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코 페레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코 페레리는 이탈리아 출신의 영화 감독이다. 1973년 영화 《라 그랑 부프》가 대표작이며, 사회주의자이자 무신론자였다. 파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으며, 칸 영화제 예술 감독 질 자콥은 그의 죽음에 대해 "가장 독창적인 예술가 중 한 명"을 잃었다고 평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여왕벌》, 《하렘》, 《바이 바이 몽키》, 《마이 원더풀 라이프》 등이 있으며,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곰상과 은곰상을 수상하고,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작가 - 로렌초 발라
로렌초 발라는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 철학자, 문헌학자로, 고전 문헌 연구를 통해 중세 시대의 권위에 도전하고 르네상스 인문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특히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의 위조 사실을 밝혀내고, 스콜라 철학을 비판하는 등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 - 이탈리아의 작가 - 레오나르도 브루니
레오나르도 브루니는 피렌체 공화국의 서기국장으로서 시민 인본주의를 발전시키고 《피렌체 인민의 역사》를 저술한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이자 역사가, 정치인이다. - 황금곰상 수상 감독 -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영화 감독, 극작가, 배우로, 브레히트와 누벨바그의 영향을 받아 사회 비판적인 영화들을 저예산으로 빠르게 제작하며 《페트라 폰 칸트의 쓰디쓴 눈물》,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나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황금곰상 수상 감독 - 장뤽 고다르
장 뤽 고다르는 프랑스 누벨바그 운동을 이끈 혁신적인 영화 감독으로, 정치적 메시지와 독창적인 편집 기법을 통해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이탈리아의 영화 각본가 - 마리오 모니첼리
마리오 모니첼리는 100편 이상의 각본과 60편 이상의 영화를 감독하며 이탈리아식 코미디 장르를 개척하는 데 기여한 이탈리아 거장 영화감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사회 풍자와 해학을 곁들인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 이탈리아의 영화 각본가 - 에토레 스콜라
에토레 스콜라는 사회 비판적 시각과 휴머니즘을 결합한 작품들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이탈리아의 영화감독이자 각본가로, 《우리는 서로를 너무나 사랑했네》, 《특별한 날》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말년에는 오페라 연출가로도 활동했다.
| 마르코 페레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마르코 페레리 |
| 출생일 | 1928년 5월 11일 |
| 출생지 |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밀라노 |
| 사망일 | 1997년 5월 9일 (68세) |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 직업 |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 배우 |
| 배우자 | 자클린 라모트 |
| 칸 영화제 | 심사위원 특별 그랑프리 (1978년): 바이바이 몽키/코르넬리우스의 꿈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1973년): 마지막 만찬 |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국제 영화 평론가 연맹상: 'El Cochecito' (1980년) |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황금곰상 (1991년): 'La Casa del sorriso' 은곰상 (심사위원 대상) (1980년): 마이 원더풀 라이프 국제 영화 평론가 연맹상 (1972년): 'L'Udienza' |
| 기타 수상 |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 - 최우수 작품상 (1981년): ありきたりな狂気の物語 (평범한 광기의 이야기) |
2. 생애
그는 밀라노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영화는 1973년작인 ''라 그랑 부프''로,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미셸 피콜리, 필립 느와레, 우고 토냐치가 출연했다. 그는 사회주의자이자 무신론자였다.[5]
마르코 페레리 감독의 작품 세계에 대한 정보는 현재 부족하여 추가적인 내용 보강이 필요하다.
그는 파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사망에 대해 칸 국제 영화제 예술 감독 질 자콥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탈리아 영화는 가장 독창적인 예술가 중 한 명, 가장 개성적인 작가 중 한 명을 잃었다 (...) 그는 현대인의 위기 상태를 보여주는 데 있어서 그 누구보다 더 엄격하고 비유적이었다."
3. 작품 세계
3. 1. 주요 작품
4. 수상
마르코 페레리는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 1979년 영화 《나는 망명신청을 했다》로 제3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 - 심사위원 특별상을 받았고,[6] 1991년에는 영화 《미소의 집》으로 제41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곰상을 받았다.[7]
| 영화제 | 상 | 작품 |
|---|---|---|
| 칸 영화제 | 1973년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 최후의 만찬 |
| 칸 영화제 | 1978년 심사위원 특별상 | 바이 바이 몽키 |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1980년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 El Cochecito |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1980년 은곰상 | 마이 원더풀 라이프 |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1991년 황금곰상 | 미소의 집 |
5. 감독 작품 목록
마르코 페레리는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감독했으며, 독특하고 때로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와 스타일로 유명하다. 그의 감독 작품 중 장편 영화는 다음과 같다.
