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리어는 불교 경전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 중부 인도 아리아어이며, "마가다의 언어"로도 알려져 있다. 기원전 1세기에 기록된 《팁피타카》를 시작으로, 스리랑카에서 4~5세기경 쇠퇴기를 겪었으나 부다고사의 업적으로 다시 부흥했다. 팔리어는 스리랑카의 아누라다푸라 마하 비하라에서 유래되었으며, 11세기에는 동남아시아 본토로 확산되어 팔리어 르네상스를 겪었다. 팔리어는 산스크리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음운 변화를 통해 산스크리트어 어휘가 팔리어로 변환되었다. 오늘날에는 주로 불교 경전에 접근하고, 종교 의례에서 사용되며, 팔리텍스트협회와 같은 단체를 통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전어 - 아베스타어
아베스타어는 조로아스터교 경전 아베스타에 기록된 고대 이란어의 일종으로, 고아베스타어와 젊은 아베스타어로 나뉘며, 아베스타 문자로 기록되었다. - 프라크리트어 - 마가다 프라크리트어
마가다 프라크리트어는 고대 인도 아대륙 동부에서 사용된 언어로, 고대 마가다와 관련이 있으며 다양한 아파브람샤 방언으로 발전했고, 고타마 붓다와 마하비라가 사용하고 마가다와 마우리아 제국의 궁정 언어로도 사용되었으며 일부 아쇼카 칙령이 이 언어로 작성되기도 했다. - 프라크리트어 - 아르다마가다 프라크리트어
아르다마가다 프라크리트어는 팔리어와 유사하며 자이나교 아가마에 보존되어 자이나교 학자들에게 널리 사용되었고, 고타마 붓다와 마하비라가 설법한 마가다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후기 마가다 프라크리트어와 달리 [l]을 보존하고 명사 굴절에서 [-o]로 끝맺는 특징을 보인다. - 팔리어 - 아난다 쿠마라스와미
아난다 쿠마라스와미는 스리랑카 출신의 철학자이자 미술사학자로, 인도 미술 연구를 통해 서구에 인도 문화의 가치를 알리고 보스턴 미술관의 인도 미술 초대 관장을 역임했으며, 전통주의 학파를 창시하여 동서양 사상 융합을 시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 활동을 펼쳤다. - 팔리어 - 아리야카 문자
아리야카 문자는 19세기 몽꿋 왕이 팔리어 불교 경전 기록을 위해 콤 타이 문자 등을 대체하고자 그리스 문자와 몬-버마 문자를 기반으로 발명한 문자이다.
팔리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팔리어 |
로마자 표기 | Pali |
발음 | /paːliː/ |
사용 지역 | 인도 아대륙 |
사용 시기 | 기원전 3세기 – 현재 |
사용자 | 상좌부 불교의 전례 언어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인도이란어파 |
어군 | 인도아리아어군 |
하위 어군 | 동부 인도아리아어군 |
문자 | 담마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카로슈티 문자, 크메르 문자, 몬-버마 문자, 타이어, 타이탐 문자, 싱할라 문자, 그리고 로마자 표기 |
ISO 639-1 | pi |
ISO 639-2 | pli |
ISO 639-3 | pli |
글롯토로그 | pali1273 |
기타 정보 | |
주요 사용 국가 | 스리랑카 미얀마 타이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 |
사용 지역 | 인도와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국가들 |
모국어 화자 | 없음. 상좌부 불교의 성전에서 사용됨. |
언어학적 특징 | |
계통 | 프라크리트어군 |
이미지 | |
![]() | |
![]() |
2. 역사
팔리어는 상좌부 불교의 경전과 의식에 사용되는 언어로, 현대에는 사어로 분류된다. 팔리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지만, 마가다국의 마가다어였다는 설이 전통적이었다.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팔리어를 기원전 3세기경의 여러 프라크리트 언어들이 혼합되고 부분적으로 산스크리트어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9][10]
초기 상좌부 불교 주석서에서는 팔리어가 마가다 왕국의 언어인 '마가디'와 동일하며, 붓다가 생전에 사용했던 언어로 여겨졌다.[6] 19세기 영국의 동양학자 로버트 시저 칠더스는 팔리어가 마가디 프라크리트이며, 'pāḷi'는 "줄, 열, 연속"을 의미하여 초기 불교도들이 "일련의 책들"을 의미하도록 확장했고, ''pāḷibhāsā''는 "경전의 언어"를 의미한다고 주장했다.[8]
하지만 현대 학자들은 팔리어가 동부 방언이 아닌 서부 방언에서 유래했다고 본다.[11] 아소카 왕의 칙령 중 기르나르의 소라슈트라에 있는 서부 칙령과 동부의 하티굼파 비문에서 발견되는 중서부 프라크리트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6] 이러한 유사점으로 학자들은 팔리어를 인도 서부 지역과 연결짓는다.[12]
현재 팔리어는 모어 화자가 없지만, 상좌부 불교의 경전과 의식에 사용되는 문어(의례어)로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프라크리트어 중에서도 풍부한 자료가 남아있는 것은 불교 경전이 팔리어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6] 상좌부 불교에서는 자신의 경전을 부처의 직접적인 가르침으로 보는 관점에서 북동부의 마가다어와 동일시되어 왔으나, 현재는 아소카왕비문과의 비교를 통해 인도 중서부의 우자인 주변에서 사용된 프라크리트어의 일종이라는 설이 유력하다.[59]
팔리어는 승려들 간의 의사 소통과 편지 등에 현재도 사용되며,[70] 근대 문명에 대한 신조어도 만들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비행기는 ākāsa-yāna|아카사 야나pi(空車), 기차는 āyo-yāna|아요 야나pi(鐵車)로 표현된다.
