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구르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구르 1세는 1103년부터 1130년까지 노르웨이의 국왕이었다. 그는 망누스 3세의 아들로, 이복 형제 외위스테인 1세, 올라프 망누손과 함께 공동 통치를 했다. 1107년 노르웨이 십자군을 이끌고 예루살렘 왕국을 지원하기 위해 원정을 떠났으며, 리스본, 지중해 섬, 팔레스타인 등지에서 전투를 벌였다. 시돈 공방전에 참여하여 승리하고, 예루살렘의 발두인 1세로부터 참 십자가 조각을 받았다. 1111년 노르웨이로 귀환한 후 십일조를 도입하고 스타방에르 교구를 설립하는 등 통치했다. 1130년 사망하여 오슬로의 할바르 교회에 묻혔으며, 그의 사후에는 내전이 발생했다. 시구르 1세의 생애는 연극과 음악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30년 사망 - 교황 호노리오 2세
교황 호노리오 2세는 1124년부터 1130년까지 재임한 제163대 교황으로, 귀족 가문들의 당파 싸움, 신성 로마 제국과의 관계, 루지에로 2세와의 갈등 등 여러 문제에 관여했으며 템플 기사단을 공식 인가하고 동방 문제에도 관심을 가졌다. - 1130년 사망 - 테레사 데 레온 왕녀
레온 왕 알폰소 6세의 서녀 테레사 데 레온 왕녀는 포르투갈 백작 엔리케와의 결혼으로 포르투갈 백작 부인이 되었고, 남편 사후 아들 아폰수 1세의 섭정으로 포르투갈 백작령을 통치하며 영토 확장 야망을 추구했지만, 이복여동생과의 권력 다툼과 아들의 반란으로 폐위되어 수도원으로 추방되는 격동적인 삶을 살았다. - 1090년 출생 - 에리크 2세
에리크 2세는 에스트리센 가 출신으로 1134년부터 1137년까지 덴마크의 왕이었으며, 왕권 강화 노력과 가혹한 통치로 암살당했다. - 1090년 출생 - 베르나르 드 클레르보
베르나르 드 클레르보는 1090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1153년 사망한 중세 프랑스의 성직자이자 신학자로, 시토회 수도사로서 클레르보 수도원 설립과 발전에 기여하고 교회 정치와 사회 문제에 깊이 관여하며 유럽 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신비주의적 신학 사상은 후대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하르드라디가 - 하랄드 3세 하르드라디
하랄 3세 하르드라디는 '결단력 있는 자'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11세기 노르웨이 왕으로, 키예프 루스와 비잔티움 제국에서 군사 경험을 쌓고 국내 반대 세력을 진압하며 왕국을 강화했으나, 1066년 잉글랜드 침공 중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에서 전사하여 바이킹 시대의 종말을 가져왔다고 여겨진다. - 하르드라디가 - 올라프 3세
올라프 3세는 노르웨이 국왕으로, 하랄 3세의 아들이며 1067년부터 1093년까지 재위하며 평화를 유지하고 교회 및 왕국을 개혁했으며 베르겐을 건설하고 길드 제도를 도입했다.
