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핀은 독수리의 머리와 날개, 사자의 몸통과 발을 가진 상상의 동물로,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되어 다양한 문화권에서 전설, 예술, 문장학 등에 등장한다. 고대에는 황금을 지키는 존재로 묘사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기독교적 상징으로도 사용되었다. 문장학에서는 용맹함과 리더십을 상징하며, 다양한 가문과 단체의 문장에 활용되었다. 현대에는 판타지 소설, 게임, 영화 등에서 자주 등장하며, 학교의 마스코트나 기업 로고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핀 - 히포그리프
히포그리프는 말과 그리핀의 특징을 가진 전설 속 동물로, 《광란의 오를란도》를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해리 포터 시리즈》의 벅비크처럼 다양한 판타지 작품에 등장한다. - 이집트의 전설의 생물 - 스핑크스
스핑크스는 사자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신화 속 존재로, 이집트,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파라오의 권위, 사악함, 액막이 등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 이집트의 전설의 생물 - 아펩
아펩은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태양신 라의 운항을 방해하고 세계 질서를 파괴하려 하는 혼돈과 어둠의 신으로, 거대한 뱀의 형상으로 묘사된다. - 문장학의 날짐승 - 불사조
불사조는 스스로 불타 죽은 뒤 재에서 다시 태어나는 불멸의 새로, 고대 이집트 벤누에서 기원하여 여러 문화권에서 불멸, 부활, 희망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문장학의 날짐승 - 쌍두수리
쌍두수리는 고대 근동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국가와 단체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알바니아, 세르비아 등의 국장과 동방 정교회에서 사용되고, 스포츠 클럽 엠블럼으로도 활용된다.
그리핀 |
---|
2. 명칭
그리핀(Griffin)이라는 명칭은 고대 그리스어의 그뤼프스(γρυψ)에서 유래되었으며, "굽은 부리"를 의미한다.[3][4] 오래 전부터 많은 이야기에 등장하며, 전설의 생물로서의 역사가 깊다.
고대 이집트와 이란에서도 그리핀과 유사한 존재가 나타나며, 각기 다른 명칭으로 불렸다. 헤로도토스의 『역사』나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기원전 5세기 중엽)에 따르면, 황금을 모으는 그리핀과 그 황금을 약탈하는 외눈족인 아리마스포이인과의 싸움이 있었다고 한다.
대 플리니우스 (1세기)는 그리핀이 날개와 긴 귀를 가졌다고 처음으로 명시했다. 그러나 동시대의 티아나의 아폴로니오스는 그리핀이 진정한 새의 날개를 가지지 않고, 발가락 사이의 막으로 인해 아주 짧은 거리를 도약할 수 있다고 했다.
아일리안 (3세기 사망) 이후 서양의 그리폰 전설은 주로 고전의 취사 선택에 지나지 않는다고 여겨지지만, 그리폰이 그 둥지에 마노나 돌을 놓는다는 전설은 후발적인 것이다.
현대에 들어서도 그리핀은 다양한 상징으로 사용된다. 그리스 헤라클리온 시의 공식 문장, Merv Griffin Entertainment의 로고, United Paper Mills, 복스홀 모터스, 스카니아, 사브의 로고 등에 사용되었다. 미들랜드 은행 (현재 HSBC)의 로고에도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 그리핀이 사용되었다. 정보 보안 회사 [https://www.halock.com Halock]은 데이터와 시스템 보호를 나타내기 위해 그리핀을 사용한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하인켈사는 루프트바페를 위해 설계한 중(重)폭격기 하인켈 He 177 ''그라이프''의 이름을 그리핀의 독일어 형태인 "그리프"로 명명했다. 제너럴 아토믹스는 호커 비치크래프트 킹 에어 35ER 민간 항공기를 기반으로 한 자체 정보 감시 플랫폼에 "그리핀 아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74]
일부 대형 종의 구대륙 독수리는 그리핀이라고 불리며, 여기에는 흰머리독수리 (''Gyps fulvus'')가 포함된다. 안데스 콘도르의 학명은 ''Vultur gryphus''로, "그리핀 독수리"라는 뜻의 라틴어이다. 가톨릭 두에-랭스 성경 번역본은 다른 영어 번역본에서 독수리 또는 ossifrage로 언급되는 생물을 그리폰이라고 부른다(레위기 11:13).
2. 1. 어원
이 단어의 어원은 불확실하다. '구부러진' 또는 '갈고리 모양'을 뜻하는 그리스어 γρυπός|그뤼포스el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갈고리 코'를 의미하는 γρύφ|그뤼프el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셈어파 언어에서 차용된 아나톨리아어일 수도 있는데, 케루빔을 뜻하는 히브리어 כרוב|케루브he와 비교해 볼 수 있다.[3][4] 고대 그리스어 그뤼프스(γρυψ|그뤼프스el)는 "굽은 부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2. 페르시아어 명칭
현대 페르시아어에서 그리핀은 '사자-독수리'를 의미하는 '시르달(شیردال|시르달fa)'로 불린다.
고대 또는 중세 이란어로는 ''Sēnmurw''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신화 속 새인 시무르그의 어원적 조상으로 여겨진다.
