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체스터 마크 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맨체스터 마크 1은 1948년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개발된 초기 프로그램 내장 방식 컴퓨터이다. 앨런 튜링의 이론을 바탕으로, 윌리엄스관을 메모리 장치로 사용하여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했다. 상업용 버전인 페란티 마크 1의 기반이 되었으며, 인덱스 레지스터를 통합하여 프로그래밍 효율성을 높였다. 1949년 메르센 소수를 찾는 프로그램을 최초로 실행했으며, 이후 리만 가설 연구 등 다양한 수학적 작업을 수행했다. 마크 1의 개발은 이후 페란티 머큐리와 같은 후속 컴퓨터 개발에 영향을 미쳤으며, "전자 두뇌"라는 용어를 대중화하는 등 문화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0년대 컴퓨터 - 모니악
모니악은 빌 필립스가 개발한 아날로그 컴퓨터로,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경제 시스템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경제 변수 간의 관계 및 정책 효과를 보여주며, 경제학 교육과 연구에 활용되었다. - 1940년대 컴퓨터 -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는 1930년대 후반 존 빈센트 아타나소프와 클리포드 베리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 중 하나로, 연립 선형 방정식 시스템을 풀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의 핵심 아이디어를 최초로 구현하여 컴퓨터 역사에 중요한 선구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 진공관 컴퓨터 -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는 1930년대 후반 존 빈센트 아타나소프와 클리포드 베리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 중 하나로, 연립 선형 방정식 시스템을 풀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의 핵심 아이디어를 최초로 구현하여 컴퓨터 역사에 중요한 선구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 진공관 컴퓨터 - IAS 머신
IAS 머신은 1940년대 후반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개발된 40비트 이진수 컴퓨터 아키텍처로, 1,024 워드의 메모리와 1,700개의 진공관을 사용했으며, 여러 파생 기종에 영향을 미쳤다. - 독특한 컴퓨터 - 클로드 섀넌
클로드 섀넌은 정보 이론의 창시자이자 디지털 회로 설계의 선구자로, 정보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하여 정보 이론을 개척하고 디지털 회로 설계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암호학, 인공지능, 컴퓨터 체스 연구에도 기여하여 현대 디지털 시대의 기반을 구축했다. - 독특한 컴퓨터 - 해석기관
해석기관은 19세기 찰스 배비지가 설계한 기계식 범용 컴퓨터로, 천공 카드, 증기 기관, 십진법을 사용하며 튜링 완전성을 갖춘 것으로 여겨지지만,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배비지 생전에는 완성되지 못했다.
| 맨체스터 마크 1 | |
|---|---|
| 개요 | |
![]() | |
| 종류 | 정보 기기 |
| 계열 | 맨체스터 컴퓨터 |
| 이전 모델 | 맨체스터 베이비 |
| 다음 모델 | 페란티 마크 1 |
| 역사적 맥락 | |
| 중요성 | 세계 최초의 저장 프로그램 컴퓨터 중 하나 |
| 기술 사양 | |
| 참고 | 이 논의는 이 문서의 문화적 영향 섹션에서 설명한다. |
2. 배경
1936년, 수학자 앨런 튜링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테이프에 저장하는 이론적인 "만능 계산 기계"(튜링 머신)에 대한 정의를 발표했다. 튜링은 이 기계가 알고리즘으로 작성 가능한 모든 수학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2] 1940년대에 튜링과 콘라트 추제 등은 테이프 대신 컴퓨터 자체 메모리에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는 아이디어를 개발했다.[16] 프로그램 내장 방식과 "폰 노이만 구조"로 컴퓨터를 설계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은 존 프레스퍼 에커트와 존 모클리였지만,[17][18]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이 저장 프로그램 컴퓨터 아키텍처를 정의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19]
1948년 8월부터, 맨체스터 대학교는 맨체스터 베이비(SSEM)를 기반으로 한 프로토타입 개발을 시작했다. 이 개발은 대학교에 보다 현실적인 컴퓨팅 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6] 1948년 10월, 영국 정부 수석 과학자 벤 록스페이저는 맨체스터 대학교를 방문하여 마크 1 프로토타입의 시연을 보았다. 록스페이저는 깊은 인상을 받아, 즉시 지역 기업인 페란티와 정부 계약을 체결하여 이 기계의 상업용 버전인 페란티 마크 1을 만들도록 했다.[24] 1948년 10월 26일자 서신에서 록스페이저는 페란티에게 "F. C. 윌리엄스 교수의 지시에 따라 전자 계산기를 제작하는 것을 진행"하도록 승인했다.[25] 그 시점부터 마크 1의 개발은 페란티에게 상업용 기기의 기반이 될 설계를 제공하는 추가적인 목적을 갖게 되었다.[31] 정부와 페란티 간의 계약은 1948년 11월부터 5년 동안 진행되었으며, 연간 약 35,000파운드가 소요되었다.
