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 공방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라 공방전은 1098년 제1차 십자군이 안티오키아를 점령한 후, 식량 확보를 위해 시리아의 마아라트 알 누만을 공격하면서 벌어진 전투이다. 1098년 11월에 시작된 공방전은 십자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식량 부족으로 인해 십자군 병사들이 인육을 섭취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큰 논란을 일으켰다. 이 사건은 십자군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화시켰으며, 십자군 전쟁의 잔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98년 분쟁 - 안티오키아 공방전
1097년부터 1098년까지 제1차 십자군 전쟁 중 십자군이 안티오키아를 점령하기 위해 벌인 안티오키아 공방전은 십자군의 승리였으나 소유권 분쟁과 질병으로 진군이 지연되었다. - 제1차 십자군 - 니케아 공방전
니케아 공방전은 1097년 제1차 십자군이 룸 술탄국의 수도 니케아를 공격한 사건으로, 십자군은 포위 공격을 시작했으나 비잔티움 제국의 개입으로 니케아가 항복하면서 예루살렘으로 향하게 된다. - 제1차 십자군 - 에데사 백국
에데사 백국은 1098년부터 1149년까지 존속한 십자군 국가로, 보두앵 1세가 건국하였으며 메소포타미아 북부에 위치해 다른 국가들과 떨어져 잦은 공격과 내분으로 1144년 함락되어 제2차 십자군의 계기가 되었다.
마라 공방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 | 마아라 공방전 |
부분 | 제1차 십자군의 일부 |
소속 | 레반트에서의 전투 (1096년–1303년) |
시기 | 1098년 11월 - 12월 |
장소 | 마아라트 안-누만 |
좌표 | 위키데이터 좌표 참조 |
결과 | 십자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십자군 |
교전국 2 | 마아라 시 (알레포의 시리아 셀주크 왕조의 지배하에 있었음) |
지휘관 및 병력 | |
지휘관 1 | 툴루즈 백작 레몽 타란토 공 보에몽 플랑드르 백작 로베르 2세 |
지휘관 2 | 미상 |
병력 1 | 미상 |
병력 2 | 지역 민병대 및 수비대 |
사상자 | |
사상자 1 | 미상 |
사상자 2 | 약 20,000명의 민간인 사망 |
기타 정보 | |
![]() |
2. 배경
1098년 6월 말, 툴루즈 백작 레몽과 타란토 공 보에몽이 이끄는 십자군은 6개월 이상 지속된 안티오키아 공방전에서 승리했다.[1][2] 십자군은 더운 날씨에 바로 예루살렘으로 향하지 않고 안티오키아에 머물렀으며, 가을과 겨울까지 시리아 북서부에 남았다. 그들은 그 동안 인근 농촌 등을 습격하여 식량을 징발했다. 그러나 십자군은 보급선 구축 및 방어에 능숙하지 못했고, 이 때문에 군대 내에서 기아와 장비 부족 등이 광범위하게 발생했다.
1098년 11월 말, 레몽 드 생질과 타란토의 보에몽이 이끄는 십자군이 마라를 포위했다. 마라 시민들은 이전에 레몽 피레가 이끄는 십자군 부대를 격퇴한 경험이 있어 십자군을 얕봤지만, 이번에는 십자군 본대의 공격이었다. 십자군은 겨울을 앞두고 식량이 부족하여 장기간 공성전을 벌일 여력이 없었고, 마라의 강력한 성벽과 깊은 해자 때문에 고전했다.
마라 공방전 당시 십자군의 인육 섭취는 여러 기록에서 확인되는 역사적 사실이다. 캉의 라울은 십자군 병사들이 식량 부족으로 인해 이교도의 시체를 솥에 삶아 먹거나, 아이들을 꼬챙이에 꿰어 구워 먹었다고 기록했다.[6] 샤르트르의 푸셰는 십자군 다수가 기아에 미쳐 사라센인들의 엉덩이 살을 잘라 요리했지만, 덜 익은 채로 먹었다고 묘사하며 몸서리치는 심정을 드러냈다.[8] 에크스의 알베르는 십자군이 투르크인과 사라센인뿐만 아니라 개까지 먹었다고 기록했다.[9][7]
안티오키아 함락 직후인 1098년 7월, 레몽 생질 군대 소속 기사 알레스의 레몽 필레는 다마스쿠스로 가는 남쪽 길목의 중요한 도시인 마아라에 대한 원정을 이끌었다. 그의 군대는 도시에서 훨씬 더 큰 규모의 무슬림 수비대와 마주쳤고, 많은 사상자를 내며 완전히 패배했다.[1][2] 여름 동안 십자군은 남쪽으로 계속 행군하며 다른 여러 작은 마을을 점령했고, 11월에 다시 마아라를 습격했다.
3. 공방전
마라의 수비대는 도시 민병대와 전투 경험이 없는 주민들로 구성되었지만, 2주 동안 십자군의 포위를 견뎌냈다. 그동안 십자군은 공성탑을 만들어 성벽 위로 병사들을 보내려 했고, 동시에 도시 반대편의 허술한 성벽에 사다리를 걸어 기사들을 투입했다.
