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간군은 함경북도 동해안에 위치한 군으로, 북쪽은 어랑군, 남쪽은 명천군, 서쪽은 길주군과 접한다. 칠보산에서 뻗어 나온 산세와 화성천 유역의 평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면적의 80% 이상이 산림이다. 과거 명천군의 일부였으며, 1932년 영안공장 건설 이후 영안으로 불리다가 1952년 영안군으로 신설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67년 명간군으로, 1981년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가 2005년 다시 명간군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명간군은 명간읍, 3개의 로동자구, 22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 산지, 가축 사육, 석탄 광산으로 유명하다. 평라선 철도와 국도 제7호선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간군 - 칠보산 (함경북도)
    칠보산은 함경북도 화대군과 명천군에 걸쳐 있는 다채로운 경관의 산으로, 내칠보, 외칠보, 해칠보로 나뉘며 국립공원, 생물권보전지역,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명간군 - 화성 정치범수용소
    함경북도 명간군에 위치한 화성 정치범수용소는 북한 최대 규모의 종신 수용소로, '반혁명 및 반당 분자'로 분류된 수감자들이 강제 노동에 시달리며 인권 침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국제 인권 단체들은 열악한 환경과 비인도적인 처우에 대해 비판하며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 함경북도의 군 - 부령군
    부령군은 함경산맥을 비롯한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고성산이 최고봉이며, 수성천이 청진시로 흘러들고, 희귀 동물이 서식하며, 고구려, 발해, 고려, 조선 시대에 걸쳐 분쟁 지역이었고, 세종 때 6진 중 하나인 영북진이 설치되었으며, 현재 1읍 3구 5리로 구성되어 철공업, 광공업, 전기 발전이 주요 산업이고, 함북선과 무산선이 지나는 지역이다.
  • 함경북도의 군 - 무산군
    무산군은 함경북도 북단 두만강 상류에 위치한 험준한 산악 지형의 군으로, 북한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이며, 1438년 무산진 설치로 이름이 유래되었고, 무산광산을 비롯해 임업과 감자 농업이 주요 산업이었으며, 현재 1읍 6로동자구 15리로 구성되어 있다.
  • 1967년 설치 - 과일군
    과일군은 북한 황해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군으로, 1967년 송화군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북한 과일 생산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과일 산지이자 은률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 1967년 설치 - 신도군
    신도군은 압록강 하구에 위치한 평안북도에 있는 군으로, 여러 섬을 포함하며 1988년에 재설치되었고, 갈대, 어업,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명간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본래 이름명간군 (明澗郡)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Myŏnggan kun
로마자 표기 (한국어 개정)Myeonggan-gun
북한 함경북도 지도, 화성군의 위치를 보여줌
북한 함경북도에서 명간군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행정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행정 구역1읍, 3노동자구, 22리
통계
면적1140 km²
인구 (2008년)99,557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2. 지리

북쪽은 어랑군, 남쪽은 명천군, 서쪽은 길주군과 접한다. 동쪽은 동해에 접하지만, 해안 쪽은 칠보산에서 이어지는 산악 지형이며, 군의 중심부는 내륙에 위치하고 화성천을 따라 약간의 평야가 있다. 가장 높은 지점은 기운봉(1,875m)이다. 항구가 없고 해안선은 단조롭다. 주요 하천으로는 어랑천(漁郞川)과 명간천(明澗川)이 있으며, 전체 면적의 80% 이상이 산림이다.

3. 역사

일제강점기까지는 명천군의 일부였다가 1952년에 신설되었다.[4]


  • 1932년 - 일본의 재벌이 흥남비료공장의 분공장(分工場)인 질소비료'''영안공장'''을 건설했다. 영안이라는 이름은 비료공장 주인의 성씨가 나가야스(永安)였기 때문에 붙인 것이었는데, 이후 영안공장이 있다고 하여 영안이 지명처럼 불렸다.
  • 1952년 12월 - 명천군 북부의 하우면, 북면, 남면, 서면, 동면(양견리 제외)에 경성군 어랑면의 용양·화룡·교향리를 합쳐 '''영안군'''을 신설했다.
  • 1967년 10월 - 영안군을 '''명간군'''으로 개칭하였다. 명간이라는 이름은 군의 중심부를 흐르는 명간천(明澗川)에서 따온 것이다.
  • 1981년 10월 - 명간군을 '''화성군'''(化成郡)으로 개칭하였다. 화성이라는 이름은 화학 공장이 밀집한 곳이라는 뜻으로 지은 이름이다.
  • 2005년 3월 - 화성군을 다시 '''명간군'''으로 개칭한 것으로 추정된다.[7][8][9]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52년 12월군면리 통폐합으로, 함경북도명천군 북면·하우면·서면 및 동면·남면의 각 일부, 경성군 어랑면의 일부 지역을 가지고, 영안군 설치. (1읍 29리)
1953년 12월립석리·명남리의 경계선 조정.(1읍 29리)
1954년 10월웅평리가 부화리에 편입, 삼포리의 일부가 양화리에 편입, 양화리의 일부가 명천군 보촌리의 일부와 합병하여 명천군 황진리가 됨, 용동리의 일부가 영안읍에 편입.(1읍 28리)
1959년 2월이평리가 웅점리에 편입.(1읍 27리)
1967년 10월영안군이 명간군으로 개칭, 영안읍이 명간읍으로 개칭, 웅점리가 부화리에 편입, 용산리가 백록리에 편입.(1읍 25리)
1972년 11월용반리가 용반로동자구로 승격.(1읍 1로동자구 24리)
1981년 2월극동리가 극동로동자구로 승격.(1읍 2로동자구 23리)
1981년 10월명간군이 화성군으로 개칭, 명간읍이 화성읍으로 개칭.(1읍 2로동자구 23리)
2001년 3월양화리가 양화로동자구로 승격.(1읍 3로동자구 22리)
2005년 4월명간군으로 재개칭, 화성읍이 명간읍으로 개칭.[5](1읍 3로동자구 22리)


4. 행정 구역

로동자구
valign="top" |valign="top" |valign="top" |



명간군은 1개의 읍, 3개의 로동자구, 22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5. 산업

명간은 배 산지로 유명하고 가축도 널리 사육된다. 또한 석탄 광산도 존재한다.

6. 교통

명간군에는 평라선국도 제7호선이 지난다. 평라선은 군을 통과하며 여러 역을 거친다.

6. 1. 철도

평라선내포역 - 룡반역 - 상룡전역 - 룡동역 - 삼향역 - 극동역 - 조막산역 구간이 명간군을 지난다.

6. 2. 도로

국도 제7호선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뉴스 On the Map: Five Major North Korean Prison Camps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09-07-20
[3] 웹사이트 명간군(明澗郡) - NK조선 http://nk.chosun.com[...]
[4] 웹사이트 함경북도 명간군 역사 http://www.cybernk.n[...]
[5] 뉴스 북, 함북 새별ㆍ화성군 옛지명으로 환원 https://m.mk.co.kr/n[...] 매일경제 2005-04-15 #추정 날짜. 기사 URL이 amp 링크라 정확한 날짜를 확인할 수 없음.
[6]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 연도만 기재. 정확한 날짜 정보 없음.
[7] 웹사이트 명간군 http://www.cybernk.n[...] 2016-03-06
[8]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18쪽 시군구별 인구 참조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10-03-31
[9] 웹사이트 오늘의 통일기도 http://www.uniprayer[...] 유니프레이어닷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