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옹-페라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옹-페라쉬역은 프랑스 리옹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855년에 개장했다. 파리-리옹 철도 노선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고전적인 건축 양식과 이중 지붕이 특징이다. 1970년대 복합 운송 터미널 건설로 도시의 전망을 잃었지만, 현재는 LGV 남동선을 포함한 다양한 열차 노선과 리옹 지하철, 트램 노선이 운행된다. 리옹 파르디외역이 주요 철도역 역할을 대신하지만, 여전히 중요한 교통 허브로 기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옹 메트로역 - 리옹-파듀역
리옹-파르디유역은 1978년 개통된 프랑스 리옹의 주요 철도역으로, 다양한 대중교통과 연계되어 접근성이 뛰어나며, TGV, 장거리 노선, TER 오베르뉴-론-알프스 노선이 운행되는 프랑스 철도청의 주요 역이다. - 1857년 개업한 철도역 - 뇌샤텔역
뇌샤텔역은 뇌샤텔 도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인터시티, 인터레기오 등 다양한 노선이 정차하여 주요 도시를 연결하며, 푸니쿨라를 통해 뇌샤텔 대학교 인근과 연결된다. - 1857년 개업한 철도역 - 라쇼드퐁역
라쇼드퐁역은 1857년에 개통되어 쥐라 공업사에서 건설했으며, 시계 제조 산업과 뇌샤텔주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뇌샤텔, 베른 등 여러 지역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정차한다.
리옹-페라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주소 | 프랑스 리옹 2구 페라쉬 14 Cours de Verdun |
좌표 | 45.7483, 4.8256 |
해발 고도 | 174m |
개업 | (정보 없음) |
접근성 | 가능 |
UIC 코드 | (정보 없음) |
소유주 | SNCF |
운영자 | SNCF |
2023년 승객 수 | 7,637,077명 |
노선 정보 | |
노선 | 파리-마르세유 철도 모레-리옹 철도 리옹-마르세유 (그르노블 경유) 철도 리옹-제네바 철도 |
연결 | (페라쉬 복합 환승 센터) |
서비스 | |
SNCF | TGV inOui 파리-리옹 (Lyon-Part-Dieu에서 연결) Intercités 낭트-리옹 (Lyon-Part-Dieu에서 연결) Ouigo OTC 파리-베르시 (Lyon-Part-Dieu에서 연결) |
TER 오베르뉴-론-알프 | 1 생-앙드레 (Lyon-Jean Macé에서 연결) 5 리옹-베즈 (Lyon-Jean Macé에서 연결) 6 리옹-베즈/로안 6 Lyon-Part-Dieu에서 연결 10 울랭 에서 연결 24 리옹-베즈 에서 연결 32 Lyon-Part-Dieu/리옹-베즈 에서 연결 |
TER 부르고뉴-프랑슈-콩테 | TER 뇌베르-리옹 (Lyon-Vaise에서 연결) |
연결 정보 | |
기타 역 연결편 | A선 (Ampère–Victor Hugo에서 연결, Perrache로 환승) T1선 (Place des Archives에서 연결, Quai Claude Bernard에서 연결, Perrache로 환승) T2선 (Place des Archives에서 연결, Centre Berthelot–Sciences Po Lyon에서 연결, Perrache로 환승) |
이름 | |
프랑스어 | Gare de Lyon-Perrache |
일본어 | リヨン・ペラーシュ駅 |
로마자 표기 | Riyon Perāshu Eki |
한국어 | 리옹-페라쉬역 |
프랑스어 | gare de Lyon-Perrache |
2. 역사
1855년 프랑수아-알렉시스 샹드리예에 의해 파리-리옹 철도의 중앙역으로 건설되었다. 개장 당시 여러 철도 회사가 합병하여 파리-리옹-지중해 철도(PLM)가 되었다. 고전적인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1970년대 주변에 복합 운송 터미널과 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경관에 변화가 생겼다. 현재는 LGV 남동선을 비롯한 여러 철도 노선과 리옹 메트로, 리옹 트램 노선이 운행되지만, 1983년 리옹 파르디외역이 개업하면서 리옹의 주요 철도역 역할은 상당 부분 파르디외역으로 넘어갔다.
