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아일랜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그 오브 아일랜드는 1921년 창설된 아일랜드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다. 1985년 프리미어 디비전과 퍼스트 디비전으로 개편되었으며, 각 디비전은 10개 팀으로 구성된다. 샴록 로버스는 최다 21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던도크와 쉘번이 그 뒤를 잇는다. 리그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유로파 리그,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에 참가하며, RTÉ와 버진 미디어 텔레비전을 통해 중계된다. 2023 시즌에는 평균 3,294명의 관중을 기록하며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축구 리그 - 리그 오브 아일랜드 프리미어 디비전
아일랜드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인 리그 오브 아일랜드 프리미어 디비전은 10개 클럽이 참가하여 2월부터 11월까지 4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며 UEFA 챔피언스 리그 및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진출권을 제공하고 샴록 로버스와 던도크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1921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전조선축구대회
전조선축구대회는 조선체육회와 조선축구협회가 주최하여 1921년부터 1940년까지 열린 한국 최초의 전국 규모 축구 대회로, 한국 근대 축구의 시작을 알리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 - 1921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튀니지 리그 프로페시오넬 1
튀니지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은 1904년 튀니지에서 시작되어 1921년 튀니지 축구 협회 리그가 창설되면서 공식 출범한 튀니지 최상위 축구 리그이며, 에스페랑스 스포르티브 드 튀니스가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리그 오브 아일랜드 | |
---|---|
기본 정보 | |
![]() | |
연맹 | UEFA |
국가 | 아일랜드 (19팀) |
구분 | 프리미어 디비전 퍼스트 디비전 U19 디비전 U17 디비전 U15 디비전 U14 디비전 |
참가 팀 수 | 20 |
리그 레벨 | 1–2 |
국내 컵 | FAI 컵 프레지던트 컵 |
리그 컵 | 리그 오브 아일랜드 컵 |
최다 출장 선수 | 알 피누케인 (612회) |
최다 득점자 | 브렌던 브래들리 (235골) |
최근 우승팀 | 셸번 FC (14번째 우승) (2024) |
텔레비전 중계 | RTÉ Virgin Media Television LOI TV |
웹사이트 | 리그 오브 아일랜드 공식 웹사이트 |
현재 시즌 | 2024 리그 오브 아일랜드 |
최다 우승 클럽 | 섐록 로버스 (21회 우승) |
기타 국가 | 북아일랜드 (1팀) |
아일랜드어 | Sraith na hÉireann |
2. 역사
1921년 'A 디비전'이라는 이름으로 출범한 리그 오브 아일랜드는 현재까지 아일랜드 축구의 중심 역할을 해왔다. 초기에는 더블린 주를 중심으로 8개 팀으로 시작했지만, 점차 규모를 확장하며 아일랜드 전역의 클럽들이 참여하게 되었다.
초창기에는 보헤미안스, 쉘본, 샴록 로버스 등이 리그를 주도했다. 1926-27년 던독이 더블린 주 외부 팀으로는 처음으로 리그에 참가했고, 1932-33년에는 더블린 주 외부 팀 최초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30년대에는 워터포드, 코크 보헤미안스, 슬리고 로버스, 리머릭 등이 리그에 합류하며 리그의 지역적 범위를 넓혔다. 슬리고 로버스는 1936-37년 더블린 주 외부 팀으로는 두 번째로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17][2]
비상사태 기간 동안 코크 유나이티드가 5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리그를 지배했지만, 1948년 리그에서 탈퇴했다.[1]
2008년 A 챔피언십이라는 3부 리그가 도입되어 리그 오브 아일랜드 프리미어 디비전, 리그 오브 아일랜드 퍼스트 디비전과의 승강제를 시행했지만, 2011년 시즌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2024년 12월 12일, 아일랜드 축구 협회(FAI)는 새로운 3부 리그인 내셔널 리그를 발표했다. 이 리그는 리그 오브 아일랜드로의 승강 경로를 제공할 예정이다.[9]
2. 1. 설립 초기 (1921-1940년대)
1921년 리그 오브 아일랜드는 'A 디비전'이라는 이름으로 출범했으며, 더블린 주를 중심으로 한 8개 팀으로 시작했다.[17][2] 보헤미안스, 더블린 유나이티드, 프랭크포트, 제이콥스, 올림피아, 세인트 제임스 게이트, 쉘본, YMCA가 초창기 멤버였다.[17][2] 이 중 보헤미안스와 쉘본은 1919-20 아일랜드 리그에서 이미 활동했던 팀이었다. 세인트 제임스 게이트는 초대 챔피언에 올랐으며, FAI컵과 레인스터 시니어 컵을 모두 우승하며 트레블을 달성했다.1922-23년에는 리그가 12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샴록 로버스가 첫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고, 애슬론 타운은 더블린 주 외 지역에서 처음으로 리그에 참가한 팀이 되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보헤미안스, 쉘본, 샴록 로버스가 리그를 주도했다.
