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가다 프라크리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가다 프라크리트어는 현재의 동인도, 방글라데시, 네팔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이다. 고대 마가다와 관련이 있으며, 동부 인도 아대륙의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되었고, 고타마 붓다와 마하비라가 사용했으며, 마우리아 제국의 궁정 언어였다. 이 언어는 벵골-아삼어군, 비하르어군, 할비어, 오디아어 등으로 발전했다. 다른 프라크리트어와 비교하여 음운상 특징을 가지며, 아르다마가디라는 변종이 존재하며 자이나교의 성전 언어로 사용되었다. 아쇼카 왕 칙령과 산스크리트 고전극에서 사용되었으며, 자이나교의 아가마 경전이 아르다마가디어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라크리트어 - 팔리어
    팔리어는 상좌부 불교 경전 기록에 사용된 고대 인도 언어로, 마가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나 여러 인도 아리아어 방언의 혼합과 산스크리트화를 거쳤으며, 《팁피타카》 기록 이후 불교 전파 매개체로서 동남아시아 여러 언어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는 사어이지만 불교 연구 및 의례에 사용된다.
  • 프라크리트어 - 아르다마가다 프라크리트어
    아르다마가다 프라크리트어는 팔리어와 유사하며 자이나교 아가마에 보존되어 자이나교 학자들에게 널리 사용되었고, 고타마 붓다와 마하비라가 설법한 마가다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후기 마가다 프라크리트어와 달리 [l]을 보존하고 명사 굴절에서 [-o]로 끝맺는 특징을 보인다.
  • 비하르어군 - 마가히어
    마가히어는 인도 아대륙의 마가디 프라크리트어에서 기원하여 인도 비하르 주, 자르칸드 주 남부, 네팔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주로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고 1270만 명의 사용자를 가진 북부, 중부, 남부 방언으로 나뉜 언어이다.
  • 비하르어군 - 마이틸어
    마이틸어는 인도와 네팔에서 사용되며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인도와 네팔의 일부 지역에서 공용어 또는 공식 언어로 인정받았으며, 역사적으로 티르후타 문자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데바나가리 문자를 주로 사용한다.
  • 마가다 - 마우리아 제국
    마우리아 제국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건국하여 아소카 대제 때 최전성기를 누렸으나 쇠퇴하여 숭가 제국에 의해 멸망한 고대 인도 제국으로, 중앙집권적 통치, 불교 전파, 헬레니즘 교류 등의 특징을 가지며 인도 문화와 역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마가다 - 파탈리푸트라
    파탈리푸트라는 고대 인도에서 여러 왕조의 수도로서 번영했으며, 마우리아 제국 시대에 최전성기를 맞이했으나 갠지스 강 유역 변화 등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파트나 지역의 유적에서 고대 인도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발굴되고 있다.
마가다 프라크리트어
개요
이름마가다 프라크리트어
다른 이름마가디
로마자 표기Māgadhī
브라흐미 문자𑀫𑀸𑀕𑀥𑀻
지역인도
소멸동인도아리아어군으로 발전함
언어 계통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인도이란어파
어군인도아리아어군

2. 역사 및 개관

마가다 프라크리트어는 "마가다어"를 의미하며, 인도 동부, 현재 비하르 주에 있었던 마가다국의 언어라는 뜻이다. 실제로 인도 동부 방언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연극에서는 지역과 관계없이 사용된다.

다른 프라크리트어와 비교했을 때, 마가다 프라크리트어는 다음과 같은 음운상의 큰 차이점이 있다.


  • 다른 프라크리트어의 ssa가 śsa로 나타난다.
  • rsa이 lsa로 변화한다.
  • a 어간 남성 명사의 단수 주격이 e로 끝난다. (다른 프라크리트어에서는 o로 끝난다.)


마가디의 변종으로 '''아르다마가디''' (ardhamāgadhīsa, "반 마가다어"를 의미)라고 불리는 언어가 있다. 이 언어는 마가디와 그 외의 프라크리트어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특히 śsa가 아닌 ssa가 나타난다. 아르다마가디는 자이나교의 성전 언어로서 특히 유명하다. 자이나교에서는 아르다마가디를 '''아르샤''' (ārṣasa, 리시의 언어라는 뜻)라고도 부른다[9]

현대의 동부 인도 아리아어 (벵골어, 아삼어, 비하르어, 오리야어 등)는 반드시 마가디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벵골어에서는 rsa과 lsa을 구별하며, 마가디의 직접적인 자손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10]

2. 1. 주요 종교 언어

마가다 프라크리트어는 현재의 동인도, 방글라데시, 네팔에 걸쳐 있는 동부 인도 아대륙 지역에서 사용되었다.[2][3] 고대 마가다와 관련이 있으며, 다양한 ''아파브람샤'' 방언으로 현재의 아삼, 벵골, 비하르, 자르칸드, 오디샤 및 동부 우타르프라데시에서 사용되었다.[4] 고타마 붓다와 마하비라가 사용한 중요한 종교 언어이며,[5] 마가다 마하야나파다와 마우리아 제국의 궁정 언어이기도 했다. 일부 아쇼카 칙령이 이 언어로 작성되었다.[3][6]

2. 2. 현대 언어

마가다 프라크리트어는 이후 동부 인도아리아어로 발전했다.[7][8]

3. 음운론적 특징

다른 프라크리트어와 비교하면 음운상 큰 차이가 있다. 특히 눈에 띄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다른 프라크리트어의 s|ㅅsa가 ś|ㅅsa로 나타난다.

