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연산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연산자는 수학 및 컴퓨터 과학에서 연산의 대상이 되는 값이다. 수학에서는 연산자 뒤에 오는 입력값(수량)을 의미하며, 연산의 결과는 피연산자들의 합계이다. 피연산자는 다른 표현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산 순서와 표기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어셈블리 언어에서는 명령어에 의해 조작되는 값을 나타낸다. 연산자의 피연산자 개수를 애리티라고 하며, 무항, 단항, 이항, 삼항 연산자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계어 - 브랜치 (컴퓨터 과학)
    프로그램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명령어인 브랜치는 점프, 호출, 반환 명령어로 나뉘며, CPU 플래그 레지스터와 주소 지정 방식을 활용하여 코드 분기 및 서브루틴 호출/반환을 수행하지만, 파이프라인 CPU에서 성능 저하를 유발하여 분기 예측 등의 기술로 해결합니다.
  • 기계어 - 주소 지정 방식
  • 연산자 (프로그래밍) - 중위 표기법
    중위 표기법은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연산자 표기 방식이지만, 컴퓨터가 구문 분석하기 어렵고 연산 순서를 위해 괄호나 연산자 우선순위 규칙이 필요하다.
  • 연산자 (프로그래밍) - 형 변환
    형 변환은 프로그래밍에서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변경하는 것으로, 암시적 형 변환과 명시적 형 변환으로 나뉘며,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업캐스팅과 다운캐스팅이 발생하고, 각 언어는 고유한 규칙과 방법을 제공하며 잘못된 형 변환은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 수학 표기법 - 기수법
    기수법은 수를 나타내는 방법 또는 체계로, 십진법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일진법, 명수법, 위치값 기수법 등으로 분류되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십진법은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기반으로 위치값 기수법의 발전과 0의 도입으로 수학적 계산의 효율성을 높였다.
  • 수학 표기법 - 중위 표기법
    중위 표기법은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연산자 표기 방식이지만, 컴퓨터가 구문 분석하기 어렵고 연산 순서를 위해 괄호나 연산자 우선순위 규칙이 필요하다.
피연산자
개요
정의수학 연산에서 연산이 적용되는 대상
설명연산자는 피연산자에 대해 수행할 특정 동작을 지정하며, 피연산자는 해당 연산의 입력 값으로 사용된다.
유형별 피연산자
덧셈더해지는 수와 더하는 수
뺄셈빼지는 수와 빼는 수
곱셈곱해지는 수와 곱하는 수
나눗셈나누어지는 수와 나누는 수
프로그래밍에서의 피연산자
개요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연산은 하나 이상의 피연산자를 필요로 한다.
예시'1 + 2 (여기서 1과 2는 피연산자, +는 연산자)'

2. 수학에서의 피연산자

수학에서 피연산자는 연산의 대상이 되는 값이다. 덧셈3 + 6 = 9에서 '+'는 덧셈 연산 기호이고, '3'과 '6'은 피연산자, '9'는 연산 결과이다. 피연산자는 연산에 필요한 입력값이라고 할 수 있다.[1]

2. 1. 예시

다음의 산술식은 연산자와 피연산자의 예를 보여준다.

: 3 + 6 = 9

위 식에서 '+'는 덧셈 연산 기호이다. 피연산자 '3'은 첫 번째 입력값이고, 연산자 뒤에 오는 피연산자 '6'은 두 번째 입력값이다. 이 연산의 결과는 9이다.

2. 2. 피연산자로서의 표현식

피연산자는 다른 표현식을 포함할 수 있다.

:(3 + 5) \times 2

위의 식에서 `(3 + 5)`는 곱셈 연산의 첫 번째 피연산자이고 `2`는 두 번째 피연산자이다. `(3 + 5)`는 덧셈 연산자를 포함하는 표현식이며, `3`과 `5`를 피연산자로 갖는다.[1]

2. 3. 연산 순서

연산자 우선순위 규칙은 어떤 값이 어떤 연산자에 대한 피연산자를 형성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2]

:3 + 5 \times 2

위 식에서 곱셈 연산자는 덧셈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곱셈 연산자는 '5'와 '2'를 피연산자로 갖는다. 덧셈 연산자는 '3'과 '5 × 2'를 피연산자로 갖는다.

관습에 따라 설정된 규칙에 따라 연산 순서를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식을 평가했지만 올바른 연산 순서를 따르지 않은 경우, 다른 값을 얻게 된다. 연산 순서를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값은 부정확한 값이다. 각 연산이 적절한 순서로 실행된 경우에만 올바른 식의 값에 도달한다.

