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86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62년은 미국 남북 전쟁이 격화되고, 조선에서는 진주 민란이 일어난 해이다. 미국에서는 철갑선 모니터가 진수되고, 링컨 대통령이 노예 해방 예비 선언을 발표했다. 조선에서는 류계춘 등이 주도한 진주 민란이 발생했으며, 프랑스는 베트남을 식민지화하고 일본은 문호 개방과 관련된 사건들이 발생했다. 또한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이 출판되었으며, 게틀링 건이 특허를 받았다. 이 해에는 다비트 힐베르트, 클로드 드뷔시, 구스타프 클림트 등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인물들이 태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2년 - 프레더릭스버그 전투
    프레더릭스버그 전투는 1862년 버지니아주 프레더릭스버그에서 벌어진 남북 전쟁의 주요 전투로, 앰브로즈 번사이드가 지휘하는 북군이 로버트 E. 리가 지휘하는 남군의 방어에 막혀 큰 손실을 입고 패배하여 북부 여론이 악화되었다.
  • 1862년 - 반도 전역
    반도 전역은 남북 전쟁 초기에 조지 B. 매클렐런이 이끄는 북군이 리치먼드를 점령하기 위해 버지니아 반도를 따라 진행한 일련의 군사 작전이며, 해군 지원, 요크타운 전투, 7일 전투 등 여러 전투를 거치며 실패로 끝났다.
1862년
지도 정보
연도 정보
19세기1862년
연대1860년대
천간임술(壬戌)
지지개띠
간지임술년(壬戌年)
주요 사건
주요 사건미국 남북 전쟁 격화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발발
러시아 제국에서 알렉산드르 2세의 개혁
프랑스에서 나폴레옹 3세의 권력 강화
이탈리아 왕국 건국 과정의 혼란
탄생
탄생참고
사망
사망참고
설립
설립참고
해체
해체참고
작품
작품참고
주제별 연도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고고학고고학
건축건축
미술미술
영화영화
문학문학
음악음악
국가별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브라질
불가리아
캐나다
중국
덴마크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필리핀
포르투갈
러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페인
스웨덴
영국
미국
베네수엘라
철도 운송철도 운송
과학과학
스포츠스포츠
법률법률
지도자 목록
주권 국가주권 국가
주권 국가 지도자주권 국가 지도자
종속 영토 총독종속 영토 총독
종교 지도자종교 지도자

2. 역사적 배경

2. 1. 조선의 상황

2. 1. 1. 민란의 확산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작성을 진행하겠습니다.

2. 1. 2. 진보적 관점에서의 역사 해석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생성해 드리겠습니다.

2. 2. 국제 정세

2. 2. 1. 미국 남북 전쟁의 격화

1862년 미국 남북 전쟁


1월 30일: 모니터(USS Monitor)

  • 1월 30일 – 미국 남북 전쟁: 미국의 첫 번째 철갑선인 (모니터)가 브루클린에서 진수식을 갖다.
  • 2월 1일 – 미국 남북 전쟁: 줄리아 워드 하우의 "공화국의 전투가"가 ''애틀랜틱 먼슬리''에 처음으로 게재되다.

2월 6일: 포트 헨리 전투

  • 2월 6일 – 미국 남북 전쟁: 율리시스 S. 그랜트 장군이 포트 헨리(테네시주)를 함락시키며 전쟁에서 북군의 첫 승리를 거두다.
  • 2월 11일~16일 – 미국 남북 전쟁: 포트 도넬슨 전투 – 율리시스 S. 그랜트 장군이 테네시주 포트 도넬슨을 공격하여 마지막 날 함락시키다.
  • 2월 21일 – 미국 남북 전쟁: 발베르데 전투 – 남군이 뉴멕시코 준주 포트 크레이그 근처에서 북군을 패배시키다.
  • 2월 22일 – 미국 남북 전쟁: 제퍼슨 데이비스가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에서 남부 연합 대통령으로 6년 임기의 공식 취임식을 갖다.
  • 3월 7일 – 미국 남북 전쟁: 피 리지 전투 – 남군이 미주리주에서 격퇴되다.
  • 3월 8일 – 미국 남북 전쟁: 철갑선 (구 USS ''메리맥'')이 버지니아주 햄프턴 로즈에서 진수식을 갖고, 같은 날 햄프턴 로즈 해전이 시작되다.
  • 3월 13일 – 미국 남북 전쟁: 미국 연방 정부가 모든 북군 장교의 도망 노예 반환을 금지함으로써 사실상 1850년 도망 노예법을 무효화하고 해방 선언의 단초를 마련하다.
  • 3월 26일~28일 – 미국 남북 전쟁: 글로리에타 패스 전투 – 뉴멕시코 준주에서 북군이 남군의 침공을 저지하는 데 성공하다.
  • 4월 5일 – 미국 남북 전쟁: 요크타운 전투 – 조지 B. 매클레런 장군이 이끄는 북군이 미합중국 연합의 수도인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에 접근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
  • 4월 6일–4월 7일 – 미국 남북 전쟁: 쉴로 전투 – 율리시스 S. 그랜트 장군이 이끄는 북군이 테네시주 쉴로 근처에서 남군을 패퇴시켰다.()
  • 4월 12일 – 미국 남북 전쟁: 대기관차 추격전 (앤드루스 습격) – 북군 자원병들이 철도망을 파괴하기 위해 남군의 증기 기관차 ''제너럴''(21세기에도 존재한다)을 훔쳤다.
  • 4월 25일 – 미국 남북 전쟁: 뉴올리언스 점령 – 데이비드 파라갓 연합 해군 제독이 이끄는 군대가 미시시피 강에 대한 접근을 확보하면서 남군 도시 뉴올리언스를 점령했다.
  • 4월 26일 – 미국 남북 전쟁: 맥콘 요새 포위전 – 노스캐롤라이나주 맥콘 요새에 포위된 미합중국 연합군 수비대가 항복했다.
  • 5월 11일 – 미국 남북 전쟁: 철갑선 가 버지니아주 노퍽 북서쪽 제임스 강에서 자침되었다.
  • 5월 15일 – 미국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이 미국 농무국(후에 미국 농무부로 개명됨)을 설립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 5월 20일 – 미국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이 택지법에 서명했다.
  • 6월 1일 – 미국 남북 전쟁: 페어오크스 전투 – 양측 모두 승리를 주장했다.
  • 6월 4일 – 미국 남북 전쟁: 미합중국 연합군이 미시시피 강의 테네시주 포트 필로를 철수시켜 북군이 테네시주 멤피스를 점령할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
  • 6월 6일 – 미국 남북 전쟁: 제1차 멤피스 전투 – 북군이 미합중국 연합으로부터 테네시주 멤피스를 점령했다.
  • 6월 8일 – 미국 남북 전쟁: 크로스 키스 전투 – 스톤월 잭슨 장군이 이끄는 남군이 조지 B. 매클레런 장군이 이끄는 제임스 반도에서의 북군 공격으로부터 북버지니아군을 구출했다.
  • 6월 26일 – 미국 남북 전쟁: 메커닉스빌 전투 – 남군의 로버트 E. 리 장군이 칠일 전투의 첫 번째 전투에서 조지 B. 매클레런 장군의 군대를 패퇴시켰다.
  • 1862년 7월 1일 - 미국의 내국세청(Internal Revenue Service)의 전신인 내국세국(Bureau of Internal Revenue)이 설립됨.
  • 1862년 7월 1일 - 미국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이 제1차 대륙횡단철도 건설을 승인하는 태평양 철도법에 서명함.[6]