1949년 4월 초, 맨체스터 마크 1에서 실행된 최초의 실질적인 프로그램은 메르센 소수 탐색이었다.[36] 1949년 6월 16일/17일 밤에 9시간 동안 오류 없이 실행되었다.
투틸은 1949년 8월 페란티 마크 1의 설계를 계속하기 위해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페란티로 임시 전출되어 4개월 동안 회사에서 일했다.[8] 1950년 8월, 맨체스터 마크 1은 해체되어 폐기되었으며,[1] 몇 달 후 세계 최초의 상업용 범용 컴퓨터인 최초의 페란티 마크 1으로 대체되었다.
맨체스터 마크 1과 그 전신인 베이비의 성공적인 작동은 영국 언론에 널리 보도되었으며, 언론은 이 기계를 묘사하기 위해 "전자 두뇌"라는 문구를 사용했다.[11] 루이스 마운트배튼 경은 1946년 10월 31일 영국 라디오 기술자 협회에서 한 연설에서 이 용어를 처음 소개했으며, 당시 이용 가능했던 초보적인 컴퓨터가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는지 추측했다.[12] 최초의 현대적인 컴퓨터로 인식된 1949년 보도에 대한 흥분은 개발자들이 예상치 못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맨체스터 대학교 신경외과 교수인 제프리 제퍼슨 경은 1949년 6월 9일 리스터 강연을 맡아 "기계 인간의 마음"을 주제로 선택했다. 그의 목적은 맨체스터 프로젝트를 "비판"하는 것이었다. 그는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1]
웹사이트
The Manchester Mark 1
http://www.digital60[...]
University of Manchester
2009-01-24
폰 노이만 방식 컴퓨터의 실제 제작에는 적절한 메모리 장치가 필요했다. 맨체스터 대학교의 맨체스터 소규모 실험 머신(SSEM)은 세계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 방식 컴퓨터였으며, 1948년 6월에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윌리엄스관의 실용성을 증명했다.[20] 윌리엄스관은 표준 음극선관(CRT)을 이용한 초기 컴퓨터 메모리 형태였다.[3] 초기 전자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배선을 다시 하거나 패치 패널을 통해 프로그래밍되었고, 현대 컴퓨터처럼 메모리에 별도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ENIAC을 다시 프로그래밍하는 데 며칠이 걸릴 수 있었다.[4] 영국 국립 물리 연구소의 파일럿 ACE,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EDSAC, 미국 육군의 EDVAC 등 다른 연구자들도 저장 프로그램 컴퓨터를 개발했다.[22] SSEM과 마크 1은 수은 지연선 메모리 대신 윌리엄스관을 메모리 장치로 사용했다는 점이 다르다.[23]
1948년 8월부터, 맨체스터 마크 1의 프로토타입 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처음에는 대학교에 보다 현실적인 컴퓨팅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였다.[26] 1948년 10월, 영국 정부 수석 과학자 벤 록스페이저는 맨체스터 대학교를 방문하여 마크 1 프로토타입 시연을 보았다. 록스페이저는 깊은 인상을 받아 즉시 지역 기업인 페란티와 정부 계약을 체결하여 이 기계의 상업용 버전인 페란티 마크 1을 만들도록 했다.[24] 1948년 10월 26일자 서신에서 록스페이저는 "F. C. 윌리엄스 교수의 지시에 따라 전자 계산기를 제작하는 것을 진행"하도록 승인했다.[25] 그 시점부터 마크 1의 개발은 페란티에 상업용 기기의 기반이 될 설계를 제공하는 추가적인 목적을 갖게 되었다.[31] 정부와 페란티 간의 계약은 1948년 11월부터 5년 동안 진행되었으며, 연간 약 35000UK-GDP가 소요되었다.
