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대빵은 가늘고 긴 빵으로, 17세기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에서 유래되었다. 사보이아의 빅토르 아메데우스 2세의 소화를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설과 1643년 토리노 외곽 란초 토리네세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탈리아 레스토랑에서는 식전 빵이나 전채 요리로 제공되며, 북미에서는 버터, 마늘, 치즈, 계피, 설탕, 아이싱 등을 곁들여 먹기도 한다. 막대빵에 생햄을 말아 먹거나, 돼지고기, 닭고기, 막대빵을 넣어 수프를 만들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리노 광역시 - 몽제네브르 고개
몽제네브르 고개는 프랑스와 이탈리아 국경에 있는 알프스 산맥의 고개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사용되었으며, 브리앙송, 체사나 토리네세, 수사를 연결하는 중요한 도로 역할을 한다. - 스페인의 빵 - 미가스
미가스는 스페인어에서 "빵 부스러기"를 의미하며,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남은 빵을 활용하여 만든 전통 요리로, 다양한 지역적 변형을 거쳐 현재는 타파스나 첫 번째 요리로 제공되며, 멕시코나 쿠바 등 다른 국가에서도 고유한 방식으로 발전했다. - 스페인의 빵 - 엔사이마다
엔사이마다는 발레아레스 제도와 필리핀에서 즐겨 먹는 빵의 일종이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재료로 만들어진다. - 피에몬테주의 문화 - 모스카토 다스티
모스카토 다스티는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의 모스카토 비앙코 품종으로 만든 스파클링 와인으로, 낮은 도수, 달콤한 맛, 향긋한 향이 특징이며 디저트 와인으로 즐겨 마시면서 젊은 층에게 인기가 있다. - 피에몬테주의 문화 - 바냐 카우다
바냐 카우다는 이탈리아 피에몬테에서 유래한 딥 소스 요리로, 올리브 오일, 멸치, 마늘을 주재료로 하여 채소를 찍어 먹으며, 피에몬테 향토 음식에서 시작하여 남미와 북미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막대빵 - [음식]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종류 | 빵 |
| 주재료 | 밀가루, 물, 효모 |
| 원산지 | 이탈리아 |
| 지역 | 토리노, 피에몬테주 |
| 창시자 (전통에 따르면) | 안토니오 브루네로 |
| 로마자 표기 | Geurissino |
| 언어별 이름 | 이탈리아어: Grissino (단수), Grissini (복수) 영어: Breadstick (브레드스틱) |
2. 역사
막대빵의 기원에 대해서는 주로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하나는 1643년 피렌체의 한 수도원장이 토리노 외곽 란초 토리네세에서 만들어진 길고 얇은 빵을 묘사한 기록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1][2] 다른 하나는 17세기 피에몬테 지역에서 토리노의 제빵사 안토니오 브루네로(Antonio Brunero)가 소화 불량으로 고생하던 어린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를 위해 특별히 만들었다는 설이다.[3][4][5][6]
2. 1. 기원
막대빵의 기원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설이 전해진다.첫 번째 설은 1643년, 피렌체의 한 수도원장이 토리노 외곽의 란초 토리네세라는 도시에서 만들어진 길고 "뼈처럼 얇은" 모양의 빵을 묘사한 기록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1][2]
다른 전통적인 설에 따르면, 막대빵은 17세기 피에몬테 지역에서 토리노 출신의 제빵사 안토니오 브루네로(Antonio Brunero)가 발명했다고 한다. 당시 9세의 나이로 사보이아 공국의 공작위를 계승했지만 건강이 좋지 않았던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는 어린 시절 소화 불량으로 고생했는데, 궁정 의사는 브루네로에게 소화가 잘 되고 섬유질이 풍부한 빵을 만들도록 의뢰했다. 이에 브루네로가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가 더 쉽게 소화할 수 있도록 특별히 고안한 것이 바로 막대빵이라는 이야기이다.[3][4][5][6]
2. 2. 브루네로의 발명