미국 연방 정부와 미합중국의 도표. 1862년 7월 15일 발행.

  • 1862년 7월 16일 – 미국 남북 전쟁: 데이비드 페러거트가 미국 해군 최초의 소장이 됨.
  • 1862년 7월 23일 – 미국 남북 전쟁: 헨리 할렉이 북군 사령관이 됨.
  • 1862년 8월 5일 – 미국 남북 전쟁: 배턴루주 전투 – 루이지애나주 배턴루주 근처 미시시피 강에서 남부군이 북군을 도시로 몰아넣음.
  • 1862년 8월 6일 – 미국 남북 전쟁: 루이지애나주 배턴루주 근처에서 과의 전투에서 피해를 입은 남부군 철갑선 가 미시시피 강에서 자침함.
  • 1862년 8월 9일 – 미국 남북 전쟁: 시더 마운틴 전투 – 남부군 사령관 스톤월 잭슨이 버지니아주 시더 마운틴에서 존 포프 장군 지휘하의 북군을 간신히 물리침.
  • 1862년 8월 14일 – 미국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이 저명한 흑인들과 만남(미국 대통령이 최초로 흑인들과 만남). 그는 흑인들이 아프리카나 중앙아메리카로 이주해야 한다고 제안하지만, 이 제안은 거절됨.
  • 1862년 8월 28일–30일 – 미국 남북 전쟁: 불런 제2차 전투 – 남부군이 북군 존 포프 장군에게 압도적인 패배를 안김.
  • 1862년 8월 29일–30일 – 미국 남북 전쟁: 켄터키주 리치먼드 전투 – 에드먼드 커비 스미스 장군이 이끄는 남부군이 윌리엄 "불" 넬슨 장군이 이끄는 북군에게 압도적인 패배를 안김.
  • 1862년 9월 1일 – 미국 남북 전쟁: 샹틸리 전투 – 남부군 사령관 로버트 E. 리가 버지니아주 샹틸리에서 후퇴하는 북군을 공격하여 격퇴시킴.
  • 1862년 9월 2일 – 미국 남북 전쟁: 존 포프 장군의 불런 제2차 전투 참패 후 미국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이 조지 B. 맥클레런 장군을 사령관직에 복귀시킴.
  • 1862년 9월 5일 – 미국 남북 전쟁: 남부군의 북부 최초 침공에서 로버트 E. 리 장군이 버지니아주 리즈버그 근처 화이트스 포드에서 포토맥 강을 건너 5만 5천 명의 북버지니아군을 메릴랜드로 이끌고 감.
  • 1862년 9월 17일 – 미국 남북 전쟁:
  • * 앤티텀 전투: 북군이 메릴랜드주 샤프스버그에서 남부군을 전략적으로 물리침. 2만 2천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한 미국 역사상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투임.
  • * 앨러게니 병기창 폭발로 전쟁 중 가장 큰 민간인 재해가 발생하여 주로 젊은 여성인 78명의 노동자가 사망함.
  • 1862년 9월 19일 – 미국 남북 전쟁: 이우카 전투 – 윌리엄 로섹랜스 소장이 이끄는 북군이 미시시피주 이우카에서 스터링 프라이스 소장이 이끄는 남부군을 물리침.
  • 1862년 9월 22일 - 미국 남북 전쟁: 미국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노예 해방 선언을 예비 발표함. 1863년 1월 1일부터 남부 연합국의 노예들은 자유인으로 간주될 것임.
  • 10월 8일 – 미국 남북 전쟁: 페리빌 전투 – 돈 카를로스 부엘 장군 지휘하의 북군이 브랙스턴 브래그 장군이 이끄는 남군을 켄터키주 페리빌에서 패퇴시켜 남군의 켄터키 침공을 저지함.
  • 10월 11일 – 미국 남북 전쟁: 앤티텀 전투 이후, 남군의 J. E. B. 스튜어트 장군과 그의 부대가 북부 침략 중 펜실베이니아주 체임버스버그를 약탈함.
  • 11월 5일 – 미국 남북 전쟁: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조지 B. 맥클레런을 북군 사령관직에서 해임함.
  • 11월 14일 – 미국 남북 전쟁: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앰브로스 번사이드 장군의 남부연합 수도인 버지니아주 리치먼드 점령 계획을 승인함. 이 계획은 12월 13일 프레드릭스버그 전투에서 연합군의 참패로 이어짐.
  • 11월 28일 - 미국 남북 전쟁: 케인 힐 전투 – 존 블런트 장군이 이끄는 북군이 존 마르마듀크 장군이 지휘하는 남군을 아칸소주 북서부 보스턴 산맥으로 밀어붙임.

