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티보 크레스팽 국제 콩쿠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롱티보 크레스팽 국제 콩쿠르는 바이올리니스트 자크 티보와 피아니스트 마르그리트 롱이 공동으로 설립한 롱-티보 재단에 의해 1943년에 시작된 국제 음악 콩쿠르이다. 피아노와 바이올린 부문으로 시작하여, 2011년 성악 부문이 추가되었고, 현재는 롱-티보 국제 콩쿠르 피아노/바이올린 20XX로 명칭이 변경되어 운영되고 있다. 재정난으로 인해 격년으로 개최되던 것이 4년에 한 번으로 변경되기도 했지만, 아시아 출신 연주자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올린 경연회 -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는 냉전 시대 소련의 문화적 과시를 목적으로 시작되어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성악, 관악기 부문으로 확장된 4년마다 열리는 세계적인 클래식 음악 콩쿠르로, 세계음악콩쿠르연맹에서 제명되었지만 여전히 권위 있는 콩쿠르로 평가받는다. - 바이올린 경연회 - 장 시벨리우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장 시벨리우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는 모든 국적의 30세 이하 바이올린 연주자를 대상으로 하며, 결선에서 반드시 시벨리우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해야 하는 3라운드 국제 콩쿠르이다. - 파리의 음악 - 파리 관현악단
파리 관현악단은 1967년 파리 음악원 관현악단 해체 후 샤를 뮌슈를 초대 음악감독으로 창단되어 세계적인 지휘자들을 거쳐 현재 클라우스 맥켈라가 음악 감독을 맡고 있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관현악단으로, 파리 필하모니를 주요 공연장으로 사용하며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이고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독일계 지휘자 비중이 높았던 점에 대한 논란도 있다. - 파리의 음악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78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78은 파리에서 개최된 유럽 최대 가요 경연 대회로, 20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이스라엘이 "A-Ba-Ni-Bi"로 우승하며 최초로 이스라엘에 유로비전 우승을 안겨주었다.
롱티보 크레스팽 국제 콩쿠르 | |
---|---|
기본 정보 | |
이름 | 롱티보 크레스팽 국제 콩쿠르 |
로마자 표기 | Long Tibo Keureseupaeng Gukje Kongkureu |
프랑스어 표기 | Concours international Long-Thibaud-Crespin |
종류 | 클래식 음악 콩쿠르 |
상세 정보 | |
분야 | 2011년까지: 피아노, 바이올린, 성악 2011년부터: 피아노, 바이올린, 성악 중 매년 한 분야씩 |
창설 | 1943년 |
설립자 | 마르그리트 롱, 자크 티보 |
최근 우승자 | 2023년 (피아노): 김수연 |
개최지 | 프랑스, 파리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43년, 바이올린 연주자 자크 티보와 피아니스트 마르그리트 롱이 롱-티보 재단을 공동 창설하고, 이를 기념하여 콩쿠르를 개최하였다.[10] 2011년 성악 부문이 추가되면서 레지느 크레스팽()의 이름을 포함하여 '''롱-티보-크레스팽 국제 콩쿠르'''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나,[10] 2022년에 다시 '''롱-티보 국제 콩쿠르 피아노 20XX'''(혹은 '''롱-티보 국제 콩쿠르 바이올린 20XX''')로 변경되었다.[11]
초기에는 피아노와 바이올린 부문이 동시에 개최되었으나, 재정난으로 인해 격년으로 개최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스폰서 부족으로 존속이 위태로운 상황이 계속되었으나, 1980년대부터 일본, 한국, 중국의 개인 및 법인이 스폰서로 나서면서 아시아 출신 참가자들의 입상률이 높아졌다. 일본의 후지 TV가 현재도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다. 2013년에는 콩쿠르가 개최되지 않았으며, 우승자 없이 "1위 없는 2위"가 최고 순위가 되는 경우도 많았다.
예산 부족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으며, 2019년 피아노 부문 조정[12]으로 인해 과거 격년 개최에서 4년에 한 번 개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스폰서를 찾게 되면 이와 같지 않으므로, 바이올린 부문은 2023년에 개최되었다. 콩쿠르는 예선, 세미 파이널, 파이널의 3단계로 진행된다. 에피날 국제 피아노 콩쿠르와 마찬가지로 과제가 어렵지 않아 이 콩쿠르를 선택하는 참가자가 많지만, 경쟁률은 낮아지고 있으며 신곡 위촉도 없어지고 있다.
