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조선축구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조선축구대회는 1921년 조선체육회에 의해 창설된 한국 최초의 전국 규모 축구 대회이다. 1934년부터 1937년까지 전조선종합경기대회의 일부로 개최되었으며, 일제강점기 조선축구협회가 주최하는 전조선종합축구선수권대회로 명칭을 변경하여 대회를 존속하려 했으나, 일제의 구기종목 금지령으로 1940년 폐지되었다. 이 대회는 한국 축구에 근대식 경기 규칙을 적용하고, 연령별로 대회를 구성하는 등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2. 역사

1910년대 서울과 평양 등 전국적으로 축구가 유행하면서 수많은 성인 축구팀과 학교 축구팀들이 생겨났고, 이에 전국 단위 축구대회 창설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1921년 조선체육회는 '''전조선축구대회'''라는 이름으로 한국 최초의 전국 규모 축구대회를 만들었다. 초기에는 축구 경기만 열렸으나, 제15회(1934년)부터 제18회(1937년) 대회까지는 '''전조선종합경기대회'''(현 전국체육대회의 전신)의 일부로서 다른 운동 종목과 함께 개최되었다.[1]

1937년 일제의 조선체육회 강제 해산으로 전조선종합경기대회가 폐지되면서 축구 경기도 폐지될 위기에 놓였다. 이에 1938년부터 조선축구협회는 대회를 존속시키고자 '''전조선종합축구선수권대회'''라는 명칭으로 축구 경기만을 따로 주최했다.[1] 조선축구협회는 조선체육회 주최 전조선축구대회의 전통을 이어받는다는 뜻에서 대회 횟수를 제19회로 명명했다.[1] 그러나 이 역시 일제의 구기 종목 금지령으로 3년 만에 폐지된다.[1]

일제강점기 조선의 축구 컵대회


대한민국 FA컵 우승팀 목록도 참조

2. 1. 대회 창설 (1921년)

1910년대 서울과 평양 등 전국적으로 축구가 유행하면서 수많은 성인 축구팀과 학교 축구팀들이 생겨났고, 이에 전국 단위 축구대회 창설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1921년 조선체육회는 '''전조선축구대회'''라는 이름으로 한국 최초의 전국 규모 축구대회를 만들었다. 초기에는 축구 경기만 대회로 치렀으나, 제15회(1934년)부터 제18회(1937년) 대회까지는 '''전조선종합경기대회'''(현 전국체육대회의 전신)의 일부로서 다른 운동 종목과 함께 개최되었다.[1]

2. 2. 전조선종합경기대회의 일부로 개최 (1934년 ~ 1937년)

1921년 조선체육회는 '''전조선축구대회'''라는 이름으로 한국 최초의 전국 규모 축구대회를 창설했다. 초기에는 축구 경기만 열렸으나, 제15회(1934년)부터 제18회(1937년) 대회까지는 '''전조선종합경기대회'''(현 전국체육대회의 전신)의 일부로서 다른 운동 종목과 함께 개최되었다.[1]

2. 3. 조선축구협회 주최 (1938년 ~ 1940년)

1937년 일제의 조선체육회 강제 해산에 따라 전조선종합경기대회가 폐지되며 축구 경기도 폐지될 위기에 놓였다. 이에 1938년부터 조선축구협회는 대회를 존속시키고자 '''전조선종합축구선수권대회'''라는 명칭으로 축구 경기만을 따로 주최하게 된다.[1] 조선축구협회는 조선체육회 주최 전조선축구대회의 전통을 이어받는다는 뜻에서 대회 횟수를 제19회로 명명했다.[1] 그러나 이 역시 일제의 구기 종목 금지령으로 3년 만에 폐지된다.[1]

2. 4. 일제에 의한 강제 중단 (1940년)

조선체육회는 1921년 '''전조선축구대회'''라는 이름으로 한국 축구 최초의 전국 규모 축구 대회를 만들었다. 초기에는 축구 경기만 대회로 치렀으나, 제15회(1934년)부터 제18회(1937년) 대회까지는 '''전조선종합경기대회'''(현 전국체육대회의 전신)의 일부로서 다른 운동 종목과 함께 개최되었다.[1] 그러나 1937년 일제가 조선체육회를 강제로 해산시키면서 전조선종합경기대회가 폐지되었고, 축구 경기도 폐지될 위기에 처했다.[1] 이에 1938년부터 조선축구협회는 대회를 존속시키고자 '''전조선종합축구선수권대회'''라는 이름으로 축구 경기만 따로 개최했다.[1] 특히 조선축구협회는 조선체육회가 주최한 전조선축구대회의 전통을 이어받는다는 뜻에서 대회 횟수를 제19회로 명명했다.[1] 그러나 이 역시 일제의 구기 종목 금지령으로 인해 3년 만에 폐지되었다.[1]