12월 13일: 프레드릭스버그 전투.

  • 12월 12일 – 미국 남북 전쟁: 야주 패스 원정 – 북군 철갑선 카이로호가 야주 강에서 기뢰 제거 중 원격 기폭된 어뢰(해상 기뢰)에 의해 침몰됨. 기뢰에 의해 침몰된 최초의 장갑함임.
  • 12월 13일 – 미국 남북 전쟁: 프레드릭스버그 전투 – 북군이 막대한 사상자를 내고 남부연합 수도인 버지니아주 리치먼드 점령 시도를 포기함.
  • 12월 17일 – 미국 남북 전쟁: 그의 군사 지역에서 모든 유대인을 추방하는 제11호 일반 명령이 율리시스 S. 그랜트 장군에 의해 발령됨. 이 명령은 몇 주 후 취소됨.
  • 12월 26일~29일 – 미국 남북 전쟁: 치커소 만 전투 – 2대 1로 수적으로 열세였던 남군이 6배나 많은 북군 사상자를 내며 북군 장군 윌리엄 T. 셔먼이 지휘하는 여러 차례의 공격을 격퇴하여 승리함.
  • 12월 30일 – 모니터호가 노스캐롤라이나주 케이프 해터러스 해상에서 폭풍우 속에 침몰함.
  • 12월 31일 – 미국 남북 전쟁:
  • * 미국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이 버지니아주를 둘로 나누어 서버지니아주를 연방에 가입시키는 법안에 서명함.
  • * 테네시주 머프리스보로 근처에서 스톤스 강 전투가 시작됨.

12월 30일: 모니터호 침몰.

  • 2월 6일 - 남북 전쟁: 헨리 요새 전투
  • 2월 20일 - 남북 전쟁: 벌버드 전투
  • 2월 22일 - 남북 전쟁: 제퍼슨 데이비스가 남부 연합 대통령에 취임
  • 3월 7일 - 미국 남북 전쟁: 피리지 전투
  • 3월 8일 - 미국 남북 전쟁: 햄프턴 로즈 해전
  • 3월 28일 - 미국 남북 전쟁: 글로리에타 전투
  • 8월 9일 - 미국 남북 전쟁: 시다 산 전투
  • 8월 30일 - 미국 남북 전쟁: 제2차 불런 전투가 미합중국 연합(미국 남부 연합군)의 승리로 끝나다.
  • 9월 17일 - 남북전쟁: 앤티텀 전투
  • 9월 22일 - 링컨노예 해방을 선포함.

2. 2. 2.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

3. 주요 사건

미국 남북전쟁의 주요 전투와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 3월 8일 - 남부연맹의 철갑선 메리맥 호가 햄프턴 정박지의 북군 해군함대 기습. 북군 해군 프리깃 3척 침몰, 250명 사살.
  • 3월 9일 - 북군 해군도 철갑선 모니터 호를 동원하여 메리멕 호와 격전. 그러나 승부는 나지 않았음. 이 전투 후 세계는 목조 군함 대신 철갑선 건조에 나서게 됨.

