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르 메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메셍은 18세기 프랑스의 천문학자이자 측지학자로, 혜성 발견과 메시에 천체 목록에 기여했다. 그는 8개의 혜성을 단독으로, 3개의 혜성을 공동으로 발견했으며, 메시에 천체를 발견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또한 미터법 제정을 위한 자오선 측정에 참여했으나, 측정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로 인해 '메셍 오차'라는 용어가 생기기도 했다. 메셍은 파리 천문대의 대장을 역임했으나, 자오선 재측정 중 황열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열로 죽은 사람 - 노구치 히데요
노구치 히데요는 1876년 일본에서 태어나 2살 때 화상을 입었지만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미국에서 매독과 황열병 연구를 수행하며 매독 스피로헤타를 발견하는 등 업적을 남겼지만 황열병으로 사망한 세균학자이다. - 황열로 죽은 사람 - 알렉산더 셀커크
알렉산더 셀커크는 선장과의 불화로 무인도에 자발적으로 고립되어 4년 4개월간 생활한 스코틀랜드 선원으로, 그의 표류 경험은 소설 《로빈슨 크루소》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귀환 후 해군 복무 중 황열병으로 사망했다. - 1804년 사망 - 이마누엘 칸트
이마누엘 칸트는 1724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나 평생 그곳에서 연구하며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등을 통해 인식론, 윤리학, 미학에 혁신적인 사상을 제시하여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804년 사망 - 알렉산더 해밀턴
알렉산더 해밀턴은 미국의 건국 아버지이자 초대 재무장관으로, 미국의 경제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으며, 독립 전쟁에서 활약, 강력한 중앙 정부 수립을 옹호했고, 국가 부채 해결과 국립은행 설립 등 경제적 기반을 다졌으나, 에런 버와의 결투로 사망한 후 뮤지컬을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 1744년 출생 - 엘브리지 게리
엘브리지 게리는 미국 독립 전쟁과 헌법 제정에 기여한 정치인이자 사업가로, 헌법 서명을 거부하고 게리맨더링 논란을 일으킨 매사추세츠 주지사 및 부통령을 역임했다. - 1744년 출생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는 프리드리히 대왕의 뒤를 이어 1786년부터 1797년까지 프로이센을 통치한 국왕으로, 초기에는 긍정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사치와 전쟁, 외교적 실패로 국가 재정을 악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피에르 메셍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
피에르 메셍은 랑(Laon)에서 천장 설계 및 미장일을 하던 아버지 피에르 프랑수아 메셍과 어머니 마리 마르게리트 로제 사이에서 태어났다. 메셍은 수학과 물리학에 재능을 보였으나,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인해 학업을 포기해야 했다. 하지만 제롬 랄랑드가 그의 천문학적 재능을 알아보고 친구가 되었으며, 랄랑드는 자신의 저서 "천문학" 제2판을 감수하도록 했다. 이후 랄랑드는 메셍에게 베르사유에 있는 해군 지도 및 해도 기지의 보조 수로학자 자리를 마련해 주었다. 1770년대에 메셍은 그곳에서 수로 작업과 해안선 측량을 담당했다. 이 시기에 샤를 메시에를 만났고, 1774년경에는 둘도 없는 친구가 되었다. 같은 해, 메셍은 알데바란이 달에 가려지는 현상에 대한 소논문을 써서 과학 학술원에 제출하며 천문학 분야에 첫 발을 내딛었다.
1777년, 메셍은 베르사유에서 만난 테레제와 결혼하여 가정을 꾸렸다. 이후 그는 프랑스 학술원 회원(1782년)이 되고, ''천체력(''Connaissance des Temps'')''의 편집장(1785년~1792년)을 맡아 메시에 천체들을 처음으로 이 잡지에 싣는 등 학문적으로도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789년에는 영국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7]
메셍은 영국-프랑스 합동조사(1784-1790)에 참여하여 파리 천문대와 왕립 그리니치 천문대 사이의 정확한 거리를 삼각법으로 측량하는 데 기여했다. 1787년에는 카시니 백작, 르장드르와 함께 도버와 런던을 방문하여 윌리엄 허셜을 만나기도 했다. 이후 북이탈리아와 독일의 지도 제작 작업에도 참여했다.