2. 1. 창설 및 초기 (1943년 ~ 1970년대)
1943년, 바이올린 연주자 자크 티보와 피아니스트 마르그리트 롱은 롱-티보 재단을 공동 창설하고, 이를 기념하여 콩쿠르를 개최하였다.[10] 초기에는 피아노 부문과 바이올린 부문이 동시에 개최되어, 여러 결선 진출자가 우승을 다투는 권위와 활기 넘치는 콩쿠르였다.이 콩쿠르는 처음에는 3년에 한 번씩 개최되었으나, 1949년부터는 2년에 한 번씩 개최되었다. 최초 콩쿠르(1943년)의 우승자는 삼손 프랑수아 (피아노)와 미셸 오클레르 (바이올린)였다.[2]
부문 | 1위 | 2위 |
---|---|---|
피아노 | 상송 프랑수아 (프랑스, 19세) | 마리 테레즈 푸르노 (프랑스) |
바이올린 | 미셸 오클레르 (프랑스, 19세) | 조제트 뒤리보 (프랑스) |
2. 2. 변화와 발전 (1980년대 ~ 2000년대)
1980년, 피아노 부문과 바이올린 부문이 분리되어 각각 다른 해에 개최되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바이올리니스트와 피아니스트가 서로 경쟁했다. 그 해, 다시 3년에 한 번씩 개최되는 콩쿠르로 돌아갔으나, 2007년에는 2년에 한 번씩, 2011년에는 새로운 명칭으로 다시 3년에 한 번씩 개최되었다.[5]예후디 메뉴인은 1993년부터 1999년 사망할 때까지 바이올린 심사위원장을 맡았다. 알도 치콜리니는 2007년 피아노 심사위원장을 맡았다.[3]
재정난으로 인해 피아노 부문과 바이올린 부문이 격년으로 개최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스폰서 부족으로 존속이 위태로운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1980년대부터 일본, 한국, 중국의 개인 및 법인이 많은 스폰서로 나서면서, 아시아 출신 참가자들의 입상률이 높아졌다. 일본의 후지 TV가 현재도 스폰서로서 콩쿠르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2. 3. 최근 동향 (2010년대 ~ 현재)
2011년, 성악 부문이 신설되면서 콩쿠르 명칭에 프랑스의 소프라노 레지느 크레스팽()의 이름이 추가되어 '''롱-티보-크레스팽 국제 콩쿠르'''로 불리게 되었다.[10] 2013년에는 콩쿠르가 개최되지 않았다. 2022년, 콩쿠르 명칭이 다시 '''롱-티보 국제 콩쿠르 피아노 20XX'''(혹은 '''롱-티보 국제 콩쿠르 바이올린 20XX''')로 변경되었다.[11]재정난으로 인해 피아노 부문과 바이올린 부문이 격년으로 개최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스폰서 부족으로 존속이 위태로운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1980년대부터 일본, 한국, 중국의 개인 및 법인이 많은 스폰서로 나서면서, 아시아 출신 연주자들의 입상률이 높아졌다. 일본의 후지 TV가 현재도 스폰서로서 응원하고 있다.
예산 부족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으며, 피아노는 2019년에 조정[12]되었기 때문에, 과거의 격년 개최에서 4년에 한 번 개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지만, 스폰서를 찾게 되면 이와 같지 않으므로 바이올린 부문의 개최는 2023년이다. 현재 바이올린 심사위원장은 살바토레 아카르도이다.
3. 역대 주요 수상자 (한국인)
다음은 롱티보 크레스팽 국제 콩쿠르에서 주요 상을 받은 한국인 수상자 목록이다.
