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펜하겐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펜하겐 대학교는 1479년 덴마크 크리스티안 1세에 의해 설립된 덴마크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가 1537년 재건되었으며, 이후 학위 시험 제도를 도입하고 학부 개편, 건물 증축 등을 거치며 성장했다. 1877년에는 덴마크 대학 최초로 여학생 입학을 허용했으며, 1960년부터 1980년 사이에 학생 수가 급증했다. 2007년에는 왕립 수의 및 농업 대학교, 덴마크 약학 대학교와 합병했다. 현재 6개의 학부와 4개의 주요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제 연구 대학 연합의 회원으로 세계 유수의 대학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닐스 보어 등 다수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중앙 집권적인 대학 운영 방식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대학교 - 오르후스 대학교
오르후스 대학교는 1928년에 설립된 덴마크의 공립 종합대학교로서, 5개의 학부 체제를 갖추고 다양한 연구 시설을 운영하며 국제 협력 및 교류를 통해 저명인사를 배출하고 학생 활동을 지원한다. - 덴마크의 대학교 - 덴마크 남부대학교
덴마크 남부대학교는 1966년 오덴세 대학교로 설립되어 199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5개의 학부와 6개의 캠퍼스를 운영하며, 이사회에서 총장을 임명하는 국립 교육 기관이다. - 코펜하겐 대학교 - 볼프강 파울리
오스트리아 출신 이론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는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 파울리 배타 원리 발견, 비상대론적 스핀 이론 공식화, 중성미자 존재 예측 등 현대 물리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융과의 협력으로 심리학과 물리학의 접점을 탐구하고 194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코펜하겐 대학교 - 오게 닐스 보어
오게 닐스 보어는 덴마크의 물리학자이자 닐스 보어의 아들로, 원자핵 구조 이론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와 닐스 보어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원자핵 물리학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겼다.
코펜하겐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코펜하겐 대학교 |
로마자 표기 | Universitas Hauniensis 또는 Hafniensis |
현지 이름 | Københavns Universitet |
표어 | 라틴어: Coelestem adspicit lucem |
표어 (번역) | 그것(독수리)은 하늘의 빛을 본다 |
설립일 | 1479년 6월 1일 |
유형 | 국립 연구 대학 |
예산 | 덴마크 크로네 89억 800만 (2018년) |
교직원 | 5,286명 (2019년) |
행정 직원 | 4,119명 (2017년) |
총장 | Henrik C. Wegener |
학생 수 | 37,493명 (2019년) |
학부생 | 21,394명 (2019년) |
대학원생 | 16,079명 (2019년) |
박사 과정 | 3,106명 (2016년) |
위치 | 코펜하겐 |
국가 | 덴마크 |
캠퍼스 | 도시형, 총 94.2 헥타르 |
교색 | 적갈색 및 회색 |
소속 | IARU LERU EUA 유로파이움 덴마크 대학 |
학생 신문 | Uniavisen |
![]() | |
웹사이트 | www.ku.dk |
조직 | |
학부 | 인문학부 법학부 사회과학부 신학부 보건의학부 자연과학부 |
부서 | 다양한 학과 및 연구소 |
박물관 | 대학 내 여러 박물관 |
연구 | |
연구 분야 | 다양한 연구 분야 |
연구 시설 | 다양한 연구 시설 및 현장 연구소 |
부속 병원 | |
부속 병원 | 코펜하겐 대학교 병원 |
노벨상 수상자 | |
노벨상 수상자 | 닐스 보어 아우구스트 크로그 요하네스 피비게르 헨리크 담 벤 로이 모텔손 아게 보어 옌스 크리스티안 스코우 |
기타 | |
튜링상 수상자 | 페터 나우르 |
2. 역사
코펜하겐 대학교는 1479년 6월 1일에 설립되어 덴마크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1920년대 후반에 오르후스 대학교가 설립될 때까지 덴마크 유일의 대학교였다.
1970년에 제정된 새로운 대학교 규정에는 대학교 운영의 민주화(democratisation)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1973년에 수정되었고 그 후 덴마크의 모든 고등 교육(higher education) 기관에 적용되었다. 이 민주화는 2003년 대학교 개혁으로 이후 다시 중앙 집권적 구조로 전환되었다.
1993년에는 법학과가 사회과학부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법학부가 되었다. 1994년, 코펜하겐 대학교는 장기 계획에 따라 환경 연구(environmental studies), 남북 관계 및 생명 공학(biotechnology)을 특별 우선 순위 분야로 지정했다. 1996년부터 현재까지 대학교는 아마거(Amager)(외레스타덴)에 있는 코펜하겐 대학교 인문대학(University of Copenhagen Faculty of Humanities)을 위한 건물과 생명 공학 센터를 포함한 새로운 건물을 계획했다. 1999년에는 학생 수가 35,000명을 넘어, 대학교는 추가 교수와 직원을 임명했다.
2003년 개정된 덴마크 대학교법은 대학교 의사 결정 과정에서 학부, 직원 및 학생을 제외하여 상위에서 하위로 통제하는 구조를 만들었다.
2005년, 코펜하겐 중심부에 보건 및 사회 센터(Center for Sundhed og Samfund – CSS)가 개관하여 그동안 도시 전역에 위치했던 사회과학부와 공중보건연구소를 수용했다. 2006년 5월, 대학교는 500년 이상 대학교의 본거지였던 코펜하겐 시내의 많은 오래된 건물을 떠날 계획을 발표했다.