2. 3. 이집트어 명칭
고대 이집트에서 그리핀은 여러 별칭으로 불렸다. 데르 엘 베르샤 무덤에서 발견된 그리핀 이미지에는 '찢는 자'를 의미하는 '테시-테시'(tštš|테시-테시egy)라는 명칭이 새겨져 있었다. 베니 하산에서는 '불의 존재'를 의미하는 '세페르'(sfr|세페르egy) 또는 '스레프'(srf|스레프egy)라는 명칭이 확인되었다. '찢는 자'라는 별칭은 그리핀 외에 신 오시리스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기원전 3000년 이전의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그리핀과 유사한 혼종의 표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21] 가장 오래된 그리핀 유사 동물 묘사는 히에라콘폴리스의 화장 팔레트인 시에이트에서 발견된 부조 조각으로, 두 마리 개 팔레트라고도 불리며, 이른 왕조 시대인 기원전 3300~3100년경으로 추정된다.[22]
3. 형태
그리핀은 일반적으로 사자의 몸통과 독수리의 머리, 날개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 대부분의 조각상에서는 새와 같은 앞다리와 발톱을 가지고 있지만, 일부 오래된 그림에서는 사자의 앞다리를 가진 경우도 있다. 독수리의 머리에는 눈에 띄는 귀가 달려 있는데, 때로는 사자의 귀처럼 묘사되기도 하고, 때로는 길쭉하거나 깃털이 달린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대 플리니우스(1세기)는 그리핀이 날개와 긴 귀를 가지고 있다고 처음으로 명확히 말한 인물이었다. 그러나 티아나의 아폴로니우스는 그리핀이 진정한 새의 날개가 아니라 짧은 거리를 비행할 수 있는 막이 있는 발만 가지고 있다고 썼다.
12세기경까지 그리핀의 외모에 대한 인식이 정립되어 "몸통 부분은 모두 사자, 날개와 얼굴은 독수리를 닮았다"는 것이 굳어졌다. 앞발에는 독수리 모양의 긴 발톱이 있고 뒷발에는 사자 모양의 묵직한 발톱이 있다고 묘사된다.
3. 1. 고대 그리스의 솥 장식


고대 그리스의 그리핀은 청동 솥 프로토메(protome)에 묘사된 바와 같이 짧은 부리에 뭉툭한 얼굴, 크게 벌린 입과 혀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나 눈썹 사이에 톱니가 있다.
"덩굴손" 또는 말린 "나선형 묶음"은 머리카락/갈기 또는 깃털/볏 묶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는데, 그리스 프로토메 일부에는 그리핀의 목 양쪽과 뒤에 한 줄 또는 두 줄의 덩굴손이 늘어져 새겨져 있기도 하다. 덩굴손 모티프는 기원전 첫 번째 천년 초 오리엔트의 여러 지역에서 나타났으며, "귀 밑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이중 나선형 머리카락"은 이란(우라르투) 예술의 특징으로 꼽힌다. 에트루리아의 솥 그리핀 또한 우라르투 장인의 특징인 "말린 머리카락"을 지니고 있다.
가마솥 그리핀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눈썹 사이 윗부분의 혹"이며, 이는 잭 레너드 벤슨이 "상투"라고 칭한 것으로, 이후 가마솥 그리핀의 발달 과정에서 "혹"으로 표현되었다. 윗부분의 혹 특징은 분명히 동양 기원을 가지고 있다.[9] 눈 사이의 "사마귀" 덩어리에 대한 언급도 있다.
4. 고대 예술에서의 그리핀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미술 작품에는 새 머리를 가진 포유류의 이미지가 등장한다. 러시아 보석사학자 엘레나 네바는 아케메네스 왕조가 그리핀을 "악, 마법, 비밀 비방으로부터 보호하는 존재"로 여겼다고 주장했지만,[16] 이에 대한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시대의 기록은 없다. R.L. 폭스는 기원전 4세기의 펠라에서 발견된 자갈 모자이크에서 "사자 그리핀"이 수사슴을 공격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으며,[17][18] 이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상징이나 알렉산드로스의 계승자 중 한 명인 안티파트로스의 개인적인 상징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언급한다.
그리핀과 유사한 동물은 미노아 문명 MM III 시기 (기원전 1650–1600년) 미노아 연대기의 예술에 등장했으며, 자크로의 봉인과 이 시기에 제작된 소형 프레스코에서 발견되었다. 미노아 예술의 초기 그리핀 유형의 예시는 기원전 15세기 크노소스 궁전 왕좌의 방의 청동기 시대 프레스코에서 볼 수 있다.
그리스 문헌에서 그리프스, 그리폰 또는 그리핀이라고 불리는 동물은 기원전 700년경까지 그리스 예술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기원전 8세기에서 7세기에 신 히타이트 예술의 그리핀 스타일을 차용하여 예술적 모티프로 "재발견"되었다.[26] 그리핀은 기원전 6세기와 5세기에 상당히 인기를 얻었으며, 이때 그리스인들은 프로콘네수스의 아리스테아스와 같은 아시아 여행객으로부터 "그리프스" 생물에 대한 기록을 처음으로 남겼다. 그리스에서는 사모스, 올림피아 등에서 솥에 달린 청동 그리핀 프로토메가 발굴되었다.
4. 1. 메소포타미아
기원전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의 원통형 인장에서 그리핀과 유사한 동물이 묘사되기 시작했다.[12] 우루크 시대(기원전 4000–3100년)와 그 이후의 원엘람 시대(젬데트 나스르 시대) 초기에도 나타났을 수 있다. 수사에서 발굴된 부리와 날개가 달린 사자는 기원전 4천 년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수사자 갈기를 가진 그리핀과 유사한 동물의 유일한 예시이다. 그러나 이 괴물은 엘람 문화 이후 표현이 중단되었다.초기 왕조 시대 수메르인들은 날개 달린 사자와 사자 머리를 가진 독수리(임두구드)를 묘사했다.
