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슐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스 슐체는 독일의 생물학자이자 의사로, 세포설 연구에 기여했으며, 망막의 원추 세포와 간상 세포를 구분하고 혈소판 연구를 선구적으로 수행했다. 그는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와 베를린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으며, 할레 대학교에서 해부학 부교수를 거쳐 본 대학교에서 해부학 및 조직학 교수로 재직했다. 또한, 학술지 "미세 해부학 기록"을 창간하고 편집했으며, 프리츠 뮐러와 교류하며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유럽의 논쟁에 영향을 미쳤다.
막스 슐체는 세포설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세포를 핵을 가진 원형질 덩어리로 생각하여 원형질 연구의 시초가 되었다. 해부학 분야에서는 망막의 원추 세포와 간상 세포를 구분하고, 혈소판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막스 슐체는 1865년에 "''미세 해부학 기록''"을 창간하고 편집했으며, 기술적 방법을 개선하여 이 분야를 발전시켰다.[1] 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2. 생애
스웨덴의 병리학자 악셀 키는 1860년부터 1861년까지 본에서 슐체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6]
2. 1. 가문과 교육
막스 슐체는 프라이부르크에서 학자 집안 출신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아우구스트 슐체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해부학과 생리학 교수를 역임했고, 형 베른하르트 지그문트 슐체는 예나 대학교의 산부인과 교수였으며, 동생 지크문트 슐체는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의 법학 교수였다.
1845년부터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하여, 1845년부터 1846년 겨울 학기에는 베를린 대학교의 요하네스 페터 뮐러에게서 배웠다. 1849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850년에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의 강사 및 조교가 되었다. 1854년에는 할레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고, 1859년에는 본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872년에는 본의 해부학 연구소 소장이 되었다.
2. 2. 학문적 경력
프라이부르크 임 브리스가우 (바덴)에서 태어난 막스 슐체는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와 베를린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1] 1854년 할레 대학교에서 해부학 부교수로 임명되었고, 5년 후 본 대학교의 해부학 및 조직학 정교수가 되었으며, 해부학 연구소 소장으로 임명되었다.[1] 1874년 1월 16일 본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후임은 아돌프 폰 라 발레트-세인트 조지였다.[2]
1865년에 "''미세 해부학 기록''"을 창간하고 편집했으며, 많은 논문을 기고했고, 기술적 방법을 개선하여 이 분야를 발전시켰다.
그의 저서에는 다음이 있다.
펠릭스 뒤자르댕의 동물 사르코드 개념을 휴고 폰 몰의 식물 원형질 개념과 통합하여, 그들의 동일성을 지적하고, 이를 원형질이라는 공통 이름으로 묶어 세포를 세포벽의 유무와 관계없이 핵을 가진 원형질 덩어리로 정의했다. (''Rhizopoden과 식물 세포의 원형질; 세포 이론에 대한 기여'', 1863).
1845년부터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에서 배우기 시작하여, 1845년부터 1846년의 겨울 세미나에서는 베를린 대학교의 요하네스 페터 뮐러에게서 배웠다. 1849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850년에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의 강사, 조교가 되었다. 1854년에는 할레 대학교의 교수, 1859년에는 본 대학교의 교수가 되었다. 1872년에는 본의 해부학 연구소 소장이 되었다.
생물의 "세포설"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세포를 핵을 가진 원형질의 덩어리로 생각하여 원형질 연구의 시초가 되었다. 해부학 분야에서는 망막의 원추 세포와 간상 세포를 구분하고, 혈소판의 선구적인 연구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3. 프리츠 뮐러와의 관계
막스 슐체는 프리츠 뮐러와 함께 의학을 공부했다. 뮐러는 슐체와의 우정과 서신 교환 덕분에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유럽의 논쟁을 어느 정도 접할 수 있었다. 슐체는 뮐러에게 주기적으로 과학 문헌을 보냈는데, 그중에는 다윈의 ''종의 기원''과 프리드리히 빌헬름 쉬크가 1857년 베를린에서 제작한 작은 현미경도 있었다. 뮐러는 이 현미경을 통해 "모든 고등 갑각류는 아마도 조에아 조상에서 유래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바탕으로 뮐러는 다윈의 이론을 옹호하고 자연 선택 이론을 입증하는 ''다윈을 위하여''라는 책을 저술했다.[5]
3. 주요 업적
슐체는 세포설에 대한 연구로 특히 유명하다. 그는 펠릭스 뒤자르댕의 동물 사르코드 개념과 휴고 폰 몰의 식물 원형질 개념을 통합하여 그들의 동일성을 지적하고, 원형질이라는 공통 이름으로 묶어 세포를 세포벽 유무와 관계없이 핵을 가진 원형질 덩어리로 정의했다. (''Rhizopoden과 식물 세포의 원형질; 세포 이론에 대한 기여'', 1863).[1]
슐체는 프리츠 뮐러와 함께 의학을 공부했다. 뮐러는 브라질 국적을 취득한 독일의 생물학자로, 슐체와의 우정과 서신 교환 덕분에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유럽의 논쟁을 어느 정도 접할 수 있었다. 슐체는 뮐러에게 주기적으로 과학 문헌을 보냈는데, 그중에는 다윈의 ''종의 기원''과 프리드리히 빌헬름 쉬크(1857)가 베를린에서 제작한 작은 현미경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현미경 덕분에 뮐러는 자신의 연구를 통해 "모든 고등 갑각류는 아마도 조에아 조상에서 추적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가설을 세웠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뮐러는 다윈의 이론을 옹호하고 자연 선택 이론을 입증하는 책 ''다윈을 위하여''를 저술했다.[5]
스웨덴의 병리학자 악셀 키는 1860년부터 1861년까지 본에서 슐체에게서 공부했다.[6]
4. 저서
- 《터벨라리아의 자연사에 대한 기여》 (1851)
- 《다실류(유공충)의 유기체에 관하여, 일반적인 근족류에 대한 설명과 함께》 (1854)
- 《육지 플라나리아 지식에 대한 기여》 (1857)
- 《어류의 전기 기관 지식에 관하여》 (1858)
- 《혈액 연구에 사용되는 가열 가능한 대물대》[3] (1865년에 슐체는 혈소판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설명을 제공했다).[4]
- 《망막의 해부학과 생리학에 관하여》 (1866)
- 《동맥의 개념, 구조, 화학적 구성 및 생명에 관하여》 (1849) 논문.
- 《히알로네마》 (1860)
- 《근육소체와 세포라고 불러야 하는 것》 (1861)
- 《근족류 및 식물 세포의 원형질》 (1863)
- 《개구리 난할에 관하여》 (1863)
- 《망막의 황반, 정상 시력 및 색맹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1866)
- 《갑각류와 곤충의 복합 눈에 관하여》 (1868)
- 《신경 섬유의 세포 구조에 대한 관찰》 (1868)
참조
[1]
간행물
"Schultze, Max(imilian) Johann Sigismund"
http://www.deutsche-[...]
Neue Deutsche Biographie
[2]
서적
Studies from the Dept. of Anatomy, University of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Chicago
https://books.google[...]
[3]
논문
Ein heizbarer Objecttisch und seine Verwendung bei Untersuchungen des Blutes
https://zenodo.org/r[...]
[4]
논문
Max Schultze (1865), G. Bizzozero (1882) and the discovery of the platelet
[5]
서적
From Here to Eternity: Ernst Haeckel and Scientific Faith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6]
웹사이트
Utforskare av kroppens okända passager
http://www.svd.se/dy[...]
2006-09-07
[7]
간행물
Archiv für Anatomie, Physiologie und wissenschaftliche Medic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