3. 대회 개요

전조선축구대회는 1921년 2월 제1회 대회가 개최된 이래 1940년 제21회 대회를 끝으로 중단될 때까지 일제강점기 동안 매년 개최된 한국 최초의 전국 규모 축구 대회였다.[1]

대회는 소학부(현재의 초등학교), 중등부(현재의 중고등학교), 전문부(현재의 대학교), 청년부(혹은 일반부, 현재의 성인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1]

3. 1. 주최

제1회(1921년)부터 제18회(1937년) 대회는 조선체육회가 주최하였으나, 제19회(1938년)부터 제21회(1940년) 대회까지는 조선축구협회가 주최하였다.[1]

한편 제1회 대회 개최 당시 조선일보동아일보는 일제로부터 첫 정기정간을 당했던 시기라,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가 후원했으나, 제3회 대회부터는 동아일보가 후원한다.[1]

3. 2. 개최 장소 및 시기

지금의 FA컵이 출전 팀의 홈 또는 원정 경기장에서 열리는 것과 달리, 전조선축구대회는 모두 서울에서 열렸다. 초기에는 배재고보, 경성중학, 휘문고보 운동장 등에서 열렸으나, 제8회(1927년) 대회부터는 경성운동장(현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렸다.

개최 시기는 초기에는 2월이나 4월에도 열렸으나, 이후에는 주로 늦가을인 10월에서 11월에 열렸다. 때문에 1920년대 중반부터는 봄에는 평양의 전조선축구대회가, 가을에는 서울의 전조선축구대회가 열리는 구도가 정착되었다.

3. 3. 대회 구성

연령별로 성인팀 대 성인팀, 유소년팀 대 유소년팀의 대결 구도로 각각 개최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회차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소학부, 중등부, 전문부, 청년부(혹은 일반부)로 대회가 구분되어 있었다. 소학부는 지금의 초등학교, 중등부는 지금의 중고등학교, 전문부는 지금의 대학교, 청년부는 지금의 성인팀에 해당한다.

4. 의미와 영향

전조선축구대회는 한국 최초로 정식 축구경기규칙이 적용된 근대식 축구 대회이다. 일본 아사히신문사가 발행한 운동연감에 실려있는 축구경기규칙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제1회 대회부터 적용하였다. 제2회 대회부터는 대회강령, 경쟁규정, 심판규정이 마련되었으며, 이 내용은 현재까지 남아 한국 축구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전조선축구대회는 1940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일본축구협회는 초기의 여러 대회를 천황배일본축구대회의 뿌리로 인정하여 횟수를 부여하고 있지만, 대한축구협회에서는 전조선축구대회와 FA컵의 관계에 대해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FA컵의 전신에 가까운 전국축구선수권대회(1946-2000)와 현재의 FA컵(1996-) 이전에 열린 최초의 전국적인 대회로서 역사적인 상징성이 있다.

5. 역대 대회 결과

전조선축구대회는 1921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1940년 제21회 대회까지 개최되었다. 일제의 침략 정책으로 인해 21회 대회를 끝으로 중단되었다.[21]

대회는 초기에 소학부, 중등부, 청년부로 구성되었고, 이후 전문부가 추가되거나 폐지되는 등 변화를 겪었다. 1935년 제16회 대회부터 소학부가 폐지되었고, 1938년 제19회 대회에 소학부가 다시 부활했다가 1940년 제21회 대회에서 다시 폐지되었다.

