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이클 코스털리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클 코스털리츠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물리학자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버밍엄 대학교, 브라운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6년부터 고등과학원 석좌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응집물질물리학 이론, 1차원 및 2차원 물리학, 상전이, 전자 국소화, 스핀 글래스, 융해, 응고 등을 연구했으며, 데이비드 사울레스와 함께 베레진스키-코스털리츠-사울레스(BKT) 전이 현상을 규명하여 2000년 라르스 온사게르 상, 201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 유대인 - 로니 안코나
    스코틀랜드 출신의 영국 배우 로니 안코나는 코미디언, 성대모사 연기자, 작가로 활동하며 《The Big Impression》으로 BAFTA상을 수상했고, 다양한 TV 프로그램과 영화, 연극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다.
  • 스코틀랜드 유대인 - 랄프 글래서
    랄프 글래서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옥스퍼드 대학교와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를 졸업하고 영국 문화원에서 활동하며 아시아, 아프리카 정부 자문 및 저술 활동을 한 작가이자 홍보 전문가이다.
  • 스코틀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윌리엄 램지
    윌리엄 램지는 스코틀랜드의 화학자로, 레일리 경과의 협력을 통해 아르곤을 발견하고 네온, 크립톤, 크세논 등 여러 비활성 기체를 발견하여 190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지만 바닷물에서 금을 추출하는 사기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 스코틀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제임스 멀리스
    스코틀랜드 출신 경제학자 제임스 멀리스는 정보 비대칭 하에서의 인센티브 이론 연구로 1996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최적 소득세 이론과 다이아몬드-미를리스 효율성 정리 등의 업적을 남기고 경제 정책 자문으로도 활동했다.
  • 독일계 스코틀랜드인 -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엘리자베스 스튜어트는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6세의 딸로 태어나 팔츠 선제후비, 보헤미아 여왕를 지냈으나 남편의 패배로 왕위를 잃고 "겨울 여왕"이라 불렸으며, 그녀의 후손은 영국 왕위 계승법에 따라 영국 왕위를 계승했다.
  • 독일계 스코틀랜드인 - 모리스 로이브스
    스코틀랜드 출신 배우 모리스 로이브스는 글래스고 시민 극단에서 연기를 시작해 영화 《율리시스》에서 스티븐 데달러스 역으로 주목받았으며, 이후 다양한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활동하다 2020년 지병으로 사망했다.
마이클 코스털리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코스털리츠, 스웨덴 스톡홀름 노벨상 기자 회견, 2016년 12월
코스털리츠, 스웨덴 스톡홀름 노벨상 기자 회견, 2016년 12월
출생 이름존 마이클 코스털리츠
이름마이클 코스털리츠
출생1943년 6월 22일
출생지스코틀랜드 애버딘 영국
시민권미국
국적영국
연구 분야
분야응집물질물리학
학위 논문 URL학위 논문
학위 논문 제목강한 상호 작용 물리학 문제
학위 논문 연도1969년
알려진 업적베레진스키-코스털리츠-사울레스 전이
KTHNY 이론
학문적 조언자데이비드 사울레스 (박사후 과정)
모교케임브리지 대학교 (MA)
옥스퍼드 대학교 (DPhil)
직장브라운 대학교
버밍엄 대학교
코넬 대학교
수상노벨 물리학상 (2016년)
라르스 온사게르상 (2000년)
웹사이트개인 웹사이트

2. 교육과 생애

마이클 코스털리츠는 1942년 스코틀랜드 애버딘에서 독일계 유대인 망명자 가정에서 태어났다.[19][5] 그의 아버지는 생화학자 한스 발터 코스털리츠이다.[20]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곤빌 앤드 카이우스 칼리지에서 학사(1965) 및 석사(1966) 학위를 받았고,[19][5] 1969년 옥스퍼드 대학교 브래스노즈 칼리지에서 입자물리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9][5]

버밍엄 대학교에서 데이비드 사울레스 밑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한 후, 1974년 동 대학 강사가 되었다. 1982년부터 브라운 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16년부터는 대한민국고등과학원에서 석학교수(Distinguished Professor)를 겸임하고 있다.