2024년 9월 4일, 학생 단체가 가자 지구 반전 시위를 개최했지만, 일부 시위 참가자가 대학 건물 입구를 봉쇄하고 난입하는 바람에 현지 경찰이 6명을 체포했다. 체포자의 이름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현지 언론은 수갑을 찬 환경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의 모습을 보도했다.[52]
2. 1. 설립과 초기 발전 (1479년 ~ 1675년)
크리스티안 1세는 1475년에 식스토 4세로부터 덴마크에 대학교 설립 허가를 담은 교황령을 받았다.[21] 이 교황령은 크리스티안 1세의 왕비인 브란덴부르크의 도로테아(Dorothea of Brandenburg)의 로마 방문 결과로 1475년 6월 19일에 발표되었다.[22]1478년 10월 4일, 크리스티안 1세는 왕실칙령을 발표하여 코펜하겐 대학교를 공식적으로 설립했다. 이 칙령에서 크리스티안 1세는 대학교를 규율하는 규칙과 법률을 제정했다. 왕실칙령은 마기스터 페데르 알베르트센을 대학교 총장 직무대행(vice chancellor)으로 선출했으며, 그의 임무는 새로운 대학교에 다양한 학식 있는 학자(scholar)들을 고용하여 최초의 네 개의 학부인 신학(theology), 법학, 의학 및 철학(philosophy)을 설립하는 것이었다. 왕실칙령은 코펜하겐 대학교가 설립 초기부터 왕실의 후원을 받도록 했다. 더 나아가, 대학교는 명시적으로 자치 기관으로 설립되어 상당한 수준의 법적 자유를 누렸다. 따라서 코펜하겐 대학교는 왕실의 간섭 없이 운영되었으며, 덴마크 국민(Danish people)을 규율하는 일반적인 법의 적용을 받지 않았다.[22]
코펜하겐 대학교는 프로테스탄티즘의 확산으로 1531년경 해산되었다. 그러나 크리스티안 3세에 의해 루터교 개혁 이후인 1537년에 재건되었다. 왕은 비텐베르크에서 코펜하겐으로 와서 신학 교수직을 맡은 요하네스 부겐하겐(Johannes Bugenhagen)에게 새로운 대학교 헌장 초안 작성을 맡겼다. 결과적으로 1539년에 헌장이 발표되었다.[23] 1675년부터 1788년까지 대학교는 학위 시험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1675년에 신학(theology) 시험이 추가되었고, 1736년에는 법학이 추가되었다. 1788년까지 모든 학부는 학위를 수여하기 전에 시험을 치러야 했다.
2. 2. 종교 개혁과 재건 (1531년 ~ 1675년)
크리스티안 3세가 루터교 개혁을 추진한 이후인 1537년에 코펜하겐 대학교가 재건되기 전, 프로테스탄티즘의 확산으로 1531년경 해산되었다.[23] 크리스티안 3세는 요하네스 부겐하겐(Johannes Bugenhagen)에게 새로운 대학교 헌장 초안 작성을 맡겼고, 1539년에 헌장이 발표되었다.[23]2. 3. 학위 제도 도입과 발전 (1675년 ~ 1807년)
1675년부터 코펜하겐 대학교는 학위 시험 제도를 도입했다. 처음에는 신학(theology) 시험이 추가되었고, 1736년에는 법학 학위 시험이 추가되었다. 1788년부터는 모든 학부에서 학위를 수여하기 전에 시험을 치르는 것이 의무화되었다.[23] 이로써 각 학문 분야의 전문성이 강화되기 시작했다.2. 4. 코펜하겐 폭격과 재건 (1807년 ~ 1960년)
1807년, 영국의 코펜하겐 폭격으로 대학교 건물 대부분이 파괴되었다.[24] 1836년까지 새로운 대학교 본관이 개관되었고, 이후 세기말까지 건설이 계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대학교 도서관(현재 왕립 도서관의 일부), 동물학 박물관, 지질학 박물관, 식물원과 온실(greenhouse), 그리고 공과대학이 설립되었다.
1842년부터 1850년까지 대학교의 학부가 개편되었다. 1842년 의과대학과 외과의학교가 통합되어 의료과학부가 되었고, 1848년에는 법학부가 재편되어 법학 및 정치학부가 되었다. 1850년에는 수학 및 과학부가 철학부에서 분리되었다. 1845년과 1862년 코펜하겐은 룬드 대학교(Lund University)와 함께 북유럽 학생회의(Nordic student meeting)를 공동 개최했다.
1877년 최초의 여학생이 대학교에 입학했다. 1960년부터 1980년까지 대학교는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했다. 학생 수는 1960년 약 6,000명에서 1980년 약 26,000명으로 증가했고, 이에 따라 직원 수도 크게 증가했다. 이 기간에 건설된 건물로는 새로운 동물학 박물관,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와 아우구스트 크로그 연구소, 아마거 섬에 있는 캠퍼스 센터, 파눔 연구소(Panum Institute)가 있다.

