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1457년 오스트리아 대공 알브레히트 6세에 의해 설립된 독일의 종합 대학이다. 신학, 법학, 의학, 철학의 4개 학부로 시작하여 현재 11개 학부와 2만 명 이상의 학생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럽 연구 대학 연맹, 유럽 대학 협회 등의 회원으로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2018년 독일 슈피겔지에서 독일 내 2위, THE 세계 대학 랭킹에서 유럽 6위, 세계 82위를 기록하는 등, 여러 대학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경제학의 프라이부르크학파를 창시한 발터 오이켄,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 등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문서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라이부르크의 건축물 - 드라이잠슈타디온
드라이잠슈타디온은 독일 프라이부르크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SC 프라이부르크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독일 최초의 태양열 경기장으로 변신, 현재는 SC 프라이부르크 2군과 여자팀이 사용하고 있다. - 프라이부르크의 건축물 - 유로파파크 슈타디온
유로파파크 슈타디온은 독일 프라이부르크에 있는 SC 프라이부르크의 홈구장으로, 2021년 개장했으며, 유로파파크와 명명권 계약을 맺어 명칭이 변경되었다.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대학 이름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
로마자 표기 |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
라틴어 이름 | Alma Mater Alberto-Ludoviciana |
모토 |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
영어 모토 | The truth will set you free |
설립일 | 1457년 9월 21일 |
대학 유형 | 공립 |
예산 | 3억 4010만 유로 (의료 센터 및 의과 대학 제외) |
총장 | 케르스틴 크리그슈타인 |
교직원 | 4,602명 |
행정 직원 | 2,136명 |
학생 수 | 24,391명 |
소재지 | 프라이부르크 임 브라이스가우 |
주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국가 | 독일 |
캠퍼스 | 대학 도시 |
교색 | 파란색과 흰색 |
웹사이트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
로고 | Wortmarke-grundform-universitaet freiburg blau rgb.png |
소속 | |
협력 대학 | U15 EUA IFPU EUCOR LERU EPICUR GUEI |
추가 정보 | |
의료 센터 예산 | 5억 6천만 유로 |
2. 역사
15세기 중반 당시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에 속했던 프라이부르크에서 대공 알브레히트 6세가 설립하였다. 1457년 9월 21일자 설립 증서(Fundationsbrief)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Frederick III, Holy Roman Emperor)와 지크문트 폰 치롤의 이름도 함께 기재함으로써 설립이 합스부르크 가 전체의 요구임을 명시하고 있다.[54]
당시에는 신학, 법학, 의학, 철학의 4개 과로 설립되었으나, 현재는 11개 학부를 갖춘 약 2만 5천 명의 학생과 9,000명의 교직원을 보유한 종합대학이다. 독일에서 다섯 번째로 오래된 대학교이며, 유럽에서도 최고 수준의 명문 대학으로 꼽힌다.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의 분야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수많은 위대한 학자들을 배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와 관련이 있다. 철학자 에드문트 후설과 마르틴 하이데거 등 저명한 학자들이 졸업하고, 교수직을 역임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학술 연구 분야에서 질과 양 모두 가장 뛰어난 대학이 가입할 수 있는 유럽 연구 대학 연합에 옥스퍼드 대학교, 캠브리지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등 16개 대학과 함께 가입해 있다. 또한 2007년 독일의 "탁월한 대학(Exzellenzinitiative)"으로 지정되었다.
1679년 프라이부르크는 상부 라인강 남부 지역과 함께 일시적으로 프랑스 영토가 되었다.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는 오스트리아의 체제를 싫어했고, 예수회가 대학을 운영하는 것을 허용했다. 1684년 11월 6일, 이중 언어 교육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1686년부터 1698년까지 교수진은 콘스탄츠로 피신했다.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의 개혁으로 대학교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1767년 모든 학부의 입학 요건이 변경되었고, 자연 과학과 행정학이 추가되었다. 또한 1767년, 교회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대학교는 정부 기관이 되었다. 1773년 클레멘스 14세가 서명한 칙령에 따라 예수회가 탄압받으면서 교회는 마침내 대학교에 대한 지배적인 영향력을 상실했다.
1805년 프라이부르크가 나폴레옹에 의해 바덴 대공국의 일부가 되면서,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위기를 맞았다. 카를 프리드리히 대공과 카를 대공은 대공국이 하이델베르크 루프레히트 칼 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두 개의 대학교를 동시에 운영할 여력이 없다고 생각하여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를 폐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도 했다.[54]
대학교는 1818년 바덴 대공 루트비히 1세 섭정 시대가 시작될 때까지 충분한 기금과 수입으로 운영되었다. 1820년, 그는 매년 기부금을 통해 대학교를 구제하였다. 이후 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 시민들의 감사 표시로 대학교는 알베르트 루트비히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로 명명되었다.[54]
1880년대에 학생 수와 교수진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했다. 알베르트 루트비히 대학교의 학문적 명성은 경제학자 아돌프 바그너, 역사학자 게오르크 폰 벨로와 프리드리히 마이네케, 법학자 카를 폰 아미라와 파울 레넬과 같은 여러 연구자들을 끌어들였다.[54] 1900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여성 학생들을 받아들인 최초의 독일 대학교가 되었다.[4]
나치 독일 시대 동안, 이 대학교는 다른 독일 대학교들과 마찬가지로 "정치적 일치" 과정을 거쳤다. 총장 마르틴 하이데거 아래에서, 모든 유대인 교수진은 직업 공무원 복직법에 따라 대학교를 떠나도록 강요받았다. 그는 또한 저명한 교수진 구성원인 헤르만 슈타우딩거의 평화주의자 성향을 게슈타포에 알렸다. 나치 유전학자 외겐 피셔는 대학교 재직 중 인종차별적인 견해를 주장했으며, 그러한 견해는 나치가 통과시킨 악명 높은 뉘른베르크 법률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학교는 재개교했다. 자연과학을 위한 새로운 건물들이 "연구소 지역"(Institutsviertel)에 세워졌다. 전후 시대에는 프라이부르크 학파의 경제학자들의 주도로 독일 사회시장경제와 그에 따른 경제기적(Wirtschaftswunder)의 창출을 이끌었다.