3. 개발 및 설계
SSEM은 프레데릭 C. 윌리엄스, 톰 킬번, 제프 투틸 팀에 의해 설계되었다. 마크 1을 개발하기 위해 두 명의 연구생, D. B. G. 에드워즈와 G. E. 토마스가 합류했으며, 작업은 1948년 8월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곧 페란티가 상업용 기기인 페란티 마크 1의 기반으로 삼을 수 있는 작동 설계를 페란티에 제공하고, 연구자들이 실제로 이러한 기기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경험할 수 있도록 컴퓨터를 구축하는 이중적인 목적을 갖게 되었다. 맨체스터 마크 1의 두 가지 버전 중 첫 번째 버전인 중간 버전은 1949년 4월에 작동되었다.[26] 그러나 이 첫 번째 버전에는 주 기억 장치와 새로 개발된 자기 보조 기억 장치 간에 데이터를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데 필요한 명령어와 같은 기능이 부족했는데, 이는 기기를 중단하고 수동으로 전송을 시작해야 했다. 이러한 누락된 기능들은 1949년 10월까지 완벽하게 작동된 최종 사양 버전에 통합되었다.[31] 이 기기에는 4,050개의 진공관이 포함되었으며, 전력 소비량은 25kW였다.[27]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베이비에 사용된 표준 장치 대신 GEC가 제작한 특수 제작된 CRT가 기기에 사용되었다.[14]
베이비의 32비트 워드 길이는 40 비트로 증가했다. 각 워드는 40비트 숫자 하나 또는 20비트 프로그램 명령어 두 개를 담을 수 있었다. 주 기억 장치는 처음에 두 개의 이중 밀도 윌리엄스 튜브로 구성되었으며, 각 튜브는 32 x 40비트 워드의 두 어레이(페이지)를 저장했다. 추가로 32 페이지를 저장할 수 있는 자기 드럼에 의해 백업되었다. 최종 사양 버전에서는 4개의 윌리엄스 튜브에 8페이지의 주 기억 장치와 128개의 자기 드럼 페이지의 보조 기억 장치로 용량이 증가했다. 직경 약 30.48cm의 드럼,[28] 처음에는 자기 휠이라고 알려졌으며, 표면에 일련의 병렬 자기 트랙이 있었고, 각 트랙에는 자체 읽기/쓰기 헤드가 있었다. 각 트랙은 2,560 비트를 저장했으며, 이는 두 페이지(2×32×40 비트)에 해당한다. 드럼의 한 번 회전하는 데 30ms가 걸렸으며, 그 시간 동안 두 페이지 모두 CRT 주 메모리로 전송될 수 있었지만, 실제 데이터 전송 시간은 페이지가 읽기/쓰기 헤드 아래에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인 대기 시간에 따라 달라졌다. 드럼에 페이지를 쓰는 데는 읽는 것보다 약 두 배의 시간이 걸렸다.[31] 드럼의 회전 속도는 추가 드럼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주 중앙 프로세서 클럭과 동기화되었다. 데이터는 맨체스터 코드로 알려진 위상 변조 기술을 사용하여 드럼에 기록되었다.[29]
기기의 명령어 집합은 베이비의 7개에서 처음에는 26개로 증가했으며, 하드웨어에서 수행되는 곱셈을 포함했다. 이는 최종 사양 버전에서 30개의 명령어로 증가했다. 각 워드의 10비트는 명령 코드를 저장하는 데 할당되었다. 표준 명령어 시간은 1.8밀리초였지만, 곱셈은 피연산자의 크기에 따라 훨씬 느렸다.[30]
