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2년은 대한민국이 이승만 라인을 선언하고, 부산 정치 파동, 거제도 포로수용소 폭동 사건 등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사건이 발생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창설, 제2대 대통령 및 제3대 부통령 선거, 독도 분쟁 발생, 국군 징병제 실시, 한국 전쟁 휴전 회담, 백마고지 전투 종료 등이 있다. 또한, 1952년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즉위, 독일 통일 관련 스탈린 노트 발간, 미국 수소폭탄 실험, 유럽 방위 공동체 창설 조약 체결 등 국제적인 사건도 있었다. 이 해에는 안성기, 박근혜, 리셴룽 등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인물들이 태어났으며, 조지 6세, 에바 페론, 마리아 몬테소리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52년 | |
---|---|
1952년 | |
1952년 | |
1952年 | |
1952년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요 사건 | |
1월 | 1월 1일: 대한민국과 미국 간에 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됨. 1월 14일: 독일의 베를린에서 '베를린 서방 자유화' 운동이 시작됨. |
2월 | 2월 6일: 영국의 조지 6세가 사망하고 엘리자베스 2세가 즉위함. |
4월 | 4월 9일: 볼리비아에서 볼리비아 국가 혁명이 시작됨. |
5월 | 5월 26일: 대한민국의 부산에서 제2대 대통령 선거와 제3대 부통령 선거가 실시됨. |
7월 | 7월 19일: 핀란드의 헬싱키에서 제15회 하계 올림픽이 개막됨. |
10월 | 10월 3일: 영국이 최초로 핵무기 실험에 성공함. 10월 17일: 인도네시아에서 10월 17일 사건이 발생함. 10월 22일: 오스트레일리아가 최초로 핵무기 실험에 성공함. |
11월 | 11월 1일: 미국이 마이크로네시아의 에니웨톡 환초에서 최초로 수소폭탄 실험에 성공함. |
12월 | 12월 4일: 대한민국과 일본 간에 평화회담이 시작됨. |
문화 | |
문화 | |
음악 | 존 케이지의 4분 33초가 초연됨 |
영화 | 사랑은 비를 타고가 개봉함 하이 눈이 개봉함 |
과학 및 기술 | |
과학 및 기술 | |
발견 | DNA의 구조가 프랜시스 크릭과 제임스 왓슨에 의해 밝혀짐 |
탄생 | |
탄생 | |
주요 인물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의 대통령 제프 골드블럼, 미국의 배우 파울로 코엘료, 브라질의 작가 |
사망 | |
사망 | |
주요 인물 | 조지 6세, 영국의 왕 마리아 몬테소리, 이탈리아의 교육자 스벤 헤딘, 스웨덴의 탐험가 |
기타 | |
기타 | |
로마자 표기 | cheon-gu-baek-o-sip-i-nyeon |
2. 주요 사건
1950년부터 계속된 한국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대한민국은 여러 정치·사회적 사건들을 겪었다. 또한, 세계적으로도 냉전의 영향으로 여러 사건들이 발생하였다.
- 1월 18일 - 대한민국 이승만 대통령이 평화선을 선언했다.[41]
- 1월 31일 - 일본이 경찰예비대를 자위대로 개편했다.
- 2월 6일 -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즉위했다.[1]
- 2월 18일 - 그리스와 터키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했다.
- 3월 10일 - 독일 통일을 위한 ‘스탈린 노트’가 발간되었다. 통일의 기본조건으로 독일의 중립성을 요구했다.
- 4월 28일 - 일본이 중화민국 정부와 평화조약을 서명했다. 같은 날 일본은 독립했다.(미국점령기간: 1945년 9월 1일 ~ 1952년 4월 27일)
- 5월 25일 - 부산 정치 파동(개헌파동)이 일어나 부산,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라북도에 계엄령이 발효되었다.
- 5월 26일 - 서독이 영국, 프랑스, 미국과 독일 조약을 체결하여 주권 회복의 발판을 마련했으나, 유럽 방위 공동체(EDC) 조약 체결 무산으로 실효되지는 못했다. 같은 날 동독은 내독국경을 폐쇄했다.
- 7월 23일 - 이집트에서 쿠데타가 일어났다.
- 8월 5일 - 대한민국 제2대 대통령 및 제3대 부통령 선거가 실시되어 이승만이 대통령으로, 함태영이 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 8월 28일 - 대한민국과 일본 간에 독도 분쟁이 처음으로 발생했다.
- 9월 3일 - 중화인민공화국 연변 조선민족 자치구가 성립되었다.
- 9월 10일 - 독일이 이스라엘과 배상협정을 조인하여 유대인 대학살에 대한 배상금으로 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 10월 3일 - 영국이 첫 원자 폭탄 실험에 성공하여 세계에서 세 번째 핵보유국이 되었다.
- 10월 22일 - 이란이 영국과 단교를 선언했다.
- 11월 1일 - 미국이 태평양 에니웨톡 환초에서 첫 수소폭탄 실험(코드명 "마이크")을 실시하여 핵무기 개발 경쟁에 박차를 가했다.[9]

- 11월 5일 - 195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미국 공화당 후보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애들레이 스티븐슨 2세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 12월 5일 - 영국 런던에서 스모그 현상이 발생하여 9일까지 4,000여 명이 사망했다.
2. 1. 대한민국
1950년부터 계속된 한국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대한민국은 여러 정치·사회적 사건들을 겪었다.1월 18일 이승만 대통령은 평화선을 선언하여 한국과 주변국 간 해양 경계선을 설정하고[41], 2월 1일에는 대한민국 재향군인회가 창설되었다. 3월 19일에는 광무신문지법(光武新聞紙法)이 폐기되었다.
4월 25일 제1회 전국 시·읍·면 지방의회의원 선거가 치러졌고, 8월 5일에는 이승만 대통령과 함태영 부통령이 당선된 제2대 대통령 및 제3대 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6월 19일에는 신흥 종교인 성덕도가 창시되었고, 8월 7일에는 학술원, 예술원 설치 등을 규정하는 '문화보호법'이 제정되었다. 9월 1일부터 국군 징병제가 실시되었다.
