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롤란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롤란시는 덴마크의 지방 자치구로, 25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시의회가 4년마다 선출되어 지방 자치를 담당한다. 사회민주당이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며, 농업, 특히 사탕무 생산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1960년대 이후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3년에는 약 4만 명으로 추산된다. 코펜하겐에서 멀리 떨어져 교통 측면에서 막다른 골목에 위치해 있지만, 페마른 벨트 고정 링크가 2029년 완공될 예정이다.

2. 정치

롤란시의 지방 자치는 주민들이 직접 선출하는 시의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시의회는 4년마다 열리는 선거를 통해 구성되며, 현재 총 25명의 의원이 활동하고 있다. 시의회는 롤란시의 주요 정책을 결정하고 행정을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세한 시의회 구성 및 역대 선거 결과는 아래 시의회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시의회

의석투표율선출된
시장ACFL (롤란 리스텐)L (로칼리스텐 롤란)OP (딘 스템메)VØ200510191-2-8-3172.6%스티그 베스터가르트 (A)20091139--3-5-64.4%20139331-4-9273.4%홀거 S. 라스무센 (A)201711-1-232512568.6%20211211-1225163.05%주석: A: 사회민주당, C: 보수 인민당, F: 사회주의 인민당, L: 롤란 리스텐 (2005, 2013) / 로칼리스텐 롤란 (2017, 2021), O: 덴마크 인민당, P: 딘 스템메, V: 벤스테르, Ø: 적록 동맹.
데이터 출처: [https://www.kmdvalg.dk/kv/2005/adk.htm Kmdvalg.dk 2005], [https://www.kmdvalg.dk/kv/2009/adk.htm 2009], [https://www.kmdvalg.dk/kv/2013/Default.htm 2013] 및 [https://www.kmdvalg.dk/kv/2017/KMDValgKV.html 2017]



2021년 덴마크 지방 선거 결과, 사회민주당(A)이 12석을 확보하여 제1당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3. 경제

롤란 자치구는 전통적으로 농업에 크게 의존하는 시골 지역으로, 특히 사탕무 생산이 활발하다. 주요 산업 중심지인 낙스코브에는 노르트추커 소유의 대규모 설탕 정제 공장이 위치해 있다.

3. 1. 산업

롤란 자치구는 주로 농업에 의존하는 시골 지역으로, 개방적이고 집약적으로 경작된 풍경이 특징이다. 특히 사탕무 생산으로 유명하며, , 유채와 같은 작물도 집약적으로 재배된다. 수확된 사탕무는 주요 산업 중심지인 낙스코브에 위치한 노르트추커(Nordzucker|노르트추커deu) 소유의 현대적인 시설에서 정제된다. 노르트추커는 인근 굴보르순 자치구의 뉘쾨빙 팔스터에도 설탕 가공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녹색 기술에 대한 관심으로 섬 곳곳에 많은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다.

과거 낙스코브에는 동아시아 회사의 한스 닐스 안데르센(H. N. Andersen)이 1916년에 설립한 조선소 ''낙스코브 스키브스베르프트(Nakskov Skibsværft|낙스코브 스키브스베르프트dan)''가 있었다. 이 조선소는 한때 2,200명(1966년 기준)이 넘는 직원을 고용하며 지역 최대의 작업장이었으나, 1987년 1월 1일에 폐쇄되었다.

중공업 분야에서는 홀레비(Holeby|홀레비dan)에 위치한 MAN 디젤(MAN B&W Diesel A/S|만 비앤더블유 디젤deu, 구 Holeby Dieselmotorfabrik A/S)과 같은 기업들이 생산 및 설계 등 전문 분야에 집중하고 있지만, 과거에 비해 공장 일자리는 많이 줄어들었다. 현재는 플라스틱 의료 기기나 PB 상품 회사를 위한 시리얼 등을 생산하는 경공업이 남아있다.

주요 기업으로는 로드비(Rødby|로드비dan)에 생산 시설을 둔 코단 메디컬(Codan Medical|코단 메디컬dan)이 있으며, 이 회사의 본사는 인근 굴보르순 자치구에 있다.

3. 2. 녹색 기술

롤란 자치구는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를 창출하려는 공식적인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녹색 기술에 대한 초점은 섬 곳곳에 많은 풍력 발전기를 낳았다. 이는 섬의 또 다른 풍경 특징이 되었다.