횟수연도종별우승스코어준우승
1회1921중등부분규로 대회 중단[21]
고등부
2회1922중등부휘문고보3 : 0중앙고보
청년부평양무오단3 : 0불교청년회
3회1922학생부휘문고보2 : 1숭실중학
청년부불교청년회2 : 0건강구락부
4회1923소학부광성보통학교[24]1 : 0보인보통학교[25]
중등부배재고보[27]4 : 4중앙고보
청년부불교청년회3 : 1임술 축구단[28]
5회1924소학부광성보통학교4 : 0영흥공립보통학교[29]
중등부배재고보3 : 0평양고보
청년부건강운동부6 : 3수양구락부
6회1925소학부평양숭덕학교[30]2 : 1광성보통학교
중등부배재고보3 : 0경신학교
전문부연희전문[27]0 : 0숭실전문
청년부조선 축구단3 : 2고려구락부
7회1926소학부평양숭덕학교1 : 0안악공립보통학교
중등부배재고보5 : 2경신학교
전문부연희전문2 : 0숭실전문
청년부평양무오단3 : 2조선 축구단
8회1927소학부숭덕학교6 : 0흥동학교
중등부숭실중학3 : 1배재고보
청년부연희전문7 : 0조선 축구단
9회1928소학부서빙고보통학교4 : 2안악공립보통학교
중등부경신학교8 : 0경성실업전수학교
청년부연희전문3 : 0보성전문
10회1929소학부서빙고보통학교8 : 0흥명보통학교
중등부경신학교2 : 0보성고보
청년부보성전문3 : 1연우구락부
11회1930소학부안악공립보통학교, 흥동학교 공동 우승 (0 : 0 무승부)
중등부숭실중학2 : 0경성실업전수학교
청년부연희전문3 : 2보성전문
12회1931소학부충신학원6 : 1흥동학교
중등부숭실중학1 : 0경신학교
청년부숭실전문3 : 1연희전문
13회1932소학부경기 무효
중등부경성농업학교자료 없음배재고보
전문부보성전문2 : 0연희전문
청년부청진 축구단[32]계림 축구단
14회1933소학부충신학원3 : 2보인보통학교
중등부경성농업학교2 : 1선천신성학교
전문부숭실전문4 : 1연희전문
청년부조선 축구단2 : 1경성 축구단
15회1934소학부충신학원자료 없음명성학원
중등부숭실중학교2 : 0중동중학교
전문부보성전문2 : 1연희전문
일반부평양 축구단3 : 1조선 축구단
16회1935중등부휘문고보1 : 0숭실중
전문부연희전문3 : 1보성전문
일반부청진 축구단3 : 0철도국 축구단
17회1936중등부경신학교3 : 0함흥영생고보
전문부연희전문2 : 1보성전문
일반부경성 축구단4 : 2순천 축구단
18회1937중등부배재고보2 : 1재령명신학교
전문부연희전문4 : 2경성치과전문
일반부서울 축구단2 : 0동방 축구단
19회1938소학부보성소학자료 없음금성소학
중등부배재고보1 : 0중동중학교
전문부보성전문4 : 1연희전문
일반부함흥 축구단4 : 0경성 축구단
20회1939소학부진흥소학3 : 1선명소학
중등부중동중학교1 : 0보성고보
전문부보성전문2 : 0연희전문
일반부철도국 축구단3 : 2경성 축구단
21회1940중등부중동중학3 : 2보성고보
전문부보성전문2 : 0연희전문
일반부마장 축구단1 : 0선일 축구단