2. 1. 이름의 유래
팔리어는 "성전(聖典)"이라는 의미로, 팔리어 불경 주석서(Aṭṭhakathāpi)에서 팔리 삼장(원전)을 의미하는 단어로 처음 등장한다.[61] 삼장에는 팔리라는 말이 없으므로, 주석서가 쓰인 5~6세기경에 처음 쓰인 말로 추측된다.[61]팔리가 언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 것은 18세기 말에 쓰여진 쭐라방사(Culla-vaṃsapi 또는 Cūḷa-vaṃsapi, 小史)의 코테 왕국(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 왕국) 빠락까마바후(Parakkamabāhupi, Parâkramabâhusi) 4세(1410?~1467) 기사에서 처음 등장한다. 태국 등지에 상좌부 불교가 전파된 12~13세기 경부터 언어를 의미하는 말로 쓰인 것으로 추측한다.[62]
이전 불교 문헌에서는 마가다어(Magadhipi, Māgadha-niruttipi, Māgadhika-bhāsāpi) 또는 근본어(Mūla-bhāsāpi, 根本語) 등으로 언급되었다.[63][64][65] 그런데 이후 프라크리트 문학에 마가다어가 사용되므로, 마가다어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66]
2. 2. 기원
팔리어의 기원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여러 가설이 있는데, 가장 전통적인 해석은 마가다국의 마가다어였다는 설이다.[67] 그런데 팔리어는 프라크리트 문학의 마가다어와 공통적인 언어 특성도 있지만, 다른 점도 많다.[69]초기 상좌부 불교 주석서에서는 팔리어가 마가다 왕국의 언어인 '마가디'와 동일하며, 부처가 생전에 사용했던 언어로 여겨졌다.[6] 19세기 영국의 동양학자 로버트 시저 칠더스는 팔리어의 실제 지리적 명칭이 마가디 프라크리트이며, 'pāḷi'가 "줄, 열, 연속"을 의미하여 초기 불교도들이 "일련의 책들"을 의미하도록 확장했고, ''pāḷibhāsā''는 "경전의 언어"를 의미한다고 주장했다.[8]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팔리어를 기원전 3세기경의 여러 프라크리트 언어들이 혼합되고 부분적으로 산스크리트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9][10] 팔리어의 모든 특징을 갖춘 중간 인도 아리아어 방언은 확인되지 않았다.[6] 현대에는 팔리어를 마가디 프라크리트로 알려진 비문뿐만 아니라 다른 관련 문헌 및 문법과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6] 기존 자료 중 아소카 이전 마가디를 구체적으로 기록한 것은 없지만, 기존 자료는 팔리어가 그 언어와 동일하지 않음을 시사한다.[6]
일반적으로 현대 학자들은 팔리어가 동부 방언이 아닌 서부 방언에서 유래했다고 본다.[11] 팔리어는 아소카 왕의 칙령 중 기르나르의 소라슈트라에 있는 서부 칙령과 동부의 하티굼파 비문에서 발견되는 중서부 프라크리트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6] 이러한 유사점으로 학자들은 팔리어를 인도 서부 지역과 연결짓는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리어는 '마가디즘'으로 언급되는 일부 동부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13]
중간 인도 아리아어인 팔리어는 기원 시기보다는 방언적 기반에서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다르다. 팔리어의 여러 형태론적 및 어휘적 특징은 리그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직접적으로 이어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대신, 많은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다른 하나 이상의 방언에서 유래한다.[14]
《팔리어 대장경》 주석서에서는 팔리어를 "마가다어" 또는 "마가다의 언어"라고 언급한다.[6] 이 명칭은 주석서에서 처음 등장하며, 불교도들이 마우리아 제국과 더 밀접하게 연관되기를 바랐던 시도였을 가능성이 있다.[6]
하지만 부처의 가르침 중 일부만이 역사적인 마가다 지역에서 전해졌다.[6] 학자들은 부처가 상호 이해도가 높은 여러 관련 중앙 인도 아리아어 방언으로 가르쳤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현재 팔리어는 모어 화자가 존재하지 않으며, 현대 언어로서는 사어로 분류된다. 현대의 팔리어는 상좌부 불교의 경전과 의식에 사용되는 문어(의례어)로서 형태를 유지할 뿐이며, 원래 어느 지역의 방언이었는지는 불명확하다. 실제로 상좌부 불교에서는 자신의 경전을 부처의 직접적인 가르침으로 보는 관점에서 북동부의 마가다어와 동일시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는 아소카왕비문과의 비교를 통해 인도 중서부의 우자인 주변에서 사용된 프라크리트어의 일종이라는 설이 유력하다.[59] 다만, 마가다어와 팔리어는 언어적으로 큰 차이가 없고, 어휘를 거의 공유하며, 문법상의 차이도 크지 않아 상당히 유사한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60]
2. 3. 불교와의 관계
팔리어가 현재까지 사용되고 프라크리트어 중에서도 풍부한 자료가 남은 것은 불교 경전이 팔리어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6]붓다가 팔리어로 설법을 한 것이 그대로 남은 것으로 간주하지만, 기원전 3세기경 현재의 스리랑카에 불교가 전해져 싱할라어로 기록하기 이전에는 어떤 모습이었는지 알 수 있는 자료가 없다. 그래서 팔리어의 기원에 대한 여러 가지 설들이 나왔으며, 마찬가지로 붓다가 어떤 말로 설법을 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불교 경전은 이후 부파불교 시대를 지나며 팔리어 이외의 다른 언어로도 기록되었다. 프라크리트어로 쓰여진 《담마빠다》와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마하바스투(Mahāvastusa, 大事)》가 남아있다.