2. 4. 표기법

연산자와 피연산자의 위치에 따라 중위 표기법, 전위 표기법, 후위 표기법 등으로 나뉜다.[3]

  • '''중위 표기법(Infix notation)''': 연산자가 피연산자 사이에 위치 (예: `1 + 2`)
  • '''전위 표기법(Prefix notation)''':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위치 (예: `+ 1 2`)
  • '''후위 표기법(Postfix notation)''':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위치 (예: `1 2 +`)


한국의 수학 교육 과정에서는 주로 중위 표기법을 사용하며, 컴퓨터 과학의 일부 분야(예: 스택을 이용한 수식 계산)에서는 후위 표기법이 활용되기도 한다.

다음은 숫자 '1'과 '2'의 덧셈을 나타내는 세 가지 표기법을 비교한 것이다.

:1 + 2 (중위 표기법)

:+\;1\;2 (전위 표기법)

:1\;2\;+ (후위 표기법)

3. 컴퓨터 과학에서의 피연산자

컴퓨팅에서 '''피연산자'''는 컴퓨터 명령의 일부로, 어떤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연산할지를 지정하는 동시에 데이터 자체를 나타낸다.[5] 컴퓨터 명령은 덧셈이나 곱하기와 같은 연산을 설명하지만, 피연산자는 어떤 데이터에 대해 연산을 수행할지, 그리고 그 데이터의 값을 지정한다.

어셈블리 언어에서 피연산자는 니모닉으로 명명된 명령어가 작동하는 값(인수)이다. 피연산자는 프로세서 레지스터, 메모리 주소, 리터럴 상수 또는 레이블일 수 있다.

일본에서는 '''오퍼랜드'''라는 가타카나 용어를 기계어 또는 어셈블리 언어의 명령 중 조작 또는 연산되어야 할 데이터를 지정하는 부분 및 그 데이터 자체를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기계어의 1개의 명령은 (1개의) 오퍼레이션 코드와 0개 이상의 오퍼랜드로 구성된다.

3. 1. 프로그래밍 언어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연산자와 '''피연산자'''의 정의는 수학과 거의 동일하다.[7]

컴퓨팅에서 피연산자는 데이터 그 자체를 나타냄과 동시에 조작,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를 지정하는 컴퓨터 명령의 일부이다.[5] 컴퓨터 명령은 덧셈이나 곱하기 X와 같은 명령을 기술하지만, 피연산자는 어느 X가 연산할지, 그리고 X의 값을 모두 지정한다.

또한, 어셈블리어에서 피연산자는 니모닉에 의해 명명되는 명령이 연산하는 값이다. 이 피연산자는 프로세서 레지스터, 메모리 주소, 리터럴 상수, 레이블이 될 수 있다. x86 아키텍처에서의 단순한 예는 다음과 같다.

```text

MOV DS, AX

```

여기에서 레지스터 피연산자 `AX`의 값은 레지스터 `DS`로 이동(MOV)된다. 명령어 집합에 따라 0개, 1개, 2개 이상의 피연산자가 있을 수 있다.

3. 2. 어셈블리 언어

어셈블리 언어에서 피연산자는 니모닉에 의해 명명되는 명령이 연산하는 값이다.[7] 피연산자는 프로세서 레지스터, 메모리 주소, 리터럴 상수, 레이블이 될 수 있다. x86 아키텍처에서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text

MOV DS, AX

```

여기에서 레지스터 피연산자 `AX`의 값은 레지스터 `DS`로 이동(MOV)된다.[7] 명령어 집합에 따라 0개, 1개, 2개 이상의 피연산자가 있을 수 있다.

4. 애리티 (Arity)

연산자의 피연산자 개수를 애리티라고 한다.[4] 애리티에 따라 연산자는 주로 무항(피연산자 없음), 단항(피연산자 1개), 이항(피연산자 2개), 삼항(피연산자 3개)으로 분류된다. 고차 애리티는 함수 합성이나 커링을 사용하여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용어로 지칭되는 경우가 드물다.

참조

[1] 문서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 웹사이트 Physical Review Style and Notation Guide https://publish.aps.[...] American Physical Society 2012-08-05
[3] 웹사이트 The Implementation and Power of Programming Languages http://www.cs.man.ac[...] 2014-08-30
[4] 서적 Encyclopaedia of Mathematics, Supplement III https://books.google[...] Springer
[5] 서적 Computer Science Illuminated, 5th Edition Jones and Bartlett
[6] 문서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7] 서적 Computer Science Illuminated, 5th Edition Jones and Bartlet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