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처드 유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유얼은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의 장군이었다. 조지타운에서 태어나 버지니아에서 성장했으며, 웨스트포인트 졸업 후 미-멕시코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남북 전쟁 발발 후 남군에 합류하여 스톤월 잭슨 휘하에서 셰넌도어 계곡 전역에 참여,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묘지 언덕 점령에 실패하며 비판을 받았다. 이후 리치먼드 방어군 지휘관으로 전임되었고, 종전 후 농장을 운영하다가 폐렴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지니아주의 미국 남북 전쟁 - 매너서스 갭 전투
    매너서스 갭 전투는 1863년 7월 23일, 겟티스버그 전투에서 패배한 남부군을 차단하려는 북군의 시도로 벌어졌으나, 결정적인 승패 없이 종료되어 남부군이 셰넌도어 계곡으로 후퇴할 시간을 벌게 된 전투이다.
  • 버지니아주의 미국 남북 전쟁 - A. P. 힐
    A. P. 힐은 미국의 군인으로,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군의 장군으로 활약하며 스톤월 잭슨 휘하에서 '경사단'을 지휘하고 잭슨 사후에는 제3군단을 지휘했으나 피터스버그 포위전 중 전사했다.
  • 미국의 역사 (1849-1865) - 제임스 뷰캐넌
    제임스 뷰캐넌은 1791년에 태어나 1857년부터 1861년까지 제15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노예제 문제와 경제 공황을 겪었고 남부의 탈퇴 시도에 미온적으로 대처하여 비판을 받았다.
  • 미국의 역사 (1849-1865) - 1850년 타협
    1850년 타협은 미국-멕시코 전쟁 이후 노예제 문제로 갈등이 심화된 북부와 남부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헨리 클레이가 주도하여 캘리포니아의 자유주 편입, 도망 노예법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지만, 남북 전쟁을 10년 연기하는 데 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미국의 멕시코-미국 전쟁 참전 군인 - 제퍼슨 데이비스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제퍼슨 데이비스는 아메리카 연합국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을 이끌었으며, 노예제 옹호와 남부 연합 지도자로서의 역할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미국의 멕시코-미국 전쟁 참전 군인 - 프랭클린 피어스
    프랭클린 피어스는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안 논쟁과 당파 갈등 속에서 제14대 미국 대통령을 지낸 뉴햄프셔 출신 민주당원으로, 세 아들의 죽음과 알코올 중독으로 고통받았으며 외교 정책은 후대 대통령들에게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리처드 유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리처드 스토더트 유얼
별명"올드 볼드 헤드" (Old Bald Head, 늙은 대머리)
"볼디" (Baldy, 대머리)
출생일1817년 2월 8일
출생지미국 워싱턴 D.C. 조지타운
사망일1872년 1월 25일
사망지미국 테네시주 스프링 힐
안장지테네시주 내슈빌 올드 시티 묘지
소속
국가미국
아메리카 연합국
군종미국 육군
남부연합군
복무 기간미국: 1840년 – 1861년
남부연합: 1861년 – 1865년
최종 계급[[파일:Union army cpt rank insignia.jpg|35px]] 대위 (미국)
중장 (남부연합)
지휘북버지니아군 제2군단
주요 전투
참전 전투미묵 전쟁
콘트레라스 전투
추루부스코 전투
아파치 전쟁
본네빌 탐험
미국 남북 전쟁
제1차 불런 전투 (제1차 마나사스)
계곡 전역
7일 전투
시더 산 전투
제2차 불런 전투 (제2차 마나사스)
제2차 윈체스터 전투
게티즈버그 전투
황야 전투
스팟실베이니아 코트하우스 전투
세일러스 크리크 전투
기타
가족 관계벤저민 S. 유얼 (형제)
벤저민 스토더트 (외조부)

2. 어린 시절과 초기 경력

리처드 유얼은 워싱턴 D. C. 조지타운에서 태어나 버지니아주 프린스윌리엄 카운티의 매너서스 근처 농장에서 성장했다.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하고 군 경력을 시작하여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공을 세웠다. 이후 뉴멕시코 준주애리조나주에서 복무했으나, 건강 문제로 버지니아주로 돌아와 요양해야 했다.