시구르 1세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시구르 1세 |
별칭 | 시구르 십자군왕 |
원어 표기 | 고대 노르드어: Sigurðr Jórsalafari 노르웨이어: Sigurd Jorsalfare |
왕조 | |
가문 | 하르드라다 가 |
통치 | |
직위 | 노르웨이의 왕 |
재위 기간 | 1103년 – 1130년 3월 26일 |
선대 왕 | 마그누스 3세 |
후대 왕 | 마그누스 4세, 하랄 길레 |
직위 (2) | 오크니 백작 |
재위 기간 (2) | 1098년 – 1103년 |
재위 기간 (3) | 1102년 – 1103년 |
선대 왕 (3) | 마그누스 3세 |
개인 정보 | |
본명 | 시구르 마그누손 |
칭호 | 시구르 1세 |
배우자 | 말름프리다 므스티슬라브나 세실리아 (논쟁 중) |
자녀 | 크리스틴 시구르스다테르 마그누스 4세 (서자) |
아버지 | 마그누스 3세 |
어머니 | 토라 (첩) |
출생 | 1089년 |
사망 | 1130년 3월 26일 |
사망 장소 | 오슬로, |
매장지 | 아케르스후스 성, 이전에는 |
2. 생애
2. 1. 초기 생애
1098년, 시구르 1세는 아버지 망누스 3세와 함께 오크니 제도, 헤브리디스 제도, 아일랜드해 원정에 참여했다.[4] 원정 중 시구르는 오크니 백작으로 임명되었고,[4] 아일랜드 국왕으로도 불렸다.[5] 이는 당시 오크니 백작이었던 폴 토르핀손과 에를렌 토르핀손 형제가 제거되고, 망누스 3세가 아일랜드해 일대의 왕을 몰아낸 데 따른 것이었다.[4] 시구르는 오크니 백작령을 하콘 파울손에게 넘겨주었다.[5]1103년 망누스 3세가 울라드에서 아일랜드 군대에 의해 기습을 받아 사망하자,[4] 14세의 시구르는 노르웨이로 돌아와[4] 외위스테인 1세, 올라프 망누손과 함께 노르웨이의 공동 군주가 되었다.[4] 망누스 3세의 원정으로 노르웨이는 부와 노동력을 얻었지만, 헤브리디스 제도와 맨 섬은 망누스 3세 사후 독립을 되찾았다.[4]

시구르 1세는 마그누스 3세의 세 아들 중 한 명으로, 어머니가 다른 이복형제 에이스타인과 올라프와 함께 1103년부터 공동으로 왕국을 통치했다.[4] 1102년, 시구르는 아일랜드에서 가장 강력한 통치자 중 한 명이자 더블린의 통치자인 무이르케르타크 우아 브리안과 결혼 동맹을 맺고 그의 딸 뱌드문요와 결혼할 예정이었으나,[4] 1103년 망누스 3세의 사망으로 결혼은 성사되지 못했다.
2. 2. 노르웨이 십자군 (1107년 ~ 1111년)
1103년 망누스 3세 국왕이 사망하면서 그의 아들들이 노르웨이의 공동 군주가 되었다. 1107년 시구르 1세는 제1차 십자군 이후 건국된 예루살렘 왕국을 지원하기 위해 노르웨이 십자군을 이끌고 원정을 떠났는데, 이는 유럽 군주가 직접 십자군을 이끈 첫 사례였다.[7] 사가에 따르면 약 60척의 배에 총 5,000명 정도의 병력을 보유했다고 한다.[7] 시구르 1세는 아버지 망누스 3세와 함께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주변 바다의 섬들로 여러 차례 원정을 다녀온 경험이 있었다.[7]
시구르 1세는 리스본, 여러 지중해 섬, 팔레스타인에서 전투를 벌여 승리했다.[7] 그는 자신의 충성스러운 병사들과 친척들 사이에서 종종 적들과 싸웠고, 그들은 끊임없이 승리하여 엄청난 양의 보물과 전리품을 얻었다.[7] 예루살렘('요르살라')으로 가는 길에 노르만 왕 시칠리아의 로제르 2세를 팔레르모에 있는 그의 성에서 만났다.[7]
성지에 도착하자 예루살렘의 발두인 1세 국왕의 환영을 받았다.[7] 그는 따뜻한 환영을 받았고 국왕과 많은 시간을 보냈으며, 두 국왕은 요르단 강으로 가서 시구르 1세는 세례를 받았을 것이다.[7] 발두인 1세는 시구르 1세에게 시돈을 점령하는 데 참여할 것을 요청했다.[7] 시돈 공방전은 십자군에게 큰 성공을 거두었고, 1110년 12월 5일에 도시가 정복되었다.[7] 발두인 1세와 예루살렘 총대주교 아를의 기벨린의 명령에 따라 참십자가에서 조각이 떼어져 십자군에서의 영웅적인 참여의 표시와 유물로 시구르 1세에게 주어졌다.[7]