2. 1. 초기 역사
1855년부터 18개월에 걸쳐 프랑수아-알렉시스 샹드리예가 파리-리옹 철도를 위해 역을 건설했다.[1] 처음부터 리옹을 운행하는 세 회사의 노선을 통합하는 중앙역으로 설계되었으며, 역이 개장할 때 이 회사들은 파리-리옹-지중해 철도(PLM)로 합병되었다.[1] 역사는 고전적인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두 개의 지붕과 넓은 여객 건물이 특징이다.[1][2] 역 앞면에는 리옹-페라쉬에서 출발하는 기차의 행선지 도시 이름이 새겨져 있다.[1] 플랫폼은 두 개의 쌍둥이 철제 지붕으로 덮여 있다.[1][2]
1970년대에 역 앞에 복합 운송 터미널(지역 대중교통과 시외 버스를 결합)과 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도시의 전망을 잃었다.[1][2] 주변에 현대적인 건물이 많이 들어서면서 이 지역의 모습이 다소 퇴색되었지만, 역 자체는 원래의 특징을 많이 유지하고 있다.[1][2]
이 역은 고속 LGV 남동선 철도 노선을 통해 파리와 리옹 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착역이다.[1][2] 또한 프랑스의 다른 지역에서 오는 일반 열차도 운행하며, 리옹 메트로 A선의 종착역이기도 하다.[1][2] 또한 리옹 트램 T1선 및 T2선 노선도 운행한다.[1]
그러나 오늘날 페라쉬는 더 이상 리옹을 운행하는 주요 철도역이 아니다.[1][2] 대신, 도심 외곽의 대규모 계획된 비즈니스 지구에 1983년 건설된 리옹 파르디외역이 대부분의 고속 열차, 특히 파리와 북쪽으로 가는 열차의 더 인기 있는 출발 지점으로 사용된다.[1][2]
2. 2. 현대
1970년대에 역 앞에 지역 대중교통과 시외버스를 연결하는 복합 운송 터미널과 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주변 경관이 일부 훼손되었다. 많은 현대적인 건물이 들어서면서 주변 지역의 모습이 다소 낡아 보이지만, 역 자체는 원래의 특징을 상당 부분 유지하고 있다. 승강장은 두 개의 철골 지붕으로 덮여 있다.이 역은 파리에서 오는 TGV LGV 남동선 노선의 종착역 중 하나이다. 또한 리옹 메트로 A선의 종착역이며, 리옹 트램 T1선 및 T2선 노선도 운행한다. 연간 이용객 수는 약 600만 명이다.
그러나 오늘날 페라쉬역은 리옹의 중심 철도역으로서의 역할이 과거에 비해 감소했다. 1983년 도심 외곽의 계획된 비즈니스 지구에 리옹 파르디외역이 개업하면서 리옹의 중심 업무 지구가 구시가지 동쪽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현재 파리 및 그 이북으로 향하는 고속 열차는 대부분 파르디외역을 이용하고 있다.
3. 구조
리옹-페라쉬역은 1855년부터 18개월간 건축가 프랑수아-알렉시스 샹드리예(François-Alexis Cendrier)에 의해 파리-리옹 철도(Chemin de fer de Paris à Lyon)를 위해 건설되었다. 처음부터 리옹을 운행하던 세 철도 회사의 노선을 통합하는 중앙역으로 설계되었으며, 역 개장 시점에 이 회사들은 파리-리옹-지중해 철도(PLM)로 합병되었다. 역 건물은 고전적인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두 개의 나란한 지붕 구조와 넓은 여객 건물이 특징이다. 역 정면에는 이곳에서 출발하는 열차의 주요 행선지 도시 이름들이 새겨져 있으며, 승강장은 두 개의 쌍둥이 철제 지붕으로 덮여 있다.
1970년대에 역 앞에 복합 환승 센터와 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도시 경관이 일부 가려졌으나, 역 건물 자체는 여전히 본래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1]
3. 1. 프랑스 국철 (SNCF)
1855년 파리-리옹-지중해 철도의 알렉시스 상드리엘에 의해 건설되었다. 역사는 고전적인 양식으로 2개의 지붕과 여객용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1970년대에는 자동차 도로와 나들목 건설로 인해 주변 경관이 훼손되는 변화를 겪었다. 주변에 많은 현대적인 건물이 들어섰지만, 역 자체는 옛 특징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 승강장은 2개의 철골 지붕으로 덮여 있다. 이 역은 파리에서 오는 TGV 남동선 계통 열차의 종착역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리옹 메트로 A선과 2개의 트램 노선의 종착역이기도 하다. 연간 이용객 수는 약 600만 명에 달한다.
그러나 오늘날 리옹의 중심역으로서의 역할은 과거에 비해 감소했다. 1983년 리옹-파르디외역이 개업하고 역 주변 지역이 재개발되면서, 리옹의 중심 업무 지구는 구시가지 동쪽으로 이동했다. 이로 인해 파리 및 그 이북 지역으로 향하는 고속 열차 운행에서는 파르디외역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3. 2. 리옹 지하철 (TCL)
리옹 메트로 A선의 역으로, 원어 역명은 Perrachefra이다. 프랑스 리옹 2구의 페라쉬 지구에 위치한다.1978년 5월 2일에 개업하였으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A선의 다음 역은 앙페르-빅토르 위고역이다.
3. 3. 리옹 트램 (TCL)
리옹 트램의 1호선과 2호선이 운행하는 역이다. 역명은 Perrache프랑스어이다.2001년 1월에 개업하였으며, 프랑스 리옹 2구 페라쉬 지역에 위치한 지상역이다.