2. 1. 유년 시절과 가족

1942년 스코틀랜드 애버딘에서 태어났다.[5] 아버지는 독일유대인 망명자[6]이자 생화학 선구자인 한스 발터 코스털리츠이며, 어머니는 한나 그레스호너이다. 그의 가족은 1934년, 나치 독일반유대주의적인 인종차별 정책을 피해 베를린을 떠나 애버딘에 정착했다. 영화감독 헨리 코스터는 그의 삼촌이다.

2. 2. 학위 과정

스코틀랜드 애버딘에서 개인 교육을 위해 로버트 고든 대학에 다녔고, 이후 대학 입학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에든버러 아카데미로 전학했다.[7]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곤빌 앤드 카이우스 칼리지에서 1965년 BA 학위를 받았으며, 이는 1966년 MA 학위로 전환되었다.[19][5] 1969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브래스노즈 칼리지에서 입자물리학 연구로 DPhil 학위를 취득했다.[19][5]

3. 연구 경력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이탈리아 토리노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 과정을 시작했다.[19] 이후 영국 버밍엄 대학교와 미국 코넬 대학교에서 데이비드 사울레스와 협력하며 위상결함(topological defect)에 의한 상전이를 연구했다.[19][5]

1974년 버밍엄 대학교 강사로 임용되어 교수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리더(reader)로 승진했다.[19][5] 1982년부터는 미국 브라운 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19][5] 또한 핀란드 알토 대학교의 객원 연구원을 지냈으며, 2016년부터는 대한민국 고등과학원의 석좌교수를 겸임하고 있다.

3. 1. 버밍엄 대학교

마이클 코스털리츠


이탈리아 토리노 대학교에서 박사후 과정을 마친 뒤, 버밍엄 대학교로 옮겨 입자물리학 분야 연구 교수로 활동했다.[19] 버밍엄 대학교와 코넬 대학교 등에서 데이비드 사울레스와 협력하여 위상결함(topological defect)에 의한 상전이를 연구했다.[19][5]

1974년에는 버밍엄 대학교 강사로 정식 임용되었고, 이후 리더(reader)로 승진했다.[19][5] 그는 1982년까지 버밍엄 대학교에 재직하다 브라운 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19][5]

3. 2. 브라운 대학교

1982년부터 브라운 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19][5] 주요 연구 분야는 응집물질물리학 이론으로, 1차원 및 2차원 물리학, 상전이(무작위 시스템, 전자 국소화, 스핀 글래스), 그리고 임계 역학(용융, 응고) 등이다.[19]

3. 3. 알토 대학교 및 고등과학원

마이클 코스털리츠는 핀란드 알토 대학교의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2016년부터 대한민국 고등과학원의 석좌교수로 재직하며 국제적인 학술 교류에 기여하고 있다.

4. 주요 연구 분야

응집물질물리학 이론 분야에서 주로 연구를 수행했으며, 특히 1차원 및 2차원 물리학에서의 상전이 현상에 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연구는 불규칙 시스템, 전자 국소화, 스핀 글래스와 같은 주제를 포함하며, 임계 역학 분야에서는 융해와 응고 과정을 탐구했다.

4. 1. 응집물질물리학 이론



마이클 코스털리츠는 응집물질물리학 이론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의 주요 연구 관심사는 1차원 및 2차원 물리학, 그리고 상전이 현상이다.[5] 상전이 연구와 관련하여 불규칙 시스템, 전자 국소화, 스핀 글래스 등을 탐구했다. 또한 임계 역학 분야에서는 융해와 응고 과정을 연구했다.[5]

특히 코넬 대학교에서 데이비드 사울레스와 함께 위상결함(topological defect)에 의한 상전이를 연구한 것은 그의 대표적인 학문적 기여로 꼽힌다.[19] 이 연구는 저차원 물질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상전이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

4. 2. 상전이 연구

응집물질물리학 이론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했으며, 주요 연구 주제는 1차원 및 2차원 물리학, 상전이 현상 등이다. 특히 상전이와 관련해서는 무작위 시스템, 전자 국소화, 스핀 글래스 등을 연구했다. 또한 임계 역학 분야에서는 융해 및 응고 현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4. 3. 베레진스키-코스털리츠-사울레스(BKT) 전이