이 기기의 가장 중요한 혁신은 일반적으로 현대 컴퓨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덱스 레지스터의 통합으로 여겨진다. 베이비는 윌리엄스 튜브로 구현된 두 개의 레지스터, 즉 누산기(A)와 프로그램 카운터(C)를 포함했다. A와 C가 이미 할당되었으므로, 두 개의 인덱스 레지스터를 담는 튜브는 원래 B-라인이라고 알려졌으며, B라는 이름을 받았다. 레지스터의 내용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수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숫자 배열을 편리하게 반복할 수 있었다. 마크 1에는 곱셈 연산을 위한 피승수와 승수를 저장하는 네 번째 튜브(M)도 있었다.[29]
4. 프로그래밍
맨체스터 마크 1은 각 프로그램 명령어에 20비트를 할당했으며, 그 중 10비트는 명령어 코드를 저장하여 1,024개(210)의 서로 다른 명령어를 허용했다. 초기에는 26개의 명령어가 있었고,[26] 자기 드럼과 음극선관(CRT) 메인 저장소 간의 데이터 전송을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제어하는 기능 코드가 추가되면서 30개로 늘어났다. 중간 버전에서는 키 스위치로 프로그램을 입력했고, 베이비와 마찬가지로 출력은 음극선관(CRT)에 점과 대시로 표시되었다. 그러나 1949년 10월에 완성된 최종 사양 기계는 5개의 구멍이 있는 종이 테이프 리더와 펀치가 있는 전신 타자기가 추가되어 입출력이 개선되었다.[31]
앨런 튜링은 1948년 9월 맨체스터 대학교의 컴퓨터 연구소 부소장으로 임명되었고,[26] 표준 ITA2 5비트 전신 타자기 코드를 기반으로 한 32진법 인코딩 방식을 고안하여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종이 테이프에 쓰고 읽을 수 있도록 했다.[32] ITA2 시스템은 5비트(25)로 표현할 수 있는 32개의 가능한 바이너리 값 각각을 단일 문자에 매핑한다. 예를 들어 "10010"은 "D"를, "10001"은 "Z"를 나타낸다. 튜링은 전신 타자기 코드에서 "무효" 및 "줄 바꿈"을 의미하는 00000과 01000을 각각 "/" 및 "@" 문자로 표시하는 등 몇 가지 표준 인코딩을 변경했다. 슬래시로 표시되는 바이너리 0은 프로그램과 데이터에서 가장 일반적인 문자였으며, "///////////////"와 같은 시퀀스로 이어졌다. 한 초기 사용자는 튜링의 슬래시 선택이 맨체스터의 "악명 높은" 날씨를 반영하여 더러운 창문을 통해 본 비의 표현이라고 제안했다.[33]
마크 1은 40비트 워드 길이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각 단어를 인코딩하려면 8개의 5비트 전신 타자기 문자가 필요했다. 예를 들어 바이너리 단어 10001 10010 10100 01001 10001 11001 01010 10110은 종이 테이프에 ZDSLZWRF로 표시된다. 저장소에 있는 모든 단어의 내용은 전신 타자기의 키보드를 통해서도 설정할 수 있으며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었다. 이 기계는 내부적으로 바이너리로 작동했지만, 입력 및 출력에 필요한 10진법에서 바이너리로, 바이너리에서 10진법으로의 변환을 각각 수행할 수 있었다.[28]
마크 1에는 정의된 어셈블리 언어가 없었다. 프로그램은 각 40비트 워드에 대해 8개의 5비트 문자로 인코딩된 바이너리 형태로 작성되어 제출되어야 했으며, 프로그래머는 작업을 더 쉽게 하기 위해 수정된 ITA2 코딩 방식을 암기하도록 권장되었다. 데이터는 프로그램 제어 하에 종이 테이프 펀치에서 읽고 쓰여졌다. 마크 1에는 하드웨어 인터럽트 시스템이 없었다. 읽기 또는 쓰기 작업이 시작된 후 프로그램은 다른 입/출력 명령이 발견될 때까지 계속 실행되었으며, 이 시점에서 기계는 첫 번째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했다.[34]
