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개비 은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람개비 은하(M101)는 1781년 피에르 메셍에 의해 처음 발견된 나선 은하이다. 우리 은하보다 훨씬 큰 지름 17만 광년에 약 1조 개의 별을 포함하며, H II 영역이 풍부하고 여러 동반 은하와의 상호작용으로 비대칭적인 형태를 보인다. M101은 초발광 엑스선 방출원 M101 ULX-1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러 차례의 초신성 폭발이 관측되었다. 주요 동반 은하로는 NGC 5204, NGC 5474, NGC 5477, NGC 5585, 홀름베리 IV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101 은하군 - NGC 5474
NGC 5474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개요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천체에 대한 정보를 요약할 수 없다. - 1781년 발견한 천체 - 천왕성
천왕성은 태양계 일곱 번째 행성으로, 가스 행성 중 가장 가볍고 밀도가 낮으며, 암석 핵, 얼음 맨틀, 수소와 헬륨 대기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98도 기울어진 자전축, 낮은 내부 열, 희미한 고리, 비대칭적인 자기장, 27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 1781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109
메시에 109는 큰곰자리에 있는 막대 나선 은하로, 메시에 목록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M109 그룹의 가장 밝은 은하이고, 위성 은하를 거느리고 있으며 초신성 SN 1956A가 관측되었다. - 아르프 천체 - 소용돌이 은하
사냥개자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 소용돌이 은하는 뚜렷한 나선 팔 구조와 동반 은하와의 상호작용, 초신성 관측, 그리고 은하 외부 행성 후보 발견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M51 은하군을 이루고 있다. - 아르프 천체 - 시가 은하
M81 은하군에 속한 스타버스트 은하인 시가 은하는 M81과의 중력 상호작용으로 격렬한 별 생성 활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특이한 전파 방출 물체와 형태적 특징으로 천문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바람개비 은하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메시에 101 M101 NGC 5457 UGC 8981 PGC 50063 Arp 26 |
다른 이름 | Pinwheel (영어) 회전 불꽃 은하 바람개비 은하 |
위치 | 큰곰자리 |
형태 | SAB(rs)cd |
적색 편이 | 0.000804 |
시선 속도 | 241 ± 2 km/s |
거리 | 2090만 ± 180만 광년 (640만 ± 50만 파섹) |
겉보기 등급 | 7.9 |
크기 | 28′.8 × 26′.9 |
지름 | 약 17만 광년 |
별의 수 | 1조 (1012) |
발견 | |
발견일 | 1781년 5월 27일 |
발견자 | 피에르 메샹 |
식별 부호 | |
SIMBAD | M 101 |
2. 발견
1781년 피에르 메셍이 M101을 처음 발견하고 "별이 없는 성운으로, 매우 희미하면서 직경이 6'에서 7'정도로 꽤나 크고, 목동의 왼손과 큰곰의 꼬리 사이에 있음. 철사에 빛을 비출 때 구분하기 어렵다"고 묘사했다.[47][11]
윌리엄 허셜은 1784년에 M101을 관측하고, "나의 7, 10, 20피트짜리 (초점길이) 반사경으로 얼룩 형태의 성운 같은 것이 보였다. 나는 그것이 분해 가능한 것이라고 본다. 그렇기에 현재 내 망원경은 추측컨데 별들로 구성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라고 기록을 남겼다.[47][11]
19세기 후반, 로스 경은 자신의 72인치 뉴턴식 반사망원경으로 M101을 관측했다. 그는 M101의 나선 구조를 최초로 상세히 기록하고 여러 스케치 자료를 남겼다.[47][11]
3. 구조 및 조성