《팔리어 대장경》 주석서에서는 팔리어를 "마가다어" 또는 "마가다의 언어"라고 언급한다.[6] 이러한 명칭은 주석서에서 처음 등장하며, 불교도들이 마우리아 제국과 더욱 밀접하게 연관짓고자 했던 시도였을 가능성이 있다.[6]
하지만 부처의 가르침 중 일부만이 역사적인 마가다 지역에서 전해졌다.[6] 학자들은 그가 상호 이해도가 높은 여러 관련 중앙 인도 아리아어 방언으로 가르쳤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상좌부 불교에서 팔리어가 많이 사용된 것은 불교 전도에 있어서 민중에게 이해하기 쉬운 구어(즉, 프라크리트어)를 이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고 추측된다. 후에, 관념적인 논의를 특징으로 하는 대승불교가 성행하게 되면서 전문성이 낮다고 여겨진 팔리어보다 산스크리트어가 사용되게 된다.
2. 4. 현대의 팔리어
팔리어는 승려들 간의 의사 소통과 편지 등에 현재도 사용된다.[70] 근대 문명에 대한 신조어도 만들어지고 있다.- ākāsa-yānapi 비행기(空車)
- āyo-yānapi 기차(鐵車)
3. 다른 언어와의 관계
K. R. 노먼에 따르면, 경전 내 다양한 본문 간의 차이점은 경전이 하나 이상의 방언에서 유래한 자료를 포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6] 그는 또한 북인도의 비하라들이 지역 방언으로 보존된 자료들을 별도로 수집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제안한다.[6] 초기에는 이 자료를 다른 지역에 전달하는 데 번역이 필요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아쇼카 시대 무렵에는 언어적 차이가 더 커졌고, 모든 자료를 집대성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6] 이 과정의 결과로 경전의 팔리어와 매우 유사한 언어가 초기 자료가 보존되었던 다양한 방언들의 타협점으로 등장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언어는 그 이후로 동부 불교도들 사이의 공용어로 기능했다.[6] 이 시대 이후로, 이 언어는 약간의 산스크리트화 과정을 거쳤다.[28]
붓다 보디는 학문의 현재 상태를 요약하면서, 팔리어는 "붓다 자신이 사용했던 언어(또는, 더 가능성이 높은, 다양한 지역 방언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A. K. 워더에 따르면, 팔리어는 서인도 지역에서 사용된 프라크리트 언어이다.[29] 워더는 팔리어를 아반티의 인도 영역(''자나파다'')과 연관짓는데, 여기서 상좌부가 중심을 이루었다.[29] 불교 공동체의 초기 분열 이후, 상좌부는 서인도와 남인도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반면, 대중부는 중앙 인도와 동인도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12] 히라카와 아키라와 폴 그로너 또한 팔리어를 서인도와 상좌부와 연관짓는데, 언어적으로 팔리어와 가장 가까운 사우라슈트라 비문을 인용한다.[12]
3. 1. 산스크리트어와의 관계
팔리어는 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이지만, 베다 산스크리트어와 공통 조어(祖語)에서 유래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변화가 없는 어휘의 경우 팔리어쪽의 조어가 산스크리트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할 수도 있다. 베다 산스크리트어와의 유사성 때문에, 팔리어가 고전 산스크리트어보다 이른 시기에 성립된 것으로 보이며, 프라크리트어 중에서도 고층(古層)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한다.[71] 전통적으로 팔리어 학습은 산스크리트어 학습과 분리되어 있었지만, 현대의 학습자나 연구자들은 산스크리트어와 관련지어서 학습하고 의미를 추론하는 경우가 많다.팔리어는 고유의 문자가 없기 때문에, 산스크리트어 문자로도 기록되었다. 특히 후대에 팔리어 불교 경전이 산스크리트어로 번역되면서 같은 어휘가 매우 많아졌다. 그래서 불교 용어에서는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가 혼용되기도 한다.[72] 지역적 특성상 팔리어의 산스크리트어 표기는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졌으며, 두 언어의 음가는 거의 일대일 대응하는 것으로 취급된다. 현재에도 팔리어 표기에 산스크리트어 문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한역(漢譯) 불경은 산스크리트어판을 저본으로 한 것이 많아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를 함께 연구하기도 한다. 이후 반대로 불교 산스크리트어의 특성이 팔리어에 유입되기도 한다.[72]
K. R. 노먼에 따르면, 경전 내 다양한 본문 간의 차이점은 경전이 하나 이상의 방언에서 유래한 자료를 포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6] 그는 또한 북인도의 비하라들이 지역 방언으로 보존된 자료들을 별도로 수집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제안한다.[6] 초기에는 이 자료를 다른 지역에 전달하는 데 번역이 필요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아쇼카 시대 무렵에는 언어적 차이가 더 커졌고, 모든 자료를 집대성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6] 이 과정의 결과로 경전의 팔리어와 매우 유사한 언어가 초기 자료가 보존되었던 다양한 방언들의 타협점으로 등장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언어는 그 이후로 동부 불교도들 사이의 공용어로 기능했다.[6] 이 시대 이후로, 이 언어는 약간의 산스크리트화 과정을 거쳤다.[28]
붓다 보디는 학문의 현재 상태를 요약하면서, 팔리어는 "붓다 자신이 사용했던 언어(또는, 더 가능성이 높은, 다양한 지역 방언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A. K. 워더에 따르면, 팔리어는 서인도 지역에서 사용된 프라크리트 언어이다.[29] 워더는 팔리어를 아반티의 인도 영역(''자나파다'')과 연관짓는데, 여기서 상좌부가 중심을 이루었다.[29] 불교 공동체의 초기 분열 이후, 상좌부는 서인도와 남인도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반면, 대중부는 중앙 인도와 동인도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12] 히라카와 아키라와 폴 그로너 또한 팔리어를 서인도와 상좌부와 연관짓는데, 언어적으로 팔리어와 가장 가까운 사우라슈트라 비문을 인용한다.[12]
브라만교 전통에서는 산스크리트어가 신들이 사용하는 불변의 언어이며 각 단어에는 고유한 의미가 있다고 여겨졌지만, 초기 불교 전통에서는 어떤 언어에 대해서도 그러한 견해를 공유하지 않았다. 초기 불교에서는 단어가 단지 관습적이고 변화 가능한 기호에 불과하다고 보았다.[30] 이러한 언어관은 자연스럽게 팔리어로 확대되었고, 산스크리트어 대신 팔리어를 사용하게 된 데 기여했을 수 있다. 그러나 팔리어 주석서가 편찬된 시대(4세기 또는 5세기)에는 익명의 저자들에 의해 팔리어가 자연어, 모든 존재의 근원 언어로 묘사되었다.[31][6]
서구 신비주의 전통에서 고대 이집트어, 라틴어, 히브리어와 비슷하게, 팔리어 암송은 종종 초자연적인 힘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다. 초기 불교 문헌에서 우리는 이미 팔리어 다라니()가 부적처럼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좌부 불교 문화권의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팔리어로 서원을 하는 것이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믿고 있다.