2006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유럽연구대학연맹(LERU)에 가입했다. 1년 후, 이 대학교는 9개의 독일 우수 대학교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2012년에는 세 번째 라인의 자금 지원을 받지 못했다.
2. 1. 설립 초기 (15세기 - 17세기)
15세기 중반 당시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에 속했던 프라이부르크에서 대공 알브레히트 6세가 설립하였다. 당시는 신학, 법학, 의학, 철학의 4개 과로 설립되었으나, 지금은 15개의 학부와 2만 명 이상의 학생이 있는 종합 대학이다.원래 알브레히트 대학교(Albrechts University)였던 본 대학교는 신학, 철학, 의학, 법학의 네 개 학부로 시작되었다. 그 설립은 튀빙겐 대학교와 바젤 대학교(스위스)와 같이 늦은 중세 독일어권에서의 두 번째 대학 설립 물결에 속한다. 교황 특권(교황령)에 의해 설립된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실제로 중세의 대부분 또는 모든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교회 기관의 조직체였으며, 따라서 로마 가톨릭 교회와 그 계층에 속했다.[54] 바젤 주교는 총장(Provost) 또는 총장(Kanzler)이었고, 콘스탄츠 주교는 후원자였으며, 대학교의 실제 설립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Frederick III, Holy Roman Emperor)의 형제인 오스트리아 대공 알브레히트 6세이었다. 설립 당시 대학교는 알브레히트 6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그는 대학교에 토지와 기금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자체 관할권도 부여했다. 또한 그는 1490년에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에 넘겨질 때까지 알브레히트 대학교를 그의 영토에 대한 "주립 대학교"(독일어 Landesuniversität)로 선포했다.
본 대학교는 곧 인문주의자 게일러 폰 카이저스베르크(Geiler von Kaysersberg), 요한 레우클린(Johann Reuchlin), 야코프 윔펠링(Jakob Wimpfeling)과 같은 많은 학생들을 유치했다. 울리히 자시우스(Ulrich Zasius)가 법학을 가르쳤을 때(1536년까지), 프라이부르크는 인문주의 법학의 중심지가 되었다. 1529년부터 1535년까지, 바젤을 떠난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Erasmus of Rotterdam)는 프라이부르크에 살면서 가르쳤지만, 대학교에서는 가르치지 않았다.[3] 1559년경부터 본 대학교는 "알테스 콜레기움"(Altes Collegium, "구 대학")에 자리 잡았는데, 오늘날에는 "신 시청사"라고 불린다. 반종교개혁 시대에 대학교의 중요성은 감소했다. 개혁적인 경향에 대응하기 위해 두 학부의 행정은 1620년에 예수회라는 로마 가톨릭 수도회에 넘겨졌다. 1682년부터 예수회는 그들의 대학과 예수회 교회(오늘날 "대학교 교회" 또는 Universitätskirche)를 건설했다.
1679년 프라이부르크는 상부 라인강 남부 지역과 함께 일시적으로 프랑스 영토가 되었다.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는 오스트리아의 체제를 싫어했고, 예수회(Society of Jesus)가 대학을 운영하는 것을 허용했다. 1684년 11월 6일, 이중 언어 교육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1686년부터 1698년까지 교수진은 콘스탄츠로 피신했다.
