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시에 10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102는 샤를 메시에가 편찬한 메시에 목록에 포함된 천체로, 목록에 등재되었으나 실제 관측 대상에 대한 논란이 있는 천체이다. 피에르 메섕이 1781년에 관측하여 목록에 추가했으나, 1783년에 M101의 중복 관측이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발견을 철회했다. M102에 해당하는 천체에 대해서는 M101, NGC 5866, NGC 5879, NGC 5907, NGC 5908, NGC 5928 등 여러 은하가 후보로 제시되고 있다. 현재 NGC 5866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설상의 천체 - 우주 끈
    우주 끈은 끈 이론에서 제안하는 1차원 물체로, 우주의 기원과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중력 효과와 중력파를 나타낼 수 있지만, 아직 직접적인 관측 증거는 없는 상태이다.
  • 가설상의 천체 - 화이트홀
    화이트홀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에서 예측되는 천체로, 블랙홀의 시간 반전된 개념으로 물질과 빛을 방출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형성 과정에 대한 설명 부족과 관측 증거 미비로 인해 수학적 개념으로 취급되며 실재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천체에 관한 - 샤를 메시에
    샤를 메시에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 혜성 발견과 메시에 천체 목록을 만들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에 이름이 붙여졌다.
  • 천체에 관한 - 게 성운
    게 성운은 1054년 초신성 SN 1054의 잔해로, 중심부의 게 성운 펄서가 에너지 방출을 통해 성운의 팽창과 싱크로트론 복사를 일으키는 황소자리의 산광성운이다.
  • 메시에 천체 - 샤를 메시에
    샤를 메시에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 혜성 발견과 메시에 천체 목록을 만들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에 이름이 붙여졌다.
  • 메시에 천체 - 게 성운
    게 성운은 1054년 초신성 SN 1054의 잔해로, 중심부의 게 성운 펄서가 에너지 방출을 통해 성운의 팽창과 싱크로트론 복사를 일으키는 황소자리의 산광성운이다.
메시에 102
개요
M102의 이미지
M102의 이미지
종류렌즈형 은하 또는 나선 은하 (논쟁 중)
별자리용자리
적경15ʰ 06.5ᵐ
적위+55° 45′
적색 편이0.002054
거리40 ~ 60 백만 광년
겉보기 등급9.9
발견
발견자피에르 메생 (1781년)
식별
메시에 번호M102
NGC5866

2. 역사

메시에 목록은 1771년과 1781년 사이에 샤를 메시에가 편찬한 혜성 탐색을 방해하는 비혜성 천체 목록이다. 피에르 메섕은 메시에와 협력하여 목록을 편찬했다.

M102는 1781년 3월 말 또는 4월 초에 메섕이 관측하여 메시에 목록 최종 버전에 추가되었으나,[3] 좌표가 포함되지 않아 실제 관측한 천체에 대한 혼란이 있었다.

메시에 목록에는 있지만 해당 위치에 천체가 없는 '행방불명된 메시에 천체'는 5개였으며, M102를 제외한 4개는 동일 천체로 밝혀졌지만 M102는 21세기에도 논란의 대상이다.

2. 1. 메섕의 관측과 부정

피에르 메섕은 1781년 3월 말 또는 4월 초에 M102를 관측하여 메시에 목록의 최종 버전에 추가했다.[3] 그러나 메시에는 M102의 좌표를 목록에 포함하지 않아 혼란을 야기했다. 메시에는 M102에 대해 "목동자리 ο별(실제로는 θ별)과 용자리 ι별 사이에 있는 매우 희미한 성운으로, 6등급 별에 근접해 있다"고 기록했다.[4]

1783년, 메섕은 요한 3세 베르누이에게 보낸 편지에서 M102가 메시에 101의 중복이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발견을 철회했다.[5][6][7] 이 편지는 1782년 베를린학회 서적에 프랑스어 원문으로,[8] 1786년 요한 보데가 일부를 정리하여 베를린천체력에 독일어 번역문으로 출판되었다.[5][6][7]

3. 후보 천체

메시에 목록이 출판된 이후, 여러 역사가, 전문 천문학자,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M102에 해당하는 천체를 찾기 위해 노력해왔다. M102는 메시에 101의 중복 관측이라는 설과 NGC 5866이라는 설이 유력하게 대립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NGC 5879, NGC 5907, NGC 5908, NGC 5928 등이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이처럼 M102는 21세기에도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3. 1. 메시에 101



메시에 101(바람개비 은하 또는 NGC 5457)은 큰곰자리에 있는 정면향(face-on) 나선 은하이다. 1783년에 J. 베르누이와 피에르 메셍(메시에와 함께 자신의 발견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던 사람)의 편지에 따르면 M102는 M101의 중복 관측이었다고 한다. 이 편지는 나중에 두 곳으로 전달되었는데, 프랑스어 원문은 1782년 베를린학회 서적에, 다른 하나는 요한 일러트 보데가 일부분을 다시 정리하여 1786년 베를린천체력(''Berliner Astronomisches Jahrbuch'')에 실은 독일어 번역문이다.[13][14][15]

3. 2. NGC 5866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NGC 5866. 제공: NASA/ESA.


NGC 5866(흔히 '방추 은하'라고도 불림)은 용자리에 있는 렌즈형은하이다. 이 은하는 1781년에 출판된 메시에 목록에서의 (피에르 메셍이 작성한)천체 설명과, 샤를 메시에가 목록에다 자필로 작성한 각주의 천체 위치에 가장 일치하는 천체이다.[14][15] SIMBAD에서도 M102와 NGC 5866을 관련짓고 있다.[7]

3. 3. 기타 후보군

M101과 NGC 5866이 M102의 가장 유력한 후보로 여겨지지만, 이 외에도 여러 은하가 M102의 후보로 제안되었다.[1]

M102의 후보 천체 NGC 5866


M102는 M101의 중복 관측 기록이라는 설, NGC 5866, NGC 5879, NGC 5907, NGC 5908 등을 후보 천체로 보는 설이 있다.[1] 또한, 메시에가 기술한 "용자리 ι별"은 "뱀자리 ι별"의 오기로, NGC 5928이 아닐까 하는 설도 있다.[1]

3. 3. 1. NGC 5879, NGC 5907, NGC 5908

NGC 5879, NGC 5905, NGC 5907, NGC 5908은 모두 NGC 5866 근처에 있는 은하들이다. 이들은 NGC 5866만큼 밝거나 표면밝기가 높지 않아 M102에 해당할 가능성은 낮다.[13][5]

3. 3. 2. NGC 5928

NGC 5928은 목동자리 ο별과 뱀자리 ι별 사이에 위치한 14등급 은하이다. 존 루이스 에밀 드레이어는 신판일반목록 각주 및 정정(''Notes and Corrections'')에서 뱀자리 ι별이 M102의 위치에서 용자리 ι별로 오인되어 왔다고 주장한다.[13][16] 그러나 NGC 5928은 메시에메셍이 관측할 수 없었던 천체였기 때문에 M102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

참조

[1] 간행물 M102: Mystery Solved Sky and Telescope 2005-03
[2] 웹사이트 Messier 102 (The Spindle Galaxy) https://www.nasa.gov[...] 2019-10-22
[3] 웹사이트 Messier 102 http://www.messier.s[...] 2020-08-02
[4] 서적 Connaissance des Temps pour l'Année 1784 http://www.messier.s[...] 1781
[5] 서적 Messier's Nebulae and Star Clust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6] 간행물 "Messier 102: Status der Identifizierung dieses Messier-Objekts" Journal für Astronomie 2006-01
[7] 웹사이트 Messier 102. An article on the controversy http://www.messier.s[...] 2018-10
[8] 학술지 De M. Méchain, de l'Acad. R. des Sciences. De Paris, le 6 Mai 1783 https://babel.hathit[...] 1782
[9] 간행물 'New General Catalogue of Nebulæ and Clusters of Stars (1888), Index Catalogue (1895) Second Index Catalogue (1908)' Royal Astronomical Society 1971
[10] 서적 ほしぞらの探訪 地人書館 1974-04-30
[11] 간행물 M102: Mystery Solved Sky and Telescope 2005-03
[12] 문서 A Cycle of Celestial Objects 1844
[13] 서적 Messier's Nebulae and Star Clust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4] 간행물 "Messier 102: Status der Identifizierung dieses Messier-Objekts" Journal für Astronomie 2006-01
[15] 웹사이트 Messier 102. An article on the controversy http://messier.seds.[...] 1995
[16] 간행물 'New General Catalogue of Nebulæ and Clusters of Stars (1888), Index Catalogue (1895) Second Index Catalogue (1908)' Royal Astronomical Society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