2. 1. 가족 및 성장 배경

워싱턴 D. C. 조지타운에서 태어나, 3살 때부터 버지니아주 프린스윌리엄 카운티의 매너서스 근처 농장 "스토니 론섬"에서 성장했다.[43][1][29] 아버지 토머스 유얼 박사와 어머니 엘리자베스 스토더트 유얼 사이의 셋째 아들이었다. 조부는 초대 미국 해군 장관을 지낸 벤자민 스토더트였고,[44][2][30] 형은 남군 장교 벤자민 스토더트 유얼이었다.

2. 2. 웨스트포인트 졸업 및 초기 군 경력

리처드 유얼은 1840년 웨스트포인트를 동기 42명 중 13등으로 졸업했다. 그의 친구들은 그를 "늙은 대머리" 혹은 "볼디"(대머리)라고 불렀다.[45] 졸업 후, 그는 미국 제1 용기병 연대의 소위로 임관되었고, 1845년 중위로 진급했다.[45]

1843년부터 1845년까지 유얼은 필립 세인트 조지 쿡과 스티븐 와츠 커니와 함께 산타페 트레일과 오리건 트레일의 호위 임무를 수행했다.[45] 미국-멕시코 전쟁에서는 윈필드 스코트 장군 휘하에서 복무하며 능력을 인정받았다. 콘트라레스 전투와 추루부스코 전투에서 용맹을 떨쳐 대위로 승진했다.[45] 콘트라레스 전투에서는 로버트 E. 리 공병 대위(당시 계급)와 함께 야간 정찰을 하기도 했다.[45]

2. 3. 뉴멕시코 준주 및 애리조나 시절

유얼은 뉴멕시코 준주에서 복무하면서 벤자민 본빌 대령과 함께 새로 획득한 개즈던 매입 지역을 탐험했다.[44][2][30] 1859년 코치스가 이끄는 아파치족과의 작은 교전에서 부상을 입었다.[44][2][30] 1860년 애리조나주 부캐넌 요새 지휘관으로 있을 때 건강이 악화되어 서부를 떠나 요양을 위해 버지니아주로 돌아갔다.[45][3][31] 유얼은 이 병의 증세를 "현기증, 숨을 쉬기도 어려운 중병, 지금은 과도하게 쇠약해져서 때에 따라선 한기가 밀려오기도 한다"라고 표현했다.[46][4] 이 질병과 부상은 다가올 남북 전쟁 기간 동안 그에게 어려움을 야기할 것이다.

3. 남북 전쟁

유얼은 대체로 연방 지지 성향을 보였으나,[31] 출신지 버지니아주가 연방에서 탈퇴하자, 1861년 5월 7일 미국 육군에서 제대하고 버지니아 주군에 합류했다.

1861년 5월 9일 기병대 대령으로 임명되었고, 5월 31일 페어팩스 코트하우스 전투에서 어깨에 부상을 입어 전쟁에서 부상당한 최초의 현장 지휘관 중 한 명이 되었다.[5] 6월 17일 남부 연합군 준장으로 진급하여 제1차 불런 전투에서 1개 여단을 지휘했으나, 그의 여단은 하류의 여울을 지키고 있었기 때문에 거의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다.[6]

1864년 황야 전투에서 자신의 군단을 지휘하여 공을 세웠다. 스폿실베이니아 코트하우스 전투에서 유얼은 우유부단하고 부적절한 행동을 보여, 로버트 E. 리 장군이 5월 12일 '뮬 슈' 방어선을 직접 지휘해야 했다.[40] 리는 유얼의 고질적인 부상이 문제의 원인이라 판단하고, 그를 군단 지휘관에서 해임하여 리치먼드 방어군 지휘관으로 전임시켰다. 1865년, 유얼은 세일러스 크리크 전투에서 포로로 잡혔고, 1865년 7월까지 보스턴 항구의 워렌 요새에 전쟁 포로로 갇혀 있었다.[40]

3. 1. 남군 합류 및 초기 활동

버지니아주가 연방 탈퇴를 선언하자 유얼은 1861년 5월 7일 미육군을 제대하고 버지니아 시민군에 입대했다.[45] 1861년 5월 9일 기병대 대령으로 임명되어 5월 31일 페어팩스 코트하우스의 소규모 접전에서 어깨에 부상을 입었다.[5] 이 부상으로 그는 전쟁에서 부상당한 최초의 상급 지휘관 중 한 명이 되었다. 6월 17일 남군 준장으로 승진해 제1차 불런 전투에서 1개 여단을 지휘했으나, 그의 여단은 하류의 여울을 지키고 있었기에 거의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다.[6]