2. 5. 여학생 입학과 급성장 (1877년 ~ 1990년)
1877년, 코펜하겐 대학교는 덴마크 대학 최초로 여학생의 입학을 허용했다. 1960년부터 1980년까지 학생 수는 약 6,000명에서 약 26,000명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직원 수도 함께 증가했다. 이 시기에는 새로운 동물학 박물관,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 연구소, 아우구스트 크로그 연구소, 아마거 섬에 있는 캠퍼스 센터, 그리고 파눔 연구소(Panum Institute)와 같은 주요 건물들이 건설되었다.1970년, 새로운 대학교 규정이 제정되어 대학교 운영의 민주화(democratisation)가 이루어졌다. 이 규정은 1973년에 수정되어 덴마크의 모든 고등 교육(higher education) 기관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민주화는 2003년 대학교 개혁으로 인해 다시 중앙 집권적 구조로 전환되었다.[25] 1990년부터 1993년까지 대학교는 구조를 추가적으로 변경하여 거의 모든 과목에서 학사 학위(Bachelor's degree) 프로그램을 의무적으로 만들었다.
2. 6. 현대의 발전 (1990년 ~ 현재)
1993년, 법학과가 사회과학부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법학부가 되었다.[25] 1994년, 코펜하겐 대학교는 장기 계획에 따라 환경 연구(environmental studies), 남북 관계 및 생명 공학(biotechnology)을 특별 우선 순위 분야로 지정했다. 1999년에는 학생 수가 35,000명을 넘어, 대학교는 추가 교수와 직원을 임명했다.2007년 1월, 코펜하겐 대학교는 왕립 수의 및 농업 대학교(Royal Veterinary and Agricultural University)와 덴마크 약학 대학교를 합병했다. 두 대학교는 코펜하겐 대학교의 학부로 전환되어 각각 생명과학부와 약학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012년 1월, 약학부와 생명과학부의 수의학 분야가 보건과학부와 합쳐져 보건의료과학부가 되었고, 생명과학부의 나머지 부분은 과학부와 통합되었다.
3. 캠퍼스
코펜하겐 대학교는 덴마크 수도권에 4개의 주요 캠퍼스를 두고 있다. 코펜하겐에 3곳, 프레데릭스베르크에 1곳이 있다.[26]
- 북캠퍼스
- 시티캠퍼스
- 남캠퍼스
- 프레데릭스베르크 캠퍼스
보건의료과학부와 과학부는 코펜하겐 서쪽 외곽 타스트룹에 위치한 타스트룹 캠퍼스도 사용하며, 과학부는 헬싱외르, 흐르숄름, 노데보에도 시설을 갖추고 있다.[26]
3. 1. 북 캠퍼스 (North Campus)
북캠퍼스는 과학부와 보건의료과학부의 대부분이 위치해 있다.3. 2. 시티 캠퍼스 (City Campus)
사회과학부와 중앙 행정부, 보건의료과학부, 과학부 일부가 이곳에 있다.[26]3. 3. 남 캠퍼스 (South Campus)
인문학부, 법학부, 신학부와 과학부 일부가 위치해 있다.[26]3. 4. 프레데릭스베르크 캠퍼스 (Frederiksberg Campus)
과학부와 보건의료과학부 일부가 이곳에 위치해 있다.[26]4. 학부
- 인문학부
- 법학부
- 자연과학 및 생명과학부
- 사회과학부
- 보건과학부
- 신학부
5. 대학 운영 및 조직
코펜하겐 대학교는 11명의 이사로 구성된 이사회에 의해 운영된다. 이사회 구성원의 과반수인 6명은 대학 외부에서 초빙되며, 2명은 교수진, 1명은 행정직원, 2명은 대학생이 임명한다. 총장, 부총장, 대학 사무국장은 이사회에서 임명한다. 총장은 중앙 행정부의 각 부서장과 각 학부의 학장을 임명한다. 학장은 50개 학과의 학과장을 임명한다. 학부 평의회는 없으며, 학부는 총장, 학장 또는 학과장 임명에 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코펜하겐 대학교는 학부 자치가 없지만, 학장에게 자문하는 학부 차원의 선출된 학술위원회는 있다.[27] 2018년 기준, 이 운영 기구는 연간 약 89억덴마크 크로네의 예산을 관리한다.[6]
6. 국제 협력
2006년 1월, 코펜하겐 대학교는 국제 연구 대학 연합(IARU)의 회원으로서, 서울대학교를 포함한 세계 유수의 대학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IARU 회원 대학은 다음과 같다.
-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
-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 베이징 대학교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케임브리지 대학교
- 옥스퍼드 대학교
- 도쿄 대학교
- 예일 대학교[46]
코펜하겐 대학교 스칸디나비아 연구 및 언어학과는 2009년 덴마크 왕립 도서관 및 정보 과학대학교와 협력 협약을 체결하였다.[47][48]
본 대학교는 고령화 연구 및 신약 개발 학회를 컬럼비아 대학교와 공동으로 매년 개최한다.
7. 저명한 동문
코펜하겐 대학교는 학계와 세계적으로 저명한 동문들을 많이 배출했다.[50] 이들 중에는 노벨상 수상자도 여럿 있으며, 각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인물들이 많다.