막대빵의 발명에 관한 전통적인 이야기에 따르면, 이 빵은 17세기 피에몬테 지역에서 토리노 출신의 제빵사 안토니오 브루네로(Antonio Brunero)가 처음 만들었다고 전해진다.[3][4][5][6]이 이야기는 17세기 후반, 9세의 어린 나이에 사보이아 공국의 공작위를 계승한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와 관련이 있다.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는 어릴 때부터 몸이 허약하여 소화 불량으로 고생했는데, 이를 걱정한 궁정 의사가 소화가 잘 되면서도 영양가 있는 빵을 만들도록 당시 궁정 제빵사였던 안토니오 브루네로에게 의뢰했다. 브루네로는 공작이 쉽게 소화할 수 있도록 길고 가느다란 형태의, 바삭한 식감을 가진 빵을 고안해냈고, 이것이 막대빵의 시초가 되었다는 것이다.[3][4][5][6]
한편, 이보다 앞선 1643년에 피렌체의 한 수도원장이 토리노 외곽 란초 토리네세 지역에서 만들어진 길고 "뼈처럼 얇은" 빵에 대해 기록했다는 점에서 막대빵의 기원을 더 이전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1][2]
3. 섭취 방법
막대빵은 먹는 방식이 다양하다. 이탈리아에서는 주로 식전빵이나 전채(안티파스토)로 프로슈토 등과 함께 제공되며, 때로는 간식으로 단독 섭취하기도 한다.[7][10] 북미에서는 부드러운 형태로 만들어 전채 요리나 디저트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으며, 버터, 마늘, 치즈나 계피, 설탕 등을 얹기도 한다.[7][8][9] 미국에서는 딥 소스와 함께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10]
시중에서는 미리 만들어 건조시킨 막대빵을 간편한 간식이나 크래커와 비슷한 용도의 식전 전채 요리로 판매하기도 한다.[10] 스페인의 발렌시아 지방에는 '로스킬레타스'(rosquilletases)라는 다른 종류의 막대빵 조리법이 존재한다.[11]
막대빵도 빵의 일종이므로, 정식 식사 자리에서는 다른 빵과 마찬가지의 식사 예절이 적용된다. 손으로 적당한 길이로 부러뜨려 먹는 것이 기본이며, 스낵 과자처럼 긴 상태 그대로 베어 먹는 것은 격식에 맞지 않는 행동으로 여겨진다.
3. 1. 이탈리아
이탈리아 식당에서는 막대빵이 흔히 모든 식사에 제공되는 빵과 함께 제공되거나 빵을 대체하여 전채(안티파스토)로 제공되는데, 특히 전통적인 형태를 띤다. 막대빵은 프로슈토와 같은 재료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나 지역에서는 연필 굵기보다 굵고 부드러운 종류일 수도 있다.[7]미리 만들어진 건조 막대빵은 시장에서 간편한 간식이나 집에서 먹는 식전 전채 요리(약간 크래커와 비슷함)로 판매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주로 간식으로 단독으로 섭취한다.[10]


빵이므로 정식 테이블 매너는 다른 빵과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즉, 적당한 길이로 손으로 꺾어 먹는 것이 기본이며, 스낵 과자처럼 긴 상태로 베어 먹는 것은 정식 매너에 어긋난다.
3. 2. 북미
많은 북미 식당에서는 막대빵이 부드러운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연필 굵기보다 굵고 딱딱하지 않은 종류일 수도 있다.[7] 전채 요리로 제공될 때는 버터, 마늘, 치즈를 얹는 경우가 흔하며,[7] 디저트로 제공될 때는 계피, 설탕,[8] 그리고 아이싱을 얹기도 한다.[9]미리 만들어진 건조 막대빵은 시장에서 간편한 간식이나 집에서 먹는 식전 전채 요리(크래커와 비슷함)로 판매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보통 치즈와 같은 딥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10]
3. 3. 기타
이탈리아 식당에서는 막대빵이 흔히 식사 시 제공되는 빵과 함께 나오거나, 빵 대신 전채(안티파스토)로 제공된다. 특히 전통적인 형태가 많다. 프로슈토 같은 재료와 함께 나오기도 한다. 미국 식당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제공되며,[7] 지역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연필보다 굵고 부드러운 종류가 나오기도 한다.북미의 많은 식당에서는 부드러운 막대빵을 주로 사용한다. 전채 요리로 나올 때는 버터, 마늘, 치즈를 얹는 경우가 많고, 디저트로 나올 때는 계피, 설탕,[8] 아이싱 등을 얹기도 한다.[9]
미리 만들어 건조된 막대빵은 시장에서 간편한 간식이나 집에서 먹는 식전 전채 요리로 판매된다. 이는 크래커와 약간 비슷하다. 이탈리아에서는 간식으로 그냥 먹는 경우가 많지만, 미국에서는 보통 치즈 같은 딥 소스와 함께 먹는다.[10]
발렌시아 지방에는 '로스킬레타스'(rosquilletas|es)라는 다른 종류의 막대빵 조리법이 있다.[11]
막대빵도 빵의 일종이므로, 다른 빵과 마찬가지로 식사 예절이 적용된다. 정식 식사 자리에서는 손으로 적당한 길이로 부러뜨려 먹는 것이 기본이다. 스낵 과자처럼 긴 상태 그대로 베어 먹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으로 여겨진다.