그 후, 시구르 1세는 배로 돌아가 성지를 떠날 준비를 했다. 그들은 북쪽으로 키프로스 섬으로 항해하여 시구르 1세는 잠시 머물렀다. 그 다음 시구르 1세는 콘스탄티노플('미클라가르드')로 항해하여 그의 병사들 앞에서 말을 타고 골든 타워라고 불리는 문을 통해 도시로 들어갔다.[7] 그는 그곳에서 잠시 머물며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 황제를 만나 많은 시간을 보냈다.[7] 콘스탄티노플을 떠나기 전, 시구르 1세는 자신의 모든 배와 많은 보물을 알렉시오스 황제에게 넘겨주었다. 그 대가로 황제는 그와 그의 친척들에게 강한 말들을 많이 주었다.[7]
시구르 1세는 육로로 노르웨이로 돌아갈 계획이었다.[7] 여행은 3년이 걸렸고, 그는 도중에 많은 나라들을 방문했다. 시구르 1세는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에서 헝가리, 판노니아, 스와비아, 바이에른을 거쳐 신성 로마 제국의 로타르 2세 황제를 만났다.[7] 그는 나중에 덴마크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덴마크의 니엘스 왕의 환영을 받았으며, 니엘스 왕은 그에게 노르웨이로 항해할 배를 주었다.[7]
1111년 노르웨이로 돌아온 시구르 1세는 번영하고 번성하는 왕국을 맞이했다.[7]
2. 3. 귀환 이후의 통치
시구르 1세는 1111년 노르웨이로 귀환하여 번영하는 왕국을 맞이했다. 외스테인 1세는 견고하고 안정된 나라를 건설했고, 교회는 부, 권력, 위신을 얻었다. 시구르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교회를 지원하기 위한 10% 세금인 십일조가 노르웨이에 도입되었고, 이는 국내 교회를 크게 강화했다. 그는 베르겐의 주교에게 이혼을 거부당했기 때문에, 더 남쪽에 스타방에르 교구를 설립하고 그곳의 주교에게 이혼을 집행하게 했다.시구르 1세는 콩헬레(현재 스웨덴의 쿵엘브 근처)에 수도를 정하고 그곳에 강력한 성을 지었다. 그는 또한 예루살렘의 발두인 1세 왕에게 받은 유물, 즉 참 십자가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진 파편을 보관했다.[9] 1123년, 시구르 1세는 스몰란드로 칼마르 원정에 참여했다. 그곳의 주민들은 기독교를 포기하고 다시 고대 노르드 신화의 신들을 숭배했다고 한다.[9][24]
2. 4. 사망
시구르 1세는 1130년에 사망하여 오슬로의 할바르 교회(''Hallvardskirken'')에 묻혔다.[10] 그는 키예프 대공 므스티슬라프 1세의 딸이자 스웨덴 왕 잉에 1세의 손녀인 말름프리다 므스티슬라브나와 결혼하여 딸 크리스틴 시구르스다터르를 두었다.시구르 1세는 적법한 아들을 남기지 않았고, 그의 서자 마그누스 4세가 보르힐 올라브스도터르와의 사이에서 태어나 노르웨이의 왕이 되었다. 마그누스 4세는 또 다른 왕위 주장자인 하랄 4세와 왕위를 공유하며 불안정한 평화를 유지했다.[11] 이는 시구르 1세의 죽음 이후 다양한 사생아들과 다른 왕위 주장자들 사이의 권력 투쟁으로 이어졌고, 길고 파괴적인 내전으로 확대되었다.[12][13][14]
3. 유산
뱌른스티에르네 뱌른손은 시구르 1세의 생애를 바탕으로 역사극을 썼으며, 에드바르 그리그는 이 극에 부수 음악을 작곡했다.(제목: ''시구르 요르살파르'')[16] 스코틀랜드 시인 윌리엄 포사이스는 1862년에 에드워드 번 존스가 삽화를 그린 '십자군 왕 시구르'를 썼다.[16]
4. 같이 보기
- 노르웨이 십자군
- 시구르 요르살파르 (그리그)
참조
[1]
웹사이트
Sigurd 1 Magnusson Jorsalfare
https://nbl.snl.no/S[...]