1791년부터는 덩케르크와 바르셀로나 사이의 자오선 길이를 측정하는 중요한 임무를 맡았다. 이 측정값은 미터법에서 길이 단위인 미터의 기준이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인해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셍은 자오선 측정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1799년부터는 파리 천문대 대장을 맡았으며, 자오선 측정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1804년 다시 스페인으로 향했지만, 황열병으로 인해 카스테욘데라플라나에서 생을 마감했다.
2. 1. 가족
Barbe-Thérèse Marjou프랑스어와 1777년에 결혼했다. Barbe-Thérèse Marjou프랑스어는 메셍이 베르사유에서 일할 때 만났다. 슬하에 두 아들과 딸 하나를 두었는데, 아들 제롬은 1780년에, 다른 아들 아우구스틴은 1784년에 태어났다.[1]2. 2. 학문적 경력
메셍은 수학과 물리학에 재능을 보였으나, 재정 문제로 학업을 중단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롬 랄랑드는 그의 천문학적 재능을 알아보고 친구가 되어, 랄랑드의 저서 "천문학" 제2판을 감수하도록 했다.[7] 이후 랄랑드의 도움으로 메셍은 베르사유의 해군 지도 및 해도 기지에서 보조 수로학자로 일하며, 1770년대에 수로 작업과 해안선 측량에 참여했다. 이 시기에 샤를 메시에를 만나 친구가 되었고, 1774년에는 알데바란이 달에 가려지는 현상에 대한 소논문을 과학 학술원에 제출하며 천문학 분야에서 첫 학문적 성과를 냈다.[7]1777년, 메셍은 테레제와 결혼하여 두 아들과 딸 하나를 두었다. 1782년에는 프랑스 학술원 회원이 되었고, 1785년부터 1792년까지 ''천체력(''Connaissance des Temps'')''의 편집장을 맡아 메시에 천체 목록을 처음으로 게재했다. 1789년에는 영국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7]
1784년부터 1790년까지는 영국-프랑스 합동조사에 참여하여 파리 천문대와 왕립 그리니치 천문대 사이의 거리를 삼각법으로 측정했다. 이 작업의 일환으로 1787년에는 카시니 백작, 르장드르와 함께 도버와 런던을 방문하여 윌리엄 허셜을 만나기도 했다.[7]
이후 메셍은 북이탈리아와 독일의 지도 제작 작업에 참여했고, 1791년부터는 덩케르크와 바르셀로나 사이의 자오선 길이를 측정하는 중요한 측지학적 임무를 수행했다. 이 측정값은 미터법에서 길이 단위인 미터의 기준이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인해 장비가 무기로 오인받아 체포되거나, 프랑스와 스페인 간의 전쟁으로 바르셀로나에 억류되고, 공포정치 기간 동안 파리의 재산이 몰수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1795년 프랑스로 귀국했다.[7]
메셍은 자오선 측정 과정에서 천문 관측으로 인한 오차 때문에 자신의 측정 결과에 대해 확신하지 못했다. 북극에서 적도까지의 거리는 20세기 후반 인공위성 측정 결과 10,002.290km로 밝혀졌는데,[8] 이는 메셍과 달랑베르가 측정한 값과 0.02%의 오차를 보인다. 이 오차는 1미터당 약 0.23mm에 해당하며,[9] "메셍 오차"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메셍의 측정치를 분석해보면, 그는 오차를 매우 작게 유지하려 노력했으며, 18세기 장비와 측정 환경을 고려했을 때 매우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고 평가된다.[10]