- '''1호선''': Debourg역을 기점으로 하며, Place des Archives역과 Quai Claude Bernard역 사이에 위치한다.
- '''2호선''': Hôtel de Région - Montrochet역을 기점으로 하며, Place des Archives역과 Centre Berthelot역 사이에 위치한다.
4. 운행
리옹-페라쉬역은 1855년 파리-리옹-지중해 철도 회사에 의해 건설되었다. 역사는 고전적인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승강장은 2개의 철골 지붕으로 덮여 있다. 파리에서 오는 TGV 남동선 계통의 종착역 중 하나이며, 다양한 고속열차, 시외열차, 지역열차가 운행한다. 2022년 4월부터는 트레니탈리아 프랑스의 프레차로사 열차도 밀라노와 파리 구간을 운행하기 시작했다.[2][3] 이 노선은 2022년 6월부터 증편 운행되고 있다.[4][5]
1970년대 역 주변에 자동차 도로와 나들목이 건설되면서 경관이 일부 훼손되었으나, 역 자체는 옛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연간 이용객 수는 약 600만 명에 달한다.
그러나 1983년 리옹 파르디외역이 개업하고 역 주변 재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리옹의 중심 업무 지구가 동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리옹의 중심역으로서의 역할은 과거에 비해 감소했다. 특히 파리 및 북부 방면 고속 열차 운행에서는 파르디외역의 비중이 더 커졌다.
리옹-페라쉬역은 리옹 메트로 A선과 트램 1호선, 2호선의 종착역이기도 하다. 또한, 2012년부터 SNCF의 버스 노선망인 iDBus(현 블라블라카 버스)도 운행하고 있다.
4. 1. 열차 운행
이 역은 생테티엔, 부르고앙잘리외, 빌프랑슈쉬르손, 비엔, 부르캉브레스, 앙베리외앙뷔제, 로안 등지로 향하는 열차를 운행한다.리옹-페라쉬역에 정차하는 주요 열차 및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고속 열차'''
- TGV (파리 - 리옹)
- TGV inOui (파리, 렌, 낭트 방면): 리옹 파르디외역 경유
- TGV inOui (메스 - 몽펠리에 간): 마콩 빌역 - '''리옹-페라쉬역''' - 님역 구간 운행
- Ouigo: 리옹 파르디외역, 마른라발레-셰시역, 아비뇽 TGV역, 님-퐁-뒤-가르역 등 경유
- 프레차로사 (트레니탈리아 프랑스): 밀라노 - 파리 노선. 2022년 4월 5일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2][3] 리옹 파르디외역을 경유한다.[3] 초기에는 양방향 하루 3편으로 운행을 시작하여,[2][3] 2022년 6월 1일부터 5편으로 증편되었다.[4][5]
- '''지역 열차''' (TER 오베르뉴-론-알프)
- 리옹 - 앙베리외 – 벨가르드 - 제네바
- 리옹 - 발랑스 - 몽텔리마르 - 오랑주 - 아비뇽
- 리옹 - 앙베리외 – 엑스레뱅 – 샹베리
- 기타 지역 노선: 리옹 베즈역 - '''리옹-페라쉬역''' - 리옹 파르디외역/리옹 장 마세역/울랭역/지보르-빌역 등
- '''도시 철도 및 트램'''
- 리옹 메트로 A선: '''페라쉬역''' - 앙페르-빅토르 위고역
- 리옹 트램 1호선: Place des Archives - '''페라쉬 전차 정류장''' - Quai Claude Bernard
- 리옹 트램 2호선: Place des Archives - '''페라쉬 전차 정류장''' - Centre Berthelot
4. 2. iDBus
2012년 12월 17일부터 SNCF의 국내 및 국제 버스 노선망인 iDBus가 리옹-페라쉬역을 운행한다.5. 주변 시설
- 카르노 광장
- 리옹 가톨릭 대학교
- 브라스리 조르주
6. 미래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역 재건축이 계획되어 있다. 이는 건설된 지 반세기가 될 환승 터미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Fréquentation en gares
https://ressources.d[...]
2024-11-04
[2]
웹사이트
Trenitalia aumenta i Frecciarossa tra Lione e Parigi, sulla tratta da Milano
https://www.viaggine[...]
2024-03-15
[3]
웹사이트
Trenitalia: altre sei corse Frecciarossa tra Parigi e Lione
https://www.lastampa[...]
2024-03-15
[4]
웹사이트
Trenitalia, al via il primo Frecciarossa 1000 tra Parigi e Lione
https://www.telebors[...]
2024-03-15
[5]
웹사이트
Ferrovie: Trenitalia aumenta l’offerta di corse in Francia
https://www.ferrovie[...]
2024-03-15
[6]
웹인용
Fréquentation en gares
https://ressources.d[...]
2019-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