4. 활용 요리
이탈리아 식당에서는 막대빵이 흔히 식사에 제공되는 빵과 함께 나오거나 빵을 대신하여 전채(안티파스토)로 제공된다. 특히 전통적인 형태의 막대빵이 그러하며, 프로슈토와 같은 재료와 함께 나오기도 한다. 이는 미국 식당에서도 비슷한데,[7] 경우나 지역에 따라서는 연필 굵기보다 굵고 딱딱하지 않은 부드러운 종류가 제공될 수도 있다.
많은 북미 식당에서는 부드러운 막대빵을 사용하며, 전채 요리로 제공될 때는 버터, 마늘, 치즈를 얹는 경우가 많다. 디저트로 나올 때는 계피, 설탕,[8] 그리고 아이싱을 얹기도 한다.[9]
미리 만들어진 건조 막대빵은 시장에서 간편한 간식이나 집에서 먹는 식전 전채 요리로 판매되기도 하는데, 이는 약간 크래커와 비슷한 용도이다. 이탈리아에서는 주로 간식으로 단독으로 먹지만, 미국에서는 보통 치즈 같은 딥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10]
스페인의 발렌시아 지방에는 ''로스킬레타스''(rosquilletascat)라는 다른 종류의 막대빵 레시피가 존재한다.[11]
다음은 막대빵을 활용한 요리의 예시이다.
5. 기타
프랑스 황제가 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그리시니를 "작은 토리노의 막대(les petits bâtons de Turinfra)"라고 부르며 즐겨 먹었다고 전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Nibble: Breadstick History
http://www.thenibble[...]
2018-04-16
[2]
뉴스
Grissini Recipe {{!}} Italian Breadsticks {{!}} Leite's Culinaria
https://leitesculina[...]
2018-04-16
[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Grissini
http://www.claudioss[...]
2018-04-16
[4]
웹사이트
Grissini - Breadsticks from Piedmont with Recipe & History
http://blog.italian-[...]
2013-03-07
[5]
뉴스
The famous Grissini of Turin are traditional breadsticks - Dear Italy Piedmont
http://www.dearitaly[...]
2018-04-16
[6]
뉴스
Grissini were invented around 1670 in Turin by a baker
https://meetpiemonte[...]
2018-04-16
[7]
웹사이트
Why Olive Garden Serves Unlimited Breadsticks
https://www.thrillis[...]
2018-08-19
[8]
웹사이트
Cinnamon Stix rule at Jet's Pizza in Joliet
http://www.theherald[...]
2018-08-29
[8]
웹사이트
Dough-nate to Help End Childhood Hunger at Pie Five
https://www.franchis[...]
2018-08-29
[8]
웹사이트
30 years running, Pizza Pipeline focuses on its local roots
http://www.spokesman[...]
2018-08-29
[8]
웹사이트
Cinnabon Brings Back Cinnabon Stix
https://www.brandeat[...]
2018-08-29
[9]
웹사이트
Earn more dough by making some bread . . . sticks
http://www.pmq.com/W[...]
2018-08-19
[10]
웹사이트
Creamy Swiss with Classic Breadsticks
https://www.thelaugh[...]
2018-04-16
[11]
웹사이트
Aima Rosquilletas Artesanas Hechas a Mano · Castellón
http://aimarosquille[...]
2018-04-16
[12]
서적
2ステップで、絶品ごちそう料理
学研プラ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