수메르를 계승한 아카드 제국에서는 새 머리를 가진 사자의 초기 예시(기원전 3천 년 초)가 원통형 인장에 나타났으며, 이는 날씨의 신인 기수를 위해 전차를 끌고 가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아카드 인장의 "사자-그리핀"은 불을 뿜고 특히 목덜미 부분이 털이 많은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3]
4. 2. 이란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미술 작품에는 새 머리를 가진 포유류의 이미지가 등장했다.[16] 이란 쿠르디스탄주 지비예 보물에서 발견된 금제 그리핀과 유사한 동물의 정면 반상은 우라르투의 작품으로,[19] 그리스 프로토메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바이저"(즉, 부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4. 3. 이집트
그리핀과 유사하게 네 다리에 부리 모양의 머리를 가진 혼종 생물은 기원전 3000년 이전의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나타났다.[21] 이집트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그리핀과 유사한 동물 묘사는 시에이트에 새겨진 부조 조각으로, 히에라콘폴리스의 화장 팔레트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두 마리 개 팔레트로 이른 왕조 시대로 추정되며, 기원전 3300~3100년경이다.[22]4. 4. 근동 지역
그리핀과 유사한 동물은 기원전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 원통형 인장에 묘사되었으며,[12] 우루크 시대(기원전 4000–3100년)와 그 이후의 원엘람 시대(젬데트 나스르 시대) 초기에 나타났을 수도 있다. 수사에서 발굴된 부리와 날개가 달린 사자의 예는 기원전 4천 년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수사자 갈기를 가진 그리핀과 유사한 동물의 유일한 예이다. 그러나 이 괴물은 엘람 문화 이후 표현이 중단되었다.
초기 왕조 시대 수메르인들은 날개 달린 사자와 사자 머리를 가진 독수리(임두구드)를 묘사했다.
수메르를 계승한 아카드 제국에서는 새 머리를 가진 사자의 초기 예시(기원전 3천 년 초)가 원통형 인장에 나타났으며, 이는 날씨의 신인 기수를 위해 전차를 끌고 가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아카드 인장의 "사자-그리핀"은 불을 뿜고 특히 목덜미 부분이 털이 많은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3]
철기 시대 이란 북부 및 북서부 지역인 루리스탄 청동의 청동 세공품에는 아케메네스 조 미술에서 "새-그리핀"과 "사자-그리핀" 디자인을 모두 묘사한 예시가 있으며, 이는 말 재갈에서 발견된다. 버나드 골드먼은 루리스탄의 예시가 "새의 부리에 접근하는 양식화"를 나타낼 때조차도 "사자-그리핀" 유형의 발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한다.[14] 루리스탄의 그리핀과 유사한 생물들은 아시리아의 생물을 닮았으며, 아마도 그들의 후손일 것이고, 미탄니의 동물들의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15] 혹은 아시리아 문화와 엘람 문화 모두에서 병행적인 발전이 있었을 수도 있다.
머리 부분이 맹금류이고 몸통이 포유류인 그리핀과 같은 생물은 중기 청동기 시대 동안 레반트, 시리아, 아나톨리아에서 묘사되었으며,[23][24] 대략 기원전 1950년에서 155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5]
4. 5. 그리스
미노아 문명의 예술 작품에 그리핀과 유사한 동물이 등장했으며, 크노소스 궁전의 프레스코 벽화에서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26] 기원전 8세기에서 7세기경, 그리스 예술에서 그리핀 모티프가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다.[26] 그리스에서는 사모스, 올림피아 등에서 솥에 달린 청동 그리핀 프로토메가 발굴되기도 했다.[26]4. 6. 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에서 그리핀 이미지는 기원전 6~4세기의 스키타이 "동물 양식" 유물에 포함되었지만, 그 의미를 설명하는 기록은 없다. 스키타이 왕의 매장지에 묻힌 토브스타 모힐라 황금 흉갑은 그리스 금세공인에게 의뢰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리핀이 말을 공격하는 이미지가 새겨져 있다. 다른 스키타이 유물에는 그리핀이 말, 사슴, 염소를 공격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그리스 미술에서 그리핀은 일반적으로 말, 사슴, 인간을 공격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리스와 로마 여행객이 전한 스키타이 구전에 따르면 유목민들은 그리핀이 지키는 금을 훔쳤다고 한다.5. 고전 문헌 기록
고전 문헌에는 그리핀에 대한 다양한 기록이 전해진다.
