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누스 5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누스 5세는 노르웨이의 귀족 에를링 스카케의 아들이자 시구르 1세의 외손자로, 1161년 노르웨이 국왕으로 즉위했다. 1177년 스베레 시구르손의 반란으로 대중의 지지를 잃었고, 1184년 핌레이테 전투에서 패배하여 전사했다. 망누스 5세의 죽음 이후에도 왕위 계승 분쟁이 지속되었으며, 노르웨이 내전 시대의 혼란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84년 사망 - 숙비 최씨 (예종)
숙비 최씨는 해주 최씨 출신으로 고려 예종의 후궁이 되어 아들 왕각관을 낳았고, 인종 때 숙비에 책봉되었다. - 1184년 사망 - 미나모토노 요시나카
미나모토노 요시나카는 헤이안 시대 말기 겐페이 전쟁에서 활약한 가와치 겐지의 무장으로, 아사히 쇼군이라 불렸으나 고시라카와 법황,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의 대립 끝에 전사했다. - 1156년 출생 - 벨구테이
벨구테이는 칭기즈 칸의 동생으로 몽골 제국 건국에 기여했으며, 자르구치에 임명되어 종족을 감독하고 요동에 울루스를 분봉받아 광녕왕을 칭했다. - 1156년 출생 - 이사키오스 2세 앙겔로스
이사키오스 2세 앙겔로스는 소아시아 군사 귀족 가문 출신으로 반란을 통해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잦은 반란과 전쟁, 가혹한 세금 정책, 해군력 약화 등으로 제국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하르드라디가 - 시구르 1세
시구르 1세는 1103년부터 1130년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노르웨이 십자군을 이끌어 '요르살라파리'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그의 치세는 노르웨이 왕국의 황금기로 여겨지지만 왕위 계승 분쟁의 씨앗을 남겼다는 평가도 받는다. - 하르드라디가 - 하랄드 3세 하르드라디
하랄 3세 하르드라디는 '결단력 있는 자'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11세기 노르웨이 왕으로, 키예프 루스와 비잔티움 제국에서 군사 경험을 쌓고 국내 반대 세력을 진압하며 왕국을 강화했으나, 1066년 잉글랜드 침공 중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에서 전사하여 바이킹 시대의 종말을 가져왔다고 여겨진다.
망누스 5세 | |
---|---|
기본 정보 | |
![]() | |
인명 | 마그누스 5세 에를링손 |
로마자 표기 | Mangeuseu 5se Eolleongseun |
다른 이름 | Magnus V Magnus Erlingsson Magnús Erlingsson |
통치 정보 | |
군주 칭호 | 노르웨이 국왕 |
재위 기간 | 1161년 - 1177/84년 |
대관일 | 1163/64년 베르겐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156년 |
출생지 | , 에트네 |
사망일 | 1184년6월 15일 |
사망지 | , |
매장지 | , 베르겐 |
가족 관계 | |
왕가 | 슈르 가문 |
왕조 | 홀파그레 왕조 |
아버지 | 에를링 스카케 |
어머니 | 크리스틴 시구르다테르 |
배우자 | 에스트리드 비요른스도테르 |
자녀 | 시구르 |
2. 생애
망누스 5세는 노르웨이 귀족 에를링 샤케(Erling Skakke)와 시구르 1세의 딸 크리스틴 시구르스다테르(Kristin Sigurdsdatter) 사이에서 태어났다.[1] 1161년 노르웨이 국왕으로 즉위했으나, 1177년 노르웨이 내전에서 스베레 시구르손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대중의 지지를 잃었다.
1184년 6월 15일 핌레이테 전투에서 스베레에게 패배하고 전사했다.[3]
2. 1. 초기 생애와 즉위
노르웨이의 귀족인 에를링 샤케(Erling Skakke)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시구르 1세 국왕의 딸인 크리스틴 시구르스다테르(Kristin Sigurdsdatter)이다.[1] 아버지 에를링은 오크니 백작 랑발 칼리 콜손과 함께 십자군 원정에 참여하여 명성을 얻었다.1161년 5세의 나이로 노르웨이 왕위에 올랐으며, 노르웨이 왕으로서는 최초로 대관식을 거행했다.[4] 아버지 에를링은 백작으로 임명되었고, 망누스가 어릴 때 실권을 장악했으며, 성년이 된 후에도 왕국의 실질적인 지배자로 남았다.[4]
1166년, 시구르 아군하트와 그의 양아들 올라브 우게바는 오플란에서 군대를 조직하고, 에를링 스카케가 덴마크에 머무는 동안 올라브를 왕위에 앉혔다. 올라브는 에이스타인 1세의 딸 마리아 에이스타인스도테르의 아들이었다. 에일링이 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노르웨이로 돌아온 후, 올라브와 그의 신하들은 셰름의 리요클에서 에일링을 매복 공격했으나, 에일링은 부상을 입고 간신히 도망쳤다. 1168년, 올라브와 그의 신하들은 남쪽의 오슬로 피오르에 발을 들였지만, 보르의 스탕겔 전투에서 패배했다. 시구르는 전사했지만, 올라브는 덴마크로 도망쳤다.[5]
1177년 노르웨이 내전에서 스베레 시구르손이 망누스 5세에게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키면서 대중의 지지를 잃었다.[3]
2. 2. 왕위 계승 분쟁과 내전
1161년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1177년 노르웨이 내전에서 스베레 시구르손이 망누스 5세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키면서 대중의 지지를 잃었다.[1]1166년, 시구르 아군하트와 그의 양아들 올라브 우게바는 오플란에서 군대를 조직하고, 에를링 스카케가 덴마크에 머무는 동안 올라브를 왕위에 앉혔다. 올라브는 에이스타인 1세의 딸 마리아 에이스타인스도테르의 아들이었다. 에를링이 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노르웨이로 돌아온 후, 올라브와 그의 신하들은 셰름의 리요클에서 에를링을 매복 공격했다. 에를링은 부상을 입고 간신히 도망쳤다. 1168년, 올라브와 그의 신하들은 남쪽의 오슬로 피오르에 발을 들였지만, 보르의 스탕겔 전투에서 패배했다. 시구르는 전사했지만, 올라브는 덴마크로 도망쳤다.[5]
1177년, 노르웨이 왕 시구르 2세의 서자라고 주장하는 스베레 시구르드손이 민중의 지지를 얻어 군대를 이끌고 노르웨이에 상륙하여 왕위를 주장했다.[3] 에를링의 입지는 위태로워졌고, 1179년 니달로스 교외의 칼프스시네 전투에서 전사했다.[3]
마그누스는 덴마크로 도망쳤다. 이후 재기를 도모하여 다시 노르웨이에 상륙하여 수년간 전쟁이 이어졌지만, 1184년 6월 15일 핌레이테 전투에서 패배하고 전사했다.[3] 스베레는 대함대를 보내 마그누스의 함대를 공격하여 한 번에 한 척의 배에 돌격하여 격파하고, 마그누스의 병사들을 다음 배로 뛰어넘게 했다. 전투가 진행되면서, 남은 배들은 빽빽하게 들어찼고, 그 무게 때문에 침몰했다.