1924-25년에는 브레이 언노운스와 포드슨스가 더블린 주 외부에서 리그에 합류한 두 번째와 세 번째 팀이 되었다. 특히 포드슨스는 먼스터에서 리그에 참가한 최초의 팀이었다. 리그는 처음 20년 동안 규모와 지역 범위를 넓혀갔다. 던독은 1926-27년에 리그에 합류했고, 1932-33년에는 더블린 주 밖에서 우승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 1930-31년에는 워터포드, 1932-33년에는 코크 보헤미안스, 1934-35년에는 슬리고 로버스, 1937-38년에는 리머릭이 리그에 합류했다. 슬리고 로버스는 1936-37년에 더블린 주 외부에서 우승한 두 번째 팀이 되었다.[17][2]
코크 유나이티드는 비상사태 기간 동안 리그에서 가장 강력한 팀으로 떠올랐다. 1940-41년부터 1945-46년 사이에 5번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그 중 3번은 연속 우승이었다. 그러나 코크 유나이티드는 1948년에 리그에서 탈퇴했다.[1]
2. 2. 전성기와 변화 (1950-1980년대)
2008년 A 챔피언십이라는 3부 리그가 도입되었으며, 이전의 B 디비전과 마찬가지로 리저브 팀과 신생 시니어 팀을 포함했다. 그러나 B 디비전과 달리 리그 오브 아일랜드 프리미어 디비전, 리그 오브 아일랜드 퍼스트 디비전, A 챔피언십 간에는 승강제가 있었다.[7][8]A 챔피언십은 2011년 시즌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2. 3. 프리미어 디비전과 퍼스트 디비전 (1985-현재)
2008년 A 챔피언십이라는 3부 리그가 도입되었으며, 이전의 B 디비전과 마찬가지로 리저브 팀과 신생 시니어 팀을 포함했다. 그러나 B 디비전과 달리 리그 오브 아일랜드 프리미어 디비전, 리그 오브 아일랜드 퍼스트 디비전, A 챔피언십 간에는 승강제가 있었다.[7][8]A 챔피언십은 2011년 시즌 이후 해산되었다.
2024년 12월 12일, 아일랜드 축구 협회(FAI)는 새로운 3부 리그인 내셔널 리그를 발표했다. 내셔널 리그는 아일랜드의 기존 축구 피라미드에 통합되어 리그 오브 아일랜드로의 명확한 승강 경로를 제공할 것이다. FAI는 새로운 리그에 총 20개 클럽을 모집하여 북부 및 남부 디비전으로 나눌 계획이다.[9]
3. 리그 구조
리그는 20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리미어 디비전(1985년 이전에는 A 디비전)과 퍼스트 디비전(1985년 이전에는 B 디비전)으로 나뉜다. 각 디비전에는 10개 팀이 있으며, 한 시즌 동안 각 팀은 다른 9개 팀과 4번씩(홈 2경기, 원정 2경기) 총 36경기를 치른다. 승리하면 3점, 무승부면 1점, 패배하면 0점을 얻는다.
2000-01 시즌 이후에는 여러 유소년 리그가 만들어졌다.
- 처음에는 21세 이하 디비전이 있었고, 이후 20세 이하 디비전을 거쳐 19세 이하 디비전으로 바뀌었다. 우승팀에게는 닥터 토니 오닐 컵(Dr Tony O'Neill Cup)이 주어진다.[10][11]
- 17세 이하 디비전은 2015년에 생겼다.[12][13]
- 15세 이하 디비전은 2017년에 짧은 시즌으로 시작하여 2018년에 정식 리그 일정에 포함되었다.
