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금곰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금곰상은 베를린 국제 영화제의 최고상으로, 1951년 제1회 영화제부터 수여되었다. 처음에는 서독 심사위원단이 수상작을 결정했고, 1952년부터 1955년까지는 관객 투표로 수상작을 선정했다. 1956년 국제 영화 제작자 협회 연맹(FIAPF)의 공식 공인 이후에는 국제 심사위원단이 수상작을 결정하고 있다. 곰을 형상화한 조각상으로, 독일 조각가 레네 진테니스가 디자인했다. 이안 감독이 1993년과 1996년에 두 번 수상하여 최다 수상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영화계에 공헌한 인물에게는 명예 황금곰상이 수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최고 영화 작품상 - 아카데미 작품상
    아카데미 작품상은 매년 최고의 영화에 수여되는 아카데미상의 주요 부문으로, 1927/28년 시작되어 명칭과 수여 대상, 후보작 수의 변화를 거쳐 현재 제작자에게 수여되며, 감독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 최고 영화 작품상 - 황금사자상
    황금사자상은 베니스 국제 영화제의 최고 작품상으로, 1949년에 제정되었으며, 프랑스가 가장 많은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영화 산업 기여 인물에게 명예 황금사자상을 수여한다.
  • 황금곰상 수상 감독 -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영화 감독, 극작가, 배우로, 브레히트와 누벨바그의 영향을 받아 사회 비판적인 영화들을 저예산으로 빠르게 제작하며 《페트라 폰 칸트의 쓰디쓴 눈물》,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나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황금곰상 수상 감독 - 장뤽 고다르
    장 뤽 고다르는 프랑스 누벨바그 운동을 이끈 혁신적인 영화 감독으로, 정치적 메시지와 독창적인 편집 기법을 통해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황금곰상 수상작 - 12인의 성난 사람들 (1957년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1957년 영화)은 18세 소년의 유죄 여부를 두고 배심원들이 토론하는 법정 드라마로, 헨리 폰다가 합리적 의심을 제기하며 편견과 소수 의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황금곰상 수상작 - 센스 앤 센서빌리티
    제인 오스틴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센스 앤 센서빌리티는 아버지 사망 후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대시우드 가 세 자매의 사랑과 결혼을 그린 작품으로, 이성적인 엘리너와 감성적인 매리앤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사랑을 경험하며 사회적 규범 속에서 행복을 찾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엠마 톰슨 각색, 이안 감독 연출로 호평을 받고 아카데미 각색상 등을 수상했다.
황금곰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황금곰상
원어 이름Goldener Bär (독일어)
수여 기관베를린 국제 영화제
국가독일
위치베를린
첫 시상 연도1951년
최근 시상 연도2024년
최근 수상작다호메이 (마티 디오프 감독)
웹사이트베를린 국제 영화제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51년 제1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서독 심사위원단이 부문 및 장르에 따라 5개의 황금곰상을 수여했다.[3] 1952년부터 1955년까지는 관람객들이 황금곰상 수상자를 결정했다.[4] 1956년 국제 영화 제작자 협회 연맹이 베를린 국제 영화제를 공식적으로 공인한 이후부터는 국제 심사위원단이 황금곰상을 수여하고 있다.[4]

2. 1. 독일 심사위원 투표 (1951년)

1951년에 열린 제1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독일 심사위원들의 투표로 황금곰상 수상작을 결정하였다. 드라마, 코미디, 다큐멘터리, 스릴러 및 모험, 음악 영화의 5개 부문에서 각 1편씩, 총 5편의 영화가 황금곰상을 수상했다.[15][3]

}

| 레오폴드 린트베르크

| 스위스

|-

| (코미디 황금곰상)

| ...Sans laisser d'adresse|fra

| 장폴 르 샤누아

| 프랑스

|-

| (다큐멘터리 황금곰상)

| In Beaver Valley|eng

| 제임스 알가

| 미국

|-

| 재판은 끝났다 (스릴러 및 모험 황금곰상)

| Justice est faite|fra

| 앙드레 카야트

| 프랑스

|-

| 신데렐라 (음악 영화 황금곰상)

| Cinderella|eng

| 윌프레드 잭슨

| 미국

|}

2. 2. 관객 투표 (1952년 ~ 1955년)