기원전 7세기 프로콘네소스의 아리스테아스는 몽골과 중국 북서부 사이의 알타이 지역을 여행하면서 그리핀에 대한 지역 전승을 수집했다. 아리스테아스의 원본은 소실되었지만, 아이스킬로스(기원전 460년경)와 헤로도토스의 기록을 통해 그리핀 이야기가 전해진다.[81] 헤로도토스는 아리스테아스를 통해 금을 지키는 그리핀이 외눈박이 아리마스포이 족[81]보다 더 북쪽에 살았으며, 아리마스포이 족은 그리핀에게서 금을 훔쳤다고 기록했다. 아리스테아스는 북부(중앙아시아)의 이세도네스 족을 통해 이 정보를 얻었다고 한다.[81] 아이스킬로스 역시 아리마스피 족이 그리핀이 모은 금을 훔쳤다고 언급하며, 말을 탄 아리마스피 족이 전리품을 가지고 달아나자 그리핀이 그들을 쫓아갔다고 묘사했다. 아이스킬로스는 ''그리프스''를 "제우스의 짖지 않는 사냥개"에 비유했는데,[82] 이는 아이스킬로스가 그리핀을 날개가 없거나 날지 못하는 존재로 생각했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다.[83]
크테시아스는 그리핀이 인도에 서식하며 부리와 네 다리를 가진 새라고 기록했다.[75] 그는 그리핀을 부리를 가진 네 발 달린 조류로 묘사했다.[84] 헤로도토스는 인도 카슈미르 지방에 황금을 모으는 개미가 있다는 기록을 남겼는데, 이는 황금을 모으는 그리핀 전설의 변형된 형태라는 학설이 있다.[84] 플리니우스의 그리핀 전설 역시 인도의 채굴 개미 전승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75] 아일리안도 그리핀 묘사에 개미의 특징을 추가했다.[84]
대 플리니우스는 그리핀이 날개와 긴 귀를 가지고 있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한 최초의 인물이다.[30] 그는 그리핀의 서식지를 에티오피아로 특정했으며, 애드리엔 메이어에 따르면 그리핀은 땅의 굴에 알을 낳고 이 둥지에 금괴가 들어 있다고 기록했다.[31] 티아나의 아폴로니우스는 그리핀이 사자 크기에, 진짜 날개가 아닌 "붉은 막으로 덮인" 발을 가지고 있어 짧은 거리만 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32]
폼포니우스 멜라(서기 43년 활동)는 리페아 산맥 인근 지역은 눈 때문에 통행이 불가능하며, 그리핀이 지하 깊숙이 채굴되는 금을 지키고 있어 살 수 없는 지역이라고 기록했다. 클라우디우스 아일리안(서기 235년 사망)은 그리핀이 "검은 깃털과 붉은 가슴, 흰 날개"를 가졌다고 덧붙였다. 아일리언 이후, 중세 시대까지 그리핀에 대한 새로운 정보는 거의 추가되지 않고 기존 자료가 반복되었다.[34]
그리핀은 그리스 신화에서 아폴론, 디오니소스, 네메시스 등 다양한 신들과 관련되어 있다. 아폴론은 그리핀을 타고 히페르보레아로 갔다고 믿어졌으며,[35] 아폴론이 그리핀을 타는 모습은 여러 적색상 항아리에서 발견된다.[38] 클라우디아누스에 따르면 아폴론은 그리핀을 전차에 연결하기도 했다.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에는 그리핀이 양쪽에 있는 아폴론 신의 조각상이 있었는데, 이는 아티카의 테트라드라크마 화폐에 새겨진 표현을 바탕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디오니소스 또한 그리핀 전차를 타거나 그리핀을 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사모스의 헤라 신전에는 그리핀 머리가 가장자리에 붙어 있는 청동 "술잔" 또는 "솥"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헤로도토스는 기록했다.
그리폰은 천상의 신들의 마차를 끄는 역할을 하기도 했는데, 특히 네메시스 여신의 마차를 끄는 그리폰은 몸과 날개가 칠흑색이었다. 말을 적으로 여겨 잡아먹는다고 전해지며, 이는 전차를 끄는 말과의 경쟁 때문이라고 한다.[76] 이 때문에 "그리폰과 말을 교배시키는 것과 같다"는 불가능을 나타내는 말이 생겨났고, 이를 바탕으로 히포그리프가 만들어지기도 했다.[77] 그리폰은 오케아노스의 탈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78] 또한, 그리폰은 황금을 지키거나, 디오니소스의 크라테르(술 항아리)를 지키는 역할도 했다고 여겨진다.[79] 그리폰은 자신이 지키는 황금을 탐내는 인간을 찢어발긴다고 전해진다.[80]
5. 1. 그리스 기록
기원전 7세기 프로콘네소스의 아리스테아스는 몽골과 중국 북서부 사이의 알타이 지역을 여행하고 그리핀에 대한 지역 전승을 수집했다. 아리스테아스의 원시는 소실되었지만, 아이스킬로스(기원전 460년경)와 헤로도토스에 의해 이차적 기록에 그리폰 이야기가 보존되었다.[81]헤로도토스는 아리스테아스를 통해 금을 지키는 그리핀이 외눈박이 아리마스포이 족[81]보다 더 북쪽에 살았다고 설명하는데, 아리마스포이 족은 이 신화 속 생물에게서 금을 훔쳤다고 한다. 아리스테아스는 아리마스피와 인접한 지역인 북부(중앙아시아)의 이세도네스 족을 통해 정보를 얻었다고 한다.[81] 아이스킬로스 역시 아리마스피 족이 그리핀이 주변 지역에서 모은 금을 훔쳤다는 데 동의한다. 말을 탄 아리마스피 족은 전리품을 가지고 달아났고, 그리핀은 그들을 쫓아갔다.
아이스킬로스는 ''그리프스''를 "제우스의 짖지 않는 사냥개"에 비유했다.[82] 여기서 개 또는 사냥개라고 불리는 것은 아이스킬로스가 그들을 날개가 없거나 날지 못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는 추측을 낳았다.[83]
5. 2. 인도와 황금 채굴 개미
크테시아스는 그리핀이 인도에 서식하며, 부리와 네 다리를 가진 새라고 기록했다.[75] 그는 그리핀을 부리를 가진 네 발의 조류라고 묘사했다.[84]헤로도토스는 인도 카슈미르 지방에 황금을 모으는 개미가 있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황금을 모으는 그리핀 전설의 변형된 형태라는 학설이 있다.[84] 플리니우스의 그리핀 전설도 인도의 채굴 개미 전승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75] 아일리안도 그리핀 묘사에 개미의 특징을 추가했다.[84]
5. 3. 플리니우스 이후
대 플리니우스는 그리핀이 날개와 긴 귀를 가지고 있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한 최초의 인물이다.[30] 플리니우스는 "그리폰"의 서식지를 에티오피아로 특정했으며, 애드리엔 메이어에 따르면, "그리핀은 땅의 굴에 알을 낳고 이 둥지에는 금괴가 들어 있다고 한다"고 기록했다.[31]티아나의 아폴로니우스는 그리핀이 사자 크기에, 진짜 날개가 아닌 "붉은 막으로 덮인" 발을 가지고 있어 짧은 거리를 비행하는 정도의 비행 능력만 있다고 설명했다.[32]
폼포니우스 멜라(서기 43년 활동)는 그의 저서에서 리페아 산맥 인근 지역은 눈 때문에 통행이 불가능하며, 그리핀이 지하 깊숙이 채굴되는 금을 지키고 있어 살 수 없는 지역이라고 썼다.