2. 2. 프랑스 점령기와 오스트리아의 개혁 (17세기 - 18세기)
1679년 프라이부르크는 상부 라인강 남부 지역과 함께 일시적으로 프랑스 영토가 되었다.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는 오스트리아의 체제를 싫어했고, 예수회가 대학을 운영하는 것을 허용했다. 1684년 11월 6일, 이중 언어 교육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1686년부터 1698년까지 교수진은 콘스탄츠로 피신했다.프라이부르크가 재정복되어 외프터외스터라이히의 수도로 지정된 후,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의 개혁으로 대학교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1767년 모든 학부의 입학 요건이 변경되었고(그 이전에는 로마 가톨릭 신자만 입학이 허용됨), 자연 과학과 행정학이 추가되었다. 또한 1767년, 교회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대학교는 정부 기관이 되었다. 1773년 클레멘스 14세가 서명한 칙령에 따라 예수회가 탄압받으면서 교회는 마침내 대학교에 대한 지배적인 영향력을 상실했다. 그 결과, 1784년 요한 게오르크 야코비(보다 유명한 철학자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의 형제)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교수가 되었다.[54]
2. 3. 바덴 대공국 시대와 대학의 발전 (19세기)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의 개혁으로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1767년 모든 학부의 입학 요건이 변경되었고(그 이전에는 로마 가톨릭 신자만 입학이 허용됨), 자연 과학과 행정학이 추가되었다. 또한 같은 해, 교회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대학교는 정부 기관이 되었다.[54] 1773년 클레멘스 14세가 서명한 칙령에 따라 예수회가 탄압받으면서 교회는 대학교에 대한 지배적인 영향력을 상실했다. 그 결과, 1784년 요한 게오르크 야코비(철학자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의 형)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교수가 되었다.[54]1805년 프라이부르크가 나폴레옹에 의해 바덴 대공국의 일부가 되면서,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위기를 맞았다. 카를 프리드리히 대공과 카를 대공은 대공국이 하이델베르크 루프레히트 칼 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두 개의 대학교를 동시에 운영할 여력이 없다고 생각하여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를 폐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도 했다.[54]

대학교는 1818년 바덴 대공 루트비히 1세 섭정 시대가 시작될 때까지 충분한 기금과 수입으로 운영되었다. 1820년, 그는 매년 기부금을 통해 대학교를 구제하였다. 이후 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 시민들의 감사 표시로 대학교는 알베르트 루트비히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로 명명되었다.[54]
1880년대에 학생 수와 교수진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했다. 알베르트 루트비히 대학교의 학문적 명성은 경제학자 아돌프 바그너, 역사학자 게오르크 폰 벨로와 프리드리히 마이네케, 법학자 카를 폰 아미라와 파울 레넬과 같은 여러 연구자들을 끌어들였다.[54]
2. 4. 20세기 이후
1880년대에 학생 수와 교수진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했다. 알베르트 루트비히 대학교의 학문적 명성은 경제학자 아돌프 바그너, 역사학자 게오르크 폰 벨로와 프리드리히 마이네케, 그리고 법학자 카를 폰 아미라와 파울 레넬과 같은 여러 연구자들을 끌어들였다.1900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여성 학생들을 받아들인 최초의 독일 대학교가 되었다.[4] 20세기 초, 프라이부르크 중심부에 새로운 대학교 건물들이 여러 채 건설되었는데, 그중 1911년에 새롭게 건설된 본관이 대표적이다. 이 대학교는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3,000명의 학생 수를 기록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에는 철학자 에드문트 후설과 마르틴 하이데거(1928년부터), 그리고 에디트 슈타인이 알베르트 루트비히 대학교에서 강의했다.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발터 오이켄이 질서자유주의의 개념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이후 "프라이부르크 학파"로 알려지게 되었다.

나치 독일 시대 동안, 이 대학교는 다른 독일 대학교들과 마찬가지로 "정치적 일치" 과정을 거쳤다. 총장 마르틴 하이데거 아래에서, 모든 유대인 교수진은 직업 공무원 복직법에 따라 대학교를 떠나도록 강요받았다. 그는 또한 저명한 교수진 구성원인 헤르만 슈타우딩거의 평화주의자 성향을 게슈타포에 알렸다. 나치 유전학자 외겐 피셔는 대학교 재직 중 인종차별적인 견해를 주장했으며, 그러한 견해는 나치가 통과시킨 악명 높은 뉘른베르크 법률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학교는 재개교했다. 자연과학을 위한 새로운 건물들이 "연구소 지역"(Institutsviertel)에 세워졌다.
전후 시대에는 프라이부르크 학파의 경제학자들, 예를 들어 발터 오이켄, 프란츠 뵘, 한스 그로스만-도어트, 레온하르트 믹스 등이 이전에 개발한 질서자유주의(ordoliberalism) 사상이 독일 사회시장경제와 그에 따른 경제기적(Wirtschaftswunder)의 창출을 주도했다. 노벨상 수상자이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전 교수인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도 이 이론과 관련이 있다. 그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와 협력하는 경제계 싱크탱크인 발터 오이켄 연구소(Walter Eucken Institut)를 이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정치학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아놀드 베르크슈트라서 또한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교수였다. 그의 연구 그룹은 나중에 현재 대학교에 있는 아놀드 베르크슈트라서 사회문화 연구소가 되었다.
20세기 후반, 이 대학교는 대중교육 운동의 일부였으며 빠르게 확장되었다. 1960년대에는 학생 수가 1만 명으로 증가했고, 1980년에는 2만 명으로 두 배가 되었다. 1970년대에는 14개 학과로 학부 구조가 변경되었고, 1994년에는 공학부가 15번째 학부가 되었다. 2002년에는 학부 수가 11개로 줄었다. 2003년에는 학생, 직원 및 교수진 중 나치즘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비가 세워졌다.[4]
2006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유럽연구대학연맹(LERU)에 가입했다. 1년 후, 이 대학교는 9개의 독일 우수 대학교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2012년에는 세 번째 라인의 자금 지원을 받지 못했다.
3. 학부
15세기 중반 당시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에 속했던 프라이부르크에서 대공 알브레히트 6세가 설립하였다. 당시는 신학, 법학, 의학, 철학의 4개 과로 설립되었으나, 지금은 15개의 학부와 2만 명 이상의 학생이 있는 종합 대학이다. 현재 본교가 보유한 학부는 다음과 같다.