'''노벨상 수상자'''
코펜하겐 대학교 출신 또는 관련 인물 중 노벨상을 수상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노벨상 수상자''' 참조)
- 닐스 보어 (물리학, 1922년)
- 아게 보어 (물리학, 1975년)
- 벤 로이 모텔슨 (물리학, 1975년)
- 옌스 크리스티안 스코우 (화학, 1997년)
- 모르텐 멜달 (화학, 2022년)
- 닐스 뤼베르그 핀센 (생리학·의학, 1903년)
- 요하네스 안드레아스 그리브 피비거 (생리학·의학, 1926년)
- 아우구스트 크로그 (생리학·의학, 1920년)
- 헨리크 담 (생리학·의학, 1943년)
- 닐스 카이 예르네 (생리학·의학, 1984년)
7. 1. 노벨상 수상자
코펜하겐 대학교는 오랜 역사 동안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다음은 코펜하겐 대학교 출신 또는 관련 인물 중 노벨상 수상자 목록이다.분야 | 이름 | 수상 연도 | 업적 |
---|---|---|---|
생리학 또는 의학상 | 닐스 뤼베르그 핀센 | 1903년 | |
생리학 또는 의학상 | 요하네스 안드레아스 그리브 피비거 | 1926년 | |
생리학 또는 의학상 | 아우구스트 크로그 | 1920년 | |
물리학상 | 닐스 보어 | 1922년 | 원자 모델과 양자 역학 개발 |
생리학 또는 의학상 | 헨리크 담 | 1943년 | |
생리학 또는 의학상 | 닐스 카이 예르네 | 1984년 | |
화학상 | 옌스 크리스티안 스코우 | 1997년 | Na+,K+-ATPase 발견 |
물리학상 | 아게 보어 | 1975년 | 핵물리학 |
물리학상 | 벤 로이 모텔슨 | 1975년 | 핵물리학 |
화학상 | 모르텐 멜달 | 2022년 | 클릭 화학 발명 |
7. 2. 기타 저명 동문




- 티코 브라헤 (1546–1601): 덴마크 천문학자, 최초의 과학적 초신성 기록, 요하네스 케플러의 스승[50]
- 토마스 핀케 (1561–1656): 덴마크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 카스파르 바르톨린 (1585–1629): 의학 및 신학 교수, 해부학 교과서 저술, 후각 신경 작용 발견
- 올라우스 웜 (1588–1655): 덴마크 의사이자 골동품 수집가
- 토마스 바르톨린 (1616–1680): 림프계 발견
- 라스무스 바르톨린 (1625–1698): 기하학 및 의학 교수, 복굴절 발견 (과학적 설명은 제시하지 못함)
- 토마스 한센 킹고 (1634–1703): 덴마크 주교이자 시인
- 니콜라우스 스테노 (1638–1696): 해부학 및 지질학 선구자
- 올레 뢰머 (1644–1710): 덴마크 천문학자, 빛의 속도 최초 정량적 측정
- 페데르 호레보 (1679–1764): 덴마크 천문학자,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
- 루드비히 홀베르크 (1684–1754): 덴마크-노르웨이 작가이자 극작가
- 크리스티안 야코브 프로텐 (1715–1769): 유럽-아프리카 모라비아 선교사, 언어학자, 번역가, 교육 행정가
- 모르텐 트라네 브루니히 (1737–1827): 덴마크 동물학자
- 카스파르 베셀 (1745–1818): 수학자
- 마르틴 발 (1749–1804): 덴마크-노르웨이 식물학자이자 동물학자
-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 (1777–1851): 덴마크 물리학자이자 화학자, 전자기학 발견
- 안데르스 산데 외르스테드 (1778–1860): 덴마크 변호사, 덴마크 총리 (1853–1854)
- 아담 고틀롭 외렌슐레거 (1779–1850): 시인, 덴마크 국가 ''Der er et yndigt land'' 작사
- N. F. S. 그룬트비히 (1783–1872): 덴마크 작가, 시인, 철학자, 사제
- 크리스토퍼 한스텐 (1784–1873): 노르웨이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
- 요한 루드비히 하이베르크 (1791–1860): 덴마크 시인이자 비평가
- 마그누스 에이리크손 (1806–1881): 아이슬란드 신학자
- 쇠렌 키르케고르 (1813–1855): 덴마크 신학자이자 철학자, 실존주의의 아버지
- 안데르스 산데 외르스테드 (1816–1872): 식물학 교수 (1851–1862)
- 힌리히 요하네스 린크 (1819–1893): 덴마크 지질학자, 최초의 그린란드어 신문 창간
- 페테르 루드비히 파눔 (1820–1885): 덴마크 생리학자이자 병리학자, 코펜하겐 파눔 빌딩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
- 한스 스켈레룹 (1827–1887): 덴마크 천문학자
- 칼 랑게 (1834–1900): 덴마크 의사
- 토르발드 N. 티엘레 (1838–1910): 덴마크 천문학자, 보험계리사, 수학자
- 율리우스 페테르센 (1839–1910): 덴마크 수학자
- 우제니우스 워밍 (1841–1924): 덴마크 식물학자, 생태학 창시자
- 게오르크 브란데스 (1842–1927): 덴마크 작가이자 비평가