1952년부터 1955년까지는 관객들의 투표로 황금곰상 수상작을 결정하였다.[16][4]

연도영화원제감독국가
1951년(드라마 황금곰상){{lang|deu|Die Vier im Jeep|}
연도영화원제감독국가
1952년《원 섬머 오프 해피니스》Hon dansade en sommar아른 매트슨스웨덴
1953년공포의 보수Le Salaire de la Peur앙리 조르주 클루조프랑스
1954년홉슨의 사위 고르기'Hobsons Choice''데이비드 린영국
1955년《더 랫츠》Die Ratten로버트 시오드맥서독


2. 3. 국제 심사위원 (1956년 이후)

1956년, 국제 영화 제작자 협회 연맹(FIAPF)은 베를린 국제 영화제를 공식적으로 공인하였고, 이후 황금곰상은 국제 심사위원단에 의해 수여되기 시작했다.[4] 1970년에는 경쟁 부문 심사가 중단되어 황금곰상 수상작이 없었다.

연도영화감독국가
1956인비테이션 투 더 댄스진 켈리미국
195712인의 성난 사람들시드니 루멧미국
1958산딸기잉마르 베리만스웨덴
1959사촌들클로드 샤브롤프랑스
1960엘 라사리요 데 토르메스세자르 페르난데스 아르다빈스페인 / 이탈리아
1961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이탈리아 / 프랑스
1962사랑의 유형존 슐레진저영국
1963디아볼로잔 루이지 폴리도르이탈리아
1963부시도이마이 다다시일본
1964메마른 여름메틴 에륵산튀르키예
1965알파빌장뤼크 고다르프랑스 / 이탈리아
1966막다른 골목로만 폴란스키영국
1967출발예지 스콜리모프스키벨기에
1968누가 그의 죽음을 보았는가얀 트로엘스웨덴
1969얼리 웍스젤리미르 질닉유고슬라비아
1970수상작 없음
1971핀치 콘티니의 정원비토리오 데 시카이탈리아 / 서독
1972캔터베리 이야기피에르 파올로 파졸라니이탈리아 / 프랑스
1973대지의 눈물사티야지트 레이인도
1974더디 크레이비츠의 수습 기간테드 코체프캐나다
1975어돕션마르타 메자소르헝가리
1976버팔로 빌과 인디언들로버트 올트먼미국
1977고양라리사 셰피트코소련
1978왓 맥스 세드에밀리오 마르티네스 리자오스페인
1978트라웃조시 루이스 가르시아 산체스스페인
1978아센소르토마스 무뇨스스페인
1979데이비드피터 릴리엔탈서독
1980팔레르모 오 울프스부르그베르너 슈뢰터서독
1980하트랜드리처드 피어스미국
1981질주카를로스 사우라스페인
1982베로니카 포스의 갈망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서독
1983어센던시에드워드 베넷영국
1983벌집마리오 카무스스페인
1984사랑의 행로존 카사베츠미국
1985우먼 앤드 더 스트레인저라이너 사이먼동독
1985웨더비데이비드 헤어영국
1986쉬탐하임라인하르트 하우프서독
1987테마글렙 판필로프소련
1988붉은 수수밭장이머우중국
1989레인 맨배리 레빈슨미국
1990뮤직 박스코스타 가브라스미국
1990줄 위의 종달새이르지 멘젤체코
1991더 하우스 오브 스마일마코 페레리이탈리아
1992그랜드 캐년로렌스 캐스단미국
1993향혼녀시에페이중국
1993결혼 피로연리안타이완 / 미국
1994아버지의 이름으로짐 셰리던아일랜드 / 영국
1995라빠베르트랑 타베르니에프랑스
1996센스 앤 센서빌리티리안미국 / 영국
1997래리 플린트밀로스 포먼미국
1998중앙역월터 살레스브라질 / 프랑스
1999씬 레드 라인테런스 맬릭미국
2000매그놀리아폴 토머스 앤더슨미국
2001정사파트리스 셰로프랑스
2002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미야자키 하야오일본
2002블러디 선데이폴 그린그래스영국 / 아일랜드
2003인 디스 월드마이클 윈터보텀영국
2004미치고 싶을 때파티 아킨독일 / 튀르키예
2005카르멘마크 돈퍼드메이남아프리카 공화국
2006그르바비차야스밀라 주바니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07투야의 결혼왕취안안중국
2008엘리트 스쿼드조제 파질랴브라질
2009파우스타클라우디아 로사페루
2010벌꿀세미 카플라노글루튀르키예 / 독일 / 프랑스
2011씨민과 나데르의 별거아시가르 파르하디이란
2012시저는 죽어야 한다파올로, 비토리오 타비아니이탈리아
2013아들의 자리칼린 페터 네쩌루마니아
2014백일염화디아오 이난중국
2015택시자파르 파나히이란
2016화염의 바다잔프랑코 로시이탈리아
2017우리는 같은 꿈을 꾼다일디코 엔예디헝가리
2018터치 미 낫애디너 핀틸리루마니아
2019시너님스나다브 라피드프랑스 / 이스라엘
2020사탄은 없다모함마드 라술로프이란
2021배드 럭 뱅잉라드 주드루마니아
2022알카라스카를라 시몬스페인 / 이탈리아
2023파리 아다망에서 만난 사람들니콜라 필리베르프랑스 / 일본
2024다호메이마티 디오프프랑스 / 세네갈 / 베냉


