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피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피사는 중세 이탈리아 서사시 《사랑의 오를란도》와 《광란의 오를란도》에 등장하는 여성 기사이다. 기사 로저와 사라센 여성 갈라시엘라의 딸로, 어린 시절 납치되어 무슬림으로 성장하여 여전사이자 여왕이 되었다. 이후 샤를마뉴의 팔라딘들과 싸우기 위해 프랑스에 도착하여 루지에로를 만나고, 그와 결투를 벌이다가 그가 자신의 쌍둥이 남매임을 알게 된 후 기독교로 개종하여 샤를마뉴의 기사가 된다. 이탈리아 극작가 카를로 고치는 마르피사를 바탕으로 희곡 《라 마르피사 비차라》를 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아랍인 - 라스 알 굴
라스 알 굴은 라자러스 핏을 이용하여 수 세기 동안 생명을 연장하며 세계 균형을 위해 인류를 제거하려 하고 배트맨을 후계자로 삼으려는 DC 코믹스의 국제적인 범죄자 악당이다. - 가공의 아랍인 - 알라딘
알라딘은 《천일야화》에 나오는 설화로, 가난한 소년 알라딘이 마법 램프의 지니를 통해 부와 권력을 얻고 공주와 결혼하지만, 마법사의 계략으로 잃은 것을 되찾는 모험 이야기이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각색되어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뮤지컬로도 유명하다. - 가공의 여기사 - 레이 (스타워즈)
레이는 스타워즈 시퀄 삼부작의 주인공으로 데이지 리들리가 연기하며, 고아 출신의 고물 수집가에서 강력한 포스 사용자, 제다이로 성장하는 인물이다. - 가공의 여기사 - 브라다만테
브라다만테는 샤를마뉴 전설에 등장하는 기독교 여기사이자 르노 드 몽토방의 여동생으로, 사라센 전사 루지에로와 사랑에 빠져 그의 개종을 조건으로 결혼을 약속하며 여러 모험을 함께하는 인물이며, 후대에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고 에스테가의 시조로도 알려져 있다. - 사랑의 오를란도 및 광란의 오를란도의 등장인물 - 카롤루스 대제
카롤루스 대제는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초 프랑크 왕국을 통치하며 서유럽 대부분을 통합하고 영토를 확장하여 800년에 서로마 황제로 대관된 인물이다. - 사랑의 오를란도 및 광란의 오를란도의 등장인물 - 아스톨포
아스톨포는 《광란의 오를란도》에 등장하는 인물로, 마법 장비를 활용한 모험과 달 여행 이야기로 유명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 재해석되어 인기를 얻고 멸종된 새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마르피사 - [가상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이름 | 마르피사 |
| 원어 이름 | Marfisa |
| 등장 작품 | 프랑스 이야기 |
![]() | |
| 인물 정보 | |
| 성별 | 여성 |
| 직업 | 여전사 |
| 작위 | 인도 여왕 |
| 종교 | 이슬람 → 기독교 |
| 소속 | 사라센 → 프랑크 |
| 가족 | 루지에로(오빠) |
| 창작 정보 | |
| 첫 등장 | 사랑의 오를란도 |
| 창작자 | 불명 |
2. 행적
마르피사는 레지타의 기사 로저와 사라센 여성 갈라시엘라의 딸이며, 트로이 왕자 헥토르의 아들인 아스티아낙스의 후손이다. 기사 로저가 죽은 후 그의 아내 갈라시엘라는 리비아로 도피하여 출산 후 사망했다. 갈라시엘라 사이에서 쌍둥이가 태어났고 마르피사는 그중 둘째이다. 마르피사는 어린 시절 사라센인에게 납치되어 인도로 끌려가 무슬림이 되었으며, 성인이 된 후에는 인도의 여전사이자 여왕이 되어 사라센인과 동맹을 맺는다.
사랑의 오를란도에서 마르피사는 세리카의 왕 갈라프론과 함께 알브라카성(오늘날 우즈베키스탄의 부하라)에 도착했으며, 갈라프론이 타타르의 왕 아그리카누스에게 패한 후, 도둑 브루넬로에게 칼을 도둑맞을 때까지 적들과 함께 알브라카성을 포위했다. 체르케스의 왕 사크리판테와의 전투 후, 브루넬로를 쫒던 마르피사는 브랑디마르테의 기독교 병사들을 만났으며, 브랑디마르테에게서 말과 갑옷을 빼앗은 후 다시 브루넬로를 쫓았다.
광란의 오를란도에서 마르피사는 샤를마뉴의 팔라딘들과 싸우기 위해 프랑스에 도착했다. 여행 중 기사 피나벨로를 만나지만 그의 아내는 마르피사의 동료 가브리나를 모욕한다. 또한 도중에 타타르의 왕 만드리카르도가 자신에게 청혼하며 추태를 부리자 그와 갈등하기도 하였다. 이후 사라센과 마르피사는 파리를 포위하지만, 사라센 군대에서 기독교 군대로 도망친 루지에로와 브라다만테가 사라센인들에게 맞서 싸우며 도시를 방어했다. 루지에로에게 반한 마르피사는 브라다만테와 결투를 벌였다. 이때 루지에로가 둘 사이의 결투에 끼어들어 브라다만테를 수호하고 마르피사와 싸우지만, 루지에로의 수호자인 마술사 아틀란테의 마음이 나타나 루지에로와 마르피사가 쌍둥이 남매라는 것을 선언하자 마르피사는 기독교로 개종하고 샤를마뉴의 기사가 된다.
이탈리아 극작가 카를로 고치는 오를란도 푸리오소의 동명의 등장인물을 바탕으로 자신의 작품 ''라 마르피사 비차라''를 썼다.[1]
2. 1. 마르피사의 대사
Marfisait는 거만한 표정으로 얼굴을 들고 그에게 대답했다. "그대의 판단은 빗나갔소. 그대가 전쟁의 권리로 나를 얻었다고 결론 내린다면, 그대의 판결이 옳다고 인정하겠소. 만약 내가 그대에게 말에서 떨어지고 피비린내 나는 싸움에서 패배한 그들의 영주나 기사가 아니라면, 나는 그들의 것도 아니고, 다른 누구의 것도 아니며, 오직 나의 것이니, 나를 얻는 자는 나 자신에게서만 나를 얻는 것이오.광란의 오를란도 (번역: 윌리엄 스튜어트 로즈, [https://www.gutenberg.org/ebooks/615]), 26, 79
3. 기타 매체
이탈리아 극작가 카를로 고치는 오를란도 푸리오소의 등장인물 마르피사를 주제로 '라 마르피사 비차라'를 작곡하였다.[2][1]
참조
[1]
논문
La religion, ses institutions, ses problèmes en Vénétie à travers la ''Marfisa bizzarra'' de Carlo Gozzi
http://www.persee.fr[...]
2003
[2]
저널
La religion, ses institutions, ses problèmes en Vénétie à travers la ''Marfisa bizzarra'' de Carlo Gozzi
http://www.persee.fr[...]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