학부명 | 한국어 번역 |
---|---|
신학부(Theologische Fakultät) | 신학 |
Rechtswissenschaftliche Fakultät | 법학 |
Wirtschafts- und Verhaltenswissenschaftliche Fakultät | 경제학·행동과학 |
의학부(Medizinische Fakultät) | 의학 |
Philologische Fakultät | 문헌학 |
Philosophische Fakultät | 철학 |
Fakultät für Mathematik und Physik | 수학·물리학 |
Fakultät für Chemie, Pharmazie und Geowissenschaften | 화학·약학·지구과학 |
생물학부(Fakultät für Biologie) | 생물학 |
Fakultät für Forst- und Umweltwissenschaften | 임학·환경과학 |
공학부(Technische Fakultät (Informatik und Mikrosystemtechnik)) | 공학(정보공학·마이크로시스템공학)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대학(University College Freiburg, UCF)은 국제적이고 학제 간 교육 활동을 촉진하고 관리하는 대학의 중심 시설이다. 2012년에 설립되었으며, 구 대학의 역사적인 건물, 즉 '자유 교양'(artes liberales)의 역사적인 현장에 위치해 있다. UCF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혁신적인 교육 접근 방식과 교육 설계를 위한 실험실 역할을 하며, 학부와 학사처의 교육 개발 및 국제 관계 부서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중앙 평가 및 인증 기관의 권한을 받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인증을 받았다.[38]
4년제 영어 강의 학사 프로그램인 자유교양 및 과학(Liberal Arts and Sciences, LAS)은 독일 최초의 프로그램으로 UCF의 주요 교육 과정이다. 광범위한 학제 간 교육을 강조하는 동시에 높은 학문적 수준에서 개별화된 학문적 집중을 제공한다. 학생들은 240학점(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 ECTS)을 이수해야 하며, 생명과학, 환경 및 지속 가능 과학, 문화 및 역사, 거버넌스 분야를 전공할 수 있다. 선택 과목은 UCF,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해외 연구, 인턴십 및 자기 주도적인 실무 프로젝트 형태로 이수할 수 있다.[39]
학제 간 고등 교육을 위한 체계와 교육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UCF에 두 개의 교수직을 설립했다. 인식론 및 과학 이론(Frieder Vogelmann 교수, 학과장 겸임)[40]과 과학기술학(Veronika Lipphardt 교수)[41]이다. 대학과 프로그램은 Paul Sterzel 상무이사와 Thorsten Leiendecker 학술 조정관이 주관한다.
UCF는 유럽 자유 교양 및 과학 대학(ECOLAS)과 EPICUR[42]의 회원이다. EPICUR은 6개국 8개 대학으로 구성된 단체로, 현대적이고 국제적으로 연결된 대학 경험을 탐구한다. 학생들은 마스트리히트 대학교(University College Maastricht)와의 이중 학위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UCF 학생들은 잡지 출판 그룹, 3D 프린팅 그룹, 예술 단체, 모의 유엔 팀과 같은 여러 관심 그룹을 조직한다.[43] 이들은 선출된 12명의 학생 임원으로 구성된 이사회를 통해 대표된다.[44] 졸업생들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졸업생 협회 내의 하위 그룹에 속한다.[45]
4. 캠퍼스
15세기부터 도시와 함께 성장해 온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건물들은 도시와 깊게 얽혀 있다. 세 개의 큰 캠퍼스는 역사적인 도심 옆에 있는 대학 중앙, 연구소 지구, 그리고 공과대학 캠퍼스이지만, 프라이부르크 전역에 다른 건물들이 산재해 있다.
프라이부르크 역사 중심지에 있는 대학 단지에는 헤르만 빌링(Hermann Billing)이 1911년에 지은 유겐트슈틸(Jugendstil) 건축 양식의 ''Kollegiengebäude I''과 고딕 부흥 양식(Gothic Revival architecture)의 구 대학 도서관과 같은 그림 같은 건물들이 있다. 현재의 대학 도서관 또한 역사 중심지에 위치해 있으며, 1970년대에 세워진 기념비적인 건물이다.[6] 독일에서 가장 큰 도서관 중 하나이며, 2007년 10월 독일 대학 도서관 순위에서 4위를 차지했다.[7] 2015년에는 대형 유리와 크롬 외관을 가진 현대식 건물에 새로운 도서관을 개관했다. 이 도서관은 조용한 작업과 상설 자료를 위한 공간뿐만 아니라 협업이 장려되는 그룹 작업을 위한 공간도 갖추고 있다. 또한 건물에는 학생 카페와 현대 조각이 있는 야외 광장이 있다.
''Kollegiengebäude II'' 맞은편에 위치한 대학교회는 1683년 예수회(Jesuits)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교회와 예수회 대학은 1773년 예수회가 탄압받은 후 대학에 넘겨졌다. 이 교회는 1944년 11월 27일 프리부르크 폭격으로 파괴되었고 1956년에 재건되었다.[8]
"연구소 지구"(''Institutsviertel'')에는 이학부가 있다. 이 캠퍼스는 1944년 프리부르크 폭격으로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2차 세계대전 후 연구소 재건이 시작되었다. 오늘날 이 지구에는 물리학 건물, 멀리서도 보이는 높은 주요 화학 건물, 유명한 헤르만-슈타우딩거-하우스(Hermann-Staudinger-Haus)에 있는 거대분자 화학 연구소, 기타 여러 과학 건물, 그리고 명성이 높은 의과대학의 전임상 연구소들이 있다.
공과대학 캠퍼스는 도심 북서쪽의 작은 프리부르크 비행장 옆, 대학 병원 근처에 위치해 있다. 이 캠퍼스에는 미세시스템 공학 연구소(''Institut für Mikrosystemtechnik'')와 컴퓨터 과학과가 있다. 공과대학의 추가로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전통적인 학문과 미세시스템 기술을 결합한 최초의 고전 대학이 되었다.
