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경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경재는 분자 생물학 분야의 연구자로,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브라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루드비히 암 연구소에서 박사후 연수 과정을 거쳐, 국립 인간 게놈 연구소에서 연구원 및 부서장으로 재직했다. 이후 포항공과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등에서 겸임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UNIST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및 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초대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여러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 대한유전학회 등에서 올해의 과학자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 박상대
박상대는 대한민국의 분자세포생물학자로서, 국내 분자생물학 발전에 기여하고 한국분자생물학회 설립 및 학술지 창간을 주도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2024년 별세했다. - 브라운 대학교 동문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브라운 대학교 동문 - 리처드 스나이더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국무부 외교관, NSC 수석보좌관, 주일 미국 대사관 수석 공사,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대리 등을 역임했으며 오키나와 반환 협상에 기여하고 주한 미국 대사로서 한미 관계에 관여했다. 
| 명경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명경재 | 
| 로마자 표기 | Myeong Gyeongjae | 
| 한글 | 명경재 | 
| 한자 | 明京在 | 
| 출생일 | 1968년 5월 4일 |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 
| 분야 | DNA 복구 DNA 복제 DNA 재조합 및 DNA 손상 반응 암 생물학 중개 연구  | 
| 직장 | 국립인간게놈연구소 KAIST POSTECH UNIST 기초과학연구원  | 
| 학력 | 서울대학교 브라운 대학교  | 
| 웹사이트 | 유전체 안정성 연구단 | 
| 학위 논문 | |
| 석사 논문 제목 | A normal Arg- tRNA complements the rad18x mutation in Schizosaccharomyces pome | 
| 석사 논문 발표 년도