  • 3월 11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남군의 스톤월 잭슨, 북군의 압력으로 세넌도오 계곡의 전초기지인 윈체스터에서 철수하여 남쪽으로 이동. 당시 병력은 보병 3,600명, 포병 600명
  • 3월 12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북군 뱅크스 휘하의 쉴즈 사단이 윈체스터 점령. 뱅크스는 잭슨 장군과 남군이 완전히 철수하였다고 오판.
  • 3월 23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스톤월 잭슨이 지휘하는 남군이 다시 북상하여 윈체스트 남쪽의 컨스타운을 공격. 그러나 압도적 병력 차이로 공격 실패. 그러나 북군은 잭슨의 공격에 놀라 맥클랜란에 보내려던 증원군 일부를 쉐넌도어 계곡으로 보내고, 맥도웰 장군의 군단은 워싱턴에 잔류시키는 결과를 초래. 잭슨은 전투에서 패하고 전략적 승리를 쟁취.
  • 4월 1일 - 북군 포토맥군 사령관 매클랙란이 알렉산드리아를 출발. 목표는 리치먼드. 소위 "반도 전역(Peninsula Campaign)". 매클렌란의 작전 지역이 요크 강과 제임스 강 사이의 반도였기 때문. 포트 먼로에 상륙 후 요크타운을 향해 진격, 이들 북군을 상대한 남군은 총사령관 조지프 존스턴이 지휘하였으며, 북군과 가장 먼저 대치한 것은 매그루더 사단이었다.
  • 4월 17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뱅크스, 계곡 남쪽으로 잭슨을 추적하기 시작하여 해리슨버그까지 진출.
  • 5월 3일 - 한달에 걸친 맥클렉란의 공격준비를 알고 있는 존스턴은 기만 포격 후 전군 철수
  • 5월 5일 - 요크타운 북방 8마일 지점, 윌리암스버그에서 남북군 전투. 북군 패배
  • 5월 8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리치먼드로 이동하는 것처럼 기만한 잭슨이 맥도웰군단을 격파
  • 5월 24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잭슨, 뱅크스의 후위 부대 기습. 뱅크스는 잭슨의 의도를 직감적으로 파악하고 덫을 빠져나와 후퇴하던 중. 잭슨은 이 전투로 프랭크 로얄 점령.
  • 5월 27일 - 반도전역 휘하의 포터 장군이 지휘하는 1사단을 하노버 코트 하우스 공격. 이 전투에서 북군이 승리.
  • 5월 30일
  • * 쉐넌도어계곡 전역 잭슨군, 하퍼스페리 근처까지 진격. 그러나 이 순간 잭슨은 후퇴를 시작. 목표는 포트 리퍼블릭(Port Republic)
  • * 반도전역 남군의 존스턴 사령관, 세븐 파이즌의 북군 4군단 공격 개시. 북군 4군단은 섬너가 지휘 중. 혼전 중 남군 사령관 존스턴이 중상을 입음
  • 6월 1일 - 남부연맹의 제프 데이비스 대통령, 중상을 입은 존스턴의 후임으로 로버트 리 장군을 남군 최고 사령관에 임명.
  • 6월 8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북군의 프레몬트군이 크로스키스(Corss Keys)의 남군 이월 사단 공격
  • 6월 9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북군 쉴즈 사단, 포트 리퍼블릭의 잭슨군 공격 개시. 북군 패배로 후퇴. 잭슨은 전투 후 리치먼드로 급행. 리치먼드 상황 악화.
  • 6월 12일 - 반도전역 남군 기병여단장 젭 스튜어트가 이끄는 남군 기병대가 북군의 후방으로 침투. (~6월 14일)
  • 6월 25일 - 반도전역 북군3군단(군단장 하인첼만) 소속 후커 사단이 남북군 중간지대의 남군을 공격하여 숲 지역 점령
  • 6월 26일 - 반도전역 남군, 북군에 대해 반격 개시. 남군은 치카호미니 강을 도하, 미케닉스빌로 진격. 제일 먼저 전투를 개시한 부대는 남군의 앰브로스 파월 힐
  • 6월 27일 - 반도전역 게인즈 밀에서 남북군 전투. 북군 패배. 북군 철수 시작.
  • 6월 29일 - 반도전역 남군의 매그루더 장군, 새비지에서 북군의 섬너와 교전. 남군 패배.
  • 6월 30일 - 반도전역 북군의 맥클렉란, 화이트오크스스웜프 강 남쪽에 도착. 글렌데일에서 남북군 교전. 북군의 최종 집결지는 제임스강
  • 7월 1일 - 반도전역 제임스강의 멜번 힐에서 최후 교전. 남군은 격퇴당했고, 북군은 다음 날 제임스 강변의 버클리로 철수.
  • 9월 22일 -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대통령, '노예해방 예비선언’ 발표.
  • 10월 5일 - 에이브러햄 링컨, 북군 사령관 조지 B. 맥클렐란을 두 번째로 해임하다.
  • 11월 9일 - 북군의 앰브로스 번사이드(Ambrose Burnside)가 해임된 조지 맥클랠란을 대신하여 포토맥군 사령관으로 취임하다.


3. 1. 미국 남북 전쟁

미국 남북전쟁의 주요 전투와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 3월 8일 - 남부연맹의 철갑선 메리맥 호가 햄프턴 정박지의 북군 해군함대 기습. 북군 해군 프리깃 3척 침몰, 250명 사살.
  • 3월 9일 - 북군 해군도 철갑선 모니터 호를 동원하여 메리멕 호와 격전. 그러나 승부는 나지 않았음. 이 전투 후 세계는 목조 군함 대신 철갑선 건조에 나서게 됨.