클라우디우스 아일리안(서기 235년 사망)은 그리핀이 "검은 깃털과 붉은 가슴, 흰 날개"를 가졌다고 덧붙였다. 아일리언 이후, 중세 시대까지 그리핀에 대한 새로운 정보는 거의 추가되지 않고 기존 자료가 반복되었다.[34]
5. 4. 신성한 존재
그리핀은 그리스 신화에서 아폴론, 디오니소스, 네메시스 등 다양한 신들과 관련되어 있다.아폴론은 그리핀을 타고 히페르보레아로 갔다고 믿어졌으며,[35] 아폴론이 그리핀을 타는 모습은 여러 적색상 항아리에서 발견된다.[38] 클라우디아누스에 따르면 아폴론은 그리핀을 전차에 연결하기도 했다. 델포이의 주요 아폴론 신전에는 그리핀이 양쪽에 있는 아폴론 신의 조각상이 있었는데, 이는 아티카의 테트라드라크마 화폐에 새겨진 표현을 바탕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디오니소스 또한 그리핀 전차를 타거나 그리핀을 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사모스의 헤라 신전에는 그리핀 머리가 가장자리에 붙어 있는 청동 "술잔" 또는 "솥"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헤로도토스는 기록했다.
그리폰은 천상의 신들의 마차를 끄는 역할을 하기도 했는데, 특히 네메시스 여신의 마차를 끄는 그리폰은 몸과 날개가 칠흑색이었다. 말을 적으로 여겨 잡아먹는다고 전해지며, 이는 전차를 끄는 말과의 경쟁 때문이라고 한다.[76] 이 때문에 "그리폰과 말을 교배시키는 것과 같다"는 불가능을 나타내는 말이 생겨났고, 이를 바탕으로 히포그리프가 만들어지기도 했다.[77] 그리폰은 오케아노스의 탈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78]
또한, 그리폰은 황금을 지키거나, 디오니소스의 크라테르(술 항아리)를 지키는 역할도 했다고 여겨진다.[79] 그리폰은 자신이 지키는 황금을 탐내는 인간을 찢어발긴다고 전해진다.[80]
6. 중세 기록
그리핀이 알 대신 돌이나 마노를 낳는다는 개념은 "그리핀 지식의 진화 과정에서 어느 시점에" 도입되었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1280년 사망)는 다른 작가들의 말을 인용해 "이 새가 주변 온도를 변화시키고 번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알 사이에 '독수리 돌'(echytemla) 또는 마노(gagatemla)를 놓는다"고 주장했다.
6. 1. 기독교 상징
신학자인 세비야의 이시도르는 그리핀을 "날개 달린 사족 보행 동물"로 묘사하며, 히페르보레아 산에서 발견된다고 기록했다. 그는 그리핀이 몸 전체는 사자, 날개와 머리는 독수리와 같으며 말과 사람에게 적대적이라고 설명했다.이시도르의 묘사에는 기독교적 해석이 없었지만, 하늘을 나는 새와 땅의 짐승이 결합된 그리핀은 기독교에서 예수를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졌다. 예수는 인간이자 신성을 모두 지녔기 때문이다. 단테의 『신곡』에서 그리핀은 전차를 끄는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이는 그리스도 또는 교회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6. 2. 발톱, 알, 깃털
중세 유럽에서는 그리핀의 발톱, 알, 깃털이라고 불리는 물건들이 귀중품으로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이국적인 동물 등에서 가져온 위조품이었다. 그리핀의 알이라고 여겨지는 것은 타조의 알이거나, 드물게는 공룡의 알 화석이었다. 깃털은 라피아 야자 섬유로 만든 공예품에 색을 입힌 것이 사용되었다.그리핀의 발톱은 종종 마시는 잔으로 가공되었으며, 문장학자들에 따르면 그리핀 알 유물 또한 술잔으로 사용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여러 개의 그리핀 발톱이 존재했으며, 때로는 매우 크다고 주장되었다. 성 커스버트는 발톱과 알을 얻었다고 하며, 두 개의 발톱과 두 개의 알이 성인의 성물함 1383년 목록에 기록되었지만, 현재 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발톱은 알프스아이벡스 뿔로 확인되었다.
그리핀의 발톱이 컵으로 만들어져 커스버트에게 헌정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중세 유럽에서 그리핀 발톱은 자주 술잔(마시는 잔)으로 만들어졌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샤를마뉴 대제의 그리핀 발톱 뿔잔이 있는데, 이전에는 생 드니 대성당에 있었지만 현재는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소의 뿔로 만들어졌다. 맹금류의 발톱을 닮은 금박을 입힌 구리 다리가 부착되어 있다. 샤를마뉴 대제의 옛 수도인 아헨(현재 독일 아헨)에 위치한 코르넬리뮌스터 수도원에도 교황 코르넬리우스의 그리핀 뿔이 있는데, 아시아 물소 뿔로 만들어졌다.
스티븐 프라이어의 《새로운 문장학 사전》에 따르면, 그리핀의 발톱은 의약 효능이 있다고 여겨졌으며, 깃털 하나는 시력을 잃은 맹인의 시력을 회복시킬 수 있었다. 그리핀의 깃털이 맹인을 치료한다는 이야기는 이탈리아 민담에서 나타난다.