M101은 지름이 17만 광년으로, 우리 은하(지름 약 87,400 광년)보다 훨씬 큰 거대한 은하이다. 약 1조 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 은하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수치이다.[49] 원반의 질량은 약 1,000억 태양질량이며, 중심의 작은 팽대부는 약 30억 태양질량에 달한다.[50]
M101은 H II 영역이 풍부하다. H II 영역은 매우 크고 밝은데, 보통 수소 분자로 이루어진 대규모 고밀도 구름을 끼고 있으며 이것들이 자체 중력으로 수축하여 별을 형성한다. 또 극도로 밝고 뜨거운 어린 별들이 많아서 이온화되어 있다. M101에서 이 영역들은 뜨거운 초대형 거품을 형성할 정도다.[51] 1990년에 착수된 한 연구에서는 이 은하의 H II 영역 1264개가 목록화되었다.[52] 여기서 세 개는 특출나서 신판일반목록에 수록될 정도인데, 5461, 5462, 5471이다.[53]
M101은 여러 동반 은하와의 조석 상호작용 때문에 형태가 비대칭적이다. 또 이러한 중력 상호작용은 성간 기체수소를 압축하여 여러 자외선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듯 M101의 나선팔에서 강렬한 별생성활동을 유발하기도 한다.[54]
3. 1. 초발광 엑스선 방출원
2001년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을 통해 M101 ULX-1이라는 초발광 엑스선 방출원(ULX)이 확인되었다.[55] ULX는 홑별보다는 훨씬 밝지만, 은하 전체보다는 어둡다. 2005년 허블우주망원경과 XMM뉴턴 망원경을 통한 관측으로 M101 ULX-1이 엑스선 쌍성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55] 이후 관측에 따르면, M101 ULX-1은 20~30 태양질량 정도의 블랙홀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물질을 흡수하고 있다고 한다.[56]
4. 동반 은하
NGC 5204, NGC 5474, NGC 5477, NGC 5585, 홀름베리 IV는 바람개비 은하(M101)의 주요 동반 은하이다.[57] M101과 이 위성은하들 사이의 중력 상호작용은 M101의 미형 패턴 생성의 원인으로 보이며, M101은 동반 은하인 NGC 5474의 외양을 흩뜨려 놓은 원인으로 추정된다.[57] M101과 동반 은하들은 M101 은하군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58][59][60][61]
5. 초신성
SN 2011fe는 2011년 8월 24일 M101에서 발견된 Ia형 초신성이다. 처음에는 PTF 11kly로 명명되었으며, 발견 당시 겉보기등급은 17.2 등급이었고 최대 밝기는 9.9 등급에 도달했다.[62][63][64] M101에서 관측된 초신성은 SN 1909A, SN 1951H, SN 1970G에 이어 네 번째였다.[65] 1909년 1월 막스 볼프가 발견한 SN 1909A는 12.1 등급, 1951년 9월 밀턴 L. 휴메이슨이 발견한 SN 1951H는 17.5 등급, 1970년 미클로시 로바스가 발견한 SN 1970G는 11.5 등급이었다. 2015년 2월 10일에는 M101 OT2015-1로 명명된 발광적색신성(https://en.wikipedia.org/wiki/Luminous_red_nova)이 발견되었다.[66] 2023년 5월 19일에는 SN 2023ixf가 발견되어 즉시 II형 초신성으로 분류되었다.
바람개비 은하에서 관측된 초신성은 다음과 같다.
초신성 이름 | 발견 날짜 | 발견자 | 유형 | 최대 밝기 |
---|---|---|---|---|
SN 1909A | 1909년 1월 | 막스 볼프 | 12.1 등급 | |
SN 1951H | 1951년 9월 1일 | 밀턴 L. 휴메이슨 | 17.5 등급 | |
SN 1970G | 1970년 7월 30일 | 미클로시 로바스 | II형 | 11.5 등급 |
SN 2011fe | 2011년 8월 24일 | Ia형 | 9.9 등급 | |
M101 OT2015-1 | 2015년 2월 10일 | 발광적색신성 | ||
SN 2023ixf | 2023년 5월 19일 | II형 |
6.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Messier 101
https://web.archive.[...]
2022-04-30
[2]
서적
Third Reference Catalogue of Bright Galaxies
https://ui.adsabs.ha[...]
