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링구아 이그노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링구아 이그노타는 12세기 성녀 힐데가르트가 저술한 "Ignota lingua per simplicem hominem Hildegardem prolata"에 부분적으로 설명된 인공어이다. 이 언어는 1011개의 단어로 구성된 어휘집 형태로 전해지며, 대부분 라틴어를 기반으로 하고 일부는 중세 독일어로 주석이 달려 있다. 링구아 이그노타는 신과 천사, 인간, 가족 관계, 신체 부위 등 다양한 범주의 단어를 포함하며, 문법적으로는 라틴어의 재어휘화로 추정된다. 이 언어는 힐데가르트의 신성한 영감에서 비롯된 비밀 언어로 여겨지며, 힐데가르트 외에는 이 언어에 대해 아는 사람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공어 - 발리리아어
    발리리아어는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 등장하는 가상의 언어로, 고지 발리리아어와 여러 변종인 가짜 발리리아어로 나뉘며, 고지 발리리아어는 소설 세계관에서 라틴어와 유사한 지위를 가지는 학문 및 교육 언어이고, 드라마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방언이 등장하며, 듀오링고 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 인공어 - 인공 문자
    인공 문자는 가상 세계, 문자 없는 언어, 종교적·기술적 목적 등을 위해 만들어진 문자 체계를 의미하며, 텡과르, 클링온 문자, 한글 등이 있으며, 유니코드에 등록되기도 한다.
링구아 이그노타
언어 정보
이름링구아 이그노타
발음[ˈlinɡʷa iŋˈnoːta]
성 힐데가르트의 23개
성 힐데가르트의 23개 "litterae ignotae"
창시자힐데가르트 폰 빙엔
창작 시기1078-1179
언어 유형인공어
하위 분류후험적 언어
문자litterae ignotae
ISO 639-3없음
Glotto code없음
IETF language tagart-x-ignota

2. 역사

링구아 이그노타는 성녀 힐데가르트가 "Ignota lingua per simplicem hominem Hildegardem prolata"라는 저서에서 부분적으로 설명하였다. 이 책은 비스바덴 코덱스와 베를린 MS(Lat. Quart. 4º 674) 등 두 개의 필사본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약 1200년경에 작성되었다.[2] 텍스트는 링구아 이그노타의 1011개 단어 어휘집이며, 라틴어나 중고 독일어 글로스가 달려 있다. 단어는 대부분 명사에 몇 개의 형용사가 포함된 선험적 신조어로 보이며, 문법은 라틴어의 부분적인 재어휘화로 기존 문법에 새로운 어휘를 대입하여 형성되었다.[3]

힐데가르트의 친구이자 원장인 볼마루스는 그녀에게 보낸 편지에서 링구아 이그노타를 언급하며, 그녀의 사후에 지식이 소실될 것을 우려하였다. 이는 힐데가르트 외에는 이 언어에 대해 아는 사람이 없었음을 시사한다.

2. 1. 목적

19세기에는 링구아 이그노타가 이상적인 보편 언어를 목표로 만들어졌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4] 그러나 21세기에는 신의 영감을 받은 비밀 언어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힐데가르트의 "들리지 않는 음악"과 마찬가지로, 링구아 이그노타도 신성한 영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힐데가르트가 링구아 이그노타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이는 가장 초기에 알려진 인공어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3. 어휘

링구아 이그노타는 1011개 단어로 구성된 어휘집 형태로 전해진다.[1] 단어들은 대부분 라틴어로 주석이 달려 있으며, 때로는 중고 독일어로 주석이 달려 있기도 하다. 대부분 명사이고 몇 개의 형용사를 포함하며, 선험적으로 만들어진 신조어로 보인다.[1]

3. 1. 문법

링구아 이그노타는 라틴어 문법에 새로운 어휘를 대입하여 형성된, 일종의 부분적인 재어휘화로 볼 수 있다.[1] 힐데가르트는 "Lingua Ignota per simplicem hominem Hildegardem prolata"라는 저작에서 이 언어를 기술했는데, 이 문서는 12세기경의 리젠 필사본과 베를린 필사본에 남아 있다. 문서에는 링구아 이그노타의 1011개 어휘가 수록되어 있으며, 대부분 라틴어로 주석이 달려 있고 일부는 독일어 주석도 포함되어 있다. 이 어휘들은 대부분 기존 언어에 기반하지 않은 형용사가 붙은 명사 형태였다.[1]

3. 2. 구성

링구아 이그노타의 용어집은 계층적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신과 천사에 대한 용어가 먼저 나오고, 인간과 가족 관계, 신체 부위, 질병, 종교 및 세속 계급, 장인, 날짜, 달, 의류, 가정 용품, 식물, 그리고 몇몇 새와 곤충에 대한 용어가 이어진다. 포유류에 대한 용어는 부족한데, 새에 속하는 박쥐 (Ualueria)와 그리폰 (Argumzio)만이 예외적으로 포함되어 있다.[1]