마크 1에는 운영 체제가 없었다. 유일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입출력을 위한 몇 가지 기본 루틴이었다.[14] 베이비와 마찬가지로, 확립된 수학적 관례와는 대조적으로, 기계의 저장소는 최하위 자릿수를 왼쪽에 배열했다.[35] 따라서 1은 "00001"이 아닌 "10000"으로 5비트로 표시되었다. 음수는 대부분의 컴퓨터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하는 2의 보수를 사용하여 표현되었다. 해당 표현에서 가장 중요한 비트의 값은 숫자의 부호를 나타낸다. 양수는 해당 위치에 0이 있고 음수는 1이 있다.[34] 따라서 각 40비트 워드에 저장할 수 있는 숫자의 범위는 -239에서 +239 − 1 (10진수: -549,755,813,888에서 +549,755,813,887)였다.
5. 최초의 프로그램
이 알고리즘은 맨체스터 대학교 수학과 학과장이었던 맥스 뉴먼이 지정했으며, 프로그램은 킬번과 투틸이 작성했다. 앨런 튜링은 나중에 "Mersenne Express"라고 불리는 이 프로그램의 최적화된 버전을 작성했다.[29]
6. 이후 개발
1946년부터 1949년까지 마크 1과 그 전신인 베이비를 개발하는 설계 팀의 평균 규모는 약 4명이었다. 그 동안 팀의 작업을 기반으로 34개의 특허가 공급부 또는 그 후계자인 국립 연구 개발 공사에 의해 출원되었다.[13] 1949년 7월, IBM은 마크 1의 설계를 논의하기 위해 윌리엄스를 경비 일체를 부담하는 미국 여행에 초대했다. 그 후 IBM은 자체 701 및 702 컴퓨터 설계에 윌리엄스관을 포함하여 이 기계에 대해 개발된 여러 특허 아이디어를 라이선스했다.[40] 맨체스터 마크 1의 가장 중요한 설계 유산은 윌리엄스, 킬번, 투틸, 뉴먼의 이름으로 특허가 출원된 인덱스 레지스터의 통합이었을 것이다.[13]
킬번과 윌리엄스는 컴퓨터가 순수 수학보다 과학적 역할에 더 많이 사용될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부동 소수점 장치를 포함하는 새로운 기계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작업은 1951년에 시작되었고, 1954년 5월에 첫 번째 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 기계는 메그(Meg) 또는 메가사이클 기계로 알려졌다. 이 기계는 마크 1보다 작고 단순했으며 수학 문제에 훨씬 더 빨랐다. 페란티는 윌리엄스관을 더 신뢰할 수 있는 코어 메모리로 대체한 메그의 버전을 제작하여 페란티 머큐리로 판매했다.[41]
7. 문화적 영향
''더 타임스''는 다음 날 제퍼슨의 연설을 보도하며 제퍼슨이 "왕립 학회의 우아한 방이 이 새로운 펠로우들을 수용하기 위해 차고로 개조되는 날은 결코 오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맨체스터 팀의 연구를 계속하기 위해 학회로부터 보조금을 확보한 뉴먼에 대한 의도적인 모욕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뉴먼은 ''The Times''에 후속 기사를 썼고, 마크 1의 구조와 인간의 두뇌 사이에 밀접한 유사성이 있다고 주장했다.[45] 그의 기사에는 앨런 튜링과의 인터뷰가 포함되어 있었고, 튜링은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참조
[2]
간행물
On Computable Numbers, with an Application to the Entscheidungsproblem
http://www.comlab.ox[...]