- 13세 이하 디비전은 2019년 4월에 도입되었다.[14][15][16]
3. 1. 프리미어 디비전
프리미어 디비전은 10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팀은 시즌 동안 다른 팀과 4번(홈 2경기, 원정 2경기)씩 총 36경기를 치른다.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얻는다.시즌 종료 후, 프리미어 디비전 최하위 팀은 퍼스트 디비전으로 강등된다. 프리미어 디비전 9위 팀은 퍼스트 디비전 2~4위 플레이오프 승자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러 잔류 또는 강등을 결정한다.
3. 2. 퍼스트 디비전
리그 오브 아일랜드 퍼스트 디비전은 프리미어 디비전 아래 단계의 리그이며, 10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팀은 다른 9개 팀과 4번씩(홈 2번, 원정 2번) 총 36경기를 치른다. 경기 방식은 프리미어 디비전과 동일하게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얻는다.시즌 종료 후, 퍼스트 디비전 우승팀은 프리미어 디비전으로 자동 승격된다. 2, 3, 4위 팀은 승격 플레이오프를 거쳐 프리미어 디비전 9위 팀과 최종 승강전을 치러 다음 시즌 프리미어 디비전 참가 여부를 결정한다.[10]
디비전 | 승격 및 강등 |
---|---|
프리미어 디비전 | 1팀 직접 강등 플레이오프를 통한 0 또는 1팀 강등 |
퍼스트 디비전 | 1팀 직접 승격 플레이오프를 통한 0 또는 1팀 승격 |
4. 참가 팀
2025 시즌 리그 오브 아일랜드는 프리미어 디비전과 퍼스트 디비전으로 나뉘어 운영되며, 총 20개 팀이 참가한다.
'''프리미어 디비전 참가 팀'''
'''퍼스트 디비전 참가 팀'''
4. 1. 2025 프리미어 디비전
2025 시즌 프리미어 디비전에 참가하는 팀은 다음과 같다.4. 2. 2025 퍼스트 디비전
2025 시즌 리그 오브 아일랜드 퍼스트 디비전에 참가하는 팀은 다음과 같다.팀 | 연고 도시/교외 | 경기장 |
---|---|---|
애슬론 타운 | 애슬론 | 애슬론 타운 스타디움 |
브레이 원더러스 | 브레이 | 칼라일 그라운즈 |
코브 램블러스 | 코브 | 세인트 콜먼스 파크 |
던도크 | 던도크 | 오리엘 파크 |
핀 하프스 | 발리보페이 | 핀 파크 |
케리 | 트랄리 | 마운트호크 파크 |
롱포드 타운 | 롱포드 | 비숍스게이트 |
트리티 유나이티드 | 리머릭 | 마켓 필드 |
UCD | 더블린 | UCD 볼 |
웨스퍼드 | 크로스어베그 | 페리캐리그 파크 |
5. 역대 우승팀
1985-86 시즌부터 리그 오브 아일랜드는 프리미어 디비전과 퍼스트 디비전, 두 개의 디비전으로 분리되었다. 리그 오브 아일랜드의 역대 우승팀 정보는 다음과 같다.[17][2]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
1985–86 | 샴록 로버스(13) | 골웨이 유나이티드 | 던도크 |
1986–87 | 샴록 로버스(14) | 던도크 | 보헤미안 |
1987–88 | 던도크(7)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보헤미안 |
1988–89 | 데리 시티(1) | 던도크 | 리머릭 |
1989–90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4) | 데리 시티 | 던도크 |
1990–91 | 던도크(8) | 코크 시티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1991–92 | 셸번(8) | 데리 시티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1992–93 | 코크 시티(1) | 보헤미안 | 셸번 |
1993–94 | 샴록 로버스(15) | 코크 시티 | 골웨이 유나이티드 |
1994–95 | 던도크(9) | 데리 시티 | 셸번 |
1995–96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5) | 보헤미안 | 슬리고 로버스 |
1996–97 | 데리 시티(2)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셸번 |
1997–98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6) | 셸번 | 코크 시티 |
1998–99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7) | 코크 시티 | 셸번 |
1999–2000 | 셸번(9) | 코크 시티 | 보헤미안 |
2000–01 | 보헤미안(8) | 셸번 | 코크 시티 |
2001–02 | 셸번(10) | 샴록 로버스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2002–03 | 보헤미안(9) | 셸번 | 샴록 로버스 |