부문 | 연도 | 순위 | 이름 |
---|---|---|---|
피아노 | 2001년 | 1위 | 임동혁 |
피아노 | 2007년 | 2위 | 김준희 |
피아노 | 2007년 | 4위 | 김태형 |
피아노 | 2013년 | 2위 | 안종도 |
피아노 | 2013년 | 4위 | 박주영 |
피아노 | 2013년 | 5위 | 원재연 |
피아노 | 2015년 | 4위 | 박주현 |
피아노 | 2022년 | 1위 | 이혁 |
피아노 | 2022년 | 5위 | 노희성 |
바이올린 | 2009년 | 1위 | 신현수 |
바이올린 | 2017년 | 2위 | 유다윤 |
바이올린 | 2011년 | 4위 | 민경지 |
성악 | 2011년 | 1위 | 심기원 |
3. 1. 피아노 부문
1943년 롱티보 크레스팽 국제 콩쿠르 피아노 부문 첫 우승자는 삼손 프랑수아였다.[2]이후 주요 수상자로는 파울 바두라-스코다, 크리스토프 바라티, 드미트리 바시키로프, 호아킨 아추카로, 스타니슬라프 부닌(1983), 올리비에 카잘, 장-필리프 콜라르, 유리 예고로프, 브리지트 앙제레, 필리프앙트르몽, 알도 치콜리니, 빅토르 에레스코, 베르다 에르만(1963),[6] 블라디미르 펠츠만, 페테르 프랑클, 마리나 고글리제-므디바니,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 죄르지 파우크, 호르헤 루이스 프라츠(1976),[8] 가브리엘 타키노, 세드릭 티베르기앵, 줄리안 트레벨리안, 타마스 바사리, 블라디미르 비아르도, 장-피에르 발레, 옥사나 야블론스카야, 미우라 겐지(2019), 카메이 마사야와 이혁(2022) 등이 있다.[9]
역대 피아노 부문 수상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연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기타 |
---|---|---|---|---|---|---|---|
2001년 | 임동혁 (대한민국) | 일리야 라슈코프스키(러시아) | 세르게이 사로프 (우크라이나) | 베르트랑 샤마유(프랑스) | 키무라 아야코(일본) | 오카모토 아사코 (일본) | |
2007년 | 타무라 히비키 (일본) | 김준희 (대한민국) | 소피아 굴랴크 (러시아) | 김태형 (대한민국) | 앙투안 드 그롤레 (프랑스) | 트리스탕 파프(프랑스) | |
2010년 | 없음 | 마리아 마시체바(러시아) | 기욤 뱅상(프랑스) | 첸 윤지에(중국) | 사노 타카야(일본) | 마담 가비 파스키에 상: 사이토 카즈야(일본) | |
2013년 | 없음 | 안종도 (대한민국) | 이스마엘 말가인 (프랑스) | 박주영 (대한민국) | 원재연 (대한민국) | 안드레이 오스키니스 (라트비아) | |
2015년 | 없음 | 줄리안 트레벨리안 (영국) | 미카와 카제 (일본) | 박주현 (대한민국) | 후카미 마도카 (일본) | 다리아 키셀레바 (러시아) | |
2019년 | 미우라 켄지 (일본) | 무카와 케이고 (일본) | 조라 사르그샨 (아르메니아) | 장-밥티스트 둘세 (프랑스) | 알렉산드라 스티치코나 (러시아) | 클레망 르페브르 (프랑스) | |
2022년 | 카메이 세이야(일본) |
3. 2. 바이올린 부문
다음은 롱티보 크레스팽 국제 콩쿠르 바이올린 부문 주요 수상자 목록이다.