문어체이자 고상한 언어인 산스크리트어와 비교하면, 구어체인 팔리어는 자음 동화가 두드러지고, 변화도 볼 수 있다. 그러나 팔리어는 다른 프라크리트와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음운적·구조적인 붕괴가 적어, 프라크리트 중에서 산스크리트어와 가장 가깝다.[59] 명사, 동사의 체계는 기본적으로 산스크리트어와 같다. 다만 명사에서는 격의 융합, 동사에서는 상의 구별, 과거 시제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다. 또한 구문은 일반적으로 정동사 표현이 중심이며, 어순이 일정하여 동사가 문장 끝에 온다. 어휘는 때때로 산스크리트어보다 오래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3. 1. 1. 베다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어휘의 상당수는 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이지만, 베다 산스크리트어와 공통 조어(祖語)에서 유래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변화가 없는 어휘의 경우 팔리어쪽의 조어가 산스크리트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할 수도 있다.이러한 베다 산스크리트어와의 유사성 때문에, 팔리어가 고전 산스크리트어보다 이른 시기에 성립된 것으로 보이며, 프라크리트어 중에서도 고층(古層)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한다.[71]
전통적으로 팔리어 학습은 산스크리트어 학습과 분리되어 있었지만, 현대의 학습자나 연구자들은 산스크리트어와 관련지어서 학습하고 의미를 추론하는 경우가 많다.
3. 1. 2. 불교 산스크리트어
팔리어는 고유의 문자가 없기 때문에, 산스크리트어 문자로도 기록되었다. 특히 후대에 팔리어 불교 경전이 산스크리트어로 번역되면서 같은 어휘가 매우 많아졌다. 그래서 불교 용어에서는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가 혼용되기도 한다.[72]지역적 특성상 팔리어의 산스크리트어 표기는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졌으며, 두 언어의 음가는 거의 일대일 대응하는 것으로 취급된다. 현재에도 팔리어 표기에 산스크리트어 문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한역(漢譯) 불경은 산스크리트어판을 저본으로 한 것이 많아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를 함께 연구하기도 한다.
이후 반대로 불교 산스크리트어의 특성이 팔리어에 유입되기도 한다.[72]
3. 1. 3. 음운
일반적으로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음가는 일대일로 대응하는 것으로 보는데, 팔리어가 산스크리트어보다 음운의 수가 적다.[73]산스크리트어의 모음 ṛsa, ṝsa, ḷsa(팔리어에서는 자음 표기법), ḹsa(베다 산스크리트어 한정), aisa, ausa가 팔리어에는 없다. 복모음 aisa, ausa는 팔리어 epi, opi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ṛsa, ṝsa, ḷsa는 그밖의 모음으로 바뀐다.