5. 1. 장편 영화
- 엘 피시토(1958)
- 로스 치코스(1959)
- 엘 코체치토(1960)
- 우나 스토리아 모데르나: 라페 레지나(''결혼 침대'', 1963)
- 라 돈나 스킴미아(''원숭이 여자'', 1964)
- 루오모 데이 친퀘 팔로니(1965)
- 여왕벌(1963)
- 기쁨의 테크닉(Marcia Nuziale) (1965)
- 라렘(1967)
- 하렘(1967)
- 일 세메 델루오모(1969)
- 딜린저 에 모르토(''딜린저 이즈 데드'', 1969)
- 루디엔차(1972)
- 리자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버전 제목 ''라 카냐'', 1972)
- 썰물 (1972)
- 라 그란데 부페(프랑스어 및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 더빙 버전 제목 ''라 그란데 아부파타'', 1973)
- 최후의 만찬 (1973)
- 투셰 파 아 라 팜므 블랑슈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더빙 버전 제목 ''논 토카레 라 돈나 비안카'', 영어 제목 ''돈 터치 더 화이트 우먼!'', 1974)
- 라 데르니에르 팜므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더빙 버전 제목 ''루르티마 돈나'', 국제 버전 제목 ''더 라스트 우먼'', 1976)
- 치아오 마스키오 (이탈리아어 및 프랑스어, 프랑스어 더빙 버전 제목 ''레브 뒤 싱'', 영어 버전 제목 ''바이 바이 몽키'', 1978)
- 바이 바이 몽키/코르넬리우스의 꿈 (1977)
- 키에도 아실로(1979) (영어 더빙 버전 제목 ''시킹 아슬럼'', 1980)
- 마이 원더풀 라이프 (1979)
- 테일즈 오브 오디너리 매드니스 (영어; 이탈리아어 더빙 버전 제목 ''스토리 디 오르디나리아 폴리아'', 1981)
- 평범한 광기의 이야기 (1981)
- 스토리 디 피에라 (''피에라의 이야기'', 1983)
- 피에라, 사랑의 연대기 (1983)
- 일 푸투로 에 돈나 (''미래는 여자다'', 1984)
- 미래는 여자의 것이다 (1984)
- 아이 러브 유(1986)
- 아이 러브 유 (1986)
- 야 본 레 블랑 (이탈리아어 더빙 버전 제목 ''코메 소노 부오니 이 비안키!'', 1988)
- 라 반케테 (이탈리아어 제목: ''일 반케토 디 플라토네'', 1989)
- 라 카사 델 소리소 (''하우스 오브 스마일스'', 1991)
- 라 카르네 (각본가 겸임) (1991)
- 다이어리 디 운 비지오 (''다이어리 오브 어 매니악'', 1993)
- 파이트 즈 세 퀘 부드라스(1994)
- 니트라토 다르젠토(1996)
6. 출연 작품 목록
|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 1991 | 더 하우스 오브 스마일 | La Casa del Sorriso | |
| 1991 | 해변의 침실 | Chambre à part | |
| 1984 | 더 퓨쳐 이즈 우먼 | Il futuro è donna | |
| 1983 | 피에라 이야기 | Storia di Piera | |
| 1981 | 어느 시인의 사랑 | Storie di ordinaria follia | |
| 1978 | 바이 바이 몽키 | Rêve de singe | |
| 1976 | 더 라스트 우먼 | La Dernière femme | |
| 1974 | 돈 터치 더 화이트 우먼 | Touche pas à la femme blanche | |
| 1973 | 그랑 부프 | La Grande Bouffe | |
| 1972 | 리자 | La cagna | |
| 1971 | 디 어디언스 | L'Udienza | |
| 1969 | 딜링거 이즈 데드 | Dillinger è morto | |
| 1969 | 인간의 자손 | Il seme dell'uomo | |
| 1970 | 동풍 | Le Vent d'est | |
| 1969 | 돼지우리 | Porcile | |
| 1965 | 브레이크 업 | L'uomo dei cinque palloni | |
| 1964 | 디 에이프 우먼 | La donna scimmia | |
| 1964 | 카운터섹스 | Controsesso | |
| 1963 | 부부의 침대 | L'ape regina | |
| 1959 | 더 리틀 아파트먼트 | El pisito | |
| 1954 | 해변 | La spiaggia | |
| 1954 | 여인과 병사들 | Amori di mezzo secolo | |
| 1967 | 카사노바 70 | Casanova '70 | |
| 1967 | 일곱 번째 층 | El Harem | |
| 1970 | 안녕 걸리버 | Ciao Gulliver | |
| 1979 | 거의 완벽한 관계 | La ragazza di latta | 크레딧 없음 |
7. 각본 작품 목록
- 마피오소 (1962)
- 딜린저는 죽었다 (1969)
- 하얀 여인을 건드리지 마시오 (1973)
- 안녕, 남자 (1977)
- 나는 피난처를 원한다 (1980)
- 피에라의 이야기 (1983)
- 미래는 여자다 (1984)
- 아이 러브 유 (1985)
참조
[1]
웹사이트
Filmmuseum - Catherine Breillat / Marco Ferreri
https://www.filmmuse[...]
2020-01-31
[2]
웹사이트
Marco Ferreri
http://www.imdb.com/[...]
2020-01-31
[3]
웹사이트
Marco Ferreri
http://www.imdb.com/[...]
2020-01-31
[4]
웹사이트
Cento film e un'Italia da non dimenticare
https://movieplayer.[...]
2020-01-31
[5]
서적
Dieci per amore
Edizioni Paoline
2001
[6]
웹사이트
Berlinale: 1980 Prize Winners
http://www.berlinale[...]
2010-08-15
[7]
웹사이트
Berlinale: 1991 Prize Winners
http://www.berlinale[...]
2011-03-26
[8]
웹사이트
Berlinale: 1993 Programme
http://www.berlinale[...]
2011-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