처음 30개의 항목은 다음과 같다(Roth 1880).[1]

번호링구아 이그노타라틴어한국어
1Aigonzdeus
2Aieganzangelus천사
3Zuuenzsanctus성인
4Liuionzsalvator구세주
5Diuelizdiabolus악마
6Isparizspiritus
7Inimoishomo인간
8Jurvir남자
9Vanixfemina여자
10Peuearrezpatriarcha족장
11Korzinthiopropheta예언자
12Falschinvates예언자
13Sonzizapostolus사도
14Linschiolmartir순교자
15Zanziuerconfessor고해자
16Vrizoilvirgo처녀
17Jugizavidua과부
18Pangizopenitens참회자
19Kulzphazurattavus증조할아버지
20Phazuravus할아버지
21Peuerizpater아버지
22Maizmaler (mater의 오기)어머니
23Hilzpeueriznutricus계부
24Hilzmaiznoverca계모
25Scirizinfilius아들
26Hilzscifrizprivignus의붓아들
27Limzkilinfans유아
28Zainspuer소년
29Zunzialiuvenis청년
30Bischinizadolescens청소년



명사 구성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1]


  • "아버지" (peueriz) - "계부" (hilz-peueriz)
  • "어머니" (maiz) - "계모" (hilz-maiz)
  • "아들" (scirizin) - "의붓아들" (hilz-scifriz)


접미사 파생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1]

  • "아버지" (peueriz) - "족장" (peuearrez)

3. 3. 상용구 예시

로트(Roth, 1880)가 제시한 최초 30개 항목은 다음과 같다.[1]

링구아 이그노타 상용구 예시
링구아 이그노타라틴어한국어
Aigonzdeus
Aieganzangelus천사
Zuuenzsanctus성인
Liuionzsalvator구세주
Diuelizdiabolus악마
Isparizspiritus
Inimoishomo인간
Jurvir남자
Vanixfemina여자
Peuearrezpatriarcha족장
Korzinthiopropheta예언자
Falschinvates예언자
Sonzizapostolus사도
Linschiolmartir순교자
Zanziuerconfessor고해자
Vrizoilvirgo처녀
Jugizavidua과부
Pangizopenitens참회자
Kulzphazurattavus증조할아버지
Phazuravus할아버지
Peuerizpater아버지
Maizmaler (mater의 오기)어머니
Hilzpeueriznutricus계부
Hilzmaiznoverca계모
Scirizinfilius아들
Hilzscifrizprivignus의붓아들
Limzkilinfans유아
Zainspuer소년
Zunzialiuvenis청년
Bischinizadolescens청소년



명사 구성은 "아버지"를 뜻하는 ''peueriz''와 "계부"를 뜻하는 ''hilz-peueriz'', "어머니"를 뜻하는 ''maiz''와 "계모"를 뜻하는 ''hilz-maiz'', "아들"을 뜻하는 ''scirizin''과 "의붓아들"을 뜻하는 ''hilz-scifriz'', 그리고 "할아버지"를 뜻하는 'phazur'와 "증조할아버지"를 뜻하는 ''kulz-phazur''에서 관찰할 수 있다. 접미사 파생은 "아버지"를 뜻하는 ''peueriz''와 "족장"을 뜻하는 ''peuearrez''에서 나타난다.[1]

4. 현존하는 텍스트

링구아 이그노타로 남아 있는 유일한 텍스트는 다음 구절이다.

:''' Ecclesia, armis divinis praecincta, et hyacinto ornata, tu es '''''' stigmatum '''''' et urbs scienciarum. O, o tu es etiam '''''' in alto sono, et es '''''' gemma.}}

이 문장은 대부분 라틴어로 쓰여졌으며, 링구아 이그노타 단어 5개가 포함되어 있다. 어휘집에서 명확하게 발견되는 단어는 뿐이므로, 실제 어휘는 1011단어보다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

4. 1. 번역

:** 보석이다.art-DE

: "사람들"은 라틴어 3격 명사로 활용되어 소유격 복수 "사람들의"이 된다.

뉴먼(1987)은 다음과 같이 번역을 제시했다.

:"오 ''무한한'' 교회, / 신성한 무기로 둘러싸여 / 그리고 히아신스로 장식되었도다, / 너는 ''향기'' 상처의 ''국가들'' / 그리고 학문의 도시로다. / 오, 오, 너는 ''성유를 발랐도다'' / 숭고한 소리 속에서, / 그리고 너는 ''반짝이는'' 보석이다."

참조

[1] 서적 Riesencodex http://dfg-viewer.de[...] 2014-08-26
[2] 간행물 Sachlich geordnete Glossare https://archive.org/[...] 1895
[3] 문서 Hildegard of Bingen: the creative dimensions of a Medieval personality Graduate Theological Union
[4] 웹사이트 Lingua Ignota — The Earliest Known Constructed Language? https://thelanguagec[...] 2022-08-29
[5] 서적 Riesencodex http://dfg-viewer.de[...] 2014-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