1799년부터 메셍은 파리 천문대 대장을 맡았다. 그는 자오선 측정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1804년 다시 스페인으로 갔으나, 황열병으로 카스테욘데라플라나에서 사망했다.[7]
2. 3. 프랑스 혁명과 자오선 측정
메셍은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덩케르크와 바르셀로나 사이의 자오선 호 길이를 측정하는 과제를 수행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그의 장비는 무기로 오인받아 체포되었고, 프랑스와 스페인 사이에 전쟁이 발발하면서 바르셀로나에 억류되기도 했다. 또한 공포정치 기간 동안 파리에 있는 그의 재산이 몰수되기도 했다.[7] 그는 스페인에서 풀려난 후 이탈리아에서 잠시 살다가 1795년에 프랑스로 돌아왔다.자오선 측정을 통해 미터법에서 길이의 표준 단위인 미터를 정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메셍은 천문 관측으로 위도를 결정할 때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효과 때문에 삼각 측량의 정확성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8] 20세기 후반 인공위성으로 측정한 결과, 북극에서 적도까지의 거리는 10,002.290km로, 원래 목표했던 10,000km와 0.02%의 매우 작은 오차를 보였다.[8] 이 차이는 1미터 길이에서 약 0.23mm에 해당하며, 사람 머리카락 한 올보다 조금 큰 정도이다.[9]
이러한 오차는 "메셍 오차"라고도 불리는데, 거의 200년 동안 발견되지 못했다. 메셍의 측정치를 분석한 결과, 그는 오차를 매우 작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18세기 장비와 거친 지형을 고려했을 때 그의 측정치는 매우 정확하고 일관성이 있었다.[10] 메셍의 오차는 미터의 크기나 자오선 길이의 최종값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10]
2. 4. 말년
메셍은 1799년부터 파리 천문대의 대장을 맡았다. 덩케르크-바르셀로나 사이의 자오선 호 측량에 대한 의구심이 계속 제기되자, 그는 이 측량 작업을 다시 시작하기 위해 1804년 스페인으로 갔다. 그러나 그곳에서 황열병에 걸려 카스테욘데라플라나에서 사망했다.[4]3. 메시에 천체 발견
메셍은 M63, M72, M74, M75, M76, M77, M78, M79, M85, M94, M95, M96, M97, M98, M99, M100, M101, M102(논란 있음), M103을 발견하였다. 이 외에도 20세기에 M104, M105, M106, M107, M108, M109가 "명예 메시에 천체"로 추가되었다.
메시에 번호 | NGC/IC 번호 | 일반 명칭 | 발견 날짜 | 천체 유형 | 거리 (킬로광년) | 별자리 | 겉보기 등급 |
---|---|---|---|---|---|---|---|
M63 | NGC 5055 | 해바라기 은하 (Sunflower Galaxy) | 1779년 6월 14일 | 은하, 나선 | 37,000 | 사냥개자리 | 8.5 |
M72 | NGC 6981 | 1780년 8월 30일 | 성단, 구상 | 53 | 물병자리 | 10.0 | |
M74 | NGC 628 | 1780년 9월 | 은하, 나선 | 35,000 | 물고기자리 | 10.5 | |
M75 | NGC 6864 | 1780년 8월 27일 | 성단, 구상 | 58 | 궁수자리 | 9.5 | |
M76 | NGC 650, NGC 651 | 작은 아령 성운 (Little Dumbbell Nebula) | 1780년 9월 5일 | 성운, 행성상 | 3.4 | 페르세우스자리 | 10.1 |
M77 | NGC 1068 | 고래자리 A (Cetus A) | 1780년 10월 29일 | 은하, 나선 | 60,000 | 고래자리 | 10.5 |
