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그 평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그 평균은 두 양수 x와 y에 대해 정의되는 평균의 한 종류로, (y - x) / (ln y - ln x)로 계산된다. x와 y가 같을 경우에는 x로 정의된다. 로그 평균은 기하 평균 이상이고 산술 평균 이하이며, 조화 평균 이상이고 이차 평균 이하이다. 로그 평균은 미적분학의 평균값 정리와 적분을 통해 유도될 수 있으며, 여러 변수로 일반화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그 - 상용로그
    상용로그는 10을 밑으로 하는 로그로, 십진법에 기반하여 log x 또는 lg x로 표기되며, 지표를 통해 진수의 자릿수 파악이 용이하여 과학적 측정에 활용되고 헨리 브리그스의 공로로 '브리그스의 로그'라고도 불린다.
  • 로그 - 자연로그
    자연로그는 밑이 e인 로그 함수로, ln(x) 등으로 표기되며 직교쌍곡선 아래 면적으로 정의되거나 지수 함수의 역함수로 정의될 수 있고, 다양한 수학적 성질과 함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며 복소 로그 함수로 확장되기도 한다.
  • 평균 - 제곱평균제곱근
    제곱평균제곱근(RMS)은 값들의 크기를 나타내는 통계량으로, 이산 데이터의 경우 각 값의 제곱의 평균의 제곱근, 연속 함수의 경우 함수 제곱의 적분 평균의 제곱근으로 정의되며, 전기공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표준편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평균 - 조화 평균
    조화 평균은 양의 실수들의 역수의 산술 평균의 역수로 정의되며, 작은 값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비율이나 비를 포함하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평균의 한 종류이다.
로그 평균
개요
정의두 숫자의 차이를 그 숫자들의 몫의 로그로 나눈 값
응용 분야열전달, 질량 전달 등의 공학 문제
정의
두 양수 x, y의 로그 평균 Mlv(x, y)Mlv(x, y) = (x - y) / (ln(x) - ln(y))
x = y인 경우Mlv(x, y) = x = y
다른 평균과의 관계
두 수의 조화 평균 H(x, y), 기하 평균 G(x, y), 산술 평균 A(x, y)의 관계H(x, y) ≤ G(x, y) ≤ Mlv(x, y) ≤ A(x, y)
일반화된 로그 평균
정의Lm,p(x, y) = [(x^m - y^m) / (m(x^p - y^p))]^(1/(p-m))
p = 2, m = 1인 경우산술-기하 평균
p = 1, m = 0인 경우로그 평균
p = -1, m = -2인 경우기하-조화 평균

2. 정의

로그 평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7][8]

:\begin{align}

M_\text{lm}(x, y)

&= \lim_{(\xi, \eta) \to (x, y)} \frac{\eta - \xi}{\ln(\eta) - \ln(\xi)} \\[6pt]

&= \begin{cases}

x & \text{if }x = y ,\\[2pt]

\dfrac{y - x}{\ln y - \ln x} & \text{otherwise,}

\end{cases}

\end{align}

여기서 xy는 양의 실수이다.

3. 부등식

로그 평균은 다른 평균들과 다음과 같은 부등식 관계를 갖는다. 즉, 로그 평균은 조화 평균보다 크거나 같고, 기하 평균보다 크거나 같으며, 산술 평균보다 작거나 같고, 이차 평균보다 작거나 같다. 이 부등식은 xy가 같지 않을 때 엄격하게 성립한다.[1][2][3][4]

:\frac{2}{\displaystyle \frac1{x} + \frac1{y}}

\leq \sqrt{x y} \leq \frac{x - y}{\ln x - \ln y} \leq \frac{x + y}{2} \leq \left(\frac{x^2+y^2}2\right)^{1/2} \qquad \text{ for all } x > 0 \text{ and } y > 0.

토예시 프라카시 샤르마는 산술 로그 기하 평균 부등식을 일반화하여 발표한 바 있다.[5][6]

:\sqrt{xy}\ \left( \ln \sqrt{xy} \right)^{n-1} \left(n + \ln \sqrt{xy}\right)

\leq \frac{x(\ln x)^n - y(\ln y)^n}{\ln x - \ln y}

\leq \frac{x(\ln x)^{n-1} (n + \ln x) + y(\ln y)^{n-1} (n + \ln y)} {2}

예를 들어 n=0인 경우,

:\sqrt{xy}

\leq \dfrac{x-y}{\ln x - \ln y}

\leq \dfrac{x + y}{2}

이고, n=1인 경우,

:\sqrt{xy} \left(1 + \ln \sqrt{xy} \right)

\leq \frac{x\ln x - y\ln y}{\ln x - \ln y}

\leq \frac{x (1 + \ln x) + y(1 + \ln y)}{2}

이다.

또한, 다음 관계식도 성립한다.