산스크리트어 자음 śsa, ṣsa, ḥsa가 팔리어에는 없다. śsa, ṣsa는 spi 또는 chpi로 바뀌며, ḥsa는 생략되거나 다른 음으로 변한다.[73]
반면 팔리어에만 있는 자음 ḷpi는 산스크리트어 ḍsa로 변환된다.[74]
3. 2. 자이나교와의 관계
자이나교 경전은 프라크리트어로 기록되었는데, 이 중 아르다마가디어(Ardha-Māgadhī) 또는 반(半) 마가다어가 팔리어와 유사하다. 아르다마가디어는 고유 문자가 없어 팔리어처럼 시기와 지역에 따라 여러 문자로 기록되었다.[18][19]이러한 형식적, 내용적 유사성 때문에 서구에서는 초기에 불교와 자이나교를 같은 종교로 보기도 하였다. 팔라성전협회(The Pali Text Societry)는 설립 초기에 팔리어 불교 경전 외에 자이나교 경전도 함께 출간하려 했다.[18][19]
3. 3. 마가다어와의 관계
ISO|Pāḷisinh가 고대 마가다 왕국(현재 비하르 지방)에서 사용되던 방언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가 있었다. 초기 상좌부 불교 주석서에서는 팔리어가 마가다 왕국의 언어인 '마가디'와 동일하며, 부처가 생전에 사용했던 언어로 여겨졌다.[6]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팔리어를 기원전 3세기 경의 여러 프라크리트 언어들이 혼합되고 부분적으로 산스크리트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9][10]현대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팔리어가 동부 방언이 아닌 서부 방언에서 유래했다고 본다.[11] 팔리어는 아소카 왕의 칙령 중 기르나르의 소라슈트라에 있는 서부 칙령과 동부의 하티굼파 비문에서 발견되는 중서부 프라크리트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6] 이러한 유사점으로 학자들은 팔리어를 인도 서부 지역과 연결짓는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리어는 '마가디즘'으로 언급되는 일부 동부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13]
중간 인도 아리아어인 팔리어는 그 기원 시기보다는 방언적 기반에 있어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다르다. 팔리어의 여러 형태론적 및 어휘적 특징은 그것이 리그베다 산스크리트어의 직접적인 연속이 아님을 보여준다. 대신, 많은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리그베다와 다른 하나 이상의 방언에서 유래한다.[14]
《팔리어 대장경》 주석서에서는 팔리어를 "마가다어" 또는 "마가다의 언어"라고 언급한다.[6] 하지만 부처의 가르침 중 일부만이 역사적인 마가다 지역에서 전해졌다.[6] 학자들은 그가 상호 이해도가 높은 여러 관련 중앙 인도 아리아어 방언으로 가르쳤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붓다 보디는 학문의 현재 상태를 요약하면서, 팔리어는 "붓다 자신이 사용했던 언어(또는, 더 가능성이 높은, 다양한 지역 방언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마가다어와 팔리어는 언어적으로 유사하며, 어휘를 공유하고 문법상의 차이도 크지 않다고 추정된다.[60]
3. 4. 태국어와의 관계
불교와 함께 태국에 유입된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는 종교 뿐만 아니라 각종 지명, 인명 등에도 광범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조어법과 음운, 심지어 태국어 문법 자체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75] 20세기에는 짓 붐미삭과 바지라부드를 포함한 지역 학자들이 외국 개념과 기술 혁신을 설명하기 위해 팔리어 어근을 사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기도 했다.[51]4. 음운
빨리어는 8개의 모음과 33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인 배열 순서는 다음과 같다.
- a ā i ī u ū e o k kh g gh ṅ c ch j jh ñ ṭ ṭh ḍ ḍh ṇ t th d dh n p ph b bh m y r l ḷ v s h ṃpi
ṃpi을 모음 뒤, 자음 앞에 두기도 하며, ḷpi을 맨 뒤에 두는 경우도 있다.
- a ā i ī u ū e o ṃ k kh g gh ṅ c ch j jh ñ ṭ ṭh ḍ ḍh ṇ t th d dh n p ph b bh m y r l ḷ v s hpi
- a ā i ī u ū e o k kh g gh ṅ c ch j jh ñ ṭ ṭh ḍ ḍh ṇ t th d dh n p ph b bh m y r l v s h ḷ ṃpi
산스크리트어 순서대로 쓴 후, 없는 자모는 빼고 빨리어 자모는 뒤에 추가하기도 한다.
- a ā i ī u ū e o ṃ k kh g gh ṅ c ch j jh ñ ṭ ṭh ḍ ḍh ṇ t th d dh n p ph b bh m y r l v s h ḷpi
거의 모든 팔리어 단어는 프라크리트어에 동족어가 있다. 베다 산스크리트어와의 관계는 덜 직접적이고 더 복잡하다. 프라크리트는 고대 인도아리아어 방언에서 유래했다. 역사적으로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팔리어가 산스크리트어와 유사하다는 점은 산스크리트어가 더 이상 구어(口語)가 된 지 수 세기 후에 쓰여진 후기 산스크리트어 작품들과 비교했을 때 종종 과장되는데, 이 작품들은 중앙 인도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중앙 인도어 어휘의 일부를 직접 차용하기도 했다. 반면, 후기 팔리어 전문 용어의 상당 부분은 산스크리트어의 해당 분야 어휘에서 직접 차용하거나 특정 음운에 맞게 적응시켜 차용되었다.
후기 경전 팔리어에는 팔리어가 사용되었던 지역 언어에서 차용한 몇몇 외래어도 있다(예: 스리랑카인들이 팔리어에 싱할라어 단어를 추가). 이러한 용례는 니까야()에서 발견되는 팔리어와 경전 주석 및 민속(예: 자타카 이야기 주석)과 같은 후기 작품을 구분하며, 이러한 외래어를 기반으로 한 본문의 비교 연구(및 연대 측정)는 이제 그 자체로 전문 분야가 되었다.
팔리어는 부처의 가르침을 전달하는 데만 사용된 것이 아니었는데, 의학/지침 서적과 같은 여러 세속적 텍스트의 존재로부터 알 수 있다. 그러나 불교의 한 단계 발전에 대한 독특한 통찰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팔리어에 대한 학술적 관심은 종교적, 철학적 문헌에 집중되어 왔다.
4. 1. 홀소리 (모음)
팔리어의 모음은 전설, 중설, 후설 모음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모음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이 나눌 수도 있다.
장단모음은 열린 음절에서만 대조적이다. 닫힌 음절에서는 모든 모음이 항상 짧다. 짧은 '''e'''와 '''o''' 그리고 긴 '''e'''와 '''o'''는 상보적 분포에 있다. 짧은 변이형은 닫힌 음절에만 나타나고, 긴 변이형은 열린 음절에만 나타난다. 따라서 짧은 '''e'''와 '''o''' 그리고 긴 '''e'''와 '''o'''는 별개의 음소가 아니다.
''e''와 ''o''는 열린 음절(예: [ne-tum̩] 네툼 '이끌다' 또는 [so-tum̩] 소툼 '듣다'처럼 음절 끝에 위치하는 경우)에서는 길고,[41] 닫힌 음절(예: [upek-khā] '무관심' 또는 [sot-thi] '안전'처럼 자음 뒤에 위치하여 음절을 이루는 경우)에서는 짧다.[41]
겹자음 앞에서는 ''e''가 ''a''로 나타난다.