M78 | NGC 2068 | 1780년 초 | 성운, 산광 | 1.6 | 오리온자리 | 8.0 | |
M79 | NGC 1904 | 1780년 10월 26일 | 성단, 구상 | 40 | 토끼자리 | 8.5 | |
M85 | NGC 4382 | 1781년 3월 4일 | 은하, 렌즈형 | 60,000 | 머리털자리 | 10.5 | |
M94 | NGC 4736 | 1781년 3월 22일 | 은하, 나선 | 14,500 | 사냥개자리 | 9.5 | |
M95 | NGC 3351 | 1781년 3월 20일 | 은하, 막대 나선 | 38,000 | 사자자리 | 11.0 | |
M96 | NGC 3368 | 1781년 3월 20일 | 은하, 나선 | 38,000 | 사자자리 | 10.5 | |
M97 | NGC 3587 | 올빼미 성운 (Owl Nebula) | 1781년 2월 16일 | 성운, 행성상 | 2.6 | 큰곰자리 | 9.9 |
M98 | NGC 4192 | 1781년 3월 15일 | 은하, 나선 | 60,000 | 머리털자리 | 11.0 | |
M99 | NGC 4254 | 1781년 3월 15일 | 은하, 나선 | 60,000 | 머리털자리 | 10.5 | |
M100 | NGC 4321 | 1781년 3월 15일 | 은하, 나선 | 60,000 | 머리털자리 | 10.5 | |
M101 | NGC 5457 | 바람개비 은하 (Pinwheel Galaxy) | 1781년 3월 27일 | 은하, 나선 | 27,000 | 큰곰자리 | 7.9 |
M102 | (확실하게 확인되지 않음) ((Not conclusively identified)) | ||||||
M103 | NGC 581 | 1781년 3~4월 | 성단, 산개 | 8 | 카시오페이아자리 | 7.0 | |
M104 | NGC 4594 | 솜브레로 은하 (Sombrero Galaxy) | 1781년 5월 11일 | 은하, 나선 | 50,000 | 처녀자리 | 9.5 |
M105 | NGC 3379 | 1781년 3월 24일 | 은하, 타원 | 38,000 | 사자자리 | 11.0 | |
M106 | NGC 4258 | 1781년 7월 | 은하, 나선 | 25,000 | 사냥개자리 | 9.5 | |
M107 | NGC 6171 | 성단, 구상 | 20 | 뱀주인자리 | 10.0 | ||
M108 | NGC 3556 | 1781년 2월 19일 | 은하, 막대 나선 | 45,000 | 큰곰자리 | 11.0 | |
M109 | NGC 3992 | 1781년 3월 12일 | 은하, 막대 나선 | 55,000 | 큰곰자리 | 11.0 |
3. 1. M102 논란
메셍은 1783년에 M101의 관측이 잘못된 것이라고 인정했다. 이후 사람들은 그가 실제로 다른 천체를 관측했을 가능성과 그 천체가 무엇일지에 대해 여러 가지 제안을 했다. 자세한 내용은 M102 항목을 참조해야 한다.[11]3. 2. 기타 천체 발견
메셍은 M102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25개 또는 26개의 심원천체를 발견했다.[11] 1783년 이후, 메셍은 M101의 발견이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사람들은 그가 실제로 다른 어떤 별을 관찰한 것이고 그게 무엇일지에 대해 제안했다. 자세한 내용은 M102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메셍은 다른 사람들이 이미 발견한 것을 모르고 4개의 천체를 독립적으로 발견하여 메시에 목록에 포함시켰다. 장 필리페 드 세조가 M71을 발견했고, 메셍이 M80을 발견하기 2주 전에 메시에가 발견했으며, 요한 보데가 M81과 M82를 발견했다.
20세기에는 6개의 천체가 "명예 메시에 천체"로 목록에 추가되었다.
메셍은 또한 M51 (소용돌이 은하)를 매우 돋보이게 하는 동반 은하인 NGC 5195를 발견했다.