[3]
간행물
Computing's Golden Jubilee
http://www.cs.man.ac[...]
The Bulletin of the Computer Conservation Society
1998-Summer
[4]
웹사이트
Early Electronic Computers (1946–51)
http://www.computer5[...]
University of Manchester
2008-11-16
[5]
웹사이트
Newman's Contribution to the Mark 1 Machines
http://www.computer5[...]
University of Manchester
2009-01-23
[6]
간행물
The Manchester Mark 1 and Atlas: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cs.ucf.ed[...]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1977-07
[7]
간행물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Universal High-Speed Digital Computing Machine
University of Manchester
[8]
웹사이트
The Manchester Mark 1
http://www.computer5[...]
University of Manchester
2009-01-22
[9]
웹사이트
Programmers' Handbook (2nd Edition) for the Manchester Electronic Computer Mark II
http://www.computer5[...]
University of Manchester
2009-01-23
[10]
웹사이트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Computing Machine
http://curation.cs.m[...]
2018-05-21
[11]
뉴스
One tonne 'Baby' marks its birth
http://news.bbc.co.u[...]
2008-06-20
[12]
뉴스
An Electronic Brain
1946-11-01
[13]
Harvnb
[14]
Citation
The Manchester Mark 1
http://www.digital60[...]
University of Manchester
2009-01-24
[15]
Citation
On Computable Numbers, with an Application to the Entscheidungsproblem
http://www.comlab.ox[...]
[16]
Harvnb
[17]
문서
IT用語辞典e-words【ノイマン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内蔵方式】
[18]
문서
[[モーリス・ウィルクス]]著『ウィルクス自伝』 p. 141
[19]
Harvnb
[20]
Citation
Computing's Golden Jubilee
http://www.cs.man.ac[...]
The Bulletin of the Computer Conservation Society
2008-04-19
[21]
Citation
Early Electronic Computers (1946–51)
http://www.computer5[...]
University of Manchester
2008-11-16
[22]
Harvnb
[23]
Harvnb
[24]
Harvnb
[25]
Citation
Newman's Contribution to the Mark 1 Machines
http://www.computer5[...]
University of Manchester
2009-01-23
[26]
Harvnb
[27]
Citation
The Manchester Mark 1 and Atlas: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cs.ucf.ed[...]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2009-02-08
[28]
Citation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Universal High-Speed Digital Computing Machine
http://www.digital60[...]
University of Manchester
2009-02-02
[29]
Harvnb
[30]
Harvnb
[31]
Citation
The Manchester Mark 1
http://www.computer5[...]
University of Manchester
2009-01-22
[32]
Harvnb
[33]
Harvnb
[34]
Citation
Programmers' Handbook (2nd Edition) for the Manchester Electronic Computer Mark II
http://www.computer5[...]
University of Manchester
2009-01-23
[35]
문서
通常[[エンディアン]]はバイト順であり、バイト内のビットの順序がどうなっているかは示さない。しかし、ウィリアムス管はCRTを使っている関係でビットがCRT上に並んでいるため、このような表現になる。しかも、バイトという考え方も採用していないので、紙テープ上のビットの並びはウィリアムス管でのビットの並びに合わせてあった。
[36]
서적
2000
[37]
서적
1998
[38]
서적
1998
[39]
간행물
Baby’s Legacy – The Early Manchester Mainframes
ftp://ftp.cs.man.ac.[...]
University of Manchester
2009-01-24
[40]
서적
1998
[41]
서적
1998
[42]
간행물
One tonne 'Baby' marks its birth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6-20
[43]
뉴스
An Electronic Brain
The Times
1946-11-01
[44]
서적
2007
[45]
서적
2007
[46]
서적
2007
[47]
웹인용
The Manchester Mark 1
http://www.digital60[...]
University of Manchester
2009-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