: ''seyyā'' = Skt. ''śayyā'' '침대'
: ''pheggu'' = Skt. ''phaigu'' '텅 빈, 무가치한'[42]
''-īhi, -ūhi, -īsu'' 등의 어미에서는 ⟨i⟩와 ⟨u⟩가 길어진다.[42]
4. 2. 닿소리 (자음)
빨리어의 닿소리(자음)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colspan=2 | | 순음 | 치음·치경음 | 권설음 | 후치경음·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ɳ | ɲ | |||
파열음/파찰음 | 무성 무기음 | p | t | ʈ | tʃ | k | |
무성 유기음 | pʰ | tʰ | ʈʰ | tʃʰ | kʰ | ||
유성 무기음 | b | d | ɖ | dʒ | ɡ | ||
유성 유기음 | bʱ | dʱ | ɖʱ | dʒʱ | ɡʱ | ||
마찰음 | s | h | |||||
유음 | v (ʋ) | l | r (ɻ) | ||||
반모음 | y (j) |
- 입술소리(순음): 입술을 사용하여 내는 소리 (예: m, p, b)
- 치음·치경음: 혀끝을 윗니 뒤쪽이나 잇몸에 대고 내는 소리 (예: n, t, d, s, l)
- 권설음: 혀끝을 입천장 뒤쪽으로 말아 올려 내는 소리 (예: ṇ, ṭ, ḍ, r)
- 후치경음·경구개음: 혀끝을 잇몸 뒤쪽이나 입천장 앞쪽에 대고 내는 소리 (예: ɲ, c, j, y)
- 연구개음: 혀 뒤쪽을 입천장 뒤쪽에 대고 내는 소리 (예: ṅ, k, g)
- 성문음: 성대 사이의 틈을 이용하여 내는 소리 (예: h)
파열음과 파찰음은 다시 다음과 같이 나뉜다.
- 무성음: 성대를 울리지 않고 내는 소리
- 유성음: 성대를 울리면서 내는 소리
- 무기음: 숨을 적게 내쉬면서 내는 소리
- 유기음: 숨을 많이 내쉬면서 내는 소리
4. 3. 펠드하위스 표기법
펠드하위스(Fran Velthuisnl)가 1991년에 개발한 표기법이다.[42]5. 문법
팔리어는 교착어로서, 거의 모든 단어가 기본 의미를 전달하는 어근 외에 하나 이상의 접사(주로 접미사)를 포함하며, 이 접사는 의미를 여러 가지로 수정한다. 명사는 성, 수, 격에 따라 어형이 변화하고, 동사는 인칭, 수, 시제, 법에 따라 활용된다.[1]
5. 1. 명사 어형 변화
팔리어 명사는 세 가지 성(남성, 여성, 중성)과 두 가지 수(단수, 복수)로 어형 변화를 한다. 명사는 원칙적으로 주격, 호격, 목적격, 조격, 여격, 탈격, 소유격, 처격의 여덟 가지 격을 가진다. 그러나 많은 경우 두 개 이상의 격이 형태적으로 동일하며, 특히 소유격과 여격의 경우가 그렇다.[1]5. 1. 1. a-어간
남성형과 중성형은 주격, 호격, 목적격에서만 다르다.rowspan="2"| | 남성형 (loka- "세계") | 중성형 (yāna- "수레")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로코 | 로까- | 야낭 | 야나니 |
호격 | 로까 | |||
목적격 | 로깜 | 로께 | ||
조격 | 로께나 | 로께히 (로께비) | 야네나 | 야네히 |
여격 | 로까- (로깜하-, 로까스마-; 로까또) | 야나- (야남하-, 야나스마-; 야나또) | ||
7격 | 로까싸 (로까-야) | 로까-낭 | 야나싸 (야나-야) | 야나-낭 |
소유격 | 로까싸 | 야나싸 | ||
처소격 | 로께 (로까스밍, 로깜히) | 로께수 | 야네 (야나스밍, 야남히) | 야네수 |
5. 1. 2. ā-어간
ā로 끝나는 명사는 거의 항상 여성 명사이다.여성 명사 (kathā- "이야기") | ||
---|---|---|
단수 | 복수 | |
주격 | kathā | kathāyo |
호격 | kathe | |
목적격 | kathaṁ|카탕sa | |
조격 | kathāya | kathāhi |
여격 | ||
간접 목적격 | kathānaṁ|카타낭sa | |
소유격 | ||
처소격 | kathāya, kathāyaṁ|카타양sa | kathāsu |
5. 1. 3. i-어간과 u-어간
i-어간과 u-어간은 남성 또는 중성이다. 남성과 중성 형태는 주격과 목적격에서만 다르다. 호격은 주격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1]rowspan="2"| | 남성 (isi- "보는 사람") | 중성 (akkhi- "눈")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isi | isayo, isī | akkhi, akkhiṁ|아키sinh | akkhī, akkhīni |
호격 | ||||
목적격 | isiṁ|이시sinh | |||
조격 | isinā | isihi, isīhi | akkhinā | akkhihi, akkhīhi |
여격 | isinā, isito | akkhinā, akkhito | ||
간격 | isino | isinaṁ|이시낭sinh, isīnaṁ | akkhino | akkhinaṁ|아키낭sinh, akkhīnaṁ |
소유격 | isissa, isino | akkhissa, akkhino | ||
처소격 | isismiṁ|이시스밍sinh | isisu, isīsu | akkhismiṁ|아키스밍sinh | akkhisu, akkhīsu |
rowspan="2"| | 남성 (bhikkhu- "승려") | 중성 (cakkhu- "눈")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bhikkhu | bhikkhavo, bhikkhū | cakkhu|차쿠sinh, cakkhuṁ|차쿵sinh | cakkhūni |
호격 | ||||
목적격 | bhikkhuṁ|비쿠sinh | |||
조격 | bhikkhunā | bhikkhūhi | cakkhunā | cakkhūhi |
여격 | ||||
간격 | bhikkhuno | bhikkhūnaṁ|비쿠낭sinh | cakkhuno | cakkhūnaṁ|차쿠낭sinh |
소유격 | bhikkhussa, bhikkhuno | bhikkhūnaṁ|비쿠낭sinh, bhikkhunnaṁ|비쿤낭sinh | cakkhussa, cakkhuno | cakkhūnaṁ|차쿠낭sinh, cakkhunnaṁ|차쿤낭sinh |
처소격 | bhikkhusmiṁ|비쿠스밍sinh | bhikkhūsu | cakkhusmiṁ|차쿠스밍sinh | cakkhūsu |
6. 산스크리트어와의 음운 변화
일반적으로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음가는 일대일로 대응하는 것으로 보는데, 팔리어가 산스크리트어보다 음운의 수가 적다.
