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라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크 라이트는 미국의 야구 선수로, 투수 포지션에서 활동했다. 이스트캐롤라이나 대학교를 거쳐 2011년 볼티모어 오리올스에 지명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2015년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오리올스, 시애틀 매리너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에서 뛰었으며, 2020년에는 KBO 리그의 NC 다이노스에서 활약하며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2024년에는 애틀랜틱 리그의 개스토니아 베이스볼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나 은퇴했다. 그는 포심 패스트볼, 싱커, 체인지업, 슬라이더, 커브볼 등 다양한 구종을 구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NC 다이노스 - 창원 다이노스
창원 다이노스는 NC 다이노스의 퓨처스리그 팀으로, 고양에서 활동하며 퓨처스리그 상위권 성적을 기록, 스폰서십 마케팅과 유료 관중제를 도입하는 등 노력했으나, 2017년 시즌 후 창원으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 NC 다이노스 - 창원NC파크
창원NC파크는 2019년 개장한 NC 다이노스의 야구장으로, 파퓰러스가 설계에 참여하여 124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었으며, 다양한 편의시설과 편리한 접근성을 갖춘 창원시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 2020년 야구 - 김성욱 (야구 선수)
김성욱은 진흥고등학교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낸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로, NC 다이노스에서 주로 외야수로 활약하며 2015년 '4월 ADT 캡스플레이' MVP 수상, 2019년 골든글러브 후보에 오르는 등 꾸준한 활약을 펼치고 2022년 군 복무 후 복귀하여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 - 2020년 야구 - 김형준 (1999년)
김형준은 1999년생 야구 선수로 2018년 NC 다이노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 2021년 상무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마치고 NC 다이노스로 복귀하여 2023년 1군에서 활약하며 국가대표로 선발되었고, 2024년부터 등번호 25번을 사용한다. - NC 다이노스 - 창원 다이노스
창원 다이노스는 NC 다이노스의 퓨처스리그 팀으로, 고양에서 활동하며 퓨처스리그 상위권 성적을 기록, 스폰서십 마케팅과 유료 관중제를 도입하는 등 노력했으나, 2017년 시즌 후 창원으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 NC 다이노스 - 창원NC파크
창원NC파크는 2019년 개장한 NC 다이노스의 야구장으로, 파퓰러스가 설계에 참여하여 124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었으며, 다양한 편의시설과 편리한 접근성을 갖춘 창원시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마이크 라이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이크 라이트 |
영어 이름 | Mike Wright |
출생일 | 1990년 1월 3일 |
출생지 |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베네츠빌 |
키 | 198cm |
몸무게 | 97kg |
포지션 | 투수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프로 경력 | |
드래프트 | 2011년 MLB 드래프트 3라운드 |
소속 팀 | 볼티모어 오리올스 (2015–2019) 시애틀 매리너스 (2019) NC 다이노스 (2020) 시카고 화이트삭스 (2021) |
메이저 리그 데뷔 | |
데뷔일 | 2015년 5월 17일 |
소속팀 | 볼티모어 오리올스 |
KBO 리그 데뷔 | |
데뷔일 | 2020년 5월 6일 |
소속팀 | NC 다이노스 |
메이저 리그 최종 | |
최종일 | 2021년 9월 29일 |
소속팀 | 시카고 화이트삭스 |
KBO 리그 최종 | |
최종일 | 2020년 10월 24일 |
소속팀 | NC 다이노스 |
기록 (MLB) | |
승패 | 10승 13패 |
평균자책점 | 5.97 |
탈삼진 | 219 |
기록 (KBO) | |
승패 | 11승 9패 |
평균자책점 | 4.68 |
탈삼진 | 125 |
수상 | |
수상 내역 | 한국시리즈 우승 (2020) |
2. 아마추어 경력
라이트는 이스트캐롤라이나 대학교에 재학했으며, 2010년에는 대학 야구 여름 리그에서 케이프코드 야구 리그의 하리치 매리너스에서 선수로 뛰었다.[1]
201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3라운드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에 지명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2][3] 이후 시애틀 매리너스, NC 다이노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거쳤으며, 애틀랜틱 리그 오브 프로페셔널 베이스볼의 개스토니아 베이스볼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고 2024년 7월 26일 은퇴했다.[19]
3. 프로 경력
3. 1. 볼티모어 오리올스 시절
201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3라운드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에 지명되었다.[2][3] 2015년 5월 17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를 상대로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7⅓이닝 동안 6개의 삼진을 잡고 4개의 안타를 허용했으며, 무실점, 무볼넷으로 3-0 승리를 거두었다.[21] 그 해 12경기에 출전하여 그중 9경기에 선발 등판했고, 44⅔이닝 동안 3승 5패, 평균자책점 6.04를 기록했다.