[3]
웹사이트
The Pinwheel Galaxy
https://www.nasa.gov[...]
NASA
2012-05-31
[4]
웹사이트
NED results for object MESSIER 101
http://nedwww.ipac.c[...]
2006-12-06
[5]
논문
A New Cepheid Distance to the Giant Spiral M101 Based on Image Subtraction of Hubble Space Telescope/Advanced Camera for Surveys Observations
2011-06
[6]
서적
The Complete New General Catalogue and Index Catalogue of Nebulae and Star Clusters by J. L. E. Dreyer
Sky Publishing Corpora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7]
웹사이트
Distance Results for Messier 101
http://nedwww.ipac.c[...]
2010-05-01
[8]
간행물
M 101
[9]
논문
The GALEX Ultraviolet Atlas of Nearby Galaxies
2007-12
[10]
웹사이트
Hubble's Largest Galaxy Portrait Offers a New High-Definition View
https://web.archive.[...]
NASA
2006-02-28
[11]
웹사이트
Messier 101
http://messier.seds.[...]
2018-03-04
[12]
웹사이트
M 101
https://messierobjec[...]
2016-10-11
[13]
논문
The relative size of the Milky Way
1998-08
[14]
뉴스
Hubble delivers again: M101
http://www.slate.com[...]
2006-02-28
[15]
논문
An optical study of the galaxy M 101 - Derivation of a mass model from the kinematic of the gas
1979
[16]
논문
ROSAT X-Ray Observations of the Spiral Galaxy M81
2001
[17]
논문
The H II regions of M101. I - an atlas of 1264 emission regions
1990-08
[18]
논문
Star formation in the giant HII regions of M101
1999
[19]
논문
Ultraviolet Signatures of Tidal Interaction in the Giant Spiral Galaxy M101
1997-05-20
[20]
논문
The Optical Counterpart of M101 ULX-1
2005-02-10
[21]
논문
Puzzling accretion onto a black hole in the ultraluminous X-ray source M101 ULX-1
2013
[22]
논문
The Globular Cluster Systems of Five Nearby Spiral Galaxies: New Insights fromHubble Space TelescopeImaging
2004-08-10
[23]
서적
Carnegie Atlas of Galaxies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1994
[24]
서적
Nearby Galaxies Catalo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25]
논문
Groups of galaxies within 80 Mpc. II – The catalogue of groups and group members
1992
[26]
논문
General study of group membership. II – Determination of nearby groups
1993
[27]
논문
Nearby Optical Galaxies: Selection of the Sample and Identification of Groups
2000
[28]
논문
Var. 6.1909 Ursae majoris
1909
[29]
웹사이트
SN 1909A
https://www.wis-tns.[...]
IAU
2024-11-25
[30]
웹사이트
Other Supernovae images, entry for SN 1951H
https://www.rocheste[...]
2024-11-25
[31]
문서
Stoyan, Ronald Atlas of the Messier Obj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page 329
[32]
논문
IAUC 2269
http://www.cbat.eps.[...]
1970
[33]
논문
The Spectrum of the July 1970 Supernova in M101
[34]
논문
Young Type Ia Supernova PTF11kly in M101
http://www.astronome[...]
2011-08-24
[35]
웹사이트
Supernova Caught in the Act
http://www.nersc.gov[...]
[36]
웹사이트
Supernova 2011fe in M101
http://messier.seds.[...]
2011-09-15
[37]
웹사이트
Transient object followup reports
http://www.cbat.eps.[...]
Central Bureau for Astronomical Telegrams
[38]
웹사이트
AstroNote 2023-119
https://www.wis-tns.[...]
Transient Name Server
[39]
웹인용
The Pinwheel Galaxy
https://www.nasa.gov[...]
NASA
2012-05-31
[40]
웹인용
메시에 101에 대한 NED 검색 결과NED results for object MESSIER 101
http://nedwww.ipac.c[...]