5. 1. 대회별 결과

횟수연도일시종별우승스코어준우승장소비고
1회19212.13 - 14중등부분규로 대회 중단[21]배재고보 운동장[22]rowspan=2|
고등부
2회19222.11 - 13중등부휘문고보3 : 0중앙고보경성중학 운동장[23]rowspan=2|
청년부평양무오단3 : 0불교청년회
3회192211.23 - 25학생부휘문고보2 : 1숭실중학배재고보 운동장rowspan=2|
청년부불교청년회2 : 0건강구락부
4회192311.21 - 23소학부광성보통학교[24]1 : 0보인보통학교[25]휘문고보 운동장[26]소학부 신설
중등부배재고보[27]4 : 4중앙고보
청년부불교청년회3 : 1임술 축구단[28]
5회192410.30 - 11.1소학부광성보통학교4 : 0영흥공립보통학교[29]휘문고보 운동장rowspan=3|
중등부배재고보3 : 0평양고보
청년부건강운동부6 : 3수양구락부
6회19254.28 - 30소학부평양숭덕학교[30]2 : 1광성보통학교배재고보 운동장전문부 신설
중등부배재고보3 : 0경신학교
전문부연희전문[27]0 : 0숭실전문
청년부조선 축구단3 : 2고려구락부
7회192611.18소학부평양숭덕학교1 : 0안악공립보통학교배재고보 운동장rowspan=4|
중등부배재고보5 : 2경신학교
전문부연희전문2 : 0숭실전문
청년부평양무오단3 : 2조선 축구단
8회192711.2- 4소학부숭덕학교6 : 0흥동학교경성운동장전문부 폐지
중등부숭실중학3 : 1배재고보
청년부연희전문7 : 0조선 축구단
9회192811.1 -5소학부서빙고보통학교4 : 2안악공립보통학교경성운동장rowspan=3|
중등부경신학교8 : 0경성실업전수학교
청년부연희전문3 : 0보성전문
10회192910.24 - 26소학부서빙고보통학교8 : 0흥명보통학교경성운동장[31]rowspan=3|
중등부경신학교2 : 0보성고보
청년부보성전문3 : 1연우구락부
11회193010.30소학부안악공립보통학교, 흥동학교 공동 우승(0 : 0 무승부)경성운동장rowspan=3|
중등부숭실중학2 : 0경성실업전수학교
청년부연희전문3 : 2보성전문
12회193110.2소학부충신학원6 : 1흥동학교경성운동장rowspan=3|
중등부숭실중학1 : 0경신학교
청년부숭실전문3 : 1연희전문
13회193211.4소학부경기무효경성운동장전문부 부활
중등부경성농업학교자료없음배재고보
전문부보성전문2 : 0연희전문
청년부청진 축구단[32]계림 축구단
14회193311.1소학부충신학원3 : 2보인보통학교경성운동장rowspan=4|
중등부경성농업학교2 : 1선천신성학교
전문부숭실전문4 : 1연희전문
청년부조선 축구단2 : 1경성 축구단
15회193411.2 - 5소학부충신학원자료없음명성학원경성운동장rowspan=4|
중등부숭실중학교2 : 0중동중학교
전문부보성전문2 : 1연희전문
일반부평양 축구단3 : 1조선 축구단
16회193510.22 - 26중등부휘문고보1 : 0숭실중경성운동장소학부 폐지
전문부연희전문3 : 1보성전문
일반부청진 축구단3 : 0철도국 축구단
17회193610.31중등부경신학교3 : 0함흥영생고보경성운동장rowspan=3|
전문부연희전문2 : 1보성전문
일반부경성 축구단4 : 2순천 축구단
18회193710.30중등부배재고보2 : 1재령명신학교경성운동장rowspan=3|
전문부연희전문4 : 2경성치과전문
일반부서울 축구단2 : 0동방 축구단
19회193811.1 - 4소학부보성소학자료없음금성소학경성운동장소학부 부활
중등부배재고보1 : 0중동중학교
전문부보성전문4 : 1연희전문
일반부함흥 축구단4 : 0경성 축구단
20회193911.2소학부진흥소학3 : 1선명소학경성운동장rowspan=4|
중등부중동중학교1 : 0보성고보
전문부보성전문2 : 0연희전문
일반부철도국 축구단3 : 2경성 축구단
21회194011.14중등부중동중학3 : 2보성고보경성운동장소학부폐지
일제의 침략 정책에 의해
21회 끝으로 대회 중단
전문부보성전문2 : 0연희전문
일반부마장 축구단1 : 0선일 축구단



{| class="wikitable"

! 시즌

! 우승

! 점수

! 준우승

! 참고

|-

!colspan="5"|체육회 주최 대회 (1921–1937)

|-

| align="center"|1921 || align="center" colspan="3"|''중단''

|

|-

| align="center"|1922 || 무오 축구단 || align="center"|3–0 || 청년불교구락부

|[4]

|-

| align="center"|1922+ || 청년불교구락부 || align="center"|2–0 || 보건구락부

|[5]

|-

| align="center"|1923 || 청년불교구락부 || align="center"|3–1 || 임술구락부

|[6]

|-

| align="center"|1924 || 보건구락부 || align="center"|6–3 || 수양구락부

|[7]

|-

| align="center"|1925 || 조선 축구단 || align="center"|3–2 || 고려구락부

|[8]

|-

| align="center"|1926 || 무오 축구단 || align="center"|3–2 || 조선 축구단

|[9]