  • 산술 평균: \frac{M_\text{lm}\left(x^2, y^2\right)}{M_\text{lm}(x, y)} = \frac{x + y}{2}
  • 기하 평균: \sqrt{\frac{M_\text{lm}\left(x, y\right)}{M_\text{lm}\left( \frac{1}{x}, \frac{1}{y} \right)}} = \sqrt{x y}
  • 조화 평균: \frac{M_\text{lm}\left( \frac{1}{x}, \frac{1}{y} \right)}{M_\text{lm}\left( \frac{1}{x^2}, \frac{1}{y^2} \right)} = \frac{2}{\frac{1}{x}+\frac{1}{y}}

4. 다른 평균과의 관계

로그 평균은 산술 평균, 기하 평균, 조화 평균과 관련된 여러 가지 관계식을 갖는다.


  • '''산술 평균''': \frac{L\left(x^2, y^2\right)}{L(x, y)} = \frac{x + y}{2}
  • '''기하 평균''': \sqrt{\frac{L\left(x, y\right)}{L\left( \frac{1}{x}, \frac{1}{y} \right)}} = \sqrt{x y}
  • '''조화 평균''': \frac{ L\left( \frac{1}{x}, \frac{1}{y} \right) }{L\left( \frac{1}{x^2}, \frac{1}{y^2} \right)} = \frac{2}{\frac{1}{x}+\frac{1}{y}}


이들 평균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부등식이 성립한다.[5][6]

:\sqrt{x y} \leq M_\text{lm}(x, y) \leq \frac{x + y}{2} \qquad \text{ for all } x \geq 0 \text{ and } y \geq 0.

4. 1. 산술 평균

두 수의 로그 평균은 산술 평균보다는 작지만 기하 평균보다는 크다. (수들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7][8]

:\sqrt{x y} \leq M_\text{lm}(x, y) \leq \frac{x + y}{2} \qquad \text{ for all } x \geq 0 \text{ and } y \geq 0.

  • \frac{L\left(x^2, y^2\right)}{L(x, y)} = \frac{x + y}{2} (산술 평균)


또한, 다음 관계식도 성립한다.

  • 산술 평균: \frac{M_\text{lm}\left(x^2, y^2\right)}{M_\text{lm}(x, y)} = \frac{x + y}{2}


기하 평균 ≤ 대수 평균 ≤ 산술 평균이 성립한다.[5][6]

4. 2. 기하 평균

두 수의 로그 평균은 산술 평균보다는 작지만 기하 평균보다는 크다. (수들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7][8]

: \sqrt{x y} \leq M_\text{lm}(x, y) \leq \frac{x + y}{2} \qquad \text{ for all } x \geq 0 \text{ and } y \geq 0.

기하 평균, 로그 평균(대수 평균), 산술 평균 사이에는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5][6]

: \sqrt{x y} \leq M_\text{lm}(x, y) \leq \frac{x + y}{2} \qquad \text{ for all } x \geq 0 \text{ and } y \geq 0.

또한, 기하 평균에 대해 다음 관계식도 성립한다.

  • \sqrt{\frac{M_\text{lm}\left(x, y\right)}{M_\text{lm}\left( \frac{1}{x}, \frac{1}{y} \right)}} = \sqrt{x y}

4. 3. 조화 평균

\frac{ L\left( \frac{1}{x}, \frac{1}{y} \right) }{L\left( \frac{1}{x^2}, \frac{1}{y^2} \right)} = \frac{2}{\frac{1}{x}+\frac{1}{y}}

기하 평균 ≤ 로그 평균 ≤ 산술 평균이 성립한다.

또한, 다음 관계식도 성립한다.

  • 조화 평균: \frac{M_\text{lm}\left( \frac{1}{x}, \frac{1}{y} \right)}{M_\text{lm}\left( \frac{1}{x^2}, \frac{1}{y^2} \right)} = \frac{2}{\frac{1}{x}+\frac{1}{y}}

5. 유도

평균값 정리에 따르면, 도함수 ''f''′가 할선의 기울기와 같아지는 실수 ξ가 구간 (''x'', ''y'') 안에 존재한다.

:\exists \xi \in (x, y): \ f'(\xi) = \frac{f(x) - f(y)}{x - y}.

로그 평균은 함수 ''f''에 자연 로그 ln을, 그리고 그 도함수 ''f''′에 를 대입하고, ξ에 대해 풀어서 얻을 수 있다.

:\begin{align}

& \frac{1}{\xi} = \frac{\ln{x} - \ln{y}}{x - y}\\

\therefore \quad & M_\text{lm}=\xi = \frac{x - y}{\ln{x} - \ln{y}}

\end{align}

로그 평균은 지수 함수를 사용한 면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 해석을 통해 지수 함수는 단조이므로 길이가 1인 구간에서의 적분은 에 의해 제한되는등 로그 평균의 기본적인 특성을 쉽게 도출할 수 있다.