3. 3. 성악 부문
Concours international Marguerite Long-Jacques Thibaud프랑스어의 성악 부문 역대 수상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순위 | 이름 | 국적 |
---|---|---|
1위 | 심기원 | 대한민국 |
2위 | 로만 브루덴코(Roman Burdenko) | 러시아 |
3위 | 이다 폴크 빈들랜드(Ida Falk Windland) | 스위스 |
4위 | 마리 아델린 앙리(Marie-Adeline Henry) | 프랑스 |
5위 | 마리나 부치아렐리(Marina Bucciarelli) | 이탈리아 |
6위 | 율리아 레즈네바 | 러시아 |
4. 콩쿠르 운영 및 특징
이 콩쿠르는 초기에는 3년에 한 번씩 열렸지만, 1949년부터는 2년에 한 번씩 개최되었다. 1980년에는 피아노 연주자와 바이올린 연주자가 각각 따로 경쟁하는 두 개의 콩쿠르로 분리되었다. 이전에는 바이올린 연주자와 피아노 연주자가 함께 경쟁했다. 그 해, 다시 3년에 한 번씩 개최되는 콩쿠르로 변경되었다. 2007년에는 다시 2년에 한 번씩 개최되었고, 2011년에는 새로운 명칭으로 다시 3년에 한 번씩 개최되었다.[10]
1943년, 바이올린 연주자 자크 티보와 피아니스트 마르그리트 롱이 롱-티보 재단을 공동으로 설립하고, 이를 기념하여 콩쿠르가 시작되었다. 2011년부터 성악 부문이 추가되면서 레지느 크레스팽의 이름도 포함되어 '''롱-티보-크레스팽 국제 콩쿠르'''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2022년 현재 정식 명칭은 '''롱-티보 국제 콩쿠르 피아노 20XX'''(혹은 '''롱-티보 국제 콩쿠르 바이올린 20XX''')이다.[11]
과거에는 피아노 부문과 바이올린 부문이 동시에 개최되어, 여러 결선 진출자가 우승을 다투는 권위 있고 활기 넘치는 콩쿠르였다. 그러나 재정난으로 인해 피아노 부문과 바이올린 부문이 번갈아 가며 개최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스폰서 부족으로 존속이 어려운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1980년대부터 일본, 한국, 중국의 개인 및 법인이 많은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아시아인의 입상 비율이 높아졌다. 일본의 후지 TV가 현재도 스폰서로 지원하고 있다. 2013년에는 개최되지 않았다. 우승자를 선정하지 않고 "1위 없는 2위"가 최고 순위가 되는 경우도 많다.
예산 부족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으며, 피아노 부문은 2019년에 조정되었기 때문에,[12] 과거의 격년 개최에서 4년에 한 번 개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지만, 스폰서를 찾게 되면 이와 같지 않으므로 바이올린 부문의 개최는 2023년이다. 콩쿠르는 예선, 세미 파이널, 파이널의 3단계로 진행된다. 에피날 국제 피아노 콩쿠르와 마찬가지로 과제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이 콩쿠르를 선택하는 지원자가 많다. 다만, 경쟁률은 낮아지고 있으며 신곡 위촉조차 없어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ome
http://www.long-thib[...]
2014-04-19
[2]
웹사이트
Concours Long-Thibaud
http://www.long-thib[...]
2014-04-19
[3]
웹사이트
Concours Long-Thibaud
http://www.long-thib[...]
2014-04-19
[4]
웹사이트
Concours Long-Thibaud
http://www.long-thib[...]
2014-04-19
[5]
웹사이트
Concours Long-Thibaud
http://www.long-thib[...]
2014-04-19
[6]
뉴스
Beloved Pianist Verda Erman Passes Away
http://www.dailysaba[...]
2014-07-22
[7]
서적
The international who's who 2013
London : Routledge
2013
[8]
웹사이트
Jorge Luis Prats Soca
http://www.cubarte.c[...]
Cubarte
2016-02-17
[9]
웹사이트
Double Bill at the 2022 Long Thibaud {{!}} World Federation of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s
https://www.wfimc.or[...]
2023-04-16
[10]
웹사이트
La Fondation - Concours international Long-Thibaud-Crespin
http://www.long-thib[...]
2018-05-28
[11]
웹사이트
Fondation Long Thibaud
https://www.long-thi[...]
www.long-thibaud.org
2022-11-14
[12]
웹사이트
PIANO 2019
http://www.long-thib[...]
www.long-thibaud-crespin.org
2018-11-13
[13]
문서
Lorand Fenyves
http://www.thecanadi[...]
[14]
문서
レオニード・コーガン
[15]
문서
Piano recital by Vesselin Stanev
https://www.auditori[...]
[16]
문서
Wojciech Świtała
http://chopin2015.me[...]
[17]
웹사이트
韓国人ピアニストのイ・ヒョクさん1位 仏ロン・ティボーコンクール(11月14日)
https://jp.yna.co.kr[...]
jp.yna.co.kr
2022-11-14
[18]
웹사이트
Palmarès du Concours International Long-Thibaud 2023
https://www.resmusic[...]
2023-11-27
[19]
웹인용
Home
http://www.long-thib[...]
2022-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