|-

| align="center"|1927 || 연희전문 || align="center"|7–0 || 조선 축구단

|[10]

|-

| align="center"|1928 || 연희전문 || align="center"|3–0 || 보성전문

|[11]

|-

| align="center"|1929 || 보성전문 || align="center"|3–1 || 연우구락부

|[12]

|-

| align="center"|1930 || 연희전문 || align="center"|3–2 || 보성전문

|[13]

|-

| align="center"|1931 || 숭실전문 || align="center"|3–1 || 연희전문

|[14]

|-

| align="center"|1932 || 청진구락부 || align="center"|''리그전'' || 계림구락부

|

|-

| align="center"|1933 || 조선 축구단 || align="center"|2–1 || 경성 축구단

|[15]

|-

| align="center"|1934 || 평양 축구단 || align="center"|3–1 || 조선 축구단

|[16]

|-

| align="center"|1935 || 청진구락부 || align="center"|3–0 || 철도국

|[17]

|-

| align="center"|1936 || 경성 축구단 || align="center"|4–2 || 순천구락부

|

|-

| align="center"|1937 || 서울 축구단 (1930년대) || align="center"|2–0 || 동방구락부

|[18]

|-

!colspan="5"|FA 주최 대회 (1938–1940)

|-

| align="center"|1938 || 함흥 축구단 || align="center"|4–0 || 경성 축구단

|[19]

|-

| align="center"|1939 || 철도국 || align="center"|3–2 || 경성 축구단

|[20]

|-

| align="center"|1940 || 마장구락부 || align="center"|1–0 || 선일구락부

|

5. 2. 역대 우승 구단

역대 전조선축구대회 우승 구단과 준우승 구단은 다음과 같다.[33]

구단우승준우승
연희전문3회1회
조선축구단2회3회
무오 축구단2회1회
불교청년회 축구단2회1회
청진 축구단2회
경성 축구단1회3회
건강구락부1회1회
보성전문1회2회
철도국 축구단1회1회
숭실전문1회
평양 축구단1회
서울 축구단1회
함흥 축구단1회
마장 축구단1회
수양구락부1회
고려구락부1회
연우 구락부1회
계림 축구단1회
동방 축구단1회
선일 축구단1회
순천 축구단1회



대한민국 FA컵 우승팀 목록도 참고할 수 있다.

5. 2. 1. 구단별 우승 횟수

구단우승준우승
연희전문3회 (1927, 1928, 1930)1회 (1931)
조선축구단2회 (1925, 1933)3회 (1926, 1927, 1934)
무오 축구단2회 (1922-제2회 전조선축구대회, 1926)1회 (1923)
불교청년회 축구단2회 (1922-제3회 전조선축구대회, 1923)1회 (1922-제2회 전조선축구대회)
청진 축구단2회 (1932, 1935)
경성 축구단1회 (1936)3회 (1933, 1938, 1939)
건강구락부1회 (1924)1회 (1922-제3회 전조선축구대회)
보성전문1회 (1929)2회 (1928, 1930)
철도국 축구단1회 (1939)1회 (1935)
숭실전문1회 (1931)
평양 축구단1회 (1934)
서울 축구단1회 (1937)
함흥 축구단1회 (1938)
마장 축구단1회 (1940)
수양구락부1회 (1924)
고려구락부1회 (1925)
연우 구락부1회 (1929)
계림 축구단1회 (1932)
동방 축구단1회 (1937)
선일 축구단1회 (1940)
순천 축구단1회 (1936)


5. 2. 2. 구단별 우승 횟수 (전신과 전문학교 포함 시)

구단우승준우승
연희전문3회 (1927, 1928, 1930)1회 (1931)
조선축구단2회 (1925, 1933)3회 (1926, 1927, 1934)
무오 축구단2회 (1922, 1926)1회 (1923)
불교청년회 축구단2회 (1922, 1923)1회 (1922)
청진 축구단2회 (1932, 1935)
경성 축구단1회 (1936)3회 (1933, 1938, 1939)
건강구락부1회 (1924)1회 (1922)
보성전문1회 (1929)2회 (1928, 1930)
철도국 축구단1회 (1939)1회 (1935)
숭실전문1회 (1931)
평양 축구단1회 (1934)
서울 축구단1회 (1937)
함흥 축구단1회 (1938)
마장 축구단1회 (1940)
수양구락부1회 (1924)
고려구락부1회 (1925)
연우 구락부1회 (1929)
계림 축구단1회 (1932)
동방 축구단1회 (1937)
선일 축구단1회 (1940)
순천 축구단1회 (1936)