3. 수상작

마티 디옵(Mati Diop)은 2024년 영화 《다호미》()로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니콜라스 필리베르(Nicolas Philibert)는 2023년 영화 《아다망에서》()으로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카를라 시몬(Carla Simón)은 2022년 영화 《알카라스》()로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아디나 핀틸리에(Adina Pintilie)는 2018년 영화 《터치 미 낫》()으로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황금곰상은 베를린 국제 영화제 최고의 영예로, 경쟁 부문 최우수 작품에게 수여된다. 초기에는 심사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1951년에는 서독 심사위원단이 장르별로 나누어 시상했으며[13], 1952년부터 1955년까지는 관객 투표로 수상작을 결정했다. 1956년부터 현재까지는 국제 심사위원단이 수상작을 선정하고 있다. 1970년에는 영화 《O.K.(o.k.)》 상영을 둘러싼 논란으로 인해 시상식이 열리기 전에 심사위원단이 사임하여 상이 수여되지 않기도 했다.[12]

역대 수상작 목록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1950년대

})

| 레오폴드 린트베르크

| 스위스

|-

| ''주소 없이'' (...Sans laisser d'adresse|프랑스어)

| 장폴 르 샤노아

| 프랑스

|-

| ''비버 계곡에서'' (In Beaver Valley)

| 제임스 알가

| 미국

|-

| ''정의가 실현된다'' (Justice est faite|프랑스어)

| 앙드레 카야트

| 프랑스

|-

| ''신데렐라'' (Cinderella)

| 윌프레드 잭슨

| 미국

|-

| colspan="4"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f0f0f0;" | '''1952–1955년: 관객 투표'''

|-

! 1952년 (2회)

| ''행복의 어느 여름'' (Hon dansade en sommar|sv)

| 아르네 마트손

| 스웨덴

|-

! 1953년 (3회)

| ''공포의 보수'' (Le Salaire de la peur|프랑스어)

| 앙리 조르주 클루조

| 프랑스, 이탈리아

|-

! 1954년 (4회)

| ''홉슨의 선택'' (Hobson's Choice)

| 데이비드 린

| 영국

|-

! 1955년 (5회)

| ''쥐'' (Die Ratten|de)

| 로베르트 시요드마크

| 서독

|-

| colspan="4"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f0f0f0;" | '''1956년–현재: 국제 심사위원'''

|-

! 1956년 (6회)

| ''춤에의 초대'' (Invitation to the Dance)