2022-06-30
[3]
서적
"The First Crusade and the Idea of Crusad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6
[4]
웹사이트
Sigurd Jorsalfare
https://snl.no/Sigur[...]
Store norske leksikon
2016-04-01
[5]
웹사이트
Sigurd 1 Magnusson Jorsalfare, Konge
https://nbl.snl.no/S[...]
Norsk biografisk leksikon
2016-04-01
[6]
간행물
Irishmen and Islesmen in the Kingdom of Dublin and Man 1052–1171
[7]
간행물
Image is Everything: The Morkinskinna Account of King Sigurðr of Norway's Journey to the Holy Land
https://muse.jhu.edu[...]
2013-09-13
[9]
웹사이트
Konghelle
https://snl.no/Kongh[...]
Store norske leksikon
2016-04-01
[10]
간행물
The Lion, the Dream, and the Poet: Mental Illnesses in Norway's Medieval Royal Court
https://journal.fi/m[...]
2021-03-12
[11]
간행물
The Norwegian kingdom: succession disputes and consolida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2]
웹사이트
Magnus 4 Sigurdsson Blinde, Konge
https://nbl.snl.no/M[...]
Norsk biografisk leksikon
2016-04-01
[13]
웹사이트
Gilchrist Harald 4 Gille, Konge
https://nbl.snl.no/e[...]
Norsk biografisk leksikon
2016-04-01
[14]
웹사이트
Saga of Magnus the Blind and of Harald Gille
http://mcllibrary.or[...]
Heimskringla
2016-04-01
[15]
웹사이트
Saga of Sigurd the Crusader and His Brothers Eystein and Olaf
https://en.wikisourc[...]
Heimskringla
2016-04-01
[16]
웹사이트
King Sigurd the Crusader (in "Good Words for 1862," p. 248)
https://www.metmuseu[...]
2023-08-27
[17]
웹사이트
Sigurd 1 Magnusson Jorsalfare
https://nbl.snl.no/S[...]
2022-06-30
[19]
서적
"The First Crusade and the Idea of Crusad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6
[20]
웹사이트
Sigurd Jorsalfare
https://snl.no/Sigur[...]
Store norske leksikon
2016-04-01
[21]
웹사이트
Sigurd 1 Magnusson Jorsalfare, Konge
https://nbl.snl.no/S[...]
Norsk biografisk leksikon
2016-04-01
[22]
간행물
Irishmen and Islesmen in the Kingdom of Dublin and Man 1052–1171
[23]
간행물
Image is Everything: The Morkinskinna Account of King Sigurðr of Norway's Journey to the Holy Land
https://muse.jhu.edu[...]
2013-09-13
[24]
웹사이트
Konghelle
https://snl.no/Kongh[...]
Store norske leksikon
2016-04-01
[25]
간행물
The Lion, the Dream, and the Poet: Mental Illnesses in Norway's Medieval Royal Court
https://journal.fi/m[...]
2021-03-12
[26]
간행물
The Norwegian kingdom: succession disputes and consolida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7]
웹사이트
Magnus 4 Sigurdsson Blinde, Konge
https://nbl.snl.no/M[...]
Norsk biografisk leksikon
2016-04-01
[28]
웹사이트
Gilchrist Harald 4 Gille, Konge
https://nbl.snl.no/e[...]
Norsk biografisk leksikon
2016-04-01
[29]
웹사이트
Saga of Magnus the Blind and of Harald Gille
http://mcllibrary.or[...]
Heimskringla
2016-04-01
[30]
웹사이트
Saga of Sigurd the Crusader and His Brothers Eystein and Olaf
https://en.wikisourc[...]
Heimskringla
2016-04-01
[31]
웹사이트
King Sigurd the Crusader (in "Good Words for 1862," p. 248)
https://www.metmuseu[...]
2023-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