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립스틱 레즈비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립스틱 레즈비언은 1980년대 초부터 사용된 용어로, 여성적인 외모를 강조하는 레즈비언을 지칭한다. 이 용어는 메이크업, 드레스, 하이힐 등을 착용하는 레즈비언을 의미하며, 여성성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사회적 기대를 전복하려는 시도로 해석되기도 한다. 1990년대에 미디어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2010년에는 립스틱 레즈비언을 상징하는 깃발이 등장했으나, 깃발 디자인과 제작자의 논란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즈비언 문화 - S (문화)
    S (문화)는 20세기 초 일본에서 소녀들 간의 낭만적 관계를 다룬 문학 장르로, 다카라즈카 가극단, 여학교 설립 등과 함께 발전했으며 여성주의 운동과 관련이 깊고, 한때 쇠퇴했으나 2차 세계 대전 이후 부활하여 일본 레즈비언 문학과 백합 장르에 영향을 미쳤다.
  • 여성성 - 얼굴 여성화 수술
    얼굴 여성화 수술은 트랜스젠더 여성과 젠더 비이진자들이 성 정체성 불쾌감을 해소하고 여성으로서 사회에 통합되도록 돕기 위해 헤어라인 교정, 이마 재형성, 코 성형, 턱 윤곽 성형 등 다양한 절차를 포함하는 맞춤형 수술이다.
  • 여성성 - 사회학적 여성화
    사회학적 여성화는 본래 여성적이지 않았던 대상이 여성성을 획득하거나 더욱 여성적인 특징을 통합하는 현상으로, 사회 영역에서 양성평등 의식 확산과 전통적 성 역할 경계 희미해짐에 따라 변화하며, 불평등과 관련된 측면과 사회 참여 확대 노력이 공존한다.
  • 여성을 가리키는 속어 - 철의 여인
    철의 여인은 강인한 리더십으로 국가를 이끌었던 여성 정치 지도자들에게 붙여지는 별칭이다.
  • 여성을 가리키는 속어 - 모조 (인터넷 용어)
    모조는 2000년대 초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행한 신조어로, 처음에는 인기 없는 여성을 가리키는 은어로 사용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자조적인 의미로 변화하여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자학하는 경향을 보이며, 최근에는 연애를 포기하는 젊은 세대의 사회적 고립 현상과 연결되어 분석된다.
립스틱 레즈비언
정의 및 특징
설명립스틱 레즈비언은 여성스러움을 강조하는 레즈비언을 일컫는 속어이다.
외모전통적인 성 역할과 관련된 여성적 특징(화장, 특정 스타일의 옷, 긴 머리 등)을 드러내는 경향이 있다.
용어 및 인식
맥락1980년대 초반 레즈비언 공동체에서 등장하여 성적 지향과 성별 표현 간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특징립스틱 레즈비언은 이성애 규범적인 아름다움의 기준을 수용하고 따르기 때문에, 레즈비언의 가시성을 높이고 사회적 수용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논쟁일부에서는 여성적 특징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것이 레즈비언 공동체 내의 다양성을 해치고, 획일화된 이미지를 강요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또한, 여성성을 남성에게 어필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관계 용어립스틱 레즈비언은 종종 펨과 대비되기도 한다.
참고 용어
관련 용어소프트 부치
스톤 부치
부치

2. 정의 및 사회

"립스틱 레즈비언"이라는 용어는 1980년대 초 샌프란시스코 지역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82년, 게이 신문인 ''센티넬''의 기자 프리실라 로즈가 "립스틱을 위한 레즈비언"이라는 제목의 특집 기사를 쓰면서 이 용어가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었다.[6]

1990년에는 또 다른 게이 신문 ''아웃위크''가 워싱턴 D.C.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레즈비언 레이디스 소사이어티'라는 사교 모임을 소개했다. 이 모임은 회원인 여성적인 레즈비언들에게 행사 참여 시 드레스나 치마를 착용하도록 권장했다.[7] 이후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기자로 활동한 데보라 버그만 등이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 더욱 널리 퍼지게 되었다.[8]

일반적으로 "립스틱 레즈비언"은 화장, 드레스, 하이힐 착용 등 전통적으로 '여성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외양이나 특성을 보이는 레즈비언 또는 양성애자 여성을 지칭한다.[1] 이는 팜므(Femme)와 같은 여성적인 형태의 레즈비언 정체성의 보다 최근의 표현 방식으로 볼 수도 있다.[1]