- 빌헬름 톰센 (1842–1927): 덴마크 언어학자
- 하랄드 회프딩 (1843–1931): 덴마크 철학자, 신학자, 심리학자
- 허먼 트라이어 (1845–1925): 덴마크 교육자이자 정치인
- 한스 크리스티안 그람 (1853–1938): 덴마크 세균학자, 그람 염색 발명
- 크리스티안 보어 (1855–1911): 덴마크 의사, 보어 효과 설명
- 빌헬름 요한센 (1857–1927): 덴마크 식물학자, "유전자" 용어 최초 사용
- 오토 예스페르센 (1860–1943): 덴마크 언어학자, 국제 음성학회 공동 창립
- 키르스티네 마이어 (1861–1941): 덴마크 물리학자
- 하네스 하프슈타인 (1861–1922): 아이슬란드 정치인이자 시인
- 홀거 페데르센 (1867–1953): 덴마크 언어학자
- S. P. L. 쇠렌센 (1868–1939): 덴마크 화학자, pH 개념 도입
- 마르틴 크누센 (1871–1949): 덴마크 물리학자
- 홀거 쉐어만 (1877–1960): 쉐어만병 명명 덴마크 외과의
- 아그너 크라룹 에를랑 (1878-1929): 전화 네트워크 분석 분야 창시자
- 키르스티네 스미스 (1878–1939): 실험 최적 설계 창시 덴마크 통계학자
- 벤자민 크리스텐센 (1879–1959): 덴마크 영화 감독, 각본가, 배우
- 잉게보르그 해머-옌센 (1880–1955): 고전 학자이자 언어학자
- 외빈드 윙에 (1886–1964): 덴마크 생물학자
- 하랄드 보어 (1887–1951): 덴마크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축구 선수이자 수학자, 닐스 보어의 형제
- 잉게 레만 (1888–1993): 지구 내핵 발견 덴마크 지진학자
- 야곱 닐센 (1890–1959): 덴마크 수학자
- 줄리 빈터 한센 (1890–1960): 덴마크 천문학자
- 칼 뵈르네트 (1893–1965): 덴마크 의사
- 오스카르 클라인 (1894–1977): 스웨덴 이론 물리학자
- 오베 아룹 (1896–1988): 영국-덴마크 구조 공학자
- 알프 로스 (1899–1979): 덴마크 법철학자
- 루이스 옐름슬레프 (1899–1965): 덴마크 언어학자, 코펜하겐 학파 창시자
- 안톤 프레데릭 브룬 (1901–1961): 덴마크 해양학자
- 게오르크 라슈 (1901–1980): 덴마크 수학자, 통계학자, 심리측정학자
- 크누드 에일러 뢰그스트룹 (1905–1981): 덴마크 철학자이자 신학자, 산다거-홀레바드 목사 (1936–1943), 오르후스 대학교 교수 (1943–1975)
- 피에트 하인 (1905–1996): 덴마크 수학자, 발명가, 시인
- 벵트 스트롬그렌 (1908–1987): 덴마크 천문학자이자 천체물리학자
- 힐데 레비 (1909–2003): 독일계 덴마크 물리학자
- 프레벤 폰 마그누스 (1912–1973): 폰 마그누스 현상 명명 덴마크 바이러스학자
- 옌스 오토 크라그 (1914–1978): 덴마크 총리 (1962–1968, 1971–1972)
- 폴 하틀링 (1914–2000): 덴마크 총리 (1973–1975),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 (1978–1985), 노벨 평화상 수상 (1981, UNHCR 대표)
- 비외른 아게 이브센 (1915–2007): 마취과 의사, 중환자 의학 창시자
- 폴 비욘달 아스트룹 (1915–2000): 덴마크 임상 화학자, 혈액 가스 분석기 발명
- 한스 Ø르베르그 (1920–2010): 언어학자이자 학자
- 할프단 T. 마흘러 (1923–2016):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 (1973–1988)
- 오라피아 에이나르스도티르 (1924–2017): 아이슬란드 최초 고고학 학위 취득자
- 피터 나우르 (1928–2016): 컴퓨터 과학자, 2005년 튜링상 수상
- 폴 슐뤼터 (1929–2021): 덴마크 총리 (1982–1993)
- 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 (1930년생): 제4대 아이슬란드 대통령 (1980–1996)
- 오제르 실드 (1930–2006): 덴마크 출신 이스라엘 학자, 하이파 대학교 총장, 유대와 사마리아 대학 ("아리엘 대학") 총장
- 외르겐 리셸 (1934–2007): 그린란드어, 몬-크메르어 분석 덴마크 언어학자
- 페르 키르케비 (1938년생): 덴마크 화가이자 조각가
- 페르 핀스트룹-안데르센 (1939년생): 덴마크 경제학자, 2001년 세계식량상 수상
- 쇠렌 요한센 (1939년생): 덴마크 계량경제학자
- 라세 헤셀 (1940년생): 여성 콘돔 발명가
- 안데르스 보세룹 (1940–1990): 덴마크 평화 및 분쟁 연구소, 노르딕 평화 재단 공동 창립자
- 아게 B. 쇠렌센 (1941–2001): 덴마크 사회학자
- 홀거 베흐 닐센 (1941년생): 덴마크 물리학자, 끈 이론 창시자 중 한 명
- 외르겐 하우간 (1941년생): 철학 박사 (1977), 노르웨이 작가, 강사
- 폴 뉴룹 라스무센 (1943년생): 덴마크 총리 (1993–2001)
- 클라우스 비외른 (1944–2005): 작가, 역사가, 방송인