| 진 켈리

| 미국

|-

! 1957년 (7회)

| ''12인의 성난 사람들'' (12 Angry Men)

| 시드니 루멧

| 미국

|-

! 1958년 (8회)

| ''산딸기'' (Smultronstället|sv)

| 잉마르 베르히만

| 스웨덴

|-

! 1959년 (9회)

| ''사촌들'' (Les Cousins|프랑스어)

| 클로드 샤브롤

| 프랑스

|}

3. 2. 1960년대

wikitext

연도 (회차)영화 제목 (원제)감독제작 국가
1951년: 서독 심사위원 투표
1951년 (1회)포 인 어 지프 ({{lang|de|Die Vier im Jeep|}
연도영어 제목원제감독제작 국가
1960년라사리요 데 토르메스El Lazarillo de Tormes세사르 페르난데스 아르다빈스페인
1961년La Notte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이탈리아
1962년사랑의 종류A Kind of Loving존 슐레진저영국
1963년무사도, 사무라이 사가武士道残酷物語|부시도 잔코쿠 모노가타리jpn이마이 다다시일본
잠자리에 들 건가 말 건가Il diavolo잔 루이지 폴리도로이탈리아
1964년건조한 여름Susuz yaz메틴 에르크산튀르키예
1965년알파빌Alphaville, une étrange aventure de Lemmy Caution장뤽 고다르프랑스, 이탈리아
1966년막다른 골목Cul-de-sac로만 폴란스키영국
1967년출발Le Départ제르지 스콜리모프스키벨기에
1968년그가 죽는 것을 본 사람Ole dole doff얀 트로엘스웨덴
1969년초기 작품Rani radovi|라니 라도비srp젤리미르 질니크유고슬라비아


3. 3. 1970년대

연도수상작 (원제)감독국가
1970년미하엘 베르호벤의 반전 영화 《O.K.(o.k.)》 상영을 둘러싼 논란으로 심사위원단이 사퇴하여 수상작 없음.[12]
1971년핀치 콘티니 가의 정원 (Il giardino dei Finzi Contini)비토리오 데 시카이탈리아, 서독
1972년캔터베리 이야기 (I racconti di Canterbury)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이탈리아
1973년멀리 떨어진 천둥 (Ashani Sanket)사티야지트 레이인도
1974년더디 크라비츠의 수습 (The Apprenticeship of Duddy Kravitz)테드 코체프캐나다
1975년입양 (Örökbefogadás)마르타 메자로시헝가리
1976년버팔로 빌과 인디언들, 또는 앉아있는 황소의 역사 수업 ('Buffalo Bill and the Indians, or Sitting Bulls History Lesson'')로버트 알트만미국
1977년등반 (Voskhozhdeniye)라리사 셰피트코소련
1978년엘리베이터 (Ascensor)토마스 무뇨스스페인
송어 (Las truchas)호세 루이스 가르시아 산체스
맥스가 말한 것 (Las palabras de Max)에밀리오 마르티네스 라사로
1979년데이비드 (David)페터 릴리엔탈서독


3. 4. 1980년대

wikitext

연도수상작 (원제)감독제작 국가
1980년하트랜드 (Heartland)리처드 피어스미국
팔레르모 또는 볼프스부르크 (Palermo oder Wolfsburg)베르너 슈뢰터서독
1981년질주 (Deprisa, deprisa)카를로스 사우라스페인
1982년베로니카 포스 (Die Sehnsucht der Veronika Voss)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서독
1983년어센던시 (Ascendancy)에드워드 베넷영국
벌집 (La colmena)마리오 카무스스페인
1984년러브 스트림스 (Love Streams)존 카사베츠미국
1985년여자와 이방인 (Die Frau und der Fremde)라이너 지몬동독
웨더비 (Wetherby)데이비드 헤어영국
1986년슈탐하임 (Stammheim)라인하르트 하우프서독
1987년주제 (Тема)글레브 판필로프소련
1988년붉은 수수밭 (红高粱)장이머우중국
1989년레인 맨 (Rain Man)배리 레빈슨미국