대학 병원(''Universitätsklinikum Freiburg'')은 독일에서 가장 큰 의료 센터 중 하나이다. 1600개의 병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55,000명의 입원 환자와 357,000명의 외래 환자를 진료한다. 13개의 전문 클리닉, 5개의 임상 연구소, 5개의 센터(예: 이식 의학 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 병원은 2002년 인공 심장 ''Jarvik 2000''의 최초 이식과 같은 많은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다.
최근 프리부르크 대학교는 헤르던(Herdern) 지역에 있는 대형 역사적 빌라를 매입하여 프리부르크 고등연구원의 문학 및 언어학과 역사학과 일부를 수용할 예정이다.
5. 교육 및 연구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독일 대학 우수성 이니셔티브(German Universities Excellence Initiative)에 지원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다. 세 가지 부문에서 지원을 받았는데, 스페만 생물학 및 의학 대학원, 생물학적 신호 전달 연구 센터(bioss)에 대한 지원과 "연구를 위한 창문(Windows for Research)" 프로젝트를 위한 기관 전략적 자금 지원이었다. 특히 세 번째 부문에 선정되면서 독일의 9개 "우수 대학" 중 하나로 인정받았으며, 5년(2007년) 동안 1.3억유로가 넘는 추가 자금을 지원받았다.[14][15]
2009년에는 독일 과학 후원 협회가 주관한 교육 우수성 경쟁에서 100개가 넘는 고등 교육 기관 중 10개의 우승자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6] 2012년, 세 번째 우수성 이니셔티브에서는 스페만 생물학 및 의학 대학원과 bioss에 대한 지원을 연장하고, 학제 간 신경기술 프로젝트인 BrainLinks-BrainTools라는 새로운 클러스터에 대한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프라이부르크 고등 연구소(Freiburg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FRIAS) 및 기관 전략적 자금 지원에 대한 지원은 연장되지 않았다.[17]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여러 팀은 학술 경쟁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법학부 모의 법정 팀은 빌렘 C. 비스 국제 상사 중재 모의 재판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공학부 휴머노이드 로봇 팀은 국제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34] 국제 유전자 조작 기계 학부 합성생물학 경연대회에서도 여러 차례 높은 점수를 받았다.[35] 또한 매년 뉴욕에서 열리는 전국 모의 유엔에 참가하고 있다.
황금쌀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피터 바이어)와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잉고 포트리쿠스)가 1992년부터 2000년까지 개발한 것으로, 생명공학의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받으며 비타민 A 섭취가 부족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2008년 1월부터 아이튠즈 U에서 교육용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물리학 연구소는 거대 강입자 충돌기 연구에 참여하여 ATLAS 실험에 기여, 2012년 힉스 보손 발견에 기여했다.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대학(University College Freiburg, UCF)은 국제적이고 학제 간 교육 활동을 촉진하고 관리하는 중심 시설로, 2012년에 설립되었다. UCF는 혁신적인 교육 접근 방식과 교육 설계를 위한 실험실 역할을 하며, 4년제 영어 강의 학사 프로그램인 자유교양 및 과학(Liberal Arts and Sciences, LAS)을 운영하고 있다.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다양한 대학원 교육 및 연구 기회를 제공하며, 유럽 대학원 프로그램 평가에서 여러 학문 분야에서 선두 대학으로 선정되었다.[46][47] 프라이부르크 고등연구소(Freiburg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는 독일 엑설런스 이니셔티브의 지원을 받는 주목할 만한 대학원 기회 중 하나이다.
국제 대학원 아카데미(International Graduate Academy, IGA)는 슈페만 생물학 및 의학 대학원, 유럽 문화 및 문화 간 상호 작용 대학원, 신학 및 종교 연구 대학원, 헤르만 파울 언어 과학 대학원, 산림 및 환경 과학부의 환경, 사회 및 지구 변화 대학원 등 5개의 대학원을 조정하고 있다. 또한 효소 생화학, 친구, 후원자, 고객, 현대 지형의 형성과 발전, 수리 논리 및 응용, 뉴런 신호 전달 메커니즘, 유기 합성을 위한 촉매 및 촉매 반응, 강입자 충돌기 물리학, 임베디드 마이크로시스템, 세포에서 기관까지: 기관 발생의 분자 메커니즘, 식물 기원 모델 유기체의 신호 시스템, 마이크로 에너지 수확, 프라이부르크 계산 신경과학 및 신경 기술 번스타인 센터의 계산 신경과학 박사 과정 등 12개의 대학원 연구 센터(Graduiertenkolleg)를 조정하고 있다. 막스 플랑크 협회(Max Planck Society)와 함께 분자 및 세포 생물학 국제 막스 플랑크 연구 대학원, 보복, 중재 및 처벌에 관한 국제 막스 플랑크 연구 대학원, 비교 형사법 국제 막스 플랑크 연구 대학원 등 세 개의 공동 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유럽 대학 연합(EUCOR)의 바젤 대학교,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와 함께 공동 대학원인 스트라스부르 고등 생명공학원(École supérieure de biotechnologie Strasbourg)을 운영하여 학생들이 생명공학 분야의 국제 학위와 3개 국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1911년부터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독일어 강좌를 제공해왔으며, 학기 중 휴강 기간 동안 대학의 언어교육센터(Sprachlehrinstitut)에서 진행된다. 집중적인 언어 수업 외에도 독일 문화, 정치, 철학, 미술에 관한 강의와 세미나, 슈바르츠발트, 프랑스의 알자스 지방, 바젤(스위스), 또는 보덴호 등으로의 견학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1457년 설립되어 독일에서 다섯 번째로 오래된 대학교이며,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의 분야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19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와 관련이 있으며, 철학자 에드문트 후설과 마르틴 하이데거 등 저명한 학자들이 졸업하고 교수직을 역임했다. 유럽 연구 대학 연합에 가입해 있으며, 2007년 독일의 "탁월한 대학(Exzellenzinitiative)"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11개의 학부를 갖춘 종합대학으로,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 신학자 그레고어 라이시 등 많은 학자들이 교수직을 역임했다. 졸업생 중에도 철학자 한스-게오르크 가다머와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과 같은 학자들이 있다.