2003 | 셸번(11) | 보헤미안 | 코크 시티 |
2004 | 셸번(12) | 코크 시티 | 보헤미안 |
2005 | 코크 시티(2) | 데리 시티 | 셸번 |
2006 | 셸번(13) | 데리 시티 | 드로헤다 유나이티드 |
2007 | 드로헤다 유나이티드(1)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보헤미안 |
2008 | 보헤미안(10)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데리 시티 |
2009 | 보헤미안(11) | 샴록 로버스 | 코크 시티 |
2010 | 샴록 로버스(16) | 보헤미안 | 슬리고 로버스 |
2011 | 샴록 로버스(17) | 슬리고 로버스 | 데리 시티 |
2012 | 슬리고 로버스(3) | 드로헤다 유나이티드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2013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8) | 던도크 | 슬리고 로버스 |
2014 | 던도크(10) | 코크 시티 | 샴록 로버스 |
2015 | 던도크(11) | 코크 시티 | 샴록 로버스 |
2016 | 던도크(12) | 코크 시티 | 데리 시티 |
2017 | 코크 시티(3) | 던도크 | 샴록 로버스 |
2018 | 던도크(13) | 코크 시티 | 샴록 로버스 |
2019 | 던도크(14) | 샴록 로버스 | 보헤미안 |
2020 | 샴록 로버스(18) | 보헤미안 | 던도크 |
2021 | 샴록 로버스(19)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슬리고 로버스 |
2022 | 샴록 로버스(20) | 데리 시티 | 던도크 |
우승 횟수별 클럽
클럽 | 1부 리그 | 2부 리그 | 합계 |
---|---|---|---|
샴록 로버스 | 21 | 1 | 22 |
던도크 | 14 | 2 | 16 |
쉘본 | 14 | 2 | 16 |
보헤미안 | 11 | 0 | 11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8 | 0 | 8 |
워터포드 | 6 | 4 | 10 |
코크 유나이티드 | 5 | 0 | 5 |
드럼콘드라 | 5 | 0 | 5 |
코크 시티 | 3 | 2 | 5 |
슬리고 로버스 | 3 | 2 | 5 |
리머릭 유나이티드 | 2 | 3 | 5 |
애슬론 타운 | 2 | 2 | 4 |
데리 시티 | 2 | 2 | 4 |
코크 애슬레틱 | 2 | 0 | 2 |
세인트 제임스 게이트 | 2 | 0 | 2 |
드로헤다 유나이티드 | 1 | 5 | 6 |
코크 셀틱 | 1 | 0 | 1 |
코크 히버니언스 | 1 | 0 | 1 |
돌핀 | 1 | 0 | 1 |
브레이 원더러스 | 0 | 3 | 3 |
UCD | 0 | 3 | 3 |
코브 램블러스 | 0 | 1 | 1 |
더블린 시티 | 0 | 1 | 1 |
핀 하프스 | 0 | 1 | 1 |
골웨이 유나이티드 | 0 | 1 | 1 |
킬케니 시티 | 0 | 1 | 1 |
롱포드 타운 | 0 | 1 | 1 |
웩스퍼드 | 0 | 1 | 1 |
5. 1. A 디비전 (1921-1985)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
1921–22 | 세인트 제임스 게이트 (1) | 보헤미안 | 셸본 |
1922–23 | 샴록 로버스 (1) | 셸본 | 보헤미안 |
1923–24 | 보헤미안 (1) | 셸본 | 자콥스 |
1924–25 | 샴록 로버스 (2) | 보헤미안 | 셸본 |
1925–26 | 셸본 (1) | 샴록 로버스 | 포드슨스 |
1926–27 | 샴록 로버스 (3) | 셸본 | 보헤미안 |
1927–28 | 보헤미안 (2) | 셸본 | 샴록 로버스 |
1928–29 | 셸본 (2) | 보헤미안 | 샴록 로버스 |
1929–30 | 보헤미안 (3) | 셸본 | 샴록 로버스 |
1930–31 | 셸본 (3) | 던도크 | 보헤미안 |
1931–32 | 샴록 로버스 (4) | 코크 | 워터포드 |
1932–33 | 던도크 (1) | 샴록 로버스 | 셸본 |
1933–34 | 보헤미안 (4) | 코크 | 샴록 로버스 |
1934–35 | 돌핀 (1) | 세인트 제임스 게이트 | 슬리고 로버스 |
1935–36 | 보헤미안 (5) | 돌핀 | 코크 |
1936–37 | 슬리고 로버스 (1) | 던도크 | 워터포드 |
1937–38 | 샴록 로버스 (5) | 워터포드 | 던도크 |
1938–39 | 샴록 로버스 (6) | 슬리고 로버스 | 던도크 |
1939–40 | 세인트 제임스 게이트 (2) | 샴록 로버스 | 슬리고 로버스 |
1940–41 | 코크 유나이티드 (1) | 워터포드 | 보헤미안 |
1941–42 | 코크 유나이티드 (2) | 샴록 로버스 | 셸본 |
1942–43 | 코크 유나이티드 (3) | 던도크 | 드럼콘드라 |