전투 몇 시간 후, 유얼은 미국 남부 연합 대통령 제퍼슨 데이비스에게 남부 연합이 전쟁에서 승리하려면 노예를 해방하고 군대에 합류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흑인 병사들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할 의향도 있었다. 그러나 데이비스는 그것이 "불가능"하다고 여겼고, 그 주제는 그와 유얼 사이에서 다시는 언급되지 않았다.[7]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얼은 인종에 관계없이 남부 연합이 얻을 수 있는 모든 병사가 필요하다고 믿었던 몇 안 되는 남부 연합 장군 중 한 명이었다.[7]

3. 2. 스톤월 잭슨 휘하 활동

1862년 1월 24일 소장으로 진급한 유얼은 스톤월 잭슨의 휘하에서 셰넌도어 계곡 전역에 참전했다. 유얼과 잭슨은 협력하여 작전을 수행했고, 두 사람 모두 기이한 행동으로 주목받았지만, 스타일은 많이 달랐다. 잭슨은 엄격하고 경건했지만, 유얼은 재치가 넘치고 욕설을 많이 했다. 전장에서 잭슨은 유연하고 직관적이었지만, 유얼은 용감하고 유능했지만, 효과를 보기 위해 정확한 지시를 받아야 했다.[48] 유얼은 잭슨이 작전 계획을 부하에게 알리지 않는 경향이 있어 처음에는 불만을 가졌지만, 결국 잭슨의 방식에 적응했다.

밸리 작전 동안 잭슨의 소규모 군대에서 유얼은 1개 사단을 훌륭하게 지휘하여 북군 존 C. 프리몬트, 너새니얼 뱅크스, 제임스 실즈 소장이 지휘하는 대부대에 맞서 프론트 로열 전투, 퍼스트 윈체스터 전투, 크로스 키스 전투, 포트 리퍼블릭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후 잭슨 군은 리치몬드로 소환되어 조지 매클렐런 소장의 포토맥군이 수행하던 반도 작전에 대항하여 리치몬드 시를 지키기 위해 로버트 E. 리의 군대에 합류했다. 유얼은 게인스밀 전투와 말번힐 전투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했다. 7일 전투에서 리 군이 북군을 물리친 후, 북군 존 포프 소장의 버지니아군이 북쪽에서 공격할 위험이 있었기에, 잭슨은 이를 방해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유얼은 8월 9일 시더 산 전투에서 다시 뱅크스 군을 격파했고, 이전 매너서스 전장으로 돌아가 제2차 불런 전투에서도 잘 싸웠지만, 그래프턴에서 부상을 입어 왼쪽 다리를 무릎 아래에서 절단해야 했다.[11]

3. 3. 리진카 캠벨 브라운과의 관계

유얼은 페어팩스 법원에서 입은 어깨 부상에서 회복하는 동안, 그의 사촌이자 과부인 리진카 캠벨 브라운의 간호를 받았다. 리진카는 1850년 남편을 잃고 1852년 어머니마저 잃은 여인이었다.[5] 유얼과 리진카는 10대 시절부터 서로에게 끌렸지만, 유얼의 어머니는 둘의 관계를 반대했고, 이는 둘 사이를 멀어지게 했다. 유얼은 평생 독신으로 지냈지만, 1861년과 1862년 밸리 작전 동안 둘의 로맨스는 다시 불타올랐다. 유얼은 1863년 5월 26일 리치먼드에서 리진카와 결혼했다.[5]

3. 4. 게티즈버그 전투 및 논란

게티즈버그 전역이 시작된 날 제2차 윈체스터 전투에서 유얼은 북군의 병사 4,000명을 포로로 잡고 야포 23문을 노획하는 화려한 공적을 세웠다.[44] 이때 사용된 탄환이 가슴에 맞는 아찔한 순간이 있었지만, 겨우 중상을 면했다.[44] 유얼의 군단은 펜실베이니아주 침공의 선두에 서서 주도인 해리스버그까지 진격했지만, 리가 병력을 게티즈버그로 집결시키기 위해 소환했다.