4. 인구 통계

롤란시의 인구는 196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1965년 실시된 인구 조사에서 현재 자치구를 포괄하는 지역의 인구는 61,879명이었으나, 1985년 1월 1일에는 55,897명으로 줄었다. 2013년 한 해에만 인구가 908명(2.043%) 감소하여 43,528명이 되었다.

1965년부터 2023년 12월 1일까지 약 60년 동안 인구는 총 22,213명 감소했으며, 이는 35.89%에 해당하는 높은 감소율이다. 이러한 인구 감소는 낮은 출생률과 높은 사망률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4. 1. 주요 도시

롤란시의 인구는 과거에 비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1965년 인구 조사 당시 현재 자치구에 해당하는 지역에는 61,879명의 주민이 거주했으나, 2023년 12월 1일까지 인구는 22,213명(35.89%) 감소했다.

과거 주요 자치구들의 인구는 다음과 같았다.

2023년 1월 1일 기준 롤란 자치구의 주요 도시 인구는 다음과 같다. 이는 도시의 인접 지역을 포함한 인구이며, 과거 농촌 지역까지 포함했던 동명의 자치구와는 범위가 다를 수 있다.

도시인구 (2023년 1월 1일)
낙스코브12,456
마리보5,734
뢰드비1,936
뢰드비하운1,549
홀레비1,399
쇠레스테드1,363
호르술레611
뇌레발레478
반돌름457
다네마레391


4. 2. 출생 및 사망

롤란시의 연도별 출생 및 사망 통계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는 덴마크 통계청(Statistikbanken.dk)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

롤란시 출생 및 사망 통계 (2006년 ~ 2023년)
연도출생아 수사망자 수자연 증감 (출생 - 사망)
2006413822-409
2007400759-359
2008376754-378
2009377755-378
2010375756-381
2011331711-380
2012324651-327
2013286739-453
2014309677-368
2015293675-382
2016270671-401
2017309667-358
2018292698-406
2019290694-404
2020215685-470
2021285700-415
2022254725-471
2023259661-402

5. 교통

롤란과 보른홀름 자치구, 그리고 보른홀름 북동쪽의 에르홀머네 제도는 덴마크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코펜하겐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동부 덴마크 지역 중 하나이다. 롤란에서 코펜하겐까지는 도로와 철도로 연결되어 있지만, 롤란은 교통 측면에서 막다른 골목 (blind vejdan; blindgydedan)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특히 서부 지역의 교통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페마른 해협 건너편의 독일을 오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롤란은 고속도로를 따라 지나가는 경유지에 가깝다.

자치구 내 철도 여객 서비스는 철도 회사인 로칼토그가 운영하며, 중앙 정부가 모비아를 통해 보조금을 지급한다. 모비아는 로칼토그의 지분을 일부 소유하고 있다.

5. 1. 페리

페리 노선은 롤란과 서쪽의 랑엘란을 연결한다.

5. 2. 페마른 벨트 고정 링크

함부르크코펜하겐을 잇는 주요 교통 회랑의 일부로, 현재는 뢰드비와 독일 푸트가르텐 사이를 운행하는 차량 및 기차 페리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페리 노선은 1시간에 두 번 운항하며 두 지역을 연결한다.

하지만 현재 롤란과 독일을 직접 연결하는 페마른 벨트 고정 링크 건설이 진행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페마른 해협 아래로 도로와 철도가 함께 지나가는 해저 터널을 건설하는 것으로, 2026년 완공 후 2029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터널은 뢰드비하운 항구 동쪽 지점과 푸트가르텐 항구 동쪽 지점을 연결하게 된다. 이 터널이 완공되면 기존 페리 노선과 경쟁하며 롤란시의 교통 접근성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터널 건설 계획에 따라 기존의 철도 및 도로 노선 변경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따라 터널이 개통되면 뢰드비하운에 있던 기존 기차역은 운영을 중단하게 된다. 대신 내륙으로 약 10km 떨어진 홀레비 근처에 새로운 기차역이 건설될 예정이다. 이는 터널의 경로 때문에 현재 위치나 뢰드비하운 마을 내 다른 장소로 기차역을 옮기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