5. 1. 미적분학의 평균값 정리

평균값 정리에 따르면, 어떤 구간 내에서 함수의 미분값이 구간 양 끝점의 함숫값의 차이를 구간의 길이로 나눈 값과 같아지는 점이 존재한다. 즉, 미분 f′영어할선의 기울기와 같은 값 ξ영어가 x영어와 y영어 사이의 구간에 존재한다.

:\exists \xi \in (x, y): \ f'(\xi) = \frac{f(x) - f(y)}{x - y}

로그 평균은 f영어에 ln|로그한국어를 대입하고, 이에 대응하는 도함수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대입하여 ξ영어의 값으로 얻어진다.

:\frac{1}{\xi} = \frac{\ln x - \ln y}{x-y}

그리고 ξ영어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

:\xi = \frac{x-y}{\ln x - \ln y}

5. 2. 적분

로그 평균은 지수 함수 곡선 아래의 면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M_\text{lm}(x, y) = \int_0^1 x^{1-t} y^t\ \mathrm{d}t = \frac{y - x}{\ln{y} - \ln{x}}.

이러한 면적 해석은 로그 평균의 몇 가지 기본적인 속성을 쉽게 도출할 수 있게 해준다. 지수 함수는 단조이므로 길이가 1인 구간에서의 적분은 x, y에 의해 제한된다. 적분 연산자의 제차성도 로그 평균에 반영되어,

:M_\text{lm}(cx, cy) = cM_\text{lm}(x, y)

가 된다.

이 외에도 로그 평균을 유도하는 유용한 적분 표현은 다음과 같다.

  • {1 \over M_\text{lm}(x,y)} = \int_0^1 {\operatorname{d}\!t \over t x + (1-t)y}
  • {1 \over M_\text{lm}(x,y)} = \int_0^\infty {\operatorname{d}\!t \over (t+x)\,(t+y)}

6. 일반화

로그 평균은 두 변수뿐만 아니라 여러 변수에 대해서도 일반화할 수 있다. 로그 평균을 일반화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으며, 각각 다른 결과를 낸다.


  • 평균값 정리를 이용한 일반화: 대수의 n계 도함수에 대한 차상에 대한 평균값 정리를 고려하여 로그 평균을 n+1 변수로 일반화할 수 있다.
  • 적분을 이용한 일반화: n+1개의 실수 집합을 생각하여 로그 평균을 적분 형태로 일반화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일반화 방법은 각각 === 평균값 정리 ===, === 적분 ===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6. 1. 평균값 정리

로그 평균은 로그 함수의 나눗셈 차분에 대한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여 여러 변수로 확장할 수 있다.[1]

n영어 + 1개의 변수에 대한 나눗셈 차분에 대한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1]

:L_\text{MV}(x_0,\, \dots,\, x_n) = \sqrt[-n]{(-1)^{n+1} n \ln\left(\left[x_0,\, \dots,\, x_n\right]\right)}

여기서 \ln\left(\left[x_0,\, \dots,\, x_n\right]\right)은 로그의 나눗셈 차분을 나타낸다.[1]

n영어 = 2인 경우 다음을 얻는다.[1]

:L_\text{MV}(x, y, z) = \sqrt{\frac{(x-y)(y-z)(z-x)}{2 \bigl((y-z) \ln x + (z-x) \ln y + (x-y) \ln z \bigr)}}.

6. 2. 적분

단순체 S가 주어지고, S = \{(\alpha_0, \dots, \alpha_n) : (\alpha_0 + \dots + \alpha_n = 1) \land (\alpha_0 \ge 0) \land \dots \land (\alpha_n \ge 0)\}이며, 단순체에 부피 1을 할당하는 적절한 측도 \mathrm{d}\alpha가 있을 때, 다음을 얻는다.

:L_\text{I}(x_0, \dots, x_n) = \int_S x_0^{\alpha_0} \cdot \,\cdots\, \cdot x_n^{\alpha_n} \, \mathrm{d}\alpha

이것은 지수 함수의 차분으로 간소화될 수 있다.

:L_\text{I}(x_0, \dots, x_n) = n! \exp[\ln(x_0), \dots, \ln(x_n)]

예를 들어 n = 2일 때:

:L_\text{I}(x, y, z) = -2 \frac{x(\ln y - \ln z) + y(\ln z - \ln x) + z(\ln x - \ln y)}{(\ln x - \ln y)(\ln y - \ln z)(\ln z - \ln x)}

참조

[1] 논문 Some inequalities for hypergeometric functions
[2] 논문 A comparison of two means
[3] 논문 The Power Mean and the Logarithmic Mean
[4] 논문 The Geometric, Logarithmic, and Arithmetic Mean Inequality
[5] 논문 Some inequalities for hypergeometric functions
[6] 논문 A comparison of two means
[7] 논문 Some inequalities for hypergeometric functions
[8] 논문 A comparison of two mea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