3. 5. 1990년대

wikitext

연도영어 제목원제감독제작 국가
1990년실을 매단 종달새 (Larks on a String)Skřivánci na niti이르지 멘젤체코슬로바키아
뮤직 박스 (Music Box)Music Box코스타 가브라스미국
1991년웃음의 집 (The House of Smiles)La casa del sorriso마르코 페레리이탈리아
1992년그랜드 캐년 (Grand Canyon)Grand Canyon로렌스 캐스단미국
1993년결혼 피로연 (The Wedding Banquet)喜宴 (Xǐyàn)이안대만, 미국
향혼녀 (Woman Sesame Oil Maker)香魂女 (Xiāng hún nǚ)셰 페이중국
1994년아버지의 이름으로 (In the Name of the Father)In the Name of the Father짐 쉐리던영국, 아일랜드
1995년미끼 (The Bait)'Lappât''베르트랑 타베르니에프랑스
1996년센스 앤 센서빌리티 (Sense and Sensibility)Sense and Sensibility이안미국
1997년래리 플린트 (The People vs. Larry Flynt)The People vs. Larry Flynt밀로스 포먼[14]미국
1998년중앙역 (Central Station)Central do Brasil월터 살레스브라질, 프랑스
1999년씬 레드 라인 (The Thin Red Line)The Thin Red Line테렌스 맬릭미국


3. 6. 2000년대

wikitext

개최 연도수상작수상자(감독)국가
2000년매그놀리아
Magnolia
폴 토머스 앤더슨미국
2001년인티머시
Intimacy
파트리스 셰로프랑스
영국
스페인
2002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千と千尋の神隠し
미야자키 하야오일본
블러디 선데이
Bloody Sunday
폴 그린그래스영국
아일랜드
2003년인 디스 월드
In This World
마이클 윈터보텀영국
2004년미치고 싶을 때
Gegen die Wand
파티 아킨독일
2005년U-카르멘
U-Carmen eKhayelitsha
마크 돈포드메이남아프리카 공화국
2006년그르바비차
Grbavica
야스밀라 즈바니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07년투야의 결혼
图雅的婚事
왕취안안중국
2008년엘리트 스쿼드
Tropa de Elite
조제 파딜리아브라질
2009년슬픔의 밀크
La Teta Asustada
클라우디아 요사스페인
페루


3. 7. 2010년대

(Baltr)세미흐 카플란오을루튀르키예2011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جدایی نادر از سیمین|Jodaí-e Nadér az Simínfa)아스가르 파라디이란2012년카이사르는 죽어야 한다
(Cesare deve morireit)파올로 타비아니, 비토리오 타비아니이탈리아2013년차일드 포즈
(Poziția Copiluluiro)칼린 페터 네처루마니아2014년백일염화
(白日焰火|Báirì Yànhuǒ중국어)댜오 이난중국2015년택시
(تاکسی|Taxifa)자파르 파나히이란2016년파이어 앳 시
(Fuocoammareit)잔프란코 로시이탈리아2017년우리는 같은 꿈을 꾼다
(Testről és lélekrőlhu)일디코 엔예디헝가리2018년터치 미 낫
(Nu mă atinge-măro)아디나 핀틸리에루마니아2019년동의어들
(Synonymes프랑스어)나다브 라피드프랑스, 이스라엘


3. 8. 2020년대

(شیطان وجود ندارد|셰이탄 보주드 나다라드fa)모하마드 라술로프이란2021년언럭키 섹스 또는 미친 포르노
(Babardeală cu bucluc sau porno balamuc|바바르데알러 쿠 부클룩 사우 포르노 발라무크ro)라두 주데루마니아2022년알카라스
(Alcarràs|알카라스ca)카를라 시몬스페인이탈리아2023년아다망 호에 올라
(Sur l’Adamant|쉬르 라다망프랑스어)니콜라 필리베르프랑스일본2024년다호메
(Dahomey|다오메프랑스어)마티 디옵프랑스세네갈베냉


4. 최다 수상자

리안은 황금곰상을 두 번 수상한 유일한 감독이다. 그는 제43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결혼 피로연'' (1993년)으로, 제4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센스 앤 센서빌리티'' (1996년)로 수상했다.