그러나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유얼의 군인으로서의 평판은 이후 오랫동안 하락세를 겪었다. 1863년7월 1일, 유얼의 군단은 북쪽에서 게티즈버그로 접근하여 북군 제11군단과 제1군단의 일부를 격파했고, 북군은 마을을 통해 후퇴하여 마을 남쪽의 세메터리힐에 방어선을 구축해야 했다. 리는 전투장에 도착한 직후였고, 그 지형의 중요성을 인지했다. 리는 유얼에게 "만약 가능하다면" 세메터리힐을 점령하라는 재량 명령을 보냈다. 역사학자 제임스 M. 맥퍼슨은 "잭슨이 살아 있었다면 의심할 여지 없이 그것이 실행 가능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그러나 유얼은 잭슨과 달랐다"라고 적었다.[50] 유얼은 공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유얼은 공격하지 않기로 한 데에 몇 가지 이유를 제시했을 가능성이 있다. 리의 명령에는 본질적인 모순이 있었다. "실행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적이 점령하고 있는 언덕을 점령하라. 그러나 우리 군의 다른 사단이 도착할 때까지 회전을 피하라"라고 명시되어 있었다.[51] 리는 또한 유얼이 요청한 힐의 군단으로부터의 지원을 거부했다. 유얼의 병사들은 긴 행군과 7월 오후의 격렬한 전투로 피로했고, 전투 대형을 재정비하기 어려웠으며, 게티즈버그의 좁은 길을 통과하여 언덕을 공격하는 것도 어려웠다. 에드워드 "앨러게니" 존슨 소장의 아직 피로하지 않은 사단이 막 도착했지만, 북군의 대규모 증원 부대가 동쪽에서 요크 파이크로 접근하여 자군 측면에 위협이 된다는 정보를 받기도 했다.[52] 유얼의 평소 공격적인 부하인 주벌 얼리 소장도 유얼의 결정에 동의했다.

리의 명령은 유얼에게 많은 재량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비판받아 왔다. 맥퍼슨과 같은 역사학자들은 더 공격적인 스톤월 잭슨이 살아 있었다면 이 명령에 어떻게 반응했을지, 남군이 칼프스힐 또는 세메터리힐을 점령했다면 이틀째 전투가 어떻게 달라졌을지를 추측했다. 재량 명령은 리의 주요 부하인 잭슨이나 제임스 롱스트리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에 잘 응했고, 그 독창성을 발휘하여 그 당시의 조건에 반응하고, 바람직한 결과를 내었기 때문에, 리에게는 일상적인 것이었다. 유얼 부대가 행동하지 못한 것은, 그것이 정당화되든 아니든, 이 전투에서 남군에게 거의 확실히 대가를 치르게 했다.[48] 유얼의 군단이 7월 2일과 3일에 북군의 진지를 공격했을 때, 북군은 몇 개의 언덕을 충분히 점령하고 견고한 방어를 펼칠 시간을 벌었고, 이는 남군의 막대한 손실로 이어졌다. 전후, "남부의 잃어버린 대의"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특히 전투 중에 유얼의 부하가 되었던 주벌 얼리뿐만 아니라, 아이작 R. 트림블 소장도, 전투에서 패배한 책임을 리에게서 돌리기 위해 유얼을 격렬하게 비난했다.

7월 3일, 유얼은 다시 부상을 입었으나, 이번에는 그의 나무 다리만 다쳤다.

3. 5. 오버랜드 전역 및 리치먼드 방어

1864년 5월, 유얼은 황야 전투에서 자신의 군단을 지휘하여, 공격해 온 북군 군단보다 병력에서 우세한 드문 기회를 이용해 공을 세웠다. 스폿실베이니아 코트하우스 전투에서 유얼은 우유부단하고 부적절한 행동을 보여, 로버트 E. 리 장군이 5월 12일 '뮬 슈' 방어선을 직접 지휘해야 했다.[40] 유얼은 도망치는 병사들을 이성을 잃고 꾸짖으며 칼로 등을 때리기도 했다. 리는 그를 제지하며 "유얼 장군, 자제해야 하오. 당신이 자제력을 잃었을 때, 이 병사들을 통솔할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겠소? 흥분을 가라앉힐 수 없다면, 그만두는 것이 좋소."라고 말했다.[40] 리는 유얼의 고질적인 부상이 문제의 원인이라 판단하고, 그를 군단 지휘관에서 해임하여 리치먼드 방어군 지휘관으로 전임시켰다. 이는 북군이 남군의 수도에 압력을 가하는 상황에서 결코 중요하지 않은 임무는 아니었다.