2. 1. 1. 정치 및 사회 혼란
1월 18일, 대한민국의 이승만 대통령은 평화선을 선언하여 한국과 주변 국가 간의 해양 경계선을 설정했다.[41] 이는 국제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해양 주권을 강화하려는 시도였다.4월 24일에는 서민호 의원이 순천에서 서창선 대위를 총으로 사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정당방위'가 성립되어 큰 화제가 되었다.
4월 25일에는 제1회 전국 시·읍·면 지방의회의원 선거가 치러져 지방 자치 제도의 기반을 다졌다.
5월 7일에는 거제도포로수용소 폭동사건이 발생했다.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공산포로들이 폭동을 일으켜 당시 한국 사회의 혼란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5월 25일에는 부산 정치 파동이 일어나 부산,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라북도에 계엄령이 발효되었다. 이는 정치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사건이었다.
7월 18일에는 중석불사건(重石弗事件)이 국회에서 논란이 되어 조사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이 사건은 당시 정치권의 부패와 관련된 의혹을 제기하며 사회적 관심을 모았다.
8월 5일 대한민국 제2대 대통령 및 제3대 부통령 선거가 실시되어 이승만이 대통령으로, 함태영이 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8월 28일에는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에 독도 분쟁이 처음으로 발생하여 양국 간 영토 갈등의 시작을 알렸다.
2. 1. 2. 한국전쟁
1950년 6월 25일한국어~1953년 7월 27일한국어: 한국 전쟁- 9월 12일한국어 - 중국과 소비에트 연방은 한국전쟁 휴전회담 공동선언을 발표했다.[12]
- 9월 24일한국어 - 마크 클라크 유엔군총사령관은 한국방위수역선을 설정했다.[12]
- 9월 27일한국어 - 마크 클라크 유엔군 총사령관은 한국 전(全)해안 봉쇄를 발표했다.[12]
- 10월 8일한국어 - 대한민국은 휴전회담에서 유엔측의 무기한 연기를 통고했다.[12]
- 10월 15일한국어 - 백마고지 전투가 끝났다.[12]
- 12월 3일한국어 - 유엔총회는 한국전 포로문제에 관한 결의안을 채택했다.[12]
2. 1. 3. 기타
- 1월 18일 - 대한민국이 평화선을 선언했다.
- 1월 31일 - 일본이 경찰예비대를 자위대로 개편했다.
- 2월 1일 - 대한민국 재향군인회가 창설되었다.
- 3월 10일 - 쿠바에서 풀헨시오 바티스타가 쿠데타를 일으켰다.
- 3월 19일 - 광무신문지법(光武新聞紙法)이 폐기되었다.
- 3월 20일 - 미국 정부가 일본과의 평화조약을 비준했다.
- 4월 24일 - 서민호 의원이 순천에서 서창선(徐昌善) 대위를 총으로 사살했다(서민호 의원 총격사건). 이 사건에서 유명한 '정당방위'가 성립되었다.
- 4월 25일 - 제1회 전국 시·읍·면 지방의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신흥 종교인 성덕도가 창시되었다.
- 7월 18일 - 중석불사건(重石弗事件)이 국회에 비화(飛火)되어 조사위가 구성되었다.
- 8월 7일 - 대한민국이 학술원, 예술원 설치 등을 규정하는 '문화보호법'을 제정했다.
- 8월 28일 - 대한민국과 일본 간에 독도 분쟁이 처음 발생했다.
- 9월 1일 - 대한민국이 국군 징병제를 실시했다.
- 9월 3일 - 중화인민공화국 연변 조선민족 자치구가 성립되었다.
- 9월 12일 - 한국전쟁: 중국과 소비에트 연방이 한국전쟁 휴전회담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 9월 24일 - 한국전쟁: 마크 클라크 유엔군총사령관이 한국방위수역선을 설정했다.
- 9월 27일 - 마크 클라크 유엔군 총사령관이 한국 전(全)해안 봉쇄를 발표했다.
- 10월 8일 - 한국 전쟁: 대한민국이 휴전회담에서 유엔측의 무기한 연기를 통고했다.
- 10월 15일 - 백마고지 전투가 끝났다.
2. 2. 일본
1월 18일 대한민국이 평화선을 선언하자, 일본은 이에 반발하였다.[1]1월 31일 일본은 경찰예비대를 자위대로 개편하였다.
4월 18일 서독과 국교를 수립하였다.
4월 28일 일본국과의 평화조약 발효에 따라 연합국군에 의한 점령에서 해제되어 주권을 회복하였고, 일본국과 미국과의 간의 안전보장조약도 발효되었다. 같은 날, 일본은 중화민국 정부와 일화 평화조약을 체결하였다(8월 5일 발효).
5월 15일 이스라엘과 일본 간에 공사급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다.
8월 5일 일본과 중화민국 간의 타이베이 조약이 발효되어 공식적으로 중일전쟁이 종식되었다.
8월 13일 IMF에 가입하였다.
8월 28일 대한민국과 일본 간에 독도 분쟁이 처음으로 발생하였다.
9월 18일 소련이 유엔에서 일본의 유엔 가입 신청을 거부하였다.
12월 26일 일본 주재 최초의 이스라엘 공사인 조셉 아이버 린턴이 천황에게 신임장을 제출하였다.
2. 3. 국제 정세
1952년은 국제적으로 여러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하여 냉전 시대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새로운 국제 질서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해였다.- 1월 18일 - 대한민국이 평화선을 선언하여 독도 분쟁을 포함한 주변국과의 해양 영토 분쟁의 불씨를 만들었다.[1]
- 1월 31일 - 일본이 경찰예비대를 자위대로 개편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본격적인 재무장의 길로 들어섰다. 이는 한국 전쟁 발발 이후 동아시아 지역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한 미국의 지원과 압력에 의한 것이었다.
- 2월 6일 -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즉위하였다.[1]
- 2월 18일 - 그리스와 터키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여 냉전 구도 속에서 서방 진영의 방위선을 강화했다.
- 2월 21일 - 동파키스탄 다카(현재 방글라데시)에서 경찰이 학생 시위대에게 발포하여 4명이 사망하고 전국적인 시위가 시작되며, 벵골어가 파키스탄의 공용어 중 하나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 날은 이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 모국어의 날"로 선포되었다.
