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틴 크누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틴 크누센은 1871년 덴마크에서 태어나 1949년 사망한 덴마크의 물리학자이자 해양학자이다.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교수로 재직했으며, 1927년부터 1928년까지는 총장을 역임했다. 그는 해수 중의 염분을 정의하고 표준 해수를 제안했으며, 염소량과 수온을 이용해 해수의 비중과 밀도를 계산하는 실험식을 도출했다. 이를 바탕으로 『크누센 해양 조사 사용표』를 편찬하여 해양 역학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기체의 흐름과 성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크누센 진공계를 제작하고 크누센 수를 정의했다. 1935년에는 알렉산더 아가시 메달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물리학자 - 닐스 보어
닐스 보어는 덴마크의 물리학자로, 원자 구조와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 보어의 원자 모형 발표로 러더퍼드 원자 모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수소 원자 스펙트럼을 설명했으며, 노벨 물리학상 수상, 코펜하겐 이론물리학 연구소 설립, 상보성 원리와 불확정성 원리 등 양자역학의 철학적 해석에 기여, 맨해튼 계획 참여 및 핵무기 통제를 위한 국제 협력을 촉구하는 등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에도 앞장섰다. - 덴마크의 물리학자 - 오게 닐스 보어
오게 닐스 보어는 덴마크의 물리학자이자 닐스 보어의 아들로, 원자핵 구조 이론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와 닐스 보어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원자핵 물리학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겼다. - 유체역학자 - 블레즈 파스칼
블레즈 파스칼은 1623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수학, 물리학, 철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확률론, 유체역학 연구, 철학적 사상 등을 통해 과학 혁명에 기여했다. - 유체역학자 - 존 폰 노이만
헝가리 출신의 존 폰 노이만은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폰 노이만 아키텍처는 현대 컴퓨터 설계의 기초가 되었고 게임 이론의 창시자로도 알려진 20세기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1871년 출생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1871년 출생 - 박성빈 (조선)
박성빈은 1871년에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고 동학 농민 운동에 가담했으며, 아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되었다.
마르틴 크누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마르틴 한스 크리스티안 크누센 |
출생 | 1871년 2월 15일 |
출생지 | 오테루프 하스마르크 |
사망 | 1949년 5월 27일 |
사망지 | 코펜하겐 |
학문 분야 | |
분야 | 물리학, 해양학 |
모교 | 코펜하겐 대학교 |
직장 | 코펜하겐 대학교 |
업적 | |
주요 업적 | 크누센 셀 크누센 흐름 크누센 확산 크누센 방정식 크누센 힘 크누센 수 크누센 기체 크누센 층 크누센 절대 압력계 크누센 역설 크누센 펌프 헤르츠-크누센 방정식 |
수상 | |
수상 내역 | 알렉산더 아가시 메달 (1936년) 외르스테드 메달 (1916년) |
2. 생애
(내용 없음)
2. 1. 출생과 교육
마르틴 크누센은 1871년 덴마크에서 태어났다. 1890년에는 코펜하겐 대학교에 입학하여 물리학을 공부했다.2. 2. 학문 활동
1890년 코펜하겐 대학교에 진학하여 물리학을 공부하였다.[1] 1899년에는 해수 중의 "염분"을 정의하고, 표준 해수를 제안하였다.[1] 1901년에는 『크누센 해양 조사 사용표』를 발표하여 해양학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1]1912년부터 1941년까지 코펜하겐 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 기간 중인 1927년부터 1928년까지는 같은 대학의 총장을 역임하였다.[1] 또한, 1930년부터 1936년까지 해양 물리학 분과 회장을 맡았고, 1935년에는 해양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아 알렉산더 아가시 메달을 수상하였다.[1]
2. 3. 수상 및 사망
1935년 알렉산더 아가시 메달을 수상하였으며, 1949년 사망하였다.3. 주요 업적
마르틴 크누센은 해양학과 물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해양학 분야에서는 해수의 염분 정의, 표준 해수 개념 정립, 그리고 『크누센 해양 조사 사용표』 편찬 등을 통해 해양 역학 연구 발전에 기여했다. 물리학 분야에서는 희박 기체의 흐름과 성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며 크누센 진공계 제작과 크누센 수 정의 등으로 알려져 있다.
3. 1. 해양학 분야
크누센은 1899년, 해수 중의 "염분"이라는 용어를 정의하고, 염분과 밀도의 관계 연구를 통해 염분의 기준이 되는 "표준 해수"를 북유럽 해양 연구 회의에서 제안했다. 또한 이어서 염소량과 수온으로부터 해수의 비중과 밀도를 계산하는 실험식을 도출했다.이 식을 기반으로 크누센은 뵤른 헬란-한센의 도움을 받아 염소량과 수온으로부터 해수의 염분, 밀도, 비중을 얻을 수 있는 『크누센 해양 조사 사용표』(Hydrographical Tableseng)를 편찬했다. 이는 해수의 물리적 성질을 쉽게 구할 수 있게 하여, 해류 연구 등과 같은 해양 역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 외에도 크누센은 생물이 소비하는 산소량에 대한 연구와 해류의 계산법 등에 대한 연구도 수행했다.
3. 2. 물리학 분야
물리학 분야에서 크누센은 희박한 기체의 흐름과 성질에 관한 연구로 알려져 있다. 그는 기체의 분자 운동 원리를 이용하여 절대 진공 상태를 측정하는 크누센 진공계를 만들었다. 또한, 유체가 연속체로 간주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무차원수인 '크누센 수'를 정의하였다.4. 참고 문헌
- 닐스 닐센 (Niels Nielsen), ''덴마크의 수학 (Matematiken i Danmark)'', 길덴달(Gyldendalske Boghandel), Nordisk Forlag, 코펜하겐. 제1권: 1801-1908, 1910년 출판; 제2권: 1528-1800, 1912년 출판. (Matematiken i Danmark|덴마크의 수학da). 참고: 이 중요한 작품은 덴마크 수학 저작의 편집본이다. 수학자 외에도, 짧은 전기는 의학 종사자를 포함한 많은 물리학자, 천문학자, 초기 자연 철학자를 포함한다.
- 스티그 E. 베이벨 (Stig E. Veibel), ''덴마크의 화학 (Kemien i Danmark)''. 제1권: 덴마크의 화학사 (Kemiens historie i Danmark), 1939년. 제2권: 덴마크 화학 서지 (Dansk Kemisk Bibliografi), 1800-1935, 1943년. 제3권: 덴마크 화학자 (Danske Kemikere), 보딜 예르슬레우 (Bodil Jerslev) 편집, 1968년 (6개의 챕터 중 3개는 스티그 베이벨이 저술). 모두 Nyt Nordisk Forlag, 코펜하겐에서 출판. (Kemien i Danmark|덴마크의 화학da). 참고: 제2권은 덴마크 화학 출판물의 편집본으로, 물리학자, 지질학자, 생물학자, 의사의 작품과 함께 전기 정보를 포함한다.
- 찰스 컬스턴 길리피 (Charles Coulston Gillispie) 편집, ''과학 전기 사전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Scribner & Sons, 뉴욕, 1980년 (16권). 1990년 보충판 (17권과 18권).
참조
[1]
서적
Kirkebog
[2]
논문
Martin Knudsen. 1871-1949
[3]
서적
Danish Expeditions on the Seven Seas
Rhodos
19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