1865년, 유얼은 세일러스 크리크 전투에서 엉망이 된 군대가 포위되어 포로가 되면서 리치먼드에서 철수 중이었다. 이는 애포매톡스 코트하우스에서 리가 항복하기 며칠 전이었다. 유얼은 1865년 7월까지 보스턴 항구의 워렌 요새에 전쟁 포로로 갇혀 있었다.[40]

4. 종전 후의 삶

유얼은 사면을 받은 후 테네시주 스프링힐 근처에 있던 아내의 농장인 이웰 농장에서 신사농원주로 지냈다.[55] 그는 농장 경영으로 이익을 얻었고, 미시시피주에서 면화 농장을 임대하여 성공하기도 했다. 유얼은 리진카의 자녀와 손주들을 끔찍이 아꼈다. 그는 테네시주 콜롬비아에 있는 콜롬비아 부인 아카데미 이사회 회장, 세인트 피터스 성공회 교회 참사회원, 모리 군 농업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41] 유얼과 그의 아내는 1872년 1월에 폐렴에 걸려 3일 간격으로 사망했다.[42] 두 사람은 올드 시티 묘지에 묻혔다. 사후 출판물로는 『군인의 양성』이 1935년에 출판되었다.

이웰 농장 (Ewell Farm), 2009년, 테네시 주 스프링 힐 인근

5. 평가 및 대중 매체에서의 묘사

유얼은 군사적 능력은 인정받았으나, 게티즈버그 전투에서의 결정, 특히 묘지 언덕 점령 실패는 남부군의 패배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을 받는 등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티모시 스콧(Tim Scott)은 1993년 영화 ''게티즈버그''에서 마이클 셔라(Michael Shaara's)의 소설 ''킬러 엔젤스''를 바탕으로 유얼을 연기했다. 영화에서 아이작 R. Trimble 소장은 로버트 E. 리에게 유얼이 묘지 언덕 점령을 거부하여 미군에게 큰 이점을 주었고, 이로 인해 많은 사상자가 발생할 것이라고 말한다.

1963년 복음 영화 ''Red Runs the River''에서 유얼은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밥 존스 주니어가 연기했다. 캐서린 스테노름 감독의 이 영화는 유얼과 스톤월 잭슨의 관계, 그리고 제2차 불런 전투(매너서스 전투)에서 부상 후 유얼이 기독교로 개종하는 과정을 묘사한다. 이 영화는 밥 존스 대학교 영화학과에서 제작한 Unusual Films 작품이다.[27] ''Red Runs the River''는 미국 대표로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국제 영화 및 텔레비전 학교 회의에서 대학 영화 제작자 협회가 선정한 영화였다.[28]

참조

[1] 인용
[2] 인용
[3] 인용
[4] 인용
[5] 인용
[6] 인용
[7] 인용
[8] 인용
[9] 인용
[10] 인용
[11] 서적 The American Civil War Palgrave Macmillan
[12] 인용
[13] 인용
[14] 인용
[15] 인용
[16] 인용
[17] 뉴스 Richard Ewell at Gettysburg http://www.historyne[...] Civil War Times 2010-08
[18] 서적 Reading the Man: A Portrait of Robert E. Lee Through Private Letters
[19] 인용
[20] 인용
[21] 인용
[22] 서적 Abraham Lincoln https://books.google[...]
[23] 인용
[24] 서적 The American Cyclopaedia https://books.google[...]
[25] 인용
[26] 인용
[27] 웹사이트 Red Runs the River https://www.imdb.com[...]
[28] 웹사이트 Katherine Stenholm biography https://www.imdb.com[...]
[29] 인용
[30] 인용
[31] 인용
[32] 인용
[33] 인용
[34] 인용
[35] 인용
[36] 서적 McPherson
[37] 서적 Sears
[38] 서적 Sears
[39] 서적 Coddington
[40] 서적 Pfanz
[41] 서적 Pfanz
[42] 서적 Pfanz
[43] 서적 Pfanz
[44] 서적 Eicher
[45] 서적 Fredriksen
[46] 서적 Pfanz
[47] 서적 Tagg
[48] 서적 Fredriksen
[49] 서적 Pfanz
[50] 서적 McPherson
[51] 서적 Sears
[52] 서적 Sears
[53] 서적 Coddington
[54] 서적 Pfanz
[55] 서적 Pfanz
[56] 서적 Pfanz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