하지만 일부 작가들은 이 용어가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여성적인 양성애자 여성이나, 심지어 남성의 시선을 끌기 위해 일시적으로 다른 여성에게 관심을 보이는 이성애자 여성을 가리키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2] 조디 브라이언은 ''젠더와 사회 백과사전''에서 립스틱 레즈비언에 대한 일반적인 묘사가 종종 남성 관객을 위한 퍼포먼스로서 서로에게 매력을 느끼는 관습적으로 매력적인 여성들을 포함한다고 언급했다.[2]

주류 미디어에서는 여성 간의 동성애적 욕망을 다룰 때, 종종 과도하게 여성스러운 모습, 즉 '립스틱 레즈비언'의 이미지를 주로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도 있다.[3] 로잘린드 길 역시 광고 등에 등장하는 '매혹적인 레즈비언'이 대부분 관습적인 여성적 외모를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고 지적했다.[12]

2. 1. 여성성의 수행과 전복

일부 립스틱 레즈비언은 사회적으로 강요된 여성성에 단순히 따르는 것이 아니라, 여성성을 주체적으로 선택하여 수행한다고 주장한다.[9][10][11] 이들은 여성스러움을 적극적으로 선택하는 행위 자체가 기존 사회의 요구를 약화시키거나 전복하려는 시도라고 본다.[9][10][11]

이들은 종종 전형적인 여성 스타일을 그대로 따르기보다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변형하여, 사회에 만연한 헤테로노머티브의 영향력을 줄이려 한다. 예를 들어, 잉게 블랙먼과 캐서린 페리는 닥터 마틴 부츠에 짧은 치마를 입거나, 남성용 바지에 레이스 속옷을 함께 착용하는 것을 립스틱 레즈비언 스타일의 예시로 들었다.[9]

일부에서는 립스틱 레즈비언의 존재 자체가 '여성적인 사람은 남성적인 사람을 원한다'는 식의 고정관념을 깨뜨려 이성애 중심적인 사고방식을 흔드는 역할을 한다고 평가한다.[10][13]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이러한 시도가 충분히 성공하지 못했다고 보기도 한다. 왜냐하면 립스틱 레즈비언 역시 여전히 남성적 시선의 대상이 되기 쉬우며, 그들의 여성성이 오히려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방식으로 소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10][14]

2. 2. 이성애 규범과의 관계

일부 작가들은 립스틱 레즈비언의 존재가 여성적인 사람이 항상 남성적인 사람을 원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이성애 중심적 가정을 깨뜨림으로써 기존의 성 역할 규범에 도전한다고 주장한다.[10][13] 이 관점에서 립스틱 레즈비언은 사회적으로 강요된 여성성에 단순히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성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고 본다. 즉, 스스로 여성적인 모습을 적극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사회의 기대를 오히려 약화시킨다는 것이다.[9][10][11] 이러한 전략의 예시로, 잉게 블랙먼과 캐서린 페리는 닥터 마틴 부츠와 짧은 치마를 함께 입거나, 남성용 바지와 레이스 속옷을 조합하는 등 전형적인 여성 스타일을 변형하여 이성애 규범성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방식을 언급했다.[9]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립스틱 레즈비언의 등장이 이성애 규범에 도전하는 데 실패했다고 비판한다.[10][13] 이들은 립스틱 레즈비언이 여전히 남성적 시선의 대상이 되며, 그들의 여성스러움 때문에 사회적으로 더 쉽게 용납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10][14] 작가 M. 파즈 갈루포는 주류 미디어에서 여성 간의 동성애적 욕망이 이전보다 자주 묘사되지만, 이러한 이미지는 종종 과도하게 여성스러운 여성, 즉 '립스틱 레즈비언'의 모습으로 한정된다고 비판했다.[3] 로잘린드 길 역시 광고에 등장하는 '매혹적인 레즈비언'은 매우 매력적이고 관습적인 여성적 외모를 가진 인물로 그려진다고 지적하며 이러한 경향을 뒷받침했다.[12] 또한 조디 브라이언은 립스틱 레즈비언에 대한 일반적인 묘사가 남성 관람자를 위한 퍼포먼스이거나, 남성과의 성관계를 위한 전조로서만 서로에게 욕망을 느끼는 여성들을 포함한다고 언급하며, 이것이 이성애 중심적 시각을 벗어나지 못한다고 보았다.[2] 이러한 맥락에서 립스틱 레즈비언은 팜므와 같은 전통적인 여성적 레즈비언 정체성의 현대적 표현으로 볼 수도 있지만[1], 동시에 이성애 사회의 시선과 기대 속에서 복잡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3. 미디어

1990년대에 이 용어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1997년 텔레비전 쇼 엘렌의 한 에피소드를 통해 이 용어가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이 쇼에서 엘렌 드제너러스가 연기한 주인공은 부모에게 어떤 여성이 '얼간이 레즈비언'인지 질문을 받자, 해당 용어가 립스틱 레즈비언임을 설명하며 자신은 '챕스틱 레즈비언'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1999년 영화 하지만 나는 치어리더예요에서는 줄리 델피가 연기한 캐릭터가 영화 크레딧에 '립스틱 레즈비언'으로 명시되었다.[15]