산스크리트어의 전문 용어는 일련의 음운 변환을 통해 팔리어로 변환되었다. 이러한 변환은 원시 팔리어에서 발생한 음운 발달의 하위 집합을 모방했다. 이러한 변환 때문에 주어진 팔리어 단어가 오래된 프라크리트 어휘인지, 산스크리트어에서 변형된 차용어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팔리어 단어에 대응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가 있다고 해서 팔리어 어원에 대한 확실한 증거가 되는 것은 아니다. 프라크리트어 단어에서 역으로 산스크리트어 단어가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다음 음운 과정은 팔리어 생성 과정에서의 역사적 변화를 모두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사이의 일반적인 음운 대응 관계를 요약한 것이다.
문어체이자 고상한 언어인 산스크리트어와 비교하면, 구어체인 팔리어는 자음 동화가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아들"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putra"는 팔리어로 "putta"가 되고, "순간"을 의미하는 "kṣaṇa"는 "khaṇa"와 같이 변한다.[59] 그러나 팔리어는 다른 프라크리트와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음운적·구조적인 붕괴가 적어, 프라크리트 중에서 산스크리트어와 가장 가깝다. 명사, 동사의 체계는 기본적으로 산스크리트어와 같다. 다만 명사에서는 격의 융합, 동사에서는 상의 구별, 과거 시제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다. 또한 구문은 일반적으로 정동사 표현이 중심이며, 어순이 일정하여 동사가 문장 끝에 온다. 어휘는 때때로 산스크리트어보다 오래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는 "iha"보다 구형인 "idha"이다.
6. 1. 모음과 이중모음
산스크리트어의 'ai'와 'au'는 항상 단모음화되어 팔리어의 'e'와 'o'가 된다.[73]산스크리트어 | 팔리어 | 뜻 |
---|---|---|
maitrī | mettā | 친절, 자비 |
auṣadha | osadha | 약초 |
산스크리트어 | 팔리어 | 뜻 |
---|---|---|
katipayāha | katipāha | 누군가 |
vaihāyasa | vehāsa | 하늘에 사는 |
yāvagū | yāgu | 보리 |
- 산스크리트어의 '''aya'''와 '''ava''' 또한 종종 팔리어 '''e'''와 '''o'''로 축약된다.
산스크리트어 | 팔리어 | 뜻 |
---|---|---|
dhārayati | dhāreti | 유지하다, 붙잡다 |
avatāra | otāra | 강림 |
bhavati | hoti | 되다 |
- 산스크리트어의 '''avi'''와 '''ayū'''는 팔리어 '''e''' (즉, '''avi''' → '''ai''' → '''e''')와 '''o'''가 된다.
산스크리트어 | 팔리어 | 뜻 |
---|---|---|
sthavira | thera | 넓고, 두껍고, 치밀한 |
mayūra | mora | 공작 |
6. 2. 자음
팔리어에서 산스크리트어의 자음 ś|Śsa, ṣ|Ṣsa, ḥ|Ḥsa는 나타나지 않는다. ś|Śsa, ṣ|Ṣsa는 s|spi 또는 ch|chpi로 바뀌고, ḥ|Ḥsa는 생략되거나 다른 소리로 바뀐다.[73] 팔리어에만 있는 자음 ḷ|ḷpi는 산스크리트어 ḍ|ḍsa로 변환된다.[74]산스크리트어와 비교했을 때 팔리어는 자음 동화가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아들"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putra"는 팔리어로 "putta"가 되고, "순간"을 뜻하는 "kṣaṇa"는 "khaṇa"와 같이 변한다.[59]
참조
[1]
간행물
Pali language and the Buddhist Canonical Literature
[2]
웹사이트
How Māgadhī Became Pali and It Does not Have Own Scripts
https://www.academia[...]
[3]
서적
Tracing Thoughts Through Things: The Oldest Pali Texts and the Early Buddhist Archaeology of India and Burma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4]
뉴스
Marathi, Bengali, Pali, Prakrit and Assamese Get Classical Language Status
https://www.ndtv.com[...]
[5]
웹사이트
Centre approves five languages as classical languages: Marathi, Pali, Prakrit, Assamese and Bengali
https://www.livemint[...]