7. 문장학
문장학에서 그리핀은 보통 사자의 뒷몸통, 꼿꼿한 귀를 가진 독수리의 머리, 깃털이 있는 가슴, 발톱을 포함한 독수리의 앞발로 묘사된다. 한 자료에 따르면, 문장학적 그리핀은 "강인함, 군사적 용기, 리더십을 나타낸다"고 한다. 신성의 신성력과 수호자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그리핀은 다양한 자세로 나타날 수 있지만, 영국 문장학에서는 결코 날개를 닫은 채로 나타나지 않는다. 문장학적 그리핀은 사자와 동일한 자세 용어를 사용하며, 사자가 램펀트(rampant)로 묘사되는 경우 그리핀은 대신 세그리언트로 묘사된다.
영국 문장학에서 수컷 그리핀은 날개 없이 묘사되며, 몸은 무시무시한 가시 뭉치로 덮여 있고 이마에서 짧은 엄니가 튀어나와 유니콘과 같다. 일부 문장에서는 이 변종을 키통(keythong)이라고 부른다. 수컷 그리핀/키통은 문장학적 표범의 파생물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중세 시대와 르네상스 시대에 제노바가 주요 해양 강국으로 부상하면서 그리핀은 공화국의 문장의 일부로 묘사되기 시작했으며, 성 게오르기우스 십자가 새겨진 방패 양쪽에 솟아올랐다.
붉은색의 맹렬한 그리핀은 포메라니아 공작의 문장이었으며, 오늘날 폴란드의 서포메라니아 주 (역사적으로 포메라니아)의 문장으로 남아 있다. 또한 독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의 문장의 일부이기도 하며, 역사적인 지역 포어포메른 (히더 포메라니아)을 나타낸다.
독수리 부분은 금색이고, 사자 부분은 그리스도의 인성을 나타내는 흰색이라고도 한다. 코카서스 산중에 살며, 날카로운 갈고리 발톱으로 소나 말을 통째로 몇 마리씩 움켜쥐고 날 수 있었다고 한다. 문장학에서는 그리핀이 황금을 발견하고 지킨다는 전설에서 '지식'을 상징하는 도상으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새의 왕과 짐승의 왕이 합체했기 때문에 '왕가'의 상징으로도 숭상되었다.
그리핀과 암말 사이에서 태어난, 독수리의 상반신에 말의 하반신을 가진 생물은 히포그리프(hippogriff)라고 불린다.
많은 묘사에서는 발이 새와 같은 갈고리 발톱이지만, 오래된 그림에서는 사자의 앞발과 같은 모습도 있다. 문장학에서는 이에 낙타와 같은 긴 목과 꼬리를 가진 것을 오피니쿠스(Opinicus)라고 부른다.
8. 변형
히포그리프 외에도 다양한 그리핀의 변형이 존재한다.
문장학에서 낙타와 같은 긴 목과 꼬리를 가진 것을 오피니쿠스(Opinicus)라고 부른다. 15세기 이후의 문장학에서는 날개 없는 그리핀을 '''알크''' 또는 '''키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바다 그리핀'''(그리폰 마린)은 머리와 다리는 일반적인 그리핀과 같고, 꼬리는 물고기 또는 인어를 가진 문장학적 변종이다. 오피니쿠스는 머리와 날개는 독수리, 몸통과 다리는 사자, 꼬리는 낙타로 묘사되는 또 다른 문장학적 변종으로, 때로는 날개가 없기도 하다.[47][48][49]
8. 1. 히포그리프
히포그리프는 그리핀과 암말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는 전설 속 생물이다. 독수리의 상반신과 말의 하반신을 가지고 있으며, 독수리 부분은 금색이고, 사자 부분은 그리스도의 인성을 나타내는 흰색이라고도 한다. 코카서스 산중에 살며, 날카로운 갈고리 발톱으로 소나 말을 통째로 몇 마리씩 움켜쥐고 날 수 있었다고 한다. 문장학에서는 그리핀이 황금을 발견하고 지킨다는 전설에서 '지식'을 상징하는 도상으로 사용되었으며, 새의 왕과 짐승의 왕이 합체했기 때문에 '왕가'의 상징으로도 숭상되었다.많은 묘사에서 발은 새와 같은 갈고리 발톱이지만, 오래된 그림에서는 사자의 앞발과 같은 모습도 있다. 문장학에서 낙타와 같은 긴 목과 꼬리를 가진 것을 오피니쿠스(Opinicus)라고 부른다.
8. 2. 문장학적 변형
15세기 이후의 문장학에서 날개 없는 그리핀은 '''알크''' 또는 '''키통'''이라고 불릴 수 있다.'''바다 그리핀'''(그리폰 마린)은 머리와 다리는 일반적인 그리핀과 같고, 꼬리는 물고기 또는 인어를 가진 문장학적 변종이다.
'''오피니쿠스'''(에피마쿠스)는 머리와 날개는 독수리, 몸통과 다리는 사자, 꼬리는 낙타로 묘사되는 또 다른 문장학적 변종이다. 때로는 날개가 없기도 하다. 문장학에서 오피니쿠스는 긴 목과 낙타와 같은 꼬리를 가진 것으로 나타난다.[47][48][49]
9. 건축
건축 장식에서 그리핀은 보통 날개와 뿔이 달린 독수리 머리를 가진 네 발 짐승, 또는 독수리의 머리와 부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
10. 현대 문화
그리핀은 《워해머 판타지 배틀》, 《워크래프트》,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던전 & 드래곤》의 그리폰, 《라그나로크 온라인》, 《해리 포터》, 《스파이더위크 연대기》, 《마이 리틀 포니: 우정은 마법》, 《웨스노스 공방전》 등 판타지 장르의 작품에 자주 등장한다. 동화 "잭 더 자이언트 킬러", "그리핀", "노래하는, 솟아오르는 종달새"에도 등장한다.
