣威輯鄰和夏振綱陳紀和衷迓衡仁王)이 되었다.[4]

1729년 5월 18일(바오타이 10년 4월 21일), 찐끄엉은 레 유종을 양위시키고 레주이프엉을 옹립하여 빈카인으로 개원하였다.

3. 가족 관계


  • 조부: 순조(Thuần Tổ|淳祖vie) 양목왕(찐빈)(Trịnh Vĩnh|鄭栐|정영vie)
  • 조모: 자신혜비(Từ Thận Hiền Phi|慈愼惠妃vie) 응우옌 티 응옥주에(Nguyễn Thị Ngọc Duệ|阮氏玉裔|완씨옥예vie)
  • 부친: 예조(Duệ Tổ|睿祖vie) 진광왕(찐빈)(Trịnh Bính|鄭柄|정병vie)
  • 모친: 자선태비(Từ Tuyên Thái Phi|慈宣太妃vie) 쯔엉 티 응옥쭈(Trương Thị Ngọc Chử|張氏玉杵|장씨옥저vie)


봉호시호이름(성씨)생몰년도비고
정비(正妃)자덕태비(慈德太妃)부 티 응옥응우옌(武氏玉源/무씨옥원)1689년 ~ 1751년[5] [6]
차비(次妃)자정차비(慈貞次妃)쩐 티 응옥지엠(陳氏玉琰/진씨옥염)[7]
차비(次妃)자숙차비(慈淑次妃)쩐 티 응옥떤(陳氏玉嬪/진씨옥빈)[7] [8]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1전왕(全王)이목(頤穆)찐장(정강)1711년 ~ 1761년자덕태비 부 티 응옥응우옌찐 주의 제8대 군주.[9]
2수군공(壽郡公)경신(敬愼)찐당(鄭檔/정당)
3순충공(順忠公)공신(恭慎)찐짱(鄭(木+莊)/정장)[10]
4명왕(明王)소기(紹基)찐조아인(정영)1720년 ~ 1767년자덕태비 부 티 응옥응우옌찐 주의 제9대 군주.[11]
5향군공(鄉郡公)찐끼에우(鄭橋/정교)자정차비 쩐 티 응옥지엠
6휘군공(輝郡公)공아(恭雅)찐떱(鄭槢/정습)
7엄군공(嚴郡公)충민(忠敏)찐미엔(鄭𣏜/정면)자숙차비 쩐 티 응옥떤



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부마비고
1대장공주(大長公主)찐 티 응옥끄(鄭氏玉椐/정씨옥거)[12]
2단명군주(端明郡主)[13]찐 티 응옥냔(鄭氏玉㮒/정씨옥연)혼덕공 레주이프엉
3군주(郡主)찐 티 응옥쭈이(鄭氏玉棰/정씨옥추)[14]
4군주(郡主)찐 티 응옥꾸이(鄭氏玉樻/정씨옥궤)[15]
5군주(郡主)찐 티 응옥븍(鄭氏玉楅/정씨옥복)[16]
6군주(郡主)찐 티 응옥느(鄭氏玉(木+如)/정씨옥여)[17]
7군주(郡主)찐 티 응옥수언(鄭氏玉栒/정씨옥순)[18]
8군주(郡主)찐 티 응옥흐우(鄭氏玉栯/정씨옥욱)[19]


4. 평가

찐끄엉은 찐깐의 개혁 정책을 계승하여 응우옌 주와의 평화를 유지하고, 토지 제도를 개혁하려 했다. 무학소(武學所)를 설립하고 정전(丁田)을 균등하게 할당했으며, 과거제의 폐단을 개혁하고 전지를 새로 측량하는 등 재정, 군사, 사법, 과거 제도 전반에 걸쳐 개혁을 단행했다. 이러한 개혁은 약간의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지만, 사서에는 "태평(太平)의 업을 계승하였으니, 병혁(兵革)은 시험하지 아니하였다. 천하가 무사하니 조정에서 제정하고 만드는 것이 많았고, 법도가 크게 갖추어졌으며 기강은 널리 베풀어졌다. 다른 지방에서는 성심으로 복종하고 상국(上國)에 땅이 되돌아오니, 극성지세(極盛之世)라고 호칭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찐끄엉은 토지 소유 제한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이 정책은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켰다. 역사학자 브루스 록하트는 찐깐과 찐끄엉의 개혁이 찐씨 정권을 강화했지만 백성의 부담을 가중시켰다고 평가했다. 이로 인해 베트남 북부 백성들은 찐씨 정권에 대한 불만을 키웠다. 한편, 찐씨 정권은 지리적 제약으로 대외 확장이 어려웠고 인구 증가로 인해 토지를 잃은 농민이 늘어났다. 반면 응우옌 주는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하며 세력을 키웠다.

찐끄엉의 통치 기간 동안 불교는 융성했고 많은 불탑이 건축되었으나, 기독교 활동은 제한되었다. 1712년 찐끄엉은 백성들의 기독교 신앙을 금지하는 칙령을 내렸지만, 이전의 탄압 법령과 마찬가지로 실질적인 효과는 없었다.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鄭杠 2020-07-10
[3] 서적
[4] 서적 大越史記全書 続編巻之二 黎紀 裕宗和皇帝
[5] 문서 소원(昭媛) / 태자국성모(太慈國聖母)
[6] 문서 준택공(Tuấn Trạch Công/濬澤公) 부 떳 또(Vũ Tất Tố/武必做/武必做)
[7] 문서 염군공(Cổn Quận Công/滾郡公)
[8] 문서 자정차비의 여동생.
[9] 문서 세자(世子) / 성국공(Thịnh Quốc Công/盛國公) / 위남왕(Uy Nam Vương/威南王) / 위왕(Uy Vương/威王) / 정왕(Trinh Vương/貞王)
[10] 문서 복군공(Phúc Quận Công/福郡公)
[11] 문서 은국공(Ân Quốc Công/恩國公) / 명도왕(Minh Đô Vương/明都王)
[12] 문서 양군공(Nhượng Quận Công/讓郡公) 쯔엉냐이(Trương Nhai/張涯/장애)
[13] 서적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속편〉(續編) 권2 - 유종화황제(裕宗和皇帝)
[14] 문서 영군공(Vịnh Quận Công/泳郡公) 당 딘 잠(Đặng Đình Giám/鄧廷鑑/등정감)
[15] 문서 녹수후(Lộc Thọ Hầu/祿壽侯) 레 티 록(Lê Thì Lộc/黎時祿/여시록)
[16] 문서 돈충후(Đôn Trung Hầu/敦忠侯) 응우옌띤(Nguyễn Tính/阮性/완성)
[17] 문서 질무후(Chất Vũ Hầu/質武侯) 쯔엉 딘 쩟(Trương Đình Chất/張廷質/張廷質) → 방기후(Phương Kỳ Hầu/芳淇侯) 응오 푹 호아인(Ngô Phúc Hoành/吳福浤/오복굉)
[18] 문서 달무후(Đạt Vũ Hầu/達武侯) 응우옌 자 끄(Nguyễn Gia Cư/阮嘉琚/완가거)
[19] 문서 신충후(Tín Trung Hầu/信忠侯) 응우옌 히 따이(Nguyễn Hy Tái/阮熙載/완희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