- 3월 10일 - 독일 통일을 위한 ‘스탈린 노트’가 발간되었으나, 통일의 기본조건으로 독일의 중립성을 요구하여 서방 국가들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
- 3월 20일 - 미국 상원이 일본과의 샌프란시스코 조약을 비준하였다.
- 4월 28일 - 일본이 중화민국 정부와 평화조약을 서명하고,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되면서 연합국의 일본 점령이 공식적으로 종료되고 주권을 회복했다.
- 5월 26일 - 서독이 영국, 프랑스, 미국과 독일 조약을 체결하여 주권 회복의 발판을 마련했으나, 유럽 방위 공동체(EDC) 조약 체결 무산으로 실효되지는 못했다. 같은 날 동독은 내독국경을 폐쇄했다.
- 5월 27일 - 유럽 연합: EDC 창설 조약 체결.
- 6월 1일 - 제1 차 중-일 민간무역협정 서명.
- 7월 23일 - 이집트에서 가말 압델 나세르를 중심으로 한 자유장교단의 쿠데타가 일어나 파루크 1세 국왕을 타도하고 공화정을 수립했다.
- 8월 28일 - 대한민국과 일본 간에 독도 분쟁 첫 발생.
- 9월 3일 - 중화인민공화국 연변 조선민족 자치구 성립
- 9월 10일 - 독일이 이스라엘과 배상협정을 조인하여 유대인 대학살에 대한 배상금으로 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 9월 12일 - 한국전쟁: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비에트 연방이 한국 전쟁 휴전회담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 9월 24일 - 한국전쟁: 마크 클라크 유엔군총사령관이 한국방위수역선을 설정했다.
- 9월 27일 - 마크 클라크 유엔군 총사령관, 한국 전(全)해안 봉쇄 발표.
- 10월 2일 - 스탈린, 〈소련 사회주의 경제의 제 문제〉 발표.
- 10월 3일 - 영국이 첫 원자 폭탄 실험에 성공하여 세계에서 세 번째 핵보유국이 되었다.
- 10월 8일 - 한국 전쟁: 대한민국이 휴전회담에서 유엔 측의 무기한 연기를 통고했다.
- 10월 22일 - 이란이 영국과 단교를 선언했다.
- 11월 1일 - 미국이 태평양 에니웨톡 환초에서 첫 수소폭탄 실험(코드명 "마이크")을 실시하여 핵무기 개발 경쟁에 박차를 가했다.[9]
- 11월 4일 - 195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미국 공화당 후보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애들레이 스티븐슨 2세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 11월 29일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한국 전쟁 종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대한민국을 방문했다.
- 12월 3일 - 유엔총회는 한국전 포로문제에 관한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 12월 5일 - 영국 런던에서 스모그 현상이 발생하여 9일까지 4,000여 명이 사망했다.
- 북유럽 이사회 출범.
- 5월 2일 - 런던 - 요하네스버그 구간에 세계 최초의 여객용 제트기가 취항하다.
- 5월 15일 - 일본과 이스라엘이 수교하다.
- 5월 27일 - 유럽 방위 공동체 조약 조인. 이 조약은 발효되지 않았다.
- 7월 23일 - 파리 조약 발효에 따라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가 발족하다.
- 7월 25일 - 푸에르토리코가 미국 자치령이 되다.
- 7월 27일 - 볼가-돈 운하가 개통하다.
- 8월 13일 - 일본이 국제통화기금(IMF)에 가입하다.
- 8월 14일 - 서독이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에 가입하다.
- 8월 27일 - 서독이 이스라엘에 대해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 학대 및 홀로코스트에 대한 전쟁 배상으로 를 지불하는 조약에 서명하다.
- 9월 18일 - 소비에트 연방이 일본의 국제연합 가입 신청에 거부권을 행사하다.
- 10월 14일 - 유엔이 뉴욕의 유엔본부 건물 사용을 개시했다.
- 10월 20일 - 케냐에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 북유럽 이사회는 북유럽 국가 전역에서 사람, 상품 및 서비스의 무제한 운송에 동의한다.
3. 문화 및 스포츠
- 2월 14일–2월 25일 –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1952년 동계 올림픽이 개최되다.[3]
- 6월 16일 - 한국항공대학교가 설립되었다.
- 7월 19일 - 1952년 하계 올림픽 개막.
- 7월 19일 - 8월 3일 - 핀란드 헬싱키에서 하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일본 대표팀이 베를린 올림픽 이후 16년 만에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였다.
- 8월 29일 - 존 케이지의 피아노곡 〈4분 33초〉가 초연되었다.
다음은 그해에 개봉된 영화들이다.
4. 탄생
- 1월 1일 - 안성기, 대한민국의 배우.
- 1월 2일 - 오맹달, 홍콩의 영화배우. (~2021년)
- 1월 5일 - 장광, 대한민국의 성우, 배우.
- 1월 9일 - 서병수, 대한민국의 전 부산광역시장.
- 1월 11일 - 이낙연, 대한민국의 정치인, 45대 국무총리.
- 1월 14일 - 김진수, 대한민국의 정치인. (~2022년)
- 1월 20일 - 진대제, 대한민국의 전 대한민국 정보통신부 장관.
- 1월 25일
- * 박병석,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 * 황지우,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미술평론가.
- 1월 28일 - 강창일, 대한민국의 정치인.
- 1월 29일 - 황우석, 대한민국의 과학자, 수의사.
- 2월 2일 - 박근혜,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 2월 5일 - 김명기, 대한민국의 정치인.
- 2월 7일 - 김승연, 대한민국의 기업인.
- 2월 8일 - 문성현, 대한민국의 정치인.
- 2월 22일 - 이계훈, 대한민국의 군인.
- 2월 27일 - 황주홍, 대한민국의 정치인.
- 2월 29일 - 임정하, 대한민국의 배우. (~2022년)
- 3월 8일 - 윤건영, 대한민국의 정치인.
- 3월 14일 - 고민환, 대한민국의 육군 군의관 소령 출신 의과대학 산부인과 교수 및 의학박사.