《디지몬》에는 뱀 머리 꼬리를 가진 그리포몬이라는 디지몬이 있다. 릭 라이어던의 《해적왕의 아들》에서 퍼시 잭슨, 헤이즐 레베스크, 프랭크 장은 알래스카에서 그리핀의 공격을 받는다.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알버스 덤블도어는 그리핀 모양의 문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고드릭 그리핀도르의 성은 프랑스어 ''griffon d'or'' ("황금 그리핀")에서 유래되었고, 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학교 기숙사는 그리핀을 상징으로 사용한다. 레베카 야로스의 《The Empyrean》 시리즈에서 그리핀은 포로미엘의 비행가들이 선택한 탈것이다.
그리핀은 필라델피아 미술관의 상징이며, 청동 주조물들이 미술관 지붕의 각 모서리에 자리 잡고 소장품을 보호하고 있다.[61][62] hu의 "그리프" 조각상은 2007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파르카셰지 묘지 앞마당에 세워졌다. 트리니티 칼리지, 옥스퍼드 (1555년 설립)의 문장은 세 마리의 그리핀으로 구성되며, 이는 설립자인 토머스 포프 경의 가문 문장에서 유래되었다. 이 대학의 토론 클럽은 그리핀으로 알려져 있으며, 옥스퍼드 유니언 소사이어티보다 오래된 토론 기관 중 하나이다.[64] 그리핀은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교(VU University Amsterdam),[65] 리드 칼리지,[66] 세라 로렌스 칼리지,[67] 궬프 대학교, 카네시우스 칼리지의 마스코트이기도 하다.
래플스 인스티튜션의 공식 학교 마스코트는 그리핀이며, 학교 문장 상단에도 등장한다. 퍼듀 대학교의 공식 인장은 1969년 대학교 100주년에 채택되었으며, 73년 동안 사용되어 온 비공식 인장을 대체했다.[68] 버지니아의 윌리엄 앤 메리 칼리지는 2010년 4월 마스코트를 그리핀으로 변경했는데, 이는 영국의 사자와 미국의 독수리의 조합이기 때문이다.[69][70]
제367 훈련 지원 비행대와 제12 전투 항공 여단은 부대 패치에 그리핀을 사용한다. 그리스 제15 보병 사단 (그리스)의 문장은 부대 패치에 도끼를 든 그리핀을 특징으로 한다. 영국의 사립학교인 글로스터셔의 위클리프 칼리지는 학교 문장에 그리핀을 사용한다. 더럼 대학교의 16개 칼리지 중 하나인 세인트 메리 칼리지의 마스코트는 그리핀이다. 오타와의 글리브 컬리지에이트 인스티튜트의 마스코트는 그리핀이며, 팀 이름은 글리브 그리폰스이다.
그리핀은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체스넛 힐 칼리지와 그위네드 머시 대학교의 공식 마스코트이다.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의 리더십 고등학교의 마스코트는 그리핀으로 선정되었다. 아이오와주 워털루 경찰서의 공식 인장, 영국 공군 헌병대와 뉴질랜드 공군 헌병대의 부대 휘장에도 그리핀이 등장한다.
아메리칸 하키 리그 소속의 프로 아이스하키팀인 그랜드 래피즈 그리핀스가 있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마스코트인 "아길레온"은 그리핀이다. "아길레온"이라는 이름은 "독수리"를 의미하는 스페인어 "aguila"와 "사자"를 의미하는 "leon"을 조합한 것이다.
부시 가든 윌리엄스버그의 주요 놀이기구는 2007년에 개장한 "그리폰"이라는 다이브 코스터이다. 2013년, 오하이오주, 샌더스키에 있는 시더 포인트 놀이공원은 그리핀을 마스코트로 하는 강철 롤러코스터 "게이트키퍼"를 개장했다.
이란 항공의 로고는 페르세폴리스에서 발견된 그리핀 조각상을 기반으로 에드워드 자흐라비안이 디자인했다.
그리핀은 영화 ''나니아 연대기: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과 ''나니아 연대기: 캐스피언 왕자''에 등장하며, ''마이 리틀 포니: 우정은 마법'', ''월드 오브 퀘스트'', ''음양요!'', 그리고 ''패밀리 가이''와 같은 다양한 애니메이션 시리즈에도 등장한다.[71] 1974년 영화 ''신밧드의 황금 여행''에서 그리핀이 켄타우로스와 싸우는 장면이 나온다.[72] 1969년 영화 ''위도 제로''에서 "그리핀"이라는 생명체가 등장하는데, 이는 여성의 뇌를 사자-콘도르 혼종에 이식하여 만들어졌다. 시트콤 ''빅뱅 이론''의 한 에피소드에서 쉘던 쿠퍼 박사는 그리핀을 만들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고 언급한다.[73]
10. 1. 한국 문화 속 그리핀
한국에서 그리핀은 용맹하고 신성한 존재로 인식되며, 게임, 소설, 웹툰 등 다양한 콘텐츠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등장한다. 특히, 게임에서는 강력한 몬스터나 수호신, 탈것 등으로 자주 묘사되며, 소설이나 웹툰에서는 주인공의 조력자나 특별한 능력을 가진 존재로 등장하기도 한다. 한국의 전통적인 상징물이나 건축물에는 그리핀이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서양 문화와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그리핀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고,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되고 있다.참조
[1]
서적
Dictionnaire Illustré Latin-Français
Hachette
[2]
서적
Dictionary of Medieval Latin from British Sources
British Academy
[3]
서적
Exodus 19–40
Doubleday
[4]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5]
harvard
[6]
harvard
[7]
harvard
[8]
harvard
[9]
harvard
[10]
harvard
[11]
harvard
[12]
AV media
Image of Persian griffin
http://www.granger.c[...]