1943–44 | 셸본 (4) | 리머릭 | 샴록 로버스 |
1944–45 | 코크 유나이티드 (4) | 리머릭 | 샴록 로버스 |
1945–46 | 코크 유나이티드 (5) | 드럼콘드라 | 워터포드 |
1946–47 | 셸본 (5) | 드럼콘드라 | 샴록 로버스 |
1947–48 | 드럼콘드라 (1) | 던도크 | 셸본 |
1948–49 | 드럼콘드라 (2) | 셸본 | 던도크 |
1949–50 | 코크 애슬레틱 (1) | 드럼콘드라 | 셸본 |
1950–51 | 코크 애슬레틱 (2) | 슬리고 로버스 | 드럼콘드라 |
1951–52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1) | 셸본 | 샴록 로버스 |
1952–53 | 셸본 (6) | 드럼콘드라 | 샴록 로버스 |
1953–54 | 샴록 로버스 (7) | 에버그린 유나이티드 | 드럼콘드라 |
1954–55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2) | 워터포드 | 샴록 로버스 |
1955–56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3) | 샴록 로버스 | 워터포드 |
1956–57 | 샴록 로버스 (8) | 드럼콘드라 | 슬리고 로버스 |
1957–58 | 드럼콘드라 (3) | 샴록 로버스 | 에버그린 유나이티드 |
1958–59 | 샴록 로버스 (9) | 에버그린 유나이티드 | 워터포드 |
1959–60 | 리머릭 (1) | 코크 셀틱 | 셸본 |
1960–61 | 드럼콘드라 (4)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워터포드 |
1961–62 | 셸본 (7) | 코크 셀틱 | 샴록 로버스 |
1962–63 | 던도크 (2) | 워터포드 | 드럼콘드라 |
1963–64 | 샴록 로버스 (10) | 던도크 | 리머릭 |
1964–65 | 드럼콘드라 (5) | 샴록 로버스 | 보헤미안 |
1965–66 | 워터포드 (1) | 샴록 로버스 | 보헤미안 |
1966–67 | 던도크 (3) | 보헤미안 | 슬리고 로버스 |
1967–68 | 워터포드 (2) | 던도크 | 코크 셀틱 |
1968–69 | 워터포드 (3) | 샴록 로버스 | 코크 히버니언스 |
1969–70 | 워터포드 (4) | 샴록 로버스 | 코크 히버니언스 |
1970–71 | 코크 히버니언스 (1) | 샴록 로버스 | 워터포드 |
1971–72 | 워터포드 (5) | 코크 히버니언스 | 보헤미안 |
1972–73 | 워터포드 (6) | 핀 하프스 | 보헤미안 |
1973–74 | 코크 셀틱 (1) | 보헤미안 | 코크 히버니언스 |
1974–75 | 보헤미안 (6) | 애슬론 타운 | 핀 하프스 |
1975–76 | 던도크 (4) | 핀 하프스 | 워터포드 |
1976–77 | 슬리고 로버스 (2) | 보헤미안 | 드로헤다 유나이티드 |
1977–78 | 보헤미안 (7) | 핀 하프스 | 드로헤다 유나이티드 |
1978–79 | 던도크 (5) | 보헤미안 | 드로헤다 유나이티드 |
1979–80 | 리머릭 유나이티드 (2) | 던도크 | 애슬론 타운 |
1980–81 | 애슬론 타운 (1) | 던도크 | 리머릭 유나이티드 |
1981–82 | 던도크 (6) | 샴록 로버스 | 보헤미안 |
1982–83 | 애슬론 타운 (2) | 드로헤다 유나이티드 | 던도크 |
1983–84 | 샴록 로버스 (11) | 보헤미안 | 애슬론 타운 |
1984–85 | 샴록 로버스 (12) | 보헤미안 | 애슬론 타운 |
5. 2. 프리미어 디비전 (1985-현재)
1985-86 시즌부터 리그 오브 아일랜드는 프리미어 디비전과 퍼스트 디비전, 두 개의 디비전으로 분리되었다.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
1985–86 | 샴록 로버스(13) | 골웨이 유나이티드 | 던도크 |
1986–87 | 샴록 로버스(14) | 던도크 | 보헤미안 |
1987–88 | 던도크(7)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보헤미안 |
1988–89 | 데리 시티(1) | 던도크 | 리머릭 |
1989–90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4) | 데리 시티 | 던도크 |
1990–91 | 던도크(8) | 코크 시티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1991–92 | 셸번(8) | 데리 시티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1992–93 | 코크 시티(1) | 보헤미안 | 셸번 |
1993–94 | 샴록 로버스(15) | 코크 시티 | 골웨이 유나이티드 |
1994–95 | 던도크(9) | 데리 시티 | 셸번 |
1995–96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5) | 보헤미안 | 슬리고 로버스 |