2016년 스프링 트레이닝을 마치고 오리올스의 4선발 투수로 지명되었다. 선발 로테이션에서 시작했지만 부진하여 마이너 리그로 강등되었다. 오리올스 선발 로테이션과 트리플 A 레벨을 오가며 18경기에 출전하여 그 중 12경기에 선발 등판했고, 74⅔ 이닝을 소화하며 3승 4패, 평균자책점 5.79를 기록했다.
2017년에는 시즌 대부분을 트리플 A에서 보냈으며, 시즌 말에 메이저 리그로 승격되었다. 13경기에 등판해 5.7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8년에는 불펜 투수로만 활약하며 총 48번 등판했고, 84⅓ 이닝을 소화했다.
2019년 개막일에 오리올스 로스터에 이름을 올렸으나, 10번의 등판에서 9.45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결국 2019년 4월 21일, 지명 할당되었다.[23]
3. 2. 시애틀 매리너스 시절
2019년 4월 24일, 내야수 라이언 오그렌을 상대로 시애틀 매리너스로 트레이드되었다.[8] 5월 19일에 지명 할당되었고,[25] 이후 트리플 A 타코마 레이니어스로 강등되었다. 6월 23일, 매리너스에 의해 콜업되었으나,[9] 7월 5일에 다시 지명 할당되기 전까지 매리너스에서 9경기에 출전했다.[10] 이후 다시 타코마로 돌아갔으며, 10월 1일에는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3. 3. NC 다이노스 시절
2019년 11월 22일, KBO 리그의 NC 다이노스와 1년 계약을 맺었다.[11] 2020년 시즌 크리스천 프리드릭의 대체 선수로 영입되어 29경기에 등판, 157.2이닝 동안 4점대 평균자책점, 11승 9패, 125탈삼진을 기록하며 팀의 창단 첫 우승에 기여했다.[29] 그러나 시즌 후반으로 갈수록 구위와 제구가 흔들리는 경기가 많아지면서[33] 재계약에 실패했다.[33]
3. 3. 1. 2020년 한국시리즈
11월 20일 두산 베어스와의 한국시리즈 3차전에 선발 등판했으나, 2이닝 5피안타(1피홈런) 2볼넷 5실점(4자책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었다.[34] 6차전에는 구원 등판하여 1이닝 1볼넷 2탈삼진 1홀드를 기록했다.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점 |
---|---|---|---|---|---|---|---|---|---|---|---|---|---|---|---|
15.00 | 2 | 0 | 0 | 0 | 1 | 0 | 1 | 3 | 5 | 1 | 3 | 1 | 3 | 6 | 5 |
3. 4. 미국 프로야구 복귀
2020년 12월 24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12] 2021년 시즌을 샬럿 나이츠에서 트리플 A로 시작하여,[12] 8월 16일에 1군 로스터에 등록되었다.[12] 화이트삭스에서 18이닝을 소화하며 평균자책점 5.50, 탈삼진 11개를 기록했다. 10월 1일, 시카고로부터 지명 할당되었고,[13] 10월 8일에 자유 계약을 선택했다.[14]2022년 3월 14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했다.[15] 트리플 A 오클라호마 시티 다저스에서 10경기에 등판하여 6번 선발 등판했고, 6월 1일 다저스에서 방출될 당시 4.4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22년 6월 5일, 다시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고,[16] 트리플 A 샬럿 나이츠로 배정되었다.[16] 샬럿에서 8경기(선발 7경기)에 출전하여 21⅔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4.64, 탈삼진 14개를 기록했다. 11월 10일에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17]
2024년 5월 28일, 애틀랜틱 리그 오브 프로페셔널 베이스볼의 개스토니아 베이스볼 클럽과 계약을 맺었다.[18] 개스토니아에서 10번 선발 등판하여 2승 4패, 평균자책점 7.77을 기록했으며, 이닝 동안 28개의 삼진을 잡았다. 7월 26일에 프로 야구에서 은퇴했다.[19]
4. 투구 스타일
라이트는 5가지 구종을 던진다. 평균 96mph(약 154.5km/h)의 포심 패스트볼을 포함하여, 싱커(약 93mph), 슬라이더(약 86mph), 커브(약 75mph), 체인지업(약 82mph)을 던진다.[32][20]
5. 통산 기록
도
단
살
살
책
살
비
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