4. 깃발 논란

립스틱 레즈비언 깃발은 2010년 나탈리 맥크레이가 블로그 ''This Lesbian Life''에서 처음 소개한 디자인이다.[16][17] 하지만 이 깃발은 디자인 자체에 대한 비판과 디자이너의 과거 혐오 발언 문제 등으로 인해 논란이 있었고, 이로 인해 레즈비언 커뮤니티 내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못했다.[21]

4. 1. 깃발 디자인과 비판

립스틱 레즈비언 깃발은 2010년 나탈리 맥크레이가 블로그 ''This Lesbian Life''에서 처음 소개했다.[16][17] 이 디자인은 왼쪽 모서리에 붉은 입술 자국이 있으며, 6가지 색상의 빨강 및 분홍색과 가운데 흰색 막대로 구성된 7개의 줄무늬 위에 겹쳐져 있다.[18][19]

그러나 이 깃발은 일부 레즈비언들이 부치 레즈비언을 포괄하지 않는다고 비판받는 등 논란이 있었다. 또한, 디자이너인 맥크레이가 현재 폐쇄된 자신의 블로그에 양성혐오, 인종차별, 트랜스혐오적인 발언을 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널리 사용되지 못했다.[21]

이후 립스틱 레즈비언 깃발에서 입술 자국을 제외하고 색상만 차용한 "핑크" 레즈비언 깃발이 등장했다.[19] 이 깃발의 제작자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일반적인 레즈비언 프라이드 깃발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22]

4. 2. 핑크 레즈비언 깃발

"핑크" 레즈비언 깃발의 색상은 립스틱 레즈비언 깃발에서 복사되었으며, 입술 자국은 제외되었다.[19] 이 깃발의 제작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핑크" 깃발은 일반적인 레즈비언 프라이드 깃발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22]

참조

[1] 서적 Intersectionality, Sexuality and Psychological Therapies: Working with Lesbian, Gay and Bisexual Diversity BPS Blackwell
[2] 서적 Encyclopedia of Gender and Society, Volume 1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3] 서적 Bisexual Women: Friendship and Social Organization Haworth Press
[4] 웹사이트 The Shesaurus: America's First Women's Dictionary-Thesaurus https://web.archive.[...] 2007-11-18
[5] 웹사이트 Issue 71 https://web.archive.[...] G3 Magazine 2007-11-19
[6] 서적 The Multimedia Encyclopedia of Women in Today's World SAGE Publications 2011
[7] 뉴스 Lesbian Ladies (or where did all the femmes go?) http://outweek.net/p[...] 1990-04-04
[8] 서적 Gay L.A.: A History of Sexual Outlaws, Power Politics, and Lipstick Lesbians
[9] 간행물 Skirting the Issue: Lesbian Fashion for the 1990s
[10] 간행물 All hyped up and no place to go
[11] 간행물 Sho-Lo Showdown: The Do's and Don'ts of Lesbian Chic
[12] 간행물 Beyond the 'Sexualization of Culture' Thesis: An Intersectional Analysis of 'Sixpacks', 'Midriffs' and 'Hot Lesbians' in Advertising
[13] 간행물 VIEWPOINT Straight Talk on the Pomo ''Homo'' Question
[14] 간행물 'Lesbian' in a Post-Lesbian World? Policing Identity, Sex and Image
[15] 잡지 But I'm a Cheerleader https://web.archive.[...] 2022-02-17
[16] 웹사이트 18 Pride flags you might not have seen before https://web.archive.[...] 2019-06-04
[17] 웹사이트 A Horniman Lesbian Flag https://www.horniman[...] 2021-11-21
[18] 웹사이트 LLFlag https://thislesbianl[...] 2021-06-09
[19] 뉴스 The many flags of the LGBT community https://web.archive.[...] 2019-09-03
[20] 뉴스 Why don't lesbians have a pride flag of our own? https://www.afterell[...] 2019-06-08
[21] 웹사이트 A Complete Guide To All The LGBTQ+ Flags & What They Mean https://www.refinery[...] 2019-06-20
[22] 뉴스 Pride flag guide: what the different flags look like, and what they all mean https://inews.co.uk/[...] 2021-09-15
[23] 서적 Intersectionality, Sexuality and Psychological Therapies: Working with Lesbian, Gay and Bisexual Divers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04-05
[24] 서적 Encyclopedia of Gender and Society, Volume 1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5-04-05
[25] 서적 Bisexual Women: Friendship and Social Organiz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