- 3월 15일 - 하워드 코, 한국계 미국 행정관료 겸 대학 교수.
- 3월 21일 - 장대환,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 3월 27일 - 김정호, 대한민국의 가수. (~1985년)
- 3월 28일 - 허기호, 대한민국의 배우.
- 3월 29일 - 강명순, 대한민국의 정치인. (~2021년)
- 4월 1일 - 이용식, 대한민국의 희극인.
- 4월 2일 - 이진주, 대한민국의 만화가.
- 4월 9일
- * 신연숙, 대한민국의 배우.
- * 이주형, 대한민국의 금융인, 공무원. (~2024년)
- 4월 12일 - 손창호, 대한민국의 배우. (~1998년)
- 4월 22일 - 정태섭, 대한민국의 배우. (~2001년)
- 4월 24일 - 이승율, 대한민국의 정치인. (~2022년)
- 4월 29일 - 송하진, 대한민국 전라북도지사.
- 5월 2일 - 서경원, 대한민국의 정치인.
- 5월 5일 - 김준성,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 5월 8일 - 이덕화, 대한민국의 배우.
- 5월 14일 - 김효재,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
- 5월 16일 - 이계인, 대한민국의 배우.
- 5월 20일
- * 이정구, 대한민국의 성우.
- * 이관세, 대한민국의 공무원.
- * 권혁승,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5월 22일
- * 이종도, 대한민국의 야구 코치, 전 야구 선수.
- * 남상국, 대한민국의 기업인. (~2004년)
- 6월 1일
- * 배연정, 대한민국의 희극인.
- * 운군일, 대한민국의 드라마 연출자.
- 6월 7일 - 제프리 존스, 미국의 국제 변호사.
- 6월 18일 - 이수만, 대한민국의 기업인, SM 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 6월 18일 - 전인택, 대한민국의 배우.
- 6월 25일 - 오영호, 대한민국의 공무원. (~2022년)
- 6월 26일 - 고용희, 김정은의 모친.
- 6월 27일 - 이용복, 대한민국의 가수.
- 6월 30일 - 이성익, 대한민국의 물리학 교수. (~2010년)
- 7월 6일 - 김학송, 대한민국의 정치인. (~2022년)
- 7월 7일 - 이상범, 대한민국의 교육인.
- 7월 10일 - 이해찬, 대한민국의 정치인, 36대 국무총리.
- 7월 11일
- * 박정수, 대한민국의 배우.
- * 박은수, 대한민국의 화가.
- 7월 14일 - 송기윤, 대한민국의 배우, 정치인.
- 7월 21일
- * 강석, 대한민국의 방송인.
- * 전국환, 대한민국의 배우.
- 7월 26일 - 명계남, 대한민국의 배우.
- 8월 13일 - 양희은, 대한민국의 가수.
- 8월 19일 - 설영범, 대한민국의 성우.
- 8월 24일 - 이종한, 대한민국의 PD.
- 8월 26일 - 안경수, 대한민국의 기업인.
- 9월 5일
- * 김두영,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 김영인, 대한민국의 배우.
- 9월 13일
- * 김주영, 대한민국의 배우.
- * 이주열, 대한민국의 금융인.
- 9월 14일 - 장영희, 대한민국의 영문학자. (~2009년)
- 9월 16일 - 손희순, 대한민국의 배우.
- 9월 17일 - 장수영,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 9월 20일 - 송용태, 대한민국의 배우.
- 9월 23일 - 김덕수, 대한민국의 국악인.
- 10월 1일 - 한기호, 대한민국의 국방인, 정치인.
- 10월 3일 - 김환진, 대한민국의 성우.
- 10월 5일 - 조오련,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2009년)
- 10월 11일 - 김성수, 대한민국의 부산광역시 금정구의원.
- 10월 14일 - 왕호,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10월 17일 - 김광림, 대한민국의 극작가.
- 10월 23일 - 허준영, 대한민국의 관료. (~2023년)
- 10월 31일 - 임하룡, 대한민국의 희극인, 영화배우.
- 11월 4일 - 장순국, 대한민국의 배우.
- 11월 5일 - 송경철,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 11월 20일 - 최신원, 대한민국의 기업인.
- 11월 26일 - 엄인호,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 12월 1일
- * 권오현, 대한민국의 기업인.
- * 이용범, 대한민국의 정치인.
- 12월 3일 - 김명곤, 대한민국의 배우.
- 12월 10일 - 김형태, 대한민국의 방송 기자, 정치인. (~2024년)
- 12월 13일
- * 독고영재, 대한민국의 배우.
- * 이한기, 대한민국의 정치인.
- 12월 14일 - 김성중, 대한민국의 공무원.
- 12월 17일 - 최민희, 대한민국의 배우.
- 12월 20일 - 박재동, 대한민국의 만화가.