1996–97 | 데리 시티(2)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셸번 |
1997–98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6) | 셸번 | 코크 시티 |
1998–99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7) | 코크 시티 | 셸번 |
1999–2000 | 셸번(9) | 코크 시티 | 보헤미안 |
2000–01 | 보헤미안(8) | 셸번 | 코크 시티 |
2001–02 | 셸번(10) | 샴록 로버스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2002–03 | 보헤미안(9) | 셸번 | 샴록 로버스 |
2003 | 셸번(11) | 보헤미안 | 코크 시티 |
2004 | 셸번(12) | 코크 시티 | 보헤미안 |
2005 | 코크 시티(2) | 데리 시티 | 셸번 |
2006 | 셸번(13) | 데리 시티 | 드로헤다 유나이티드 |
2007 | 드로헤다 유나이티드(1)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보헤미안 |
2008 | 보헤미안(10)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데리 시티 |
2009 | 보헤미안(11) | 샴록 로버스 | 코크 시티 |
2010 | 샴록 로버스(16) | 보헤미안 | 슬리고 로버스 |
2011 | 샴록 로버스(17) | 슬리고 로버스 | 데리 시티 |
2012 | 슬리고 로버스(3) | 드로헤다 유나이티드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2013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8) | 던도크 | 슬리고 로버스 |
2014 | 던도크(10) | 코크 시티 | 샴록 로버스 |
2015 | 던도크(11) | 코크 시티 | 샴록 로버스 |
2016 | 던도크(12) | 코크 시티 | 데리 시티 |
2017 | 코크 시티(3) | 던도크 | 샴록 로버스 |
2018 | 던도크(13) | 코크 시티 | 샴록 로버스 |
2019 | 던도크(14) | 샴록 로버스 | 보헤미안 |
2020 | 샴록 로버스(18) | 보헤미안 | 던도크 |
2021 | 샴록 로버스(19)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슬리고 로버스 |
2022 | 샴록 로버스(20) | 데리 시티 | 던도크 |
5. 3. 우승 횟수별 클럽
클럽 | 1부 리그 | 2부 리그 | 합계 |
---|---|---|---|
샴록 로버스 | 21 | 1 | 22 |
던도크 | 14 | 2 | 16 |
쉘본 | 14 | 2 | 16 |
보헤미안 | 11 | 0 | 11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8 | 0 | 8 |
워터포드 | 6 | 4 | 10 |
코크 유나이티드 | 5 | 0 | 5 |
드럼콘드라 | 5 | 0 | 5 |
코크 시티 | 3 | 2 | 5 |
슬리고 로버스 | 3 | 2 | 5 |
리머릭 유나이티드 | 2 | 3 | 5 |
애슬론 타운 | 2 | 2 | 4 |
데리 시티 | 2 | 2 | 4 |
코크 애슬레틱 | 2 | 0 | 2 |
세인트 제임스 게이트 | 2 | 0 | 2 |
드로헤다 유나이티드 | 1 | 5 | 6 |
코크 셀틱 | 1 | 0 | 1 |
코크 히버니언스 | 1 | 0 | 1 |
돌핀 | 1 | 0 | 1 |
브레이 원더러스 | 0 | 3 | 3 |
UCD | 0 | 3 | 3 |
코브 램블러스 | 0 | 1 | 1 |
더블린 시티 | 0 | 1 | 1 |
핀 하프스 | 0 | 1 | 1 |
골웨이 유나이티드 | 0 | 1 | 1 |
킬케니 시티 | 0 | 1 | 1 |
롱포드 타운 | 0 | 1 | 1 |
웩스퍼드 | 0 | 1 | 1 |
6. 유럽 대항전 기록
리그 오브 아일랜드 팀들은 UEFA이 주관하는 여러 대회에 참가해 왔다.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던독이 2016-17 시즌에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1]
유로파 리그에서는 샴록 로버스가 2011-12 시즌에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아일랜드 클럽으로는 최고의 성적을 기록했다.[1] 던독도 2016-17 시즌과 2020-21 시즌에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1]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에서는 2022-23 시즌에 샴록 로버스가 조별 리그에 진출한 기록이 있다.