5. 2. 3. 연고지별 우승 횟수

지역우승 횟수
서울9 (13)
평양3 (4)
청진2
함흥1
괄호 안은 전문학교 포함 시 횟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하나은행 FA CUP - 자세히보기 https://www.kfa.or.k[...] KFA 2020-11-07
[2] 뉴스 [대한민국 스포츠 100년](34)일제강점기의 지방체육⑧조선체육회와 쌍벽을 이룬 관서체육회 http://www.maniarepo[...] Mania Report 2020-11-20
[3] 웹사이트 전국체육대회(全國體育大會)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0-11-20
[4] 뉴스 最後의白𤍠戰 優勝의榮冠은徽文,戊午에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5] 뉴스 雪中에惡戰苦鬪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6] 뉴스 榮光의月桂冠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05-25
[7] 뉴스 五回全朝鮮 蹴球大會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8] 뉴스 最後一刻의决勝戰 優勝旗는어데로! 朝鮮體育會 主催東亞日報社後援 第六回蹴球大會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9] 뉴스 體育會主催,本社後援 第七回全朝鮮蹴球大會 (最終日續報) 靑年團은戊午가優勝 壯快한優勝旗授與式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10] 뉴스 朝鮮體育會主催·東亞日報後援 刻一刻𤍠狂된 中學團决勝戰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11] 뉴스 朝鮮體育會主催,本社後援 乘勝長驅의勢로 延專軍또優勝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12] 뉴스 朝鮮體育會主催·本社後援 臥薪六年만에 普專軍優勝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13] 뉴스 靑年團蹴球决勝 覇權은 延專軍에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14] 뉴스 朝鮮體育會主催,本社後援 第十二回全朝鮮蹴球大會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15] 뉴스 朝蹴團優勝 兩軍모두妙技續出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16] 뉴스 本社後援 朝鮮體育會創立 十五週年記念 全朝鮮綜合竸技 最終日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17] 뉴스 蹴球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18] 뉴스 綜合蹴球一般部에 서울蹴軍이優勝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19] 뉴스 一般部蹴球戰 咸興軍이優勝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20] 뉴스 一般部蹴球决勝戰 鐵道軍이優勝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2020-11-20
[21] 문서 중등부는 1, 2, 3회전 모두 심판 판정 불만으로 기권, 청년부는 3회전 중 심판 판정 불만으로 중단.
[22] 문서 종로구 정동 배재공원자리
[23] 문서 경성중학교는 1903년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 자제를 위한 중학교로 설립되었다. 1910년 국권침탈후 경희궁의 부속건물을 헐고 교사가 지어졌으므로 경성중학 운동장은 현재의 경희궁터이다. 경성중학교는 해방이후 서울고등학교가 되었으며 1980년 서초구로 이전하면서 경희궁이 복구되기 시작했다.
[24] 문서 1894년 평양에 세워진 감리교 북감리회 계열의 학교. 현재, 서울 광성고등학교의 전신.
[25] 문서 1908년 보인학회가 서울에 설립한 학교로 현재 보인고등학교
[26] 문서 현,계동 현대사옥자리
[27] 문서 당시는 무승부시, 프리킥 1점, 슈팅 1점으로 계산해 다득점팀이 우승했다.
[28] 문서 대한축구협회에서는 무오 축구단이라 기록했으나 당시 기사에서는 임술 축구단이 준우승 팀으로 보도되어있다.
[29] 문서 함경남도 영흥군에 위치. 영흥군은 현재 금야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30] 문서 1896년 평양에 설립된 감리교 북감리회 계열의 학교
[31] 문서 10회대회의 경우 참가팀이 많아 부득이 하게 소학부예선의 경우 휘문고보 운동장에서 치루었다.
[32] 문서 청년부는 리그전으로 열렸다. 1위 청진 축구단, 2위 계림 축구단, 3위 봉래 축구단 순.
[33] 문서 1921년 제1회 대회 결승전에서 심판 판정에 대한 항의 및 양팀간의 신경전으로 경기가 중단되어 우승팀 없으므로, 제2회 대회 우승팀인 무오축구단이 첫 우승팀이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