  • 3월 11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남군의 스톤월 잭슨, 북군의 압력으로 세넌도오 계곡의 전초기지인 윈체스터에서 철수하여 45마일 남쪽의 마운트 잭슨으로 이동. 당시 병력은 보병 3,600명, 포병 600명
  • 3월 12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북군 뱅크스 휘하의 쉴즈 사단이 윈체스터 점령. 뱅크스는 잭슨 장군과 남군이 완전히 철수하였다고 오판.
  • 3월 23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스톤월 잭슨이 지휘하는 남군이 다시 북상하여 윈체스트 남쪽의 컨스타운을 공격. 그러나 압도적 병력 차이로 공격 실패. 그러나 북군은 잭슨의 공격에 놀라 맥클랜란에 보내려던 증원군 일부를 쉐넌도어 계곡으로 보내고, 맥도웰 장군의 군단은 워싱턴에 잔류시키는 결과를 초래. 잭슨은 전투에서 패하고 전략적 승리를 쟁취.
  • 4월 1일 - 북군 포토맥군 사령관 매클랙란이 알렉산드리아를 출발. 목표는 리치먼드. 소위 "반도 전역(Peninsula Campaign)". 매클렌란의 작전 지역이 요크 강과 제임스 강 사이의 반도였기 때문. 포트 먼로에 상륙 후 요크타운을 향해 진격, 이들 북군을 상대한 남군은 총사령관 조지프 존스턴이 지휘하였으며, 북군과 가장 먼저 대치한 것은 매그루더 사단이었다.
  • 4월 17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뱅크스, 계곡 남쪽으로 잭슨을 추적하기 시작하여 해리슨버그까지 진출.
  • 5월 3일 - 한달에 걸친 맥클렉란의 공격준비를 알고 있는 존스턴은 기만 포격 후 전군 철수
  • 5월 5일 - 요크타운 북방 8마일 지점, 윌리암스버그에서 남북군 전투. 북군 패배
  • 5월 8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리치먼드로 이동하는 것처럼 기만한 잭슨이 맥도웰군단을 격파
  • 5월 24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잭슨, 뱅크스의 후위 부대 기습. 뱅크스는 잭슨의 의도를 직감적으로 파악하고 덫을 빠져나와 후퇴하던 중. 잭슨은 이 전투로 프랭크 로얄 점령.
  • 5월 27일 - 반도전역 휘하의 포터 장군이 지휘하는 1사단을 하노버 코트 하우스 공격. 이 전투에서 북군이 승리.
  • 5월 30일
  • * 쉐넌도어계곡 전역 잭슨군, 하퍼스페리 근처까지 진격. 그러나 이 순간 잭슨은 후퇴를 시작. 목표는 포트 리퍼블릭(Port Republic)
  • * 반도전역 남군의 존스턴 사령관, 세븐 파이즌의 북군 4군단 공격 개시. 북군 4군단은 섬너가 지휘 중. 혼전 중 남군 사령관 존스턴이 중상을 입음
  • 6월 1일 - 남부연맹의 제프 데이비스 대통령, 중상을 입은 존스턴의 후임으로 로버트 리 장군을 남군 최고 사령관에 임명.
  • 6월 8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북군의 프레몬트군이 크로스키스(Corss Keys)의 남군 이월 사단 공격
  • 6월 9일 - 쉐넌도어계곡 전역 북군 쉴즈 사단, 포트 리퍼블릭의 잭슨군 공격 개시. 북군 패배로 후퇴. 잭슨은 전투 후 리치먼드로 급행. 리치먼드 상황 악화.
  • 6월 12일 - 반도전역 남군 기병여단장 젭 스튜어트가 이끄는 남군 기병대가 북군의 후방으로 침투. (~6월 14일)
  • 6월 25일 - 반도전역 북군3군단(군단장 하인첼만) 소속 후커 사단이 남북군 중간지대의 남군을 공격하여 숲 지역 점령
  • 6월 26일 - 반도전역 남군, 북군에 대해 반격 개시. 남군은 치카호미니 강을 도하, 미케닉스빌로 진격. 제일 먼저 전투를 개시한 부대는 남군의 앰브로스 파월 힐
  • 6월 27일 - 반도전역 게인즈 밀에서 남북군 전투. 북군 패배. 북군 철수 시작.
  • 6월 29일 - 반도전역 남군의 매그루더 장군, 새비지에서 북군의 섬너와 교전. 남군 패배.
  • 6월 30일 - 반도전역 북군의 맥클렉란, 화이트오크스스웜프 강 남쪽에 도착. 글렌데일에서 남북군 교전. 북군의 최종 집결지는 제임스강
  • 7월 1일 - 반도전역 제임스강의 멜번 힐에서 최후 교전. 남군은 격퇴당했고, 북군은 다음 날 제임스 강변의 버클리로 철수.
  • 9월 22일 -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대통령, '노예해방 예비선언’ 발표.
  • 10월 5일 - 에이브러햄 링컨, 북군 사령관 조지 B. 맥클렐란을 두 번째로 해임하다.
  • 11월 9일 - 북군의 앰브로스 번사이드(Ambrose Burnside)가 해임된 조지 맥클랠란을 대신하여 포토맥군 사령관으로 취임하다.


3. 1. 1. 앤티텀 전투

미국 남북 전쟁 중 1862년 9월 17일에 앤티텀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는 북군이 메릴랜드 주 샤프스버그에서 남부군을 전략적으로 물리친 전투이다. 2만 2천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하여 미국 역사상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투로 기록되었다.[6]

3. 1. 2. 프레더릭스버그 전투

1862년 11월 14일, 미국 남북 전쟁에서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앰브로스 번사이드 장군의 남부연합 수도인 버지니아주 리치먼드 점령 계획을 승인했다. 이 계획은 12월 13일 프레더릭스버그 전투에서 연합군의 참패로 이어졌다.[7]

12월 13일 - 미국 남북 전쟁: 프레드릭스버그 전투 – 북군은 막대한 사상자를 내고 남부연합 수도인 버지니아주 리치먼드 점령 시도를 포기했다.[7]

12월 11일 - 남북 전쟁: 프레더릭스버그 전투[7]

3. 1. 3. 노예 해방 예비 선언

링컨 미국 대통령이 노예 해방 선언을 예비 발표했다. 1863년 1월 1일부터 남부 연합국의 노예들은 자유인으로 간주될 것이었다.[6] 이는 미국 남북 전쟁의 주요 전환점으로, 전쟁의 목표를 노예제 폐지로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링컨의 이러한 결정은 국내외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특히 진보적인 세력에게 환영받았다.