5. 사망
- 1월 1일 - 앙리 알베르 하르트만(Henri Albert Hartmann), 프랑스 외과의사 (출생 1860년)
- 1월 4일 - 콩스탕 페르메크(Constant Permeke), 벨기에 화가 (출생 1886년)
- 1월 5일 - 흐리스토 타타르체프(Hristo Tatarchev), 불가리아 혁명가 (출생 1869년)
- 1월 8일 - 안토니아 메리(Antonia Maury), 미국 천문학자 (출생 1866년)
- 1월 11일 - 장 드 라트르 드 타시니(Jean de Lattre de Tassigny), 프랑스 장군, 사후 프랑스 원수 (출생 1889년)
- 1월 18일 - 컬리 하워드(Curly Howard), 미국 배우이자 코미디언 (''세 명의 바보'' (The Three Stooges)) (출생 1903년)
- 1월 19일 - 오스트리아의 막시밀리안 외젠 대공(Archduke Maximilian Eugen of Austria) (출생 1895년)
- 1월 25일
- * 스베인 비외른손(Sveinn Björnsson), 초대 아이슬란드 대통령 (출생 1881년)
- * 프랑수아 가뉴팽(François Gagnepain), 프랑스 식물학자 (출생 1866년)
- * 폴리 모란(Polly Moran), 미국 배우 (출생 1883년)
- 1월 26일 - 호르로그인 초이발산(Khorloogiin Choibalsan), 몽골 인민 공화국 총리 (출생 1895년)
- 1월 27일 - 패니 워드(Fannie Ward), 미국 배우 (출생 1872년)
- 1월 28일
- * 토마스 힉스(Thomas Hicks (athlete)), 미국 육상 선수 (출생 1876년)
- * 니콜라에 콘스탄틴 바차리아(Nicolae Constantin Batzaria), 오스만 제국 국가원수, 루마니아 작가 (출생 1874년)
- 2월 2일 - 샤를 드 로슈포르(Charles de Rochefort), 프랑스 배우 (출생 1879년)
- 2월 3일 - 해롤드 L. 아이크스(Harold L. Ickes), 미합중국 내무장관 (출생 1874년)
- 2월 6일 - 조지 6세(George VI of the United Kingdom), 영국 국왕 (출생 1895년)
- 2월 7일 - 필립 G. 엡스타인(Philip G. Epstein), 미국 각본가 (출생 1909년)
- 2월 11일 - 마티야 무르코(Matija Murko), 유고슬라비아 학자 (출생 1861년)
- 2월 14일 - 몰리 말론(Molly Malone), 미국 배우 (출생 1888년)
- 2월 17일 - 에드비제 카르보니(Edvige Carboni), 이탈리아 로마 가톨릭 평신도, 신비주의자이자 존경받는 인물 (출생 1880년)
- 2월 18일 - 엔리케 하르디엘 폰셀라(Enrique Jardiel Poncela), 스페인 극작가이자 소설가 (출생 1901년)
- 2월 19일
- * 로렌스 그랜트(Lawrence Grant), 영국 배우 (출생 1870년)
- * 크누트 함순(Knut Hamsun), 노르웨이 작가, 노벨 문학상 수상자 (출생 1859년)
- 2월 20일 - 카를로스 훌리오 아로세메나 톨라(Carlos Julio Arosemena Tola), 에콰도르 제28대 대통령 (출생 1888년)
- 2월 21일 - 프랜시스 제비어 포드(Francis Xavier Ford), 미국 로마 가톨릭 주교, 선교사, 하느님의 종이자 존경받는 인물 (출생 1892년)
- 2월 26일
- * 테오도로스 판갈로스(Theodoros Pangalos), 그리스 장군이자 정치인, 독재자이자 그리스 대통령 (출생 1878년)
- * 요제프 토라크(Josef Thorak), 오스트리아 태생 독일 조각가 (출생 1889년)
- 2월 28일 - 알베르트 포스터(Albert Forster),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단치히의 가우라이터로 전쟁 범죄로 사형당함 (출생 1902년)
- 3월 1일
- * 구메 마사오(Masao Kume), 일본의 극작가, 소설가, 시인 (생년 1891년)
- * 그레고리 라 카바(Gregory La Cava), 미국의 영화 감독 (생년 1892년)
- 3월 5일 - 찰스 스콧 셰링턴 경(Sir Charles Sherrington), 영국의 생리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생년 1857년)
- 3월 7일 - 파라마한사 요가난다(Paramahansa Yogananda), 인도의 구루 (생년 1893년)
- 3월 9일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Alexandra Kollontai), 러시아 혁명가 (생년 1872년)
- 3월 12일 - 휴 허버트(Hugh Herbert), 미국의 배우이자 코미디언 (생년 1885년)
- 3월 13일 - 보 티 사우(Võ Thị Sáu), 베트남 여학생 (생년 1933년)
- 3월 19일 - 로베르 게랭(Robert Guérin), 프랑스 행정관, 초대 FIFA 회장 (생년 1876년)
- 3월 21일 - 안드리스 얀 피터스(Andries Jan Pieters), 네덜란드 범죄자 (생년 1916년)
- 3월 22일 - D. S. 세나나야케(D. S. Senanayake), 초대 실론 총리(Prime Minister of Ceylon) (생년 1884년)
- 3월 26일 - J. P. 맥고완(J.P. McGowan),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겸 감독 (생년 1880년)
- 3월 30일 - 지그메 왕축 경(Sir Jigme Wangchuck), 부탄 국왕 (생년 1905년)
- 3월 31일
- * 발터 셸렌베르크(Walter Schellenberg), 독일 나치 정보부 장교 (생년 1910년)
- * 롤랜드 웨스트(Roland West), 미국의 영화 감독 (생년 1885년)
- * 월리스 H. 화이트 주니어(Wallace H. White, Jr.), 미국의 정치인 (생년 1877년)
- 4월 1일 - 몰나르 페렌츠(Ferenc Molnár), 헝가리 소설가이자 극작가 (출생 1878년)
- 4월 2일 - 후리오 엔리케 모레노(Julio Enrique Moreno), 에콰도르 대통령 권한대행 (출생 1879년)
- 4월 3일 - 미이나 실란패(Miina Sillanpää), 핀란드 정치인 (출생 1866년)
- 4월 5일 - 찰스 콜렛(Charles Collett), 영국 기계 기술 책임자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Great Western Railway)) (출생 1871년)
- 4월 8일 - 타데우시 에슈트라이허(Tadeusz Estreicher), 폴란드 저온공학 개척자 (출생 1871년)
- 4월 15일 - 빅토르 체르노프(Viktor Chernov), 러시아 혁명가, 러시아 사회혁명당(Socialist Revolutionary Party) 지도자 (출생 1873년)