- 닐스 피터 렘체 (1945년생): 성서 학자, 코펜하겐 학파 창립자
- 모겐스 뤼케토프트 (1946년생): 덴마크 정치인, 제70대 유엔 총회 의장 (2015–2016)
- 할도르 아스그림손 (1947년생): 아이슬란드 총리 (2004–2006)
- 올레 훔룸 (1949년생): 오슬로 대학교 명예 교수, 덴마크 지질학자
- 우페 하거룹 (1949–2015): 덴마크 수학자
- 예스퍼 뉘가르트 (1956년생): 덴마크 의사
- 피터 외그 (1957년생): 덴마크 소설가, ''스밀라의 감각''으로 국제적 명성
- 모르텐 프로스트 (1958년생): 덴마크 배드민턴 선수, 코치
- 마즈 토프테 (1959년생): 컴퓨터 과학자, 코펜하겐 IT 대학교 부총장
- 올레 베이버 (1960년생): 국제 관계 학자, 코펜하겐 학파 대표
- 스티브 스컬리 (1960년생): 미국 진행자, 수석 프로듀서, C-SPAN ''워싱턴 저널'' 정치 편집자, 노스웨스턴 대학교 석사 과정 중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수학[51]
- 코리나 코르테스 (1961년생): 컴퓨터 과학자
-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1964년생): 덴마크 총리 (2009–2011, 2015–2019)
- 라르스 미켈센 (1964년생): 덴마크 배우
- 비외른 롬보르그 (1965년생): 덴마크 경제학자, ''회의적인 환경주의자'' 저자
- 헬레 토닝-슈미트 (1966년생): 덴마크 총리 (2011–2015)
- 마리-루이즈 노슈 (1970년생): 고고학자, 대학 삭소 연구소 교수
- 에스킬 에베센 (1972년생): 덴마크 경량급 조정 선수
- 아르네 아스트룹 (1955년생): 영양학자이자 교수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동화 작가
- 에드가 루빈: 심리학자
- 단 자하비: 철학자
- 션 갤러거: 철학자
- 알바 노에: 철학자
- 니콜라이 프레데리크 세베린 그룬트비: 철학자·교육자·작가·시인
- 쇠렌 세렌센: 화학자
- 요하네스 브뢴스테드: 물리화학자
- 야페투스 스테 인스트롭: 동물학자
- 요한 파브리치우스: 동물학자
- 옌스 크리스텐 클라우젠: 식물학자, 유전학자, 생태학자
- 피터 보이센 옌센: 식물생리학자, 생태학자
- 게오르크 크리스티안 에더: 식물학자, 의사, 경제학자, 사회개혁가
- 요한 에른스트 군넬스: 식물학자
- 롤프 다를그렌: 식물학자
- 테오도르 홀름스키올: 식물학자
- 페르디난트 디드리크센: 식물학자
- 피트 헤인: 수학자·과학자·발명가
- 오스카르 클라인: 물리학자
- 니시나 요시오: 물리학자, “일본 현대 물리학의 아버지”
- 키니와 지로: 물리학자
- 헨리크 안토니 크라머스: 물리학자
- 크리스토퍼 한스텐: 지구물리학자
- 마르틴 크누센: 물리학자·해양학자
- 롱고몽타누스: 천문학자
- 페데르 닐센 호레보: 천문학자
- 엘리스 스트뢰름그렌: 천문학자
- 벵트 스트뢰름그렌: 천문물리학자
- 카이 오게 스트란드: 천문학자
- 오브 알랍: 구조 설계 대기업 알랍(Arup) 창립자
- 루트비히 로렌츠: 물리학자·수학자
- 토르발드 티엘레: 수학자·통계학자
- 아그네르 에를랑: 수학자·통계학자·기술자
- 루트비히 실로: 수학자
- 줄리우스 페테르센: 수학자
- 폴 헤가르드: 수학자
- 니콜라스 메르카토르: 수학자
- 로버트 브라운: 과학자, 탐험가
- 이토 준타로: 과학사가·문명사가
- 라스무스 라스크: 언어학자
- 루이스 예름슬뢰: 언어학자
- 쇠렌 에게로드: 중국어 학자
- 비아케 프렐레스빅: 일본어 학자
- 스가와라 쿠니시로: 북유럽어·북유럽 문학 전문가
- 스즈키 테츠로: 북유럽 문학자
- 타나베 오우: 북유럽 문학자
- 후지에다 아키라: 동양학자
- 악셀 올릭: 민속학자, 신화학자
- 핀눌 요운손: 아이슬란드 문헌학자
- 요운 헬가손: 문헌학자, 시인
- 나가시마 요이치: 비교문학자
- 루드비히 홀베르: 작가·극작가
- 아담 에렌슬레야: 시인·극작가
- 페테르 호: 작가
- 로사 릭솜: 작가
- 프란츠-미카엘 스키올 멜빈: 외교관
- 헬레 토닝슈미트: 덴마크 전 총리
- 안스 포 라스무센: 덴마크 전 총리, 전 NATO 사무총장
- 라스 로케 라스무센: 덴마크 총리
- 코니 헤데고: 정치가, COP15 담당 장관
- 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 아이슬란드 전 대통령, 세계 최초 민선 여성 국가원수
- 할도르 아우스그림손: 정치가
- 올레 베바: 국제정치학자
- 예스타 에스핀-안데르센: 사회학자·정치학자
- 비외른 롬보르: 정치학자·환경운동가
- 켄지 스티븐 스즈키: 환경운동가
- 알프 로스: 법학자
- 라스 폰 트리어: 영화 감독
- 마즈 미켈센: 배우, 주요 작품: 『더 킬링』·『하우스 오브 카드』·『코펜하겐』·『셜록』
- 에밀 하르트만: 작곡가
- 모겐스 벨디케: 지휘자, 오르간 연주자
- 퀸틴 스키너: 정치학자
- 케네스 월츠: 국제정치학자
- 왕가리 마타이: 환경운동가, 정치인, 노벨 평화상 수상자
- 브리턴 찬스: 생물물리학자
- 닐스 크리스티: 사회학자, 범죄학자
- 다음은 코펜하겐 대학교 출신 노벨상 수상자들이다.