3. 2. 조선의 민란

3월 14일(음력 2월 14일) - 류계춘 등의 주도로 진주에서 민란(진주민란)이 일어났다.

3월 23일(음력 2월 23일) - 진주민란의 주동자 류계춘 등이 효수되었다.

3. 2. 1. 진주 민란

요약(summary)이 비어있어 원본 소스(source)가 없이는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summary`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생성해 드리겠습니다.

3. 2. 2. 민란의 전국적 확산

요약(summary) 내용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요약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3. 3. 국제 관계


  •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뜨득제가 프랑스에 항복하였다. 이에 따라 사이공 조약이 체결되었고, 베트남과 프랑스 간의 전쟁이 종결되었다.[4]
  • 6월 5일 - 프랑스가 남베트남 3개 성(코친차이나)을 획득(사이공 조약 체결)
  • 1월 21일 - 문큐 견오 사절 출발
  • 1월 24일 - 부쿠레슈티가 루마니아 공국의 수도가 되다.
  • 2월 13일(문구 2년 1월 15일) - 사카시타몬 밖의 변
  • 3월 6일 - 프로이센 의회, 예산 세목화를 요구하는 결의를 가결. 프로이센 국왕 빌헬름 1세, 의회 자유주의파와의 대결 자세를 심화시킴.
  • 3월 11일 (분큐 2년 2월 11일)
  • * 도쿠가와 이에모치와 카즈노미야 친왕의 혼례
  • * 프로이센 국왕 빌헬름 1세가 의회를 해산. 선거전 돌입.
  • 3월 17일 - 프로이센 국왕 빌헬름 1세, 내각을 개각. 아돌프 폰 호엔로에=잉겔핑겐을 총리로 임명.
  • 5월 1일 - 런던 만국박람회가 개막하다
  • 5월 5일 - 이탈리아 우정공사가 개업하다
  • 5월 6일 - 프로이센 하원 총선거. 자유주의파가 더욱 약진하고, 정부파는 의석이 더욱 감소하다.
  • 5월 21일(분큐 2년 4월 23일) - 테라다야 사건
  • 잡지 「재팬 펀치」 창간 (찰스 워그만)
  • 9월 11일 - 프로이센 의회 소집. 하원 자유주의파가 국왕 빌헬름 1세의 군사 개혁 예산안을 거부할 태세를 보임.
  • 9월 14일 (문쿠 2년 8월 21일) - 생맥사건
  • 9월 17일 - 프로이센 왕 빌헬름 1세, 어전회의에서 하원 자유주의파 일부 의원이 제출한 군사 개혁 법안의 타협안을 거부하는 선언을 함.
  • 9월 22일 - 프로이센 왕 빌헬름 1세, 무예산 통치파의 비스마르크를 수상으로 임명함.
  • 9월 30일 - 비스마르크가 혈과 철의 연설을 행함.
  • 11월 2일(문구 2년 9월 11일) - 막부가 파견하는 제1회 유학생들이 나가사키를 출발하다(에노모토 다케아키, 아카마쓰 노리요시, 니시 아마네 등 15명).

3. 3. 1. 프랑스의 베트남 식민지화

6월 5일 - 사이공 조약이 체결되면서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뜨득제는 사이공, 꼰선 및 나중에 코친차이나로 알려지게 될 남부 3개 성(비엔호아성, 자딘성, 딘투엉성)을 프랑스 식민 제국에 할양했다. 그러나 게릴라 지도자 장딘은 이 조약을 인정하지 않았다.[4]

3. 3. 2. 일본의 개항과 혼란


  • 일본의 대기업 소지츠(Sojitz)의 전신인 이와이 훔스케 쇼텐(岩井文助商店)이 오사카에 설립되다.
  • 일본 건설 회사 사토 고교(Satō Kōgyō)가 사토구미(Satō-gumi)라는 이름으로 도야마에 설립되다.
  • 3월 11일 (분큐 2년 2월 11일)
  • * 도쿠가와 이에모치와 카즈노미야 친왕의 혼례가 이루어지다.
  • 5월 21일(분큐 2년 4월 23일) - 테라다야 사건이 발생하다.
  • 잡지 「재팬 펀치」 창간 (찰스 워그만)
  • 11월 2일(문구 2년 9월 11일) - 막부가 파견하는 제1회 유학생들이 나가사키를 출발하다(에노모토 다케아키, 아카마쓰 노리요시, 니시 아마네 등 15명).
  • 일본에서는 근대 경마가 요코하마에서 탄생하여, 이것이 후에 중앙경마로 성장한다.
  • 제3차 콜레라가 일본에서 대유행한다.
  • 막부육군이 창설된다.
  • 「에도 라쿠츄우 마진 역병 사망자 조서」에 따르면 에도에서만 75,981명이 병사한다.

4. 문화와 과학

4. 1. 문화

4월 3일 -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 발표

4. 1. 1. 레 미제라블 출판

4월 3일 -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 발표

4. 1. 2. 아버지와 아들 출판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모두 비어 있으므로,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4. 2. 과학

10월 30일 - 리처드 조던 게틀링이 게틀링 건의 미국 특허를 취득하다.