메셍이 하늘의 별을 관찰하기 위해 목록을 만든 것은 아니다. 메시에와 마찬가지로 그는 혜성으로 오인될 수 있는 별들의 목록을 만드는 데만 관심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메시에에 이어 두 번째로 성공적인 혜성 발견자가 되었다. 8개의 혜성을 독립적으로 발견했고, 3개의 혜성을 공동 발견하였다.[11]
메셍이 독립적으로 발견한 혜성은 다음과 같다.
- C/1781 M1 (메생), 1781 I
- C/1781 T1 (메생), 1781 II
- C/1785 E1 (메생), 1785 II
- 2P/엥케, 1786년 발견
- C/1787 G1 (메생), 1787 I
- 8P/터틀, 1790년 발견
- C/1799 P1 (메생), 1799 II
- C/1799 Y1 (메생), 1799 III
메셍이 공동 발견한 혜성은 다음과 같다.
- C/1785 A1 (메시에-메생), 1785 I
- C/1792 II 그레고리-메생, 1792 II
- C/1801 폰스 (폰스-메시에-메생-부바르), 1801 I
4. 혜성 발견
메셍은 메시에와 마찬가지로 혜성으로 오인될 수 있는 천체 목록을 만드는 데 관심이 있었다. 이 작업을 통해 메셍은 메시에에 이어 두 번째로 성공적인 혜성 발견자가 되었다. 그는 8개의 혜성을 단독으로 발견했고, 3개의 혜성을 공동 발견하였다.[11]
4. 1. 단독 발견 혜성
메셍이 단독으로 발견한 혜성은 다음과 같다.[11]혜성 이름 | 발견 연도 |
---|---|
C/1781 M1 (메생), 1781 I | 1781년 |
C/1781 T1 (메생), 1781 II | 1781년 |
C/1785 E1 (메생), 1785 II | 1785년 |
2P/엥케 | 1786년 |
C/1787 G1 (메생), 1787 I | 1787년 |
8P/터틀 | 1790년 |
C/1799 P1 (메생), 1799 II | 1799년 |
C/1799 Y1 (메생), 1799 III | 1799년 |
4. 2. 공동 발견 혜성
메셍은 다음 혜성들을 공동 발견했다.[11]혜성 이름 | 발견 연도 |
---|---|
C/1785 A1 (메시에-메생) | 1785 I |
C/1792 II 그레고리-메생 | 1792 II |
C/1801 폰스 (폰스-메시에-메생-부바르) | 1801 I |
5. 유산
1999년 9월 21일 밀로스 티히(Miloš Tichý)가 클레 천문대(Kleť Observatory)에서 발견한 소행성은 임시로 "1999 SS2"라고 불렸는데, 2002년 6월 24일 메셍을 기념하여 "소행성 21785 메셍"으로 지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Library and Archive
http://royalsociety.[...]
Royal Society
2012-08-06
[2]
서적
The Measure of All Things: The Seven-Year Odyssey and Hidden Error that Transformed the World
The Free Press
2002
[3]
서적
The Measure of All Things: The Seven-Year Odyssey and Hidden Error that Transformed the World
The Free Press
2002
[4]
서적
The Measure of All Things: The Seven-Year Odyssey and Hidden Error that Transformed the World
The Free Press
2002
[5]
웹사이트
Maik Meyer. Catalog of comet discoveries
http://www.comethunt[...]
[6]
웹사이트
(21785) Mechain = 1976 UX5 = 1999 SS2
https://minorplanetc[...]
MPC
2021-09-05
[7]
웹사이트
Library and Archive
Royal Society
2012-08-06
[8]
서적
The Measure of All Things: The Seven-Year Odyssey and Hidden Error that Transformed the World
The Free Press
2002
[9]
서적
The Measure of All Things: The Seven-Year Odyssey and Hidden Error that Transformed the World
The Free Press
2002
[10]
서적
The Measure of All Things: The Seven-Year Odyssey and Hidden Error that Transformed the World
The Free Press
2002
[11]
웹사이트
Maik Meyer. Catalog of comet discover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