- 4월 21일
- * 레슬리 뱅크스(Leslie Banks), 영국 배우 (출생 1890년)
- * 스태퍼드 크립스 경(Stafford Cripps), 영국 노동당 정치인, 전 재무장관(Chancellor of the Exchequer) (출생 1889년)
- 4월 27일 - 귀도 카스텔누오보(Guido Castelnuovo), 이탈리아 수학자 (출생 1865년)
- 4월 29일 - 마누엘 포르텔라 발라다레스(Manuel Portela Valladares), 스페인 정치인 (출생 1868년)
- 5월 2일 - 마트로나 니코노바(Matrona Nikonova), 소련 정교회 수녀이자 성녀 (출생 1881년)
- 5월 5일 - 알베르토 사비니오(Alberto Savinio), 이탈리아 작가 (출생 1891년)
- 5월 6일 - 마리아 몬테소리(Maria Montessori), 이탈리아 교육자 (출생 1870년)
- 5월 7일 - 후안 바우티스타 페레스(Juan Bautista Pérez), 베네수엘라 변호사, 판사, 정치인, 베네수엘라 제43대 대통령 (출생 1869년)
- 5월 8일 - 윌리엄 폭스(William Fox), 오스트리아-헝가리 출신 영화 제작자 (출생 1879년)
- 5월 9일 - 캐나다 리(Canada Lee), 미국 배우이자 권투 선수 (출생 1907년)
- 5월 10일 - 클라크 L. 헐(Clark L. Hull), 미국 심리학자 (출생 1884년)
- 5월 11일 - 조반니 테발디니(Giovanni Tebaldini), 이탈리아 작곡가 (출생 1864년)
- 5월 15일
- * 알베르트 바서만(Albert Bassermann), 독일 배우 (출생 1867년)
- * 이탈로 몬테메치(Italo Montemezzi), 이탈리아 작곡가 (출생 1875년)
- 5월 18일 - 나카이 마사카즈(Nakai Masakazu), 일본의 철학가 및 사회운동가. (출생 1900년)
- 5월 21일 - 존 가필드(John Garfield), 미국 배우 (출생 1913년)
- 5월 23일 - 게오르크 슈만(Georg Schumann), 독일 작곡가 (출생 1866년)
- 6월 1일
- * 존 듀이(John Dewey), 미국의 철학자 (출생 1859년)
- * 맬컴 세인트 클레어(Malcolm St. Clair), 미국의 영화 제작자 (출생 1897년)
- 6월 8일 - 세르게이 메르쿠로프(Sergey Merkurov), 소비에트 조각가 (출생 1881년)
- 6월 9일 - 루이지 푸치안티(Luigi Puccianti), 이탈리아 물리학자 (출생 1875년)
- 6월 10일
- * 힐다 혼겔(Hilda Hongell), 핀란드 건축가 (출생 1867년)
- * 프랜시스 테오도라 파슨스(Frances Theodora Parsons), 미국의 자연주의자 (출생 1861년)
- 6월 12일 - 미하엘 폰 파울하버(Michael von Faulhaber), 독일 뮌헨 대주교 추기경[36] (출생 1869년)
- 6월 13일 - 에마 이임스(Emma Eames), 미국의 소프라노 (출생 1865년)
- 6월 14일 - 펠릭스 칼론더(Felix Calonder), 스위스 정치인, 제36대 스위스 연방 대통령 (출생 1863년)
- 6월 15일 - 크리스티나 스카르벡(Krystyna Skarbek), Christine Granville영어로도 알려짐, 폴란드 태생의 영국 특수작전본부(SOE) 요원 (제2차 세계대전)(출생 1908년)
- 6월 17일 - 잭 파슨스(Jack Parsons), 미국의 로켓 엔지니어 (출생 1914년)
- 6월 21일 - 웁 메이(Wop May), 캐나다 제1차 세계 대전 조종사[37] (사망 1896년)
- 6월 24일 - 조지 피어스 경(Sir George Pearce), 호주 정치인 (출생 1870년)
- 6월 26일 - 테오도르 베커(Theodor Becker), 독일 배우 (출생 1880년)
- 6월 27일 - 엘모 링컨(Elmo Lincoln), 미국의 배우 (출생 1889년)
- 6월 30일 - 우제니오 데 리구오로(Eugenio de Liguoro), 이탈리아 배우 및 감독 (출생 1899년)
- 7월 3일 - 칼 탄즐러(Carl Tanzler), 독일 태생의 방사선 기술사 (출생 1877년)
- 7월 4일 - 월터 롱(Walter Long), 미국 배우 (출생 1879년)
- 7월 5일 - 앨리슨 스킵워스(Alison Skipworth), 영국 배우 (출생 1863년)
- 7월 10일 - 루드 랑가르(Rued Langgaard), 덴마크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 (출생 1893년)
- 7월 21일
- * 페드로 라스쿠라인(Pedro Lascuráin), 멕시코 외교관, 멕시코 제34대 대통령[38] (출생 1856년)
- * 실비오 카토르(Sylvio Cator), 아이티 공화국의 멀리뛰기 육상 선수. (출생 1900년)
- 7월 26일
- * 에드워드 엘리스(Edward Ellis), 미국 배우 (출생 1870년)
- * 에바 페론(Eva Perón), 아르헨티나 정치 지도자이자 후안 페론(Juan Perón) 대통령의 영부인이자 권력자 파트너 (출생 1919년)
- 7월 31일 - 발데마르 본젤스(Waldemar Bonsels), 독일 작가 (출생 1880년)
- 8월 2일 - 제이 패럴 맥도널드(J. Farrell MacDonald), 미국 배우 (출생 1875년)
- 8월 5일 - 사미라 무사(Sameera Moussa), 이집트 핵 과학자 (출생 1917년)
- 8월 6일 - 프랜시스 페가마가보(Francis Pegahmagabow), 캐나다 군인 (출생 1889년)
- 8월 12일 - 페레츠 마르키시(Peretz Markish), 소련 태생 이스라엘 시인 (출생 1895년)
- 8월 18일
- * 알베르토 우르타도(Alberto Hurtado), 칠레 예수회 사제이자 성인 (출생 1901년)
- * 랄프 버드(Ralph Byrd), 미국 배우 (출생 1909년)
- 8월 22일 - 히라누마 기이치로(Hiranuma Kiichirō), 일본 정치인, 제24대 일본 총리 (출생 1867년)
- 8월 29일 - 유프라시아 엘루바띵갈(Euphrasia Eluvathingal), 인도 카르멜 수녀이자 성인 (출생 1877년)
- 9월 6일
- * 호세 비센테 드 프레이타스(José Vicente de Freitas), 포르투갈의 군인이자 정치인, 제98대 포르투갈 총리 (출생 1869년)
- * 거트루드 로렌스(Gertrude Lawrence), 영국 배우 (출생 1898년)
- 9월 9일 - 조너스 H. 잉그램(Jonas H. Ingram), 미국 해군 제독 (출생 1886년)
- 9월 16일 - 휴고 라우드셉(Hugo Raudsepp), 에스토니아 극작가 (출생 1883년)
- 9월 22일 - 카를로 유호 스탈베르그(Kaarlo Juho Ståhlberg), 핀란드의 법률가이자 학자, 초대 핀란드 대통령[39] (출생 1865년)