코넬 대학교에서 데이비드 사울레스와 공동 연구를 진행하면서 위상결함(topological defect)에 의한 상전이를 연구하였다.[19] 이 연구는 이후 베레진스키-코스털리츠-사울레스(BKT) 전이로 알려진 현상의 이해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5. 수상 및 영예

1981년 영국 물리학회의 맥스웰상(Maxwell Medal and Prize)을 수상했다.[18][10] 1993년부터 미국 물리학회의 회원이다.[18] 2000년에는 코스털리츠-사울레스 전이(베레진스키-코스털리츠-사울리스 전이) 연구 업적으로 미국 물리학회의 라르스 온사게르상(Lars Onsager Prize)을 수상했다.[18][10] 2016년에는 "위상적 상전이 및 물질의 위상에 대한 이론적 발견"에 대한 공로로 데이비드 사울레스, 덩컨 홀데인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8][9]

6. 개인적인 삶

코스털리츠는 미국 시민이며 무신론자이다.[14] 그는 1978년 다발성 경화증 진단을 받았다.[15]

6. 1. 등반 경력

코스털리츠는 1960년대 알파인 등반의 선구자였으며, 영국, 이탈리아 알프스, 요세미티에서 루트를 개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이탈리아 알프스 오르코 계곡에는 그의 이름을 딴 "Fessura Kosterlitz"라는 6a+ 등급의 등반 코스가 있다.[13]

참조

[1] 웹사이트 J. Michael Kosterlitz - Facts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6-11-02
[2] 웹사이트 Lars Onsager recipient 2000, John Michael Kosterlitz Brown University http://www.aps.org/p[...] American Physical Society
[3] 웹사이트 Kosterlitz Research profile at Brown University https://research.bro[...] Brown University
[4] 논문 Physics of 2D exotic matter wins Nobel: British-born theorists recognized for work on topological phases Springer Nature
[5] 웹사이트 Two former Birmingham scientists awarded Nobel Prize for Physics http://www.birmingha[...] University of Birmingham 2016-10-04
[6] 서적 Anatomy of a Scientific Discovery: The Race to Find the Body's Own Morphine Skyhorse Publishing, Inc. 2013-12-13
[7] 뉴스 Aberdeen-born Academic Picks Up Nobel Prize for Physics https://www.eveninge[...] Evening Express 2016-12-15
[8] 학위논문 Problems in strong interaction physics http://solo.bodleian[...] University of Oxford 1969
[9] 웹사이트 British trio win Nobel prize in physics 2016 for work on exotic states of matter – live https://www.theguard[...] 2016-10-04
[10] 웹사이트 APS Fellow Archive http://www.aps.org/p[...] 2022-08-11
[11] 웹사이트 Launch of Kosterlitz Centre in Aberdeen 2010 http://www.abdn.ac.u[...] University of Aberdeen
[12] 웹사이트 Mike Kosterlitz 2016 Nobel Prize Winner https://www.alpine-c[...] Alpine Club 2016-10-15
[13] 웹사이트 British Climber Michael Kosterlitz awarded Nobel Prize in Physics https://www.ukclimbi[...] UK Climbing 10/2016 2016-10-05
[14] 웹사이트 J. Michael Kosterlitz - Biographical. http://www.nobelpriz[...] Nobelprize.org
[15] 웹사이트 J. Michael Kosterlitz - Biographical. http://www.nobelpriz[...] Nobelprize.org
[16] 뉴스 ノーベル物理学賞に米の研究者3人 超伝導など原理解明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02-27
[17] 웹인용 J. Michael Kosterlitz - Facts https://www.nobelpri[...] 노벨 재단 2016-11-02
[18] 웹인용 British trio win Nobel prize in physics 2016 for work on exotic states of matter – live http://www.theguardi[...] 2016-10-04
[19] 웹인용 Two former Birmingham scientists awarded Nobel Prize for Physics http://www.birmingha[...]
[20] 서적 Anatomy of a Scientific Discovery: The Race to Find the Body's Own Morphine Skyhorse Publishing, Inc. 2013-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