6. 1.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오브 아일랜드 클럽들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참가 기록은 다음과 같다.시즌 | 클럽 | 라운드 | 상대 | 홈 | 원정 | 합계 |
---|---|---|---|---|---|---|
2009–10 | 보헤미안 | 2차 예선 | 레드불 잘츠부르크 | 0–1 | 1–1 | 1–2 |
2010–11 | 더 뉴 세인츠 | 1–0 | 0–4 | 1–4 | ||
2011–12 | 샴록 로버스 | 2차 예선 | 플로라 탈린 | 1–0 | 0–0 | 1–0 |
3차 예선 | 코펜하겐 | 0–1 | 0–2 | 0–3 | ||
2012–13 | 2차 예선 | 에크라나스 | 0–0 | 1–2 | 1–2 | |
2013–14 | 슬리고 로버스 | 2차 예선 | 몰데 | 0–1 | 0–2 | 0–3 |
2014–15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 2차 예선 | 레기아 바르샤바 | 0–5 | 1–1 | 1–6 |
2015–16 | 던독 | 2차 예선 | 바테 보리소프 | 0–0 | 1–2 | 1–2 |
2016–17 | 던독 | 2차 예선 | FH | 1–1 | 2–2 | 3–3 (원정 다득점) |
3차 예선 | 바테 보리소프 | 3–0 | 0–1 | 3–1 | ||
플레이오프 | 레기아 바르샤바 | 0–2 | 1–1 | 1–3 | ||
2017–18 | 2차 예선 | 로젠보르그 | 1–1 | 1–2 | 2–3 | |
2018–19 | 코크 시티 | 1차 예선 | 레기아 바르샤바 | 0–1 | 0–3 | 0–4 |
2019–20 | 던독 | 1차 예선 | 리가 | 0–0 | 0–0 | 0–0 (5–4) |
2차 예선 | 카라바흐 | 1–1 | 0–3 | 1–4 | ||
2020–21 | 1차 예선 | 첼레 | 0–3[1] | 0–3 | ||
2021–22 | 샴록 로버스 | 1차 예선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2–1 | 0–2 | 2–3 |
2022–23 | 브레이다블리크 | 0–1 | 1–2 | 1–3 | ||
2024–25 | 비킹구르 레이캬비크 | 2–1 | 0–0 | 2–1 | ||
2차 예선 | 스파르타 프라하 | 0–2 | 2–4 | 2–6 |
1차/2차/3차 예선 = 1/2/3차 예선; PO = 플레이오프
2016-17 시즌 던독이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한 것이 리그 오브 아일랜드 클럽 중 챔피언스리그 최고 성적이다.[1]
6. 2. UEFA 유로파 리그
리그 오브 아일랜드 클럽들은 UEFA 유로파 리그에 꾸준히 참가해왔다.샴록 로버스는 2011-12 시즌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아일랜드 클럽으로는 최고의 성적을 기록했다.[1] 당시 샴록 로버스는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파르티잔을 연장전 끝에 꺾고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1] 하지만 조별 리그에서는 루빈 카잔, 토트넘 홋스퍼, PAOK를 상대로 6전 전패를 당하며 탈락했다.[1]
던독도 2016-17 시즌과 2020-21 시즌에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1] 2016-17 시즌에는 AZ, 마카비 텔아비브, 제니트를 상대로 1승 1무 4패를 기록했고,[1] 2020-21 시즌에는 몰데, 아스널, 라피트 빈을 상대로 6전 전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1]
이 외에도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데리 시티, 슬리고 로버스 등 여러 클럽들이 유로파 리그 예선에 참가했지만, 조별 리그 진출에는 실패했다.[1]
6. 3.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6–5 )(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