- 9월 26일 - 조지 산타야나(George Santayana), 스페인 작가 (출생 1863년)
- 9월 30일 - 월도프 애스터 제2대 비스컨트(Waldorf Astor, 2nd Viscount Astor), 미국 사업가이자 정치인 (출생 1879년)
- 10월 4일
- * 키스 머독 경(Sir Keith Murdoch), 오스트레일리아 언론인 (출생 1885년)
- * 실비아 비치(Sylvia Beach), 미국 출판인[40] (출생 1887년)
- 10월 8일
- * 김갑태, 대한민국의 육군 장교. (출생 1924년)
- * 아르투로 라우손(Arturo Rawson), 아르헨티나 군인이자 정치인, 제26대 아르헨티나 대통령 (출생 1885년)
- 10월 11일 - 잭 컨웨이(Jack Conway), 미국 영화 제작자이자 감독 (출생 1886년)
- 10월 19일
- * 에드워드 S. 커티스(Edward S. Curtis), 미국 사진작가, 민족학자, 영화 감독 (출생 1868년)
- * 에른스트 슈트레어루비츠(Ernst Streeruwitz), 오스트리아 사업가이자 정치인, 제6대 오스트리아 총리 (출생 1874년)
- 10월 20일 - 베이질 래드퍼드(Basil Radford), 영국 배우 (출생 1897년)
- 10월 21일 - 후안 야궤(Juan Yagüe), 스페인 장군 (출생 1891년)
- 10월 22일 - 에른스트 루딘(Ernst Rüdin), 스위스 정신과 의사, 유전학자, 우생학자 (출생 1874년)
- 10월 23일 - 수전 피터스(Susan Peters), 미국 배우 (출생 1921년)
- 10월 25일 - 세르게이 보르트케비치(Sergei Bortkiewicz), 소비에트 낭만주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출생 1877년)
- 10월 26일
- * 해티 맥대니얼(Hattie McDaniel), 미국 배우 (출생 1893년)
- * 머틀 맥에터(Myrtle McAteer), 미국 테니스 선수 (출생 1878년)
- 10월 28일 - 빌리 휴즈(Billy Hughes), 오스트레일리아 정치인, 제7대 오스트레일리아 총리 (출생 1862년)
- 11월 1일 - 딕시 리(Dixie Lee), 미국의 가수 (출생 1911년)
- 11월 2일
- * 정태진, 대한민국의 한글학자. (출생 1903년)
- * 메흐메트 에사트 뷜카트(Mehmet Esat Bülkat), 오스만 제국의 장군 (출생 1862년)
- * 헨리 에드워즈(Henry Edwards), 영국의 배우 (출생 1882년)
- 11월 3일 - 루이 베르뇌유(Louis Verneuil), 프랑스의 극작가이자 각본가 (출생 1893년)
- 11월 8일 - 해럴드 이니스(Harold Innis), 캐나다의 커뮤니케이션 학자 (출생 1894년)
- 11월 9일 - 하임 바이츠만(Chaim Weizmann), 유대인 생화학자, 시오니스트 지도자이자 이스라엘의 국무총리, 초대 이스라엘 대통령 (출생 1874년)
- 11월 15일
- * 바실 크리체프스키(Vasyl Krychevsky), 우크라이나의 화가 (출생 1873년)
- * 뱅상 스코토(Vincent Scotto), 프랑스의 작곡가 (출생 1874년)
- 11월 16일 - 솔로미야 크루셸니츠카(Solomiya Krushelnytska), 우크라이나의 오페라 가수. (출생 1872년)
- 11월 18일 - 폴 엘뤼아르(Paul Eluard), 프랑스의 시인 (출생 1895년)
- 11월 20일 - 베네데토 크로체(Benedetto Croce), 이탈리아의 비평가, 철학자, 정치인 (출생 1866년)
- 11월 21일 - 앙리에트 롤랑 홀스트(Henriette Roland Holst), 네덜란드의 시인이자 사회주의자 (출생 1869년)
- 11월 22일 - 오토 디트리히(Otto Dietrich), 나치 친위대 장군 (출생 1897년)
- 11월 25일 - 안토니오 과르니에리(Antonio Guarnieri), 이탈리아의 지휘자 (출생 1880년)
- 11월 26일 - 스벤 헤딘(Sven Hedin), 스웨덴의 탐험가, 지리학자, 지정학자 (출생 1865년)
- 11월 28일 - 엘레나 몬테네그로 공주(Elena of Montenegro), 이탈리아의 왕비, 빅토르 에마누엘레 3세(Victor Emmanuel III)의 배우자 (출생 1869년)
- 11월 29일 - 블라디미르 이파티예프(Vladimir Ipatieff), 소련의 화학자 (출생 1867년)
- 12월 1일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Vittorio Emanuele Orlando), 이탈리아의 정치가이자 제23대 이탈리아 총리 (출생 1860년)
- 12월 3일 - 블라디미르 클레멘티스(Vladimír Clementis), 체코슬로바키아의 장관, 정치인, 언론인, 문학 비평가이자 작가 (출생 1902년)
- 12월 4일
- * 주세페 안토니오 보르게세(Giuseppe Antonio Borgese), 이탈리아 작가이자 언론인 (출생 1882년)
- * 카렌 호르니(Karen Horney), 독일 정신분석학자 (출생 1885년)
- 12월 8일 - 찰스 라이트톨러(Charles Lightoller), 영국 상선 장교, RMS 타이타닉(RMS ''Titanic'')의 2등 항해사 (출생 1874년)
- 12월 12일
- * 빌리 쿡(Billy Cook), 미국 범죄자 (출생 1928년)
- * 베드리히 크로즈니(Bedřich Hrozný), 체코 동양학자이자 언어학자 (출생 1879년)
- 12월 14일
- * 테이셰이라 드 파스코에스(Teixeira de Pascoaes), 포르투갈 시인 (출생 1877년)
- * 파르테인 발렌(Fartein Valen), 노르웨이 작곡가 (출생 1887년)
- 12월 18일 - 에른스트 슈트로머(Ernst Stromer), 독일 고생물학자 (출생 1871년)
- 12월 25일
- * 베르나르디노 몰리나리(Bernardino Molinari), 이탈리아 지휘자 (출생 1880년)
- * 헤르만 죄르겔(Herman Sörgel), 독일 건축가 (출생 1885년)
- 12월 27일 - 앙리 빙켈만(Henri Winkelman), 네덜란드 장군 (출생 1876년)
- 12월 28일
- * 카를로 아고스티니(Carlo Agostini),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고위 성직자 (출생 1871년)
- *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알렉산드리네(Alexandrine of Mecklenburg-Schwerin), 크리스티안 10세의 왕비 (출생 1879년)
- 12월 29일 - 플레처 헨더슨(Fletcher Henderson), 미국 음악가 (출생 1897년)
참조
[1]
뉴스
The moment a princess became a queen
https://www.bbc.com/[...]