물리학
- 닐스 보어 (1922)
- 아게 보어 (1975)
- 벤 로이 모텔슨 (1975)
화학
- 옌스 크리스티안 스코우 (1997)
- 모르텐 멜달 (2022)
생리학/의학
8. 사회적 기여와 비판
코펜하겐 대학교는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노력하지만, 운영 방식과 관련하여 몇 가지 비판을 받고 있다.
8. 1. 비판
2003년 대학 개혁 이후 대학 운영이 중앙 집권화되면서 교수진, 직원, 학생들의 학내 의사 결정 참여가 제한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코펜하겐 주택 재단(Housing Foundation Copenhagen)은 코펜하겐 대학교와는 별개의 상업 기관[29]으로, 에릭 비스가르드 마드센(Erik Bisgaard Madsen)[30] 회장과 이사회[31]가 운영한다.[32] 이 재단은 국제 학생(때로는 덴마크 학생), 대학교 직원 및 초청 연구원에게 단기 주택을 제공하며,[32] 중앙 사무소는 사우스 캠퍼스에 있다. 코펜하겐 주택 재단은 국제 학생들에게 열악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고, 상업적 이윤을 추구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33][34] 특히,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국제 학생들의 계약 단축 요구를 거부하여 비판을 받았다.[35]
9. 인장
코펜하겐 대학교의 가장 오래된 인장은 1531년 편지에 나타난 것으로, 열쇠와 책을 든 성 베드로를 묘사하고 있다. 인장 주위에는 다음과 같은 글귀가 새겨져 있다.
:''Sigillum universitatis studii haffnensis''.
1537년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 이후 크리스티안 3세에 의해 대학교가 재건되면서 새로운 인장을 받았다. 이 인장에는 왕관, 왕홀, 십자가 구체를 쓴 크리스티안 3세 국왕이 묘사되어 있다. 왕의 문장은 덴마크 국장(보는 사람의 왼쪽, 우측)과 노르웨이 국장(보는 사람의 오른쪽, 좌측)이 절반씩 수직으로 나뉘어 왕관을 쓴 형태로 나타나 있다. 인장의 글귀는 다음과 같다.
:''Sigillum Universitatis Hafniensis A Christiano III Rege Restauravit''
:(번역: 크리스티안 3세 국왕에 의해 재건된 코펜하겐 대학교의 인장)
2000년에 만들어진 현재 인장은 1537년 인장과 매우 유사하다. 다만 글귀가 다르고, 왕관을 쓴 방패에는 1820년 이후 덴마크 국장만이 표시되어 있다 (문장학적으로 노르웨이를 언급하는 부분은 제거됨). 현재 인장의 글귀는 다음과 같다.
:''Sigillum Universitatis Hafniensis''
:''Fundatæ 1479''
:''Reformatæ 1537''
:(번역: 코펜하겐 대학교의 인장, 1479년 설립, 1537년 개혁)
코펜하겐 대학교의 인장 외에도, 6개 학부는 각자 고유의 인장을 가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Record of the Jubilee Celebrations of the University of Sydney
William Brooks and Co.
1903
[2]
서적
Records of The Tercentenary Festival of Dublin University
Hodges, Figgis & Co.
1894
[3]
서적
Record of the Celebration of the Quatercentenary of the University of Aberdeen: From 25th to 28th September, 1906
Aberdeen University Press (University of Aberdeen)
1907
[4]
서적
Record of the Jubilee Celebrations of the University of Sydney
William Brooks and Co.
1903
[5]
웹사이트
About the universities
https://ufm.dk/en/ed[...]
Ministry of Higher Education and Science
2020-01-13
[6]
웹사이트
Økonomi
https://om.ku.dk/tal[...]
University of Copenhagen
2016-08-23
[7]
웹사이트
Employees
https://about.ku.dk/[...]
University of Copenhagen
2016-08-23
[8]
웹사이트
Rector
https://about.ku.dk/[...]
University of Copenhagen
2017-02-28
[9]
웹사이트
Students
https://about.ku.dk/[...]
University of Copenhagen
2016-08-23
[10]
웹사이트
Forskning og formidling
http://tal.ku.dk/for[...]
University of Copenhagen
[11]
웹사이트
University of Copenhagen Design Guide
https://designguide.[...]
University of Copenhagen
2008-12-04
[12]
웹사이트
Universities Denmark
https://dkuni.dk/
Universities Denmark
[13]
웹사이트
Faculties of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https://about.ku.dk/[...]