2012년 가을부터 국내 최초로 리버럴 아츠 학부를 신설하여 국제적인 교육 제도를 제공하고 있다.
5. 1. 대학 순위
2018년 독일 슈피겔지에서 발표한 대학순위에 따르면 뮌헨공과대학에 이어 독일 내 2위를 차지했고 영국 타임즈지(THE;Times Higher Education)에서 발표한 2018년 세계대학랭킹에 따르면 유럽 내 6등, 세계 82등, 특히 인문사회과학분야에서 세계 42등에 오르며 높은 수준의 교육을 선보였다.[14]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여러 대학 순위 시스템에서 인정받고 있다. 2024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세계 192위, 독일 9위를 차지했다.[18] 2024년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세계 128위, 독일 11위였다.[19] 2023년 세계 대학 학술 순위(ARWU)에서는 세계 101~150위, 독일 5위로 평가되었다.[20]
2007년과 2008년 독일 잡지 및 정기 간행물 ('''슈피겔''', '''디 차이트''', '''포커스''')[21][22]에서 발표한 대학 순위에서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독일 최고 대학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23] 특히 법학, 의학, 경제학, 역사학, 영어학, 독어학, 생물학, 치의학, 약학 학부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24][25][26]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2003년 유럽연합이 과학 연구 전반에 대한 영향력을 기준으로 대학을 평가한 순위에서 유럽 6위, 독일 2위를 차지했다.[27] 독일 고등 교육 싱크탱크인 고등교육개발센터(Centre for Higher Education Development)는 유럽 석사 학위 및 박사 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순위를 정기적으로 발표한다. 2016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조사된 7개 분야 중 5개 분야에서 최우수 그룹에 선정되었다.[28] 네이처 퍼블리싱 그룹의 최근 조사인 '네이처 퍼블리싱 인덱스 - 2012 세계 100대'에서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독일 대학 중 가장 높은 순위인 세계 66위, 유럽 18위를 기록했다.[29] 2013년 5월에 발표된 최근 연구 "중국과 독일의 벤치마킹: 대학 및 연구 기관의 특허 포트폴리오 분석"은 독일과 중국의 주요 대학 및 연구 기관의 특허 출원을 평가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를 총 특허 출원 수에서 독일에서 세 번째로 혁신적인 대학교로 평가했다.[30]
학과 | 세계 순위 | 국내 순위 |
---|---|---|
예술 및 인문학 | 69 | 6 |
사회과학 | 176–200 | 9–13 |
컴퓨터 과학 | 78 | 7 |
공학 | 151–175 | 8–9 |
임상 및 보건 | 90 | 5 |
생명과학 | 62 | 7 |
물리과학 | 176–200 | 16–17 |
심리학 | 101–125 | 10–13 |
5. 2. 국제 협력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여러 외부 연구 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으며, 그중 여러 기관은 대학교 교수진과 연계되어 있다.[48]협력 기관은 다음과 같다.
valign="top" | | valign="top" |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바젤 대학교, 뮐루즈 고등 알자스 대학교, 그리고 특히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와 함께 지역 EUCOR 연합체의 일원이다.[49] 또한 유럽 연구 대학 연맹, 유럽 대학 협회, ASEA-Uninet, AC21, 그리고 국제 공립대학 포럼(IFPU)의 회원이기도 하다. 이 대학교는 거의 모든 대륙의 명문 대학교들과 교류 협정을 맺고 협력하고 있다.