BBC News
2012-02-06
[2]
웹사이트
1-way traffic signs due soon in Times Sq.
https://www.nytimes.[...]
[3]
웹사이트
Olympia – 1952 Winter Olympics Overview
https://www.olympedi[...]
2021-12-12
[4]
뉴스
53 Killed in Church Panic
http://nla.gov.au/nl[...]
1952-04-12
[5]
뉴스
Stampede In Church Planned?
http://trove.nla.gov[...]
1952-04-13
[6]
뉴스
40 Arrests in Sequel to Deaths
http://nla.gov.au/nl[...]
1952-04-15
[7]
웹사이트
The 1952 Bolivian Revolution – IWL-FI
https://litci.org/en[...]
2019-11-13
[8]
논문
Taistelutehon laskemiseen vaikuttaneet tekijät sodan 1941–44 aikana ja siitä tehtävät johtopäätökset
National Defence University
[9]
서적
Pushing the Envelope: The American Aircraft Indust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1-02-01
[10]
서적
Common poisonous plants of East Africa
Collins
[11]
서적
Who's who in Spain
Intercontinental Book and Publishing Company
[12]
웹사이트
J.R.'s Blog " Happy New Year Everyone! Lots of Feedback Answered Today... Life Goes On... and So Does Work..
http://www.jrsbarbq.[...]
JRsBarBQ.com
2008-01-05
[13]
웹사이트
Belkisyolé Alarcón de Noya
http://www.cazadores[...]
[14]
뉴스
আলাপচারিতায়-জমিয়ত নেতা মুফতি মুহাম্মদ ওয়াক্কাস
https://sylhetreport[...]
2017-10-28
[15]
웹사이트
Brian Gottfried
https://www.atptour.[...]
[16]
웹사이트
Jennifer Shipley
https://www.britanni[...]
2020-02-27
[17]
뉴스
Cabinet 'prematurely ages' PM Lee Hsien Loong with celebration before his 64th birthday next week
https://www.straitst[...]
2016-02-03
[18]
뉴스
Simon MacCorkindale: British actor who played Greg Reardon in the US soap opera 'Falcon Crest' and Dr Harry Harper in 'Casualty'
https://www.independ[...]
2010-10-18
[19]
웹사이트
Sushma Swaraj, 67, Popular Indian Minister and Modi Ally, dies
https://www.nytimes.[...]
2019-08-08
[20]
웹사이트
Martin Dempsey
https://www.britanni[...]
2024-03-10
[21]
웹사이트
Salome Zourabichvili | World Leaders Forum
https://worldleaders[...]
[22]
뉴스
Fayemi salutes Tinubu at 69, says he is leader of leaders
https://www.legit.ng[...]
Legit
2021-03-29
[23]
뉴스
Obituary: Dermot Morgan
https://www.independ[...]
1998-03-02
[24]
뉴스
Joe Alaskey, 'voice of many childhoods' as Bugs Bunny and Daffy Duck, dies at 63
https://www.washingt[...]
2016-02-05
[25]
백과사전
Mary McDonnell Facts
https://www.britanni[...]
[26]
웹사이트
Achache, Carole (1952-....)
https://catalogue.bn[...]
[27]
웹사이트
BLACKBURN, Marsha
https://bioguide.con[...]
[28]
뉴스
Pat Summitt, legendary former coach of Lady Vols, dies at 64
https://www.washingt[...]
2016-06-28
[29]
웹사이트
Ruffner, Ginny (b. 1952)
https://www.historyl[...]
[30]
웹사이트
Linda M. Godwin
https://www.nasa.gov[...]
NASA
2010-08
[31]
뉴스
Charlie Whiting obituary
https://www.thetimes[...]
2019-03-15
[32]
웹사이트
Guillermo Vilas
https://www.atptour.[...]
[33]
뉴스
Jack Wild
https://www.independ[...]
2006-03-03
[34]
서적
Debrett's People of Today 2005
Debrett's
[35]
웹사이트
Mel Smith
https://www.bafta.or[...]
2013-07-22
[36]
웹사이트
Michael von Faulhaber German cardinal
https://www.britanni[...]
2024-03-01
[37]
웹사이트
Wop May
https://www.thecanad[...]
[38]
웹사이트
Pedro Lascuráin Paredes: biografía y aportaciones
https://www.lifeder.[...]
Lifeder.com
2019-05-29
[39]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https://books.google[...]
Americana Corporation
[40]
서적
A Gertrude Stein Companion: Content with the Exampl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41]
뉴스
박정희 생애 제6부 쿠데타 연습-이승만제거계획(2) - (183)
1998-05-15
[42]
간행물
第二神戸水兵事件
https://koara.lib.ke[...]
1983-10
[43]
웹사이트
神戸水兵事件
https://kotobank.jp/[...]
[44]
웹사이트
ジェイムス・イングラム、死去
https://www.barks.jp[...]
BARKS
2019-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