University of Copenhagen
2008-09-16
[14]
웹사이트
Departments at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https://about.ku.dk/[...]
University of Copenhagen
2008-09-16
[15]
웹사이트
Museums
https://about.ku.dk/[...]
2008-09-16
[16]
웹사이트
Areas of research
https://research.ku.[...]
2019-05-28
[17]
웹사이트
Feltstationer
https://www.science.[...]
2020-07-24
[18]
웹사이트
Københavns Universitetshospital
https://denstoredans[...]
2020-07-25
[19]
웹사이트
Nobelpristagere
https://universitets[...]
2022-10-05
[20]
웹사이트
Peter Naur - A.M. Turing Award Winner
http://amturing.acm.[...]
[21]
서적
Universitas Studii Haffnensis. Stiftelsesdokumenter og Statutter 1479. English Translation by Brian Patrick McGuire
University of Copenhagen
[2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about 1479
https://universitets[...]
University of Copenhagen
2010-09-23
[23]
서적
The Foundation and Regulations of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1539. Edited with Introduction and Notes. English Translation by Peter Fisher
Gads Forlag
[24]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encyclopaedia
https://archive.org/[...]
Dodd, Mead
1905
[25]
웹사이트
Absolut monarki på universiteterne
http://www.informati[...]
2009-08-23
[26]
웹사이트
Map and campus areas
http://cas.ku.dk/eng[...]
University of Copenhagen
[27]
웹사이트
Vedtægt for Københavns Universitet
http://bestyrelse.ku[...]
2008-06-16
[28]
웹사이트
Students – facts and figures
https://about.ku.dk/[...]
University of Copenhagen
2016-08-23
[29]
뉴스
Search CVR
https://datacvr.virk[...]
[30]
웹사이트
Medarbejdere i Fakultetssekretariatet
https://science.ku.d[...]
2014-02-11
[31]
웹사이트
About HF - Housing Foundation
https://housingfound[...]
2020-05-09
[32]
웹사이트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Housing Foundation
http://housingfounda[...]
2013-11-13
[33]
웹사이트
Copenhagen Housing Foundation admits it illegally collected thousands from international students
http://uniavisen.dk/[...]
2017-03-28
[34]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searcher feels cheated by UCPH's Housing Foundation
https://uniavisen.dk[...]
2017-05-18
[35]
웹사이트
The Copenhagen Post
https://cphpost.dk/w[...]
2020-05-01
[36]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2024
https://www.shanghai[...]
2024-10-11
[37]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 - Times Higher Education (THE)
https://www.timeshig[...]
2024-10-11
[38]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
https://www.topunive[...]
2024-10-11
[39]
웹사이트
2024-2025 Best Universities in the World - US News
https://www.usnews.c[...]
2024-10-11
[40]
웹사이트
CWUR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cwur.org/202[...]
2024-10-11
[41]
웹사이트
CWTS Leiden Ranking - Ranking 2024
https://www.leidenra[...]
2024-10-11
[42]
웹사이트
CWTS Leiden Ranking
https://www.leidenra[...]
2021-07-12
[43]
웹사이트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s://www.shanghai[...]
2021-09-04
[44]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imeshig[...]
2020-08-25
[45]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www.topuniver[...]
QS Quacquarelli Symonds Ltd.
2016-09-23
[46]
웹사이트
Best Global Universities Rankings
https://www.usnews.c[...]
2020-10-24
[47]
웹사이트
Det Informationsvidenskabelige Akademi – Københavns Universitet
http://www.iva.dk/en[...]
University of Copenhagen
2015-01-16
[48]
웹사이트
Det Informationsvidenskabelige Akademi – Københavns Universitet
http://www.iva.dk/om[...]
University of Copenhagen
2015-01-16
[49]
웹사이트
Rector – University of Copenhagen
http://introduction.[...]
University of Copenhagen
2017-03-18
[50]
논문
Scholars and Literati at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1475–1800)
https://ojs.uclouvai[...]
2021
[51]
웹사이트
Congress and the Presidency in the TV and Digital Age
http://www.c-span.or[...]
C-SPAN
2011-05-04
[52]
뉴스
グレタさん、デンマークで身柄拘束 ガザ反戦デモに参加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4-09-04
[53]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s://www.shanghai[...]
2024-12-21
[54]
웹사이트
CWTS Leiden Ranking
https://www.leidenra[...]
2024-12-21
[55]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imeshig[...]
2024-10-04
[56]
서적
北欧の建築 エレメント&ディテール
学芸出版社
[57]
웹사이트
http://www.su.dk/eng[...]
[58]
웹사이트
http://ufm.dk/en/edu[...]
[59]
웹사이트
http://ufm.dk/en/edu[...]
[60]
웹사이트
http://studyindenmar[...]
[61]
웹사이트
http://studyindenmar[...]
[62]
웹사이트
http://ufm.dk/en/edu[...]
[63]
웹인용
세계 대학 순위
http://ed.sjtu.edu.c[...]
2009-06-19
[64]
웹인용
2007년 세계 대학 순위
http://ed.sjtu.edu.c[...]
2009-06-19
[65]
웹사이트
타임즈 고등교육에서 매긴 세계 대학 순위
http://www.timeshig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