2001년에는 사회과학 분야의 영어 강의 국제 석사 과정인 [https://web.archive.org/web/20081209104312/http://www.gsp.uni-freiburg.de/Home.html 글로벌 스터디 프로그램](GSP)을 개설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여러 지역과 문화에서 사회과학을 공부할 수 있도록 사회학, 정치학, 인류학, 지리학과 같은 다양한 학문 분야를 결합하여 세계화를 독특한 관점에서 접근한다. 케이프타운 대학교(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자와할랄 네루 대학교(인도 뉴델리), 라틴 아메리카 사회과학 연구소(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쭐랄롱꼰 대학교(방콕, 태국)이 공동으로 운영하며, 학생들은 2년 과정 동안 세 개의 다른 대륙에서 공부한다. 2008년부터는 글로벌 스터디 박사 과정도 제공하고 있으며, 2004년 BMW 그룹의 문화 간 학습상, 2006년 독일 학술 교류처(DAAD) 선정 독일 최고의 국제 석사 과정 10개 중 하나로 선정되는 등 많은 상을 수상했다.[50]
1995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아르마니아인 교수인 바실레 바르바(Vasile Barba)가 아르마니아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유럽 아르마니아 연구 센터(Tsentrul European ti Studii Armãneshtirup; link=no|Europäisches Zentrum für Aromunische Studiende)를 설립하는 것을 도왔다.[51]
이 대학교는 또한 러시아 인문과학 대학교의 러시아-독일 문학 및 문화 관계 연구소와 라트비아 대학교의 블라디미르 아드모니 박사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학생의 약 1/6이 유학생이며, 많은 학생들이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5. 3. 저명한 동문 및 교수
프라이부르크학파를 창시한 경제학자 발터 오이켄과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프리드리히 하이에크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철학자 에드문트 후설, 마르틴 하이데거, 한나 아렌트, 허버트 마르쿠제, 사회학자 막스 베버, 노벨 의학상 수상자 게오르게 쾰러, 한스 슈페만, 로베르 바라뉘, 하랄트 추어 하우젠, 필립 쇼월터 헨치, 오토 프리츠 마이어호프, 베르트 자크만, 독일연방공화국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 화학자 조르주 드 헤베시, 생화학자 한스 아돌프 크렙스 등이 이 대학 출신이다.[4]나치 독일 시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총장 마르틴 하이데거는 직업 공무원 복직법에 따라 유대인 교수진을 강제로 해고하고, 헤르만 슈타우딩거의 평화주의자 성향을 게슈타포에 알렸다. 나치 유전학자 외겐 피셔는 인종차별적 견해를 주장하여 뉘른베르크 법률을 뒷받침하는 데 기여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라이부르크 학파의 발터 오이켄, 프란츠 뵘 등은 질서자유주의(ordoliberalism) 사상을 발전시켜 독일 사회시장경제와 경제기적에 기여했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도 이 이론과 관련이 있으며, 발터 오이켄 연구소를 이끌었다. 아놀드 베르크슈트라서는 독일 정치학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그의 연구 그룹은 현재 대학교 내 아놀드 베르크슈트라서 사회문화 연구소로 이어졌다.[4]
2006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유럽연구대학연맹(LERU)에 가입했고, 2007년에는 독일 우수 대학교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4]
분야 | 인물 |
---|---|
정치/행정 | 콘라트 아데나워 (서독 초대 총리), 요제프 괴벨스, 토마스 데어러, 요제프 비르트 (독일 최연소 총리), 콘스탄틴 페어렌바흐, 토마스 드 메지에르, 율리우스 레버 |
경제 | 발터 오이켄,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노벨 경제학상), 프란츠 뵘, 후쿠자와 나오키 |
철학 | 마르틴 하이데거, 에드문트 후설, 한나 아렌트, 허버트 마르쿠제, 막스 호르크하이머, 발터 벤야민, 카를 레비트, 에디트 슈타인, 레오 슈트라우스, 프란츠 로젠츠바이크 |
사회학 | 막스 베버,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니클라스 루만 |
법학 | 인게보르크 슈벤처, 베른하르트 슐링크, 데구치 마사히사 |
문학 | 알프레트 되블린,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 향다 요시키 |
의학/생물학 | 파울 에를리히 (노벨 생리학·의학상), 한스 크렙스 (노벨 생리학·의학상), 한스 슈페만 (노벨 생리학·의학상), 귄터 블로벨 (노벨 생리학·의학상), 필립 쇼월터 헨치 (노벨 생리학·의학상), 베르트 자크만 (노벨 생리학·의학상), 오토 바르부르크 (노벨 생리학·의학상), 힐데 브룩, 로베르트 바라니, 로렌츠 오켄 |
화학 | 게오르크 드 헤베시 (노벨 화학상), 아돌프 빈다우스 (노벨 화학상), 마리오 몰리나 (노벨 화학상) |
기타 | 헤르만 슈타우딩거, 하인리히 비란트, 게오르크 비티히, 마르틴 발트제뮬러,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 크리스토프 샤이너, 에른스트 체르멜로, 에밀 바르부르크, 하인리히 리케르트, 루돌프 좀, 아우구스트 바이스만, 안톤 드 바리, 조르주 J.F. 쾰러, 카를 네겔리, 율리우스 폰 자크스, 빌헬름 빈델반트, 아돌프 쿠스마울, 파울 랑거한스, 프리드리히 마이네케, 휴고 뮌스터베르크, 클라우스 로트, 힐데가르트 베렌스, 두샨 포포프, 세이노 켄지 |
참조
[1]
웹사이트
Universität in Zahlen
https://www.uni-frei[...]
2020-05-20
[2]
웹사이트
Uni Broschuere 2017/2018
https://www.uni-frei[...]
2019-04-13
[3]
논문
Erasmus in seinen Beziehungen zur Universität Freiburg
http://dl.ub.uni-fre[...]
1907
[4]
웹사이트
Memorial for the Victims of National Socialism among the Students, Staff, and Faculty of the University of Freiburg
https://web.archive.[...]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2008-01-21
[5]
웹사이트
The Sigil of the University of Freiburg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Home page
http://www.ub.uni-fr[...]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2008-08-21
[7]
서적
CHE-Ranking Die Universitätsbibliotheken für Geisteswissenschaften aus Sicht der Studierenden
https://web.archive.[...]