2. 3. 핌레이테 전투와 최후
1177년 노르웨이 내전에서 스베레 시구르손이 망누스 5세에게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키면서 대중의 지지를 잃었다.[3] 1179년에는 그의 아버지 에를링 샤케가 니달로스 교외의 칼프스시네 전투에서 전사했다.[3] 망누스는 덴마크로 도망쳤다.이후 재기를 도모하여 다시 노르웨이에 상륙하여 수년간 전쟁이 이어졌지만, 1184년 6월 15일 핌레이테 전투에서 망누스는 패배하고 전사했다.[3] 스베레는 대함대를 보내 마그누스의 함대를 공격하여 한 번에 한 척의 배에 돌격하여 격파하고, 마그누스의 병사들을 다음 배로 뛰어넘게 했다. 전투가 진행되면서, 남은 배들은 빽빽하게 들어찼고, 그 무게 때문에 침몰했다.
3. 역사적 배경
노르웨이 내전 시대는 1130년 시구르 1세의 죽음으로 시작되어 1240년 스쿨레 보르드손의 죽음까지 110년 동안 지속되었다.[1] 이 시기에는 다양한 규모의 분쟁이 발생했는데, 그 배경에는 불확실한 노르웨이의 상속법, 사회적 상황, 교회와 국왕 간의 갈등이 있었다.[1] 처음에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던 집단들이 결국 바글당과 비르케베인당이라는 두 개의 당으로 결집되었다.[1] 이들 당파는 국왕의 지배에 맞서기 위해 왕족을 지도자로 내세웠다.[1]
3. 1. 내전의 원인
노르웨이 내전 시대는 1130년 노르웨이 왕 시구르 1세의 죽음으로 시작하여 1240년 스쿨레 보르드손의 죽음으로 끝나, 110년 동안 이어졌다.[1] 이 기간 동안 다양한 규모의 분쟁이 일어났다.[1] 이러한 대립의 배경에는 불확실한 노르웨이의 상속법, 사회 정세, 교회와 국왕 사이의 대립이 있었다.[1] 처음에는 이름이 없거나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졌던 집단이었지만, 최종적으로 바글당과 비르케베인당의 두 당이 결성되었다.[1] 당파의 중심이 된 것은 국왕의 지배에 대항하기 위해 당의 수장으로 세워진 왕자들이었다.[1]망누스 5세가 죽은 후 시구르 망누손, 잉에 망누손, 에링 망누손 스테인베그가 망누스의 아들을 칭하며 노르웨이 왕위를 주장했다.[1]
3. 2. 내전의 경과
노르웨이 내전 시대는 망누스 5세에 대한 스베레의 승리로 끝나지 않았다. 망누스 5세가 죽은 후 시구르 망누손, 잉에 망누손, 에링 망누손 스테인베그가 망누스의 아들을 칭하며 노르웨이 왕위를 주장했다. 노르웨이 내전 시대는 1130년 노르웨이 왕 시구르 1세의 죽음으로 시작하여 1240년 스쿨레 보르드손의 죽음으로 끝나 110년 동안 이어졌다.이 기간 동안 다양한 규모의 일련의 다툼이 일어났다. 이러한 대립의 배경에는 불확실한 노르웨이의 상속법, 사회 정세, 교회와 국왕 사이의 대립이 있었다. 처음에는 이름이 없거나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졌던 집단이었지만, 최종적으로 바글당과 비르케베인당의 두 당이 결성되었다. 당파의 중심이 된 것은 국왕의 지배에 대항하기 위해 당의 수장으로 세워진 왕자들이었다.
참조
[1]
서적
百瀬 他、付録 p. 66
[2]
논문
Royal Legitimation in Magnúss saga Erlingssonar
https://www.academia[...]
2006-01
[3]
서적
Cross and Scepter: The Rise of the Scandinavian Kingdoms from the Vikings to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4]
서적
Salmonsens Konversationsleksikon / Volume XVI
http://runeberg.org/[...]
J. H. Schultz Forlagsboghandel
[5]
웹사이트
Magnus 5 Erlingsson
http://www.snl.no/.n[...]
2023-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