5. 명예 황금곰상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영화계에 큰 공헌을 한 인물에게 명예 황금곰상을 수여한다.

연도수상자
1982제임스 스튜어트
1988앨릭 기니스
1989더스틴 호프먼
1990올리버 스톤
1993그레고리 펙, 빌리 와일더
1994소피아 로렌
1995알랭 들롱
1996엘리아 카잔, 잭 레먼
1997킴 노백
1998카트린 드뇌브
1999셜리 매클레인
2000잔 모로
2001커크 더글러스
2002로버트 올트먼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2003아누크 에메
2004페르난도 솔라나스
2005임권택, 페르난도 페르난 고메스
2006이언 매켈런
2007아서 펜
2008프란체스코 로시
2009모리스 자르
2010한나 쉬굴라 볼프강 콜하세
2011아르민 뮐러슈탈
2012메릴 스트립
2013클로드 란즈만
2014켄 로치
2015빔 벤더스
2016미하엘 발하우스
2017밀레나 카노네로
2018윌럼 더포
2019샬럿 램플링
2020헬렌 미렌
2022이자벨 위페르
2023스티븐 스필버그
2024마틴 스코세이지


6. 디자인

황금곰상은 뒷다리로 서 있는 을 묘사한다. 이는 독일의 조각가 레네 진테니스가 1932년에 디자인한 베를린 문장 마스코트 조각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이후 베를린 국제 영화제의 상징이 되었다.[5] 이 상은 첫 번째[5] 또는 세 번째[6] 영화제부터 헤르만 노아크 미술 주조소에서 제작되었다.[7]

원래의 상은 1960년에 더 큰 버전으로 재설계되었으며,[8] 이전 모델과는 달리 곰의 왼쪽 팔이 들려 있는 형태이다.[9]

2010년 기준으로, 곰 조각상의 높이는 20cm이며, 수상자의 이름이 새겨진 받침대에 고정되어 있다.[10] 조각상은 청동을 속 재료로 하여 겉면을 으로 도금하여 만든다. 상의 총 무게는 4kg이다.[11]

참조

[1] 뉴스 Where was African joy at Cannes or African humour at Sundance? The big film festivals need to look beyond stereotypes https://www.theguard[...] 2024-08-28
[2] 웹사이트 No Documentary Triple Crown, But Cannes Gives Big Platform To Nonfiction Cinema https://deadline.com[...] 2024-08-28
[3] 웹사이트 Juries 1951 https://www.berlinal[...]
[4] 웹사이트 "- Berlinale – Archive – Annual Archives – 1952 – Juries" http://www.berlinale[...]
[5] 웹사이트 Eventful Berlinale https://www.deutschl[...] 2020-04-09
[6] 웹사이트 The woman behind the Bär https://www.exberlin[...] 2022-09-23
[7] 웹사이트 Making of the bear: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rophy https://www.dailysab[...] 2023-02-25
[8] 웹사이트 Große kleine Tiere https://www.cicero.d[...] 2019-04-09
[9] 서적 The Economy of Prestige: prizes, awards, and the circulation of cultural valu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10] 뉴스 Berlinale Cineasten blicken auf den Bären https://www.faz.net/[...] 2019-04-09
[11] 웹사이트 In pictures https://www.novinite[...] 2019-04-09
[12] 웹사이트 Berlinale 1970: Prize Winners https://www.berlinal[...] 2010-03-07
[13] 간행물 1951 : Prize Winners http://www.berlinale[...] Internationale Filmfestspiele Berlin 2014-07-05
[14] 뉴스 フォアマン監督が死去、86歳 映画「アマデウス」などでアカデミー賞2度受賞 https://web.archive.[...] 2021-02-13
[15] 웹인용 1951: Prize Winners http://www.berlinale[...] 2016-07-23
[16] 웹인용 1952: Juries http://www.berlinale[...] 2016-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