12월 11일, 십자군은 마침내 성벽을 점령했고, 시민들은 시내로 후퇴했다. 십자군은 시내 진입을 잠시 멈추고 휴식을 취했으나, 가난한 병사들이 시내로 난입해 약탈을 시작했다. 12월 12일 아침, 수비대는 보에몽과 협상하여 항복하면 안전을 보장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6] 무슬림 민병대와 시민들은 항복했지만, 십자군은 약속을 어기고 이들을 학살했다.[6]
보에몽은 도시의 성벽과 탑을 장악했지만, 시내는 또 다른 지휘관인 레몽이 장악했다. 두 사람은 마라 전체의 지배권을 두고 다투었고, 지휘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보에몽과 수비대 사이에 맺어진 항복 조건은 레몽의 부하들에게 전달되지 않았다.
공방전 후, 십자군은 마라의 요새를 파괴하기 시작했다. 병사들은 레몽에게 예루살렘으로의 빠른 진군을 요구했고, 결국 레몽은 이에 굴복하여 1099년 1월 13일, 십자군은 마라의 건물들에 불을 지르고 도시를 완전히 파괴한 후 남쪽으로 진군을 재개했다.[7]
4. 인육 섭취
이러한 인육 섭취는 안티오크 공성전 등 다른 십자군 원정에서도 나타났으며, 일부 자료에서는 민중 십자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노장의 기베르트 등은 이를 적에게 공포를 주기 위한 의도적인 심리전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십자군의 인육 섭취는 아랍 측 자료에도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는데, 굶주림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인육 섭취의 시기와 동기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존재한다. 일부는 공성전 중에, 다른 일부는 도시 정복 후에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기근 때문인지, 아니면 적에게 공포를 주기 위한 것인지에 대한 논쟁도 있다. 아길레르의 레이먼드는 인육 섭취가 공성전 이후 "기근 속에서" 발생했으며, 은밀하고 부끄럽게가 아니라 공개적으로 "열정적으로" 소비되었다고 말하지만, 샤르트르의 풀처, 아헨의 알베르트, 캉의 랄프는 인육 섭취가 공성전 중에 발생했으며 수치스럽고 숨겨진 에피소드가 아닌 공개적인 광경이었음을 시사한다.
역사가 제이 루벤스타인은 연대기 작가들이 불편함을 느껴 사건을 축소하려 했기 때문에 사실의 일부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또한 무슬림만 먹었다는 사실이 굶주림이 유일한 동기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고 분석한다.
4. 1. 타푸르 논쟁
캉의 라울과 샤르트르의 푸셰 등 연대기 작가들은 마라 공방전 당시 십자군 병사들이 식량 부족으로 인해 이교도의 시체를 먹었다고 기록했다.[10] 이러한 식인 행위의 책임을 가난을 맹세한 타푸르에게 돌리는 경향이 있었다.
노장의 기베르는 식인 행위를 타푸르 탓으로 돌린 최초의 인물이며, 그들의 중요성을 축소하려 했다. 그러나 ''안티오크의 노래''에서는 타푸르가 사라센족의 시체를 구워 먹는 광신도로 묘사된다. 루빈스타인은 일부 연대기 저술가들이 식인 행위에 대한 책임을 가난한 자들에게 돌리려는 욕망이 타푸르 신화를 만들어냈다고 분석한다.
아민 말루프는 타푸르 가설을 지지하며, 마라에서의 사건이 아랍인들에게 십자군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아랍 연대기에는 "프랑크"가 잔혹한 "식인종"으로 자주 등장한다.[4]
그러나 말루프의 주장은 다른 학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루빈스타인은 말루프의 주장이 "논쟁적인 속임수"라고 비판하며, 식인 행위를 기록하고 문서화한 것은 아랍인이 아닌 기독교 연대기 저술가였으며, 타푸르를 특별히 비난한 것도 그들 중 일부였다고 지적했다. 카린 부르제는 말루프가 "역사 재작성"에 관여했다고 비난했다.
5. 유산
에크스의 알베르는 "크리스트교도는 살해한 투르크인 및 사라센인뿐만 아니라 개까지도 먹었다"고 기록했다.[11]
참조
[1]
서적
The Chanson D'Antioche: An Old French Account of the First Crusade
Routledge
[2]
백과사전
Bohemund
[3]
서적
Knighthoods of Christ: Essays on the History of the Crusades and the Knights Templar, Presented to Malcolm Barber
Routledge
2017
[4]
서적
The Crusades Through Arab Eyes
https://archive.org/[...]
Al Saqi Books
[5]
문서
マアルーフ、p084
[6]
문서
マアルーフ、p087
[7]
문서
マアルーフ、p089
[8]
서적
The First Crusade: The Chronicle of Fulcher of Chartres and Other Source Material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9]
서적
Historia Hierosolimitana: History of the Journey to Jerusalem
Clarendon Press
[10]
서적
The First Crusade: The Chronicle of Fulcher of Chartres and Other Source Material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1]
서적
Historia Hierosolimitana: History of the Journey to Jerusalem
Clarendo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