CHE Centrum für Hochschulentwicklung
2007-10
[8]
웹사이트
Über die Unikirche
http://www.universit[...]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2008-08-21
[9]
뉴스
Freiburg: Wintersemester startet mit 21 600 Studierenden – SÜDKURIER Online
http://www.suedkurie[...]
2010-10-19
[10]
웹사이트
The Information and Service Platform
https://web.archive.[...]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2008-08-29
[11]
웹사이트
Study Fees
https://www.studium.[...]
University of Freiburg
2020-12-14
[12]
웹사이트
uniCROSS
https://www.unicross[...]
University of Freiburg
2024-11-11
[13]
보도자료
Universität Freiburg erneut an der Spitze
http://www.pr.uni-fr[...]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2008-08-27
[14]
보도자료
Excellence Initiative: University of Freiburg Qualifies for Champions League
http://www.pr.uni-fr[...]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2008-08-29
[15]
웹사이트
Excellence Initiative – University of Freiburg
https://web.archive.[...]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2008-08-29
[16]
보도자료
EHumboldt Would Study in Here: University of Freiburg Wins National "Excellent Instruction" Competition
http://www.pr.uni-fr[...]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2009-10-20
[17]
보도자료
ALBERT-LUDWIGS-UNIVERSITÄT Zum Teil herbe Kritik der Gutachter an Uni-Rektorat
http://www.badische-[...]
Badische Zeitung
2012-07-23
[18]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
https://www.topunive[...]
2024-09-14
[19]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
https://www.timeshig[...]
2023-09-27
[20]
웹사이트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s://www.shanghai[...]
2024-09-14
[21]
웹사이트
ForschungsRanking deutscher Universitäten
https://web.archive.[...]
CHE Centrum für Hochschulentwicklung
2008-08-29
[22]
웹사이트
FOCUS-Uniranking 2007
http://www.focus.de/[...]
Focus (German magazine)
2008-08-29
[23]
서적
Das CHE-ForschungsRanking deutscher Universitäten 2007 – Arbeitspapier Nr. 102
https://web.archive.[...]
CHE Centrum für Hochschulentwicklung
2008-02-20
[24]
웹사이트
Medizinische Fakultäten: Der Ausbildungserfolg im Vergleich (I)
https://web.archive.[...]
aerzteblatt-studieren.de
2008-08-29
[25]
웹사이트
Young Germany
http://www.young-ger[...]
2015-07-21
[26]
웹사이트
German Universities Have The Reputation To Be Among The Best In Europe
http://www.mygermanc[...]
2015-07-21
[27]
간행물
Downsizing and Specialising: The University Model for the 21st Century?
ftp://ftp.cordis.eur[...]
European Commission
2008-08-14
[28]
웹사이트
CHE University Ranking 2016/17
https://web.archive.[...]
2018-01-29
[29]
웹사이트
Nature Publishing Group
https://web.archive.[...]
2015-07-21
[30]
웹사이트
BENCHMARKING CHINA AND GERMANY : An Analysis of Patent Portfolios of Universities and Research Organizations
https://web.archive.[...]
2018-01-29
[31]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2
https://www.topunive[...]
2023-03-23
[32]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https://www.timeshig[...]
[33]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Global Ranking of Academic Subjects 2022
https://www.shanghai[...]
[34]
웹사이트
Hockeyroboter sind Weltmeister
http://www.pr.uni-fr[...]
2009-11-20
[35]
웹사이트
Jamboree Results for iGEM 2008
http://2008.igem.org[...]
2015-07-21
[36]
보도자료
Humboldt Rankings: Germany's most internationally attractive universities
http://www.humboldt-[...]
Alexander von Humboldt Foundation
2006-05-24
[37]
보도자료
Humboldt-Ranking: Welche sind die international attraktivsten Universitäten Deutschlands?
http://www.humboldt-[...]
Alexander von Humboldt Foundation
2009-06-02
[38]
웹사이트
UCF Quick Facts
https://www.ucf.uni-[...]
[39]
웹사이트
Curriculum
https://www.ucf.uni-[...]
[40]
웹사이트
Epistemology and Theory of Science
https://www.ucf.uni-[...]
[41]
웹사이트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http://www.ucf.uni-f[...]
[42]
웹사이트
EPICUR
http://epicur.educat[...]
[43]
웹사이트
Committees – studentscouncil
https://studentscoun[...]
[44]
웹사이트
Board – studentscouncil
https://studentscoun[...]
[45]
웹사이트
After UCF
https://www.ucf.uni-[...]
[46]
보도자료
CHE-ExcellenceRanking: Universität Freiburg eine der Topadressen für den Forschernachwuchs
http://www.pr.uni-fr[...]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2007-11-29
[47]
웹사이트
CHE ExcellenceRanking English
http://www.excellenc[...]
CHE Centrum für Hochschulentwicklung
[48]
웹사이트
A brief portrait of the University of Freiburg
http://www.uni-freib[...]
[49]
웹사이트
A new partnership for excellence
http://www.pr.uni-fr[...]
[50]
웹사이트
DAAD – International Programmes in Germany 2011
http://www.daad.de/d[...]
[51]
학술지
Vasile Barba: un alumtãtor ti ascãparea a limbãljei shi a culturãljei armâneascã
https://www.yumpu.co[...]
[52]
웹사이트
Freiburg University Statistics Page (de)
http://www.verwaltun[...]
[53]
웹사이트
University Medical Center Freiburg facts (de)
http://skl14b.ukl.un[...]
[54]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