The Granger Collection
2014-05-26
[13]
harvard
[14]
harvard
[15]
harvard
[16]
웹사이트
Central Asian Jewelry and their Symbols in Ancient Time
http://www.artwis.co[...]
2008-03-12
[17]
서적
Alexander the Great
[18]
image
Dartmouth College expedition to Greece
http://greecefsp2009[...]
2009-05
[19]
harvard
[20]
harvard
[21]
웹사이트
Griffin
http://buffaloah.com[...]
2012-01-02
[22]
서적
Dawn of Egyptian Art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4-05-24
[23]
서적
Egyptian Iconography on Syro-Palestinian Cylinder Seals of the Middle Bronze Age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2014-05-24
[24]
서적
Beyond Babylon: Art, trade, and diplomacy in the second millennium B.C.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Yale University Press
2014-05-24
[25]
서적
Egyptian Iconography on Syro-Palestinian Cylinder Seals of the Middle Bronze Age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2014-05-24
[26]
harvard
[27]
harvard
[28]
harvard
[29]
harvard
[30]
harvard
[31]
harvard
[32]
서적
The Life of Apollonius of Tyana
https://books.google[...]
W. Heinemann
1912
[33]
harvard
[34]
harvard
[35]
harvard
[38]
웹사이트
Red-figure hydria with Apollo riding a griffin, ca. 380–360 B.C. (Object number: 2003-92)
https://artmuseum.pr[...]
2023-07-04
[44]
간행물
Illustrious Monsters: Representations of Griffins on Byzantine Textiles
2019
[46]
서적
The Pursuivant of Arms, or Heraldry Founded upon Facts
W. N. Wright [Bookseller to the Queen, 60, Pall Mall]
[47]
문서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https://archive.org/[...]
T.C. and E.C. Jack
[48]
서적
Giants, Monsters, and Dragons: an Encyclopedia of Folklore, Legend, and Myth
W. W. Norton & Company
[49]
서적
Fictitious and Symbolic Creatures in Art: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Use in British Heraldry
Chapman and Hall
[50]
웹사이트
The griffon of Pisa
http://www.qantara-m[...]
2011-05-15
[52]
문서
The City Arms
https://web.archive.[...]
City of London Corporation
[59]
문서
Why Protoceratops Almost Certainly Wasn't The Inspiration For Griffin Legend
http://markwitton-co[...]
[60]
간행물
Did the horned dinosaur Protoceratops inspire the griffin?
2024-06-20
[61]
문서
Philadelphia Museum of Art – Giving : Giving to the Museum : Specialty License Plates
http://www.philamuse[...]
Philamuseum.org
2012-01-02
[62]
문서
Philadelphia Museum of Art: Benjamin Franklin Parkway, Philadelphia, Pennsylvania, United States, Glass Steel and Stone
https://web.archive.[...]
[63]
뉴스
Ο Γρύπας, το μυθικό τέρας γίνεται το σύμβολο της πόλης του Ηρακλείου...
2021-03-22
[64]
문서
Trinity.ox.ac.uk
http://www.trinity.o[...]
Trinity.ox.ac.uk
2012-01-02
[65]
문서
About the griffin
http://www.vu.nl/en/[...]
VU university Amsterdam
2013-11-05
[66]
웹사이트
The New (Olde) Reed Almanac (continued): Griffin
https://www.reed.edu[...]
Reed College
[67]
문서
Sarah Lawrence Gryphons
http://gogryphons.co[...]
Gogryphons.com
2013-10-23
[68]
문서
Traditions. Big Ten
http://www.purdue.ed[...]
Purdue.edu
2012-01-02
[69]
문서
Pantless Man-Bird To Lead William and Mary Into Battle
http://deadspin.com/[...]
Deadspin.com
2010-04-07
[70]
문서
W&M welcomes newest member of the Tribe
http://www.wm.edu/ne[...]
Wm.edu
2010-04-08
[71]
Citation
Family Guy – "What's your name?"
https://www.youtube.[...]
2016-03-12
[72]
간행물
Monsters of the Movies
https://archive.org/[...]
Marvel UK
1982
[73]
Citation
"...but my parents were unwilling to secure the necessary eagle eggs and lion semen."
https://www.getyarn.[...]
[74]
웹사이트
GA-ASI Introduces Griffin Eye Manned ISR System
http://www.ga-asi.co[...]
2010-07-20
[75]
웹사이트
Image of Persian griffin from The Granger Collection
http://www.granger.c[...]
2014-05-26
[76]
서적
幻想生物 西洋編
新紀元社
[77]
서적
幻想生物 西洋編
[78]
서적
西洋古典学事典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10
[79]
서적
幻想世界の住人たち
新紀元社
[80]
서적
幻想生物 西洋編
[81]
논문
1993
[82]
논문
1955
[83]
논문
1993
[84]
논문
1993
[85]
논문
[86]
논문
[87]
논문
1993
[88]
논문
[89]
논문
[90]
서적
The Life of Apollonius of Tyana
https://www.google.c[...]
W. Heinemann
1912
[91]
논문
1912
[92]
논문
1993
[93]
논문
1999
[94]
문서
[95]
논문
1995
[96]
서적
幻の動物とその生息地
静山社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