4. 2. 1. 시리우스 B 발견

4. 2. 2. 게틀링 건 특허

리처드 조던 게틀링이 게틀링 건의 미국 특허를 취득했다.

5. 인물

'''탄생'''


다비트 힐베르트(David Hilbert)


에디스 워튼(Edith Wharton)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아이다 B. 웰스(Ida B. Wells)


앤드루 피셔(Andrew Fisher)


빌리 휴즈(Billy Hughes)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Gerhart Hauptmann)


'''사망'''
샘유얼 콜트(Samuel Colt)


존 타일러(John Tyler)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


주디스 몬테피오레(Judith Montefiore)


마틴 밴 뷰렌(Martin Van Buren)

5. 1. 탄생

1월 23일 - 독일의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 (~1943년)

1월 29일 - 영국의 작곡가 프레더릭 딜리우스. (~1934년)

2월 17일 - 영국의 작곡가 에드워드 저먼. (~1936년)

4월 2일 - 미국의 컬럼비아 대학교 총장이자 노벨 평화상 수상자 니콜라스 머레이 버틀러. (~1947년)

4월 11일 - 미국의 법률가, 정치인, 미국 연방 대법원장 찰스 에반스 휴스. (~1948년)

4월 14일 - 러시아의 정치인 표트르 스톨리핀. (~1911년)

5월 15일 - 오스트리아의 극작가이자 소설가 아르투어 슈니츨러. (~1931년)

6월 5일 - 스웨덴의 안과의이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알바르 굴스트란드. (~1930년)

6월 7일 - 헝가리계 독일 물리학자이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필립 레나르트. (~1947년)

6월 16일 - 숭실대학교의 설립자, 초대 학장 윌리엄 M. 베어드. (~1931년)

7월 2일 - 영국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윌리엄 헨리 브래그. (~1942년)

7월 14일 - 오스트리아의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1918년)

7월 16일 - 미국의 저널리스트, 여성운동가, 민주지도자 아이다 벨 웰스. (~1931년)

8월 22일 - 프랑스의 작곡가 클로드 드뷔시. (~1918년)

8월 29일 - 오스트레일리아 제5대 총리 앤드루 피셔. (~1928년)

8월 29일 - 벨기에 작가, 노벨 문학상 수상자 모리스 마테를링크. (~1949년)

9월 11일 - 미국의 소설가 오 헨리. (~1910년)

9월 16일 - 대한민국 독립 운동 공적을 인정받은 미국 정치인 겸 외교관 셀던 파머 스펜서. (~1925년)

9월 19일 - 스웨덴 제독, 기업가, 정치인, 스웨덴 제12대 총리 아르비드 린드만. (~1936년)

9월 25일 - 오스트레일리아 제7대 총리 빌리 휴즈. (~1952년)

10월 19일 - 프랑스의 발명가 오귀스트 루미에르. (~1954년)

11월 15일 - 독일의 작가, 노벨상 수상자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 (~1946년)

12월 12일 - 타이타닉호 생존자, 영국의 사업가 J. 브루스 이스메이. (~1937년)

안중근의 아버지 안태훈.(~1905년)

리비아의 저항운동가 오마르 무크타르. (~1931년)

5. 2. 사망

1월 10일 - 샘유얼 콜트(Samuel Colt), 콜트 파이어암즈 창립자 (* 1814년)[9]

1월 18일 - 존 타일러(John Tyler), 미국의 10대 대통령 (1790년~)

1월 20일 - 해리엇 오버(Harriet Auber), 영국의 시인 (1773년~)

1월 21일 - 체코의 소설가 보제나 넴초바. (1820년~)

2월 3일 - 장 밥티스트 비오(Jean-Baptiste Biot), 프랑스의 물리학자, 천문학자, 수학자 (1774년~)

2월 7일

  • *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마르티네스 데 라 로사 이 베르데호(Francisco de Paula Martínez de la Rosa y Berdejo), 스페인의 총리 (1787년~)
  • * 프로스페르 메니에르(Prosper Ménière), 프랑스의 과학자 (1799년~)

2월 20일
2월 21일 - 유스티누스 커너(Justinus Kerner), 독일의 의사 (1786년~)

2월 24일 - 베르나르트 세베린 잉게만(Bernhard Severin Ingemann), 덴마크의 소설가, 시인 (1789년~)

2월 25일 - 조나단 하인(Jonathan Hine), 영국의 양말 제조업자 (1778년~)

3월 22일 - 마누엘 로블레스 페수엘라(Manuel Robles Pezuela), 전 멕시코 대통령 (사형) (1817년~)

3월 23일 - 카를 로베르트 네셀로데(Karl Robert Nesselrode), 러시아 제국 외무대신 (1780년~)

4월 6일 - 앨버트 시드니 존스턴(Albert Sidney Johnston), 미국의 남부 연합군 장군 (1803년~)

4월 9일 - 존 토마스,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 조각가 (1813년~)

4월 10일 - W. H. L. 월러스(W. H. L. Wallace),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 연합군 장군 (전상) (1821년~)

4월 19일 - 루이스 피. 하비(Louis P. Harvey), 위스콘신 주지사 (1820년~)

5월 6일
5월 7일(문쿠 2년 4월 9일) - 오츠키 슌사이(大槻俊斎), 란방의 (1806년~)