# r|ㄹsa이 l|ㄹsa로 변화한다.

# a 어간 남성 명사의 단수 주격이 e로 끝난다. (다른 프라크리트어에서는 o로 끝난다.)

4. 아르다마가디

'''아르다마가디'''(ardhamāgadhī|반 마가다어ard)는 마가디의 변종으로, 마가디와 그 외의 프라크리트어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언어이다. 특히 śsa가 아닌 ssa가 나타난다. 아르다마가디는 자이나교의 성전 언어로 특히 유명하다. 자이나교에서는 아르다마가디를 '''아르샤'''(ārṣa|리시의 언어ard)라고도 부른다[9].

5. 문학

마가다 프라크리트어는 문학 작품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


  • 아소카 왕 칙령: 아소카 왕 석주 칙령(기원전 3세기)은 몇몇 다른 언어로 쓰였지만, 가장 지배적인 언어는 마가디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3] 이는 마우리아 왕조가 마가다국에서 흥기한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산스크리트 연극: 산스크리트 고전극에서 마가다어는 주로 낮은 신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역할어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샤쿤탈라에서는 반지를 발견한 어부와 그 어부를 체포한 순경이 마가다어를 사용한다.[11]
  • 연극의 아르다마가디: 이론상으로는 『나트야 샤스트라』 등의 문헌에서 아르다마가디를 연극의 언어로 인정하고 있다.[12]
  • 자이나교의 아르다마가디: 자이나교 스베탐바라파(백의파)의 정전인 아가마는 아르다마가디어로 쓰였다. 마하비라가 마가다국 출신이었던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4][15]

5. 1. 아소카 왕 칙령

아소카 석주 칙령(기원전 3세기)은 몇몇 다른 언어로 쓰여졌지만, 가장 지배적인 언어(동부 프라크리트라고도 불리며 동부뿐만 아니라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는 마가디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3] 이는 마우리아 왕조가 마가다국에서 흥기한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5. 2. 산스크리트 연극

산스크리트 고전극에서 다른 극 프라크리트어(샤우라세니, 마하라슈트리)에 비해 마가다어는 중요성이 낮고 주로 낮은 신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역할어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샤쿤탈라에서는 반지를 발견한 어부와 그 어부를 체포한 순경이 마가다어를 사용한다.[11]

5. 3. 연극의 아르다마가디

이론상으로는 바라타의 저작으로 전해지는 『나트야 샤스트라』 등의 문헌에서 아르다마가디를 연극의 언어로 인정하고 있다.[12] 그러나 고전극에서 실제로 아르다마가디가 사용된 예는 없다.

하지만 20세기에 발견된 아슈바고샤의 『샤리푸트라 프라카라나』와 바사의 작품으로 알려진 트리반드룸 극에서는 (고)샤우라세니, (고)마가디와 함께 (고)아르다마가디가 사용되었다.[13]

5. 4. 자이나교의 아르다마가디

자이나교 스베탐바라파(백의파)의 정전인 아가마는 아르다마가디어로 쓰여졌다. 마하비라가 마가다국 출신이었던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성전의 언어는 마하라슈트리의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14][15], 자음의 마멸이 심하다.

참조

[1] 간행물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2] 웹사이트 Magadhi / Magahi http://lsi.gov.in/MT[...] 2022-02-24
[3] 서적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Bengali Language https://archive.org/[...] 1926
[4] 서적 The Languages of India: Being a Reprint of the Chapter on Languages https://books.google[...] Office of the Superintendent of Government Printing, India 1903
[5] 서적 Comparative Grammar of the Modern Aryan Languages of India: To Wit, Hindi, Panjabi, Sindhi, Gujarati, Marathi, Oriya, and Bangali http://ebooks.cambri[...]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Wonder that was India Picador
[7] 서적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 Afghanistan, Bangladesh, India Routledge
[8] 서적 Chapter Eleven: "Oriya" https://books.google[...] Routledge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간행물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17] 웹인용 Magadhi / Magahi http://lsi.gov.in/MT[...] 2022-02-24
[18] 서적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Bengali Language https://archive.org/[...] 1926
[19] 서적 The Languages of India: Being a Reprint of the Chapter on Languages https://books.google[...] Office of the Superintendent of Government Printing, India 1903
[20] 서적 Comparative Grammar of the Modern Aryan Languages of India: To Wit, Hindi, Panjabi, Sindhi, Gujarati, Marathi, Oriya, and Bangali http://ebooks.cambr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The Wonder that was India Picador
[22] 서적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 Afghanistan, Bangladesh, India Routledge
[23] 서적 Chapter Eleven: "Oriya" https://books.google[...]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