[6]
서적
Pali Literature
Otto Harrassowitz
1983
[7]
서적
Pāli - language and literature: a systematic survey and historical study
D.K. Printworld
[8]
서적
A Dictionary of the Pali Language
Trübner
[9]
서적
In the Buddha's Words: an anthology of discourses from the Pāli canon
Wisdom Publications
[10]
학술지
What the Buddha Thought
https://www.academia[...]
2020-12-31
[11]
서적
Literary Cultures in History: Reconstructions from South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서적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Śākyamuni to Early Mahāyān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
서적
Sayings of the Buddha: New Translations from the Pali Nikaya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Pāli: A Grammar of the Language of the Theravāda Tipiṭaka
Walter de Gruyter
[15]
서적
Sri Lanka at the Crossroads of History
UCL Press
[16]
웹사이트
Indo-Chinese Pali
https://www.academia[...]
[17]
학술지
Pali Grammar and Kingship in Medieval Sri Lanka
[18]
학술지
The Historical Value of the Pāli Discourses
[19]
서적
From Birch Bark to Digital Data: Recent Advances in Buddhist Manuscript Research: Papers Presented at the Conference Indic Buddhist Manuscripts: The State of the Field. Stanford, June 15-19 2009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20]
웹사이트
A 1151–2 (Pālībhāṣāvinaya)
http://catalogue-old[...]
[21]
서적
From Birch Bark to Digital Data: Recent Advances in Buddhist Manuscript Research: Papers Presented at the Conference Indic Buddhist Manuscripts: The State of the Field. Stanford, June 15-19 2009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22]
학술지
The Pali Text Society's A Dictionary of Pāli
https://www.cari.ne.[...]
[23]
서적
Buddhist India
G.P. Putnam's Sons
2010-06-14
[24]
서적
Pāli Language and Literature; a systematic survey and historical study
D.K. Printworld Lrd.
[25]
서적
Pāli Language and Literature; a systematic survey and historical study
D.K. Printworld Lrd.
[26]
서적
Pāli Language and Literature; a systematic survey and historical study
D.K. Printworld Lrd.
[27]
서적
Pāli Language and Literature; a systematic survey and historical study
D.K. Printworld Lrd.
[28]
서적
Pāli Literature
Otto Harrassowitz
[29]
서적
Indian Buddhism
[30]
서적
Nagarjuna: The Philosophy of the Middle Way
SUNY Press
[31]
간행물
Dispeller of Delusion
Pali Text Society
[32]
서적
Epitome of the Pali Canon
https://books.google[...]
Lulu.com
2012-10-29
[33]
간행물
Pali Language
[34]
학술지
Non-Canonical Pali Literature
1932-01-01
[35]
서적
A Handbook of Pali Literature
Muni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1997
[36]
웹사이트
181 [95] – The home of the Paisaci – The home of the Paisaci – Page – Zeitschriften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ellschaft – MENAdoc – Digital Collections
http://menadoc.bibli[...]
2019-04-14
[37]
서적
The Buddhist Theory of Self-Cognition
[38]
웹사이트
An Unpublished Fragment of Paisachi – Sanskrit – Pali
https://www.scribd.c[...]
2019-04-14
[39]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40]
서적
The Wonder that was India
Picador
[41]
서적
A Grammar of the Pali Language
Pali Text Society
[42]
서적
Pali Literature and Language 2nd edition
Orintal Books Reptint Corporation Delhi_6
1996-10
[43]
서적
A Grammar of the Pali Language
Pali Text Society
[44]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2007-07-26
[45]
서적
Inscriptions of Aśoka
Office of the Superintendent of Government Printing, Calcutta
[46]
논문
Brahmi Script in Relation to Mesopotamian Cuneiform
[47]
웹사이트
Practices of Protection in the Pali World
https://oxfordre.com[...]
2023-03-01
[48]
웹사이트
Archaeology of Buddhism in Asia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3-01
[49]
서적
The Language Difference: Language and Development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Multilingual Matters
2011
[50]
웹사이트
Chuon Nath: Guardian of cambodian culture
https://www.phnompen[...]
2024-02-19
[51]
서적
Gathering Leaves and Lifting Words: Histories of Buddhist Monastic Education in Laos and Thailand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0-12-01
[52]
웹사이트
Burma
https://www.degruyte[...]
ISEAS Publishing
2018-06-25
[53]
논문
The Mon language:recipient and donor between Burmese and Thai
https://www.zora.uzh[...]
2013
[54]
논문
Languages in Contact: The Case of English and Burmese
https://muse.jhu.edu[...]
1999
[55]
서적
Burmese By Ear
http://www.soas.ac.u[...]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2015-01-21
[56]
서적
The World's Major Languages
Routledge
[57]
웹사이트
On Pali-Burmese Interference
https://brill.com/di[...]
Brill
2002-01-01
[58]
서적
A History of Sri Lanka
Penguin Books India
2005
[59]
서적
バウッダ [佛教]
講談社学術文庫
[60]
서적
バウッダ [佛教]
講談社学術文庫
[61]
서적
팔리어 문법
연기사
[62]
서적
팔리어 문법
연기사
[63]
웹사이트
http://www.budsas.or[...]
[64]
웹사이트
http://www.haeinji.o[...]
[65]
서적
팔리어 문법
연기사
[66]
서적
팔리어 문법
연기사
[67]
서적
팔리어 문법
연기사
[68]
서적
팔리어 문법
연기사
[69]
서적
팔리어 문법
연기사
[70]
서적
팔리어 문법
연기사
[71]
웹사이트
http://haeinji.danah[...]
[72]
서적
팔리어 문법
연기사
2001
[73]
서적
팔리어 문법
연기사
2001
[74]
서적
팔리어 문법
연기사
2001
[75]
논문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가 태국어에 끼친 영향
2011
[76]
웹사이트
http://www.tipitak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