5월 16일 - 에드워드 기번 웨이크필드(Edward Gibbon Wakefield), 영국의 식민지 이론가 (1796년~)

5월 21일

  • * (문쿠 2년 4월 23일) - 아리마 신시치(有馬新七), 존왕양이의사 (1825년~)
  • * 존 드류 시니어, 아일랜드계 미국 배우, 매니저 (1827년~)

5월 25일 - 후아나 아수르두이 데 파딜라(Juana Azurduy de Padilla), 남미 게릴라 지도자 (약 1781년~)

5월 29일

  • * 헨리 버클(Henry Buckle), "과학적 역사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영국의 역사가 (1821년~)
  • * 프란치셰크 미레츠키(Franciszek Mirecki), 폴란드의 작곡가, 지휘자, 음악 교사 (1791년~)

6월 3일 - 존 리, 미국의 역학자 (1782년~)

6월 16일(문쿠 2년 5월 19일) - 슈노야마 라이고로(秀ノ山雷五郎), 대相撲 제9대 요코즈나 (1808년~)

6월 17일 - 찰스 캐닝(Charles Canning, 1st Earl Canning), 영국의 인도 총독 (1812년~)

6월 20일 - 바르부 카타르주(Barbu Catargiu), 루마니아 초대 총리 (1807년~)

7월 23일 - 호세 마리아 보카네그라(José María Bocanegra), 멕시코 제3대 대통령 (1787년~)

7월 24일 - 마틴 밴 뷰렌(Martin Van Buren), 미국의 8대 대통령 (1782년~)[10]

8월 18일 - 사이먼 프레이저, 캐나다 탐험가 (1776년~)

8월 20일 - 하비에라 카레라(Javiera Carrera), 칠레 독립 투사 (1771년~)

9월 1일 - 필립 커니(Philip Kearny), 미국 육군 군인 (1815년~)

9월 3일 - 혼인보 슈사쿠(本因坊秀策), 일본 바둑 기사 (1829년~)

9월 5일(문쿠 2년 8월 12일) - 산유테이 엔쇼 (2대)(三遊亭圓生 (2代目)), 낙가 (1806년~)

9월 6일 - 존 서머, 캔터베리 대주교 (1780년~)

9월 10일 - 카를로스 안토니오 로페스(Carlos Antonio López), 파라과이 대통령 (1792년~)

9월 14일 - 찰스 레녹스 리처드슨(Charles Lennox Richardson), 일본에서 살해당한 영국 상인 (1834년~)

9월 20일(문쿠 2년 8월 27일) - 나가노 슈젠(長野主膳), 국학자·이이 나오스케의 모신 (1815년~)

9월 24일

  • * 주디스 몬테피오레(Judith Montefiore), 영국 언어학자 (1784년~)
  • * 안톤 마르틴 슬롬셰크(Anton Martin Slomšek), 슬로베니아 로마 가톨릭 주교 (1800년~)

10월 8일 - 제임스 워커, 스코틀랜드 기술자 (1781년~)

10월 15일 - 한스 다니엘 루트비히 프리드리히 하센플루크(Hans Daniel Ludwig Friedrich Hassenpflug), 독일 정치가 (1794년~)

10월 17일(문쿠 2년 8월 24일) - 오다 카이센(小田海僊), 남화가 (1785년~)

11월 7일 - 바하두르 샤 2세(Bahadur Shah II), 19대이자 마지막 무굴 황제 (1775년~)

11월 11일 - 제임스 매디슨 포터(James Madison Porter), 제18대 미국 육군 장관 (1793년~)

11월 13일 - 루트비히 울란트(Ludwig Uhland), 독일 시인 (1787년~)

11월 16일 - 윌리엄 프레스턴(William Preston), 제19대 미국 해군 장관 (1805년~)

11월 17일 - 메리 휘트웰 헤일(Mary Whitwell Hale), 미국 학교 설립자 (1810년~)

12월 4일 - 제임스 베넷, 영국 독립교회 목사 (1774년~)

12월 5일(문쿠 2년 10월 14일) - 쓰가루 노부요시(津軽信順), 제10대 히로사키 번주 (1800년~)

12월 13일 - 토머스 리드 루츠 코브(Thomas Reade Rootes Cobb), 미국 남부 연합군 장군 (전사) (1823년~)

12월 18일 - 바바라 프리치(Barbara Fritchie), 미국 남북 전쟁 애국자 (1766년~)

6. 연호 및 기년

참조

[1] 서적 Catástrofe de Chalchicomula http://cdigital.dgb.[...] Secretaria de Fomento 2019-10-21
[2] 웹사이트 The Spirit of Pestilence http://web.uvic.ca/v[...] University of Victoria 2002-03-30
[3] 서적 Helsinki: A Cultural History Interlink Books 2014
[4]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www.ubs.com/[...] UBS 2020-12-07
[5] 서적 Christopher Dresser Phaidon
[6] 웹사이트 An Act to aid in the construction of a railroad and telegraph line from the Missouri river to the Pacific ocean, and to secure to the government the use of the same for postal, military, and other purposes http://www.cprr.org/[...] 1862-07-01
[7] 간행물 Stormvoël van die Noorde
[8] 서적 Mashayekh-e-Chatgam Ahmad Publishers
[9] 웹사이트 Samuel Colt American inventor and manufacturer https://www.britanni[...] 2022-01-10
[10] 웹사이트 Martin Van Buren president of United States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