2006-12-06
[41]
저널
HST/ACS 관측의 영상감산에 기반한 거대 나선 M101에 대한 새로운 세페이드 거리 측정A New Cepheid Distance to the Giant Spiral M101 Based on Image Subtraction of Hubble Space Telescope/Advanced Camera for Surveys Observations
2011-06
[42]
서적
드라이어의 성운 및 성단에 관한 신판일반목록 및 색인목록 완성본The Complete New General Catalogue and Index Catalogue of Nebulae and Star Clusters by J. L. E. Dreyer
https://archive.org/[...]
Sky Publishing Corpora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43]
웹인용
메시에 101에 대한 거리 검색결과Distance Results for Messier 101
http://nedwww.ipac.c[...]
2010-05-01
[44]
Simbad
M 101
2009-11-29
[45]
저널
GALEX 자외선 관측 기반 인근 은하 지도The GALEX Ultraviolet Atlas of Nearby Galaxies
2007
[46]
웹인용
고해상도 시야를 보여주는 허블의 가장 큰 은하 초상Hubble's Largest Galaxy Portrait Offers a New High-Definition View
https://www.nasa.gov[...]
NASA
2006-02-28
[47]
웹인용
Messier 101
http://messier.seds.[...]
[48]
웹인용
M 101
https://messierobjec[...]
[49]
뉴스
Hubble delivers again: M101
http://www.slate.com[...]
2006-02-28
[50]
저널
M101 은하에 관한 광학 연구 - 기체의 운동으로부터 질량 모형 유도An optical study of the galaxy M 101 - Derivation of a mass model from the kinematic of the gas
1979
[51]
저널
나선은하 M81에 대한 ROSAT의 엑스선 관측ROSAT X-Ray Observations of the Spiral Galaxy M81
http://iopscience.io[...]
2001
[52]
저널
M101의 H II 영역. I - 방출 영역 1264개의 성도The H II regions of M101. I - an atlas of 1264 emission regions
1990-08
[53]
저널
여러 M101 거대 HII 영역의 별생성Star formation in the giant HII regions of M101
1999
[54]
저널
거대나선은하 M101의 자외선에서 나타나는 여러 조석 상호작용 특징Ultraviolet Signatures of Tidal Interaction in the Giant Spiral Galaxy M101
http://iopscience.io[...]
1997-05-20
[55]
저널
M101 ULX-1의 광학적 대응물The Optical Counterpart of M101 ULX-1
http://iopscience.io[...]
2005-02-10
[56]
저널
초발광 엑스선 방출원 M101 ULX-1 블랙홀의 영문 모를 강착Puzzling accretion onto a black hole in the ultraluminous X-ray source M101 ULX-1
2013
[57]
서적
Carnegie Atlas of Galaxies
워싱턴 카네기 연구소
1994
[58]
서적
Nearby Galaxies Catalog
케임브리지대학교 출판
1988
[59]
저널
80 Mpc 이내의 은하군들. II - 은하군 및 은하군 구성원 목록Groups of galaxies within 80 Mpc. II – The catalogue of groups and group members
1992
[60]
저널
은하군 구성에 관한 전반적 연구. II - 근방 은하군 측량General study of group membership. II – Determination of nearby groups
1993
[61]
저널
근방 광학 은하: 표본 선정 및 은하군 확인Nearby Optical Galaxies: Selection of the Sample and Identification of Groups
2000
[62]
웹인용
M101의 어린 1a형 초신성 Young Type Ia Supernova PTF11kly in M101
http://www.astronome[...]
The Astronomer's Telegram
2011-08-24
[63]
웹인용
현장에서 포착된 초신성Supernova Caught in the Act
http://www.nersc.gov[...]
[64]
웹인용
Supernova 2011fe in M101
http://messier.seds.[...]
2011-09-15
[65]
문서
[66]
웹인용
보고에 덧붙인 일시적 천체Transient object followup reports
http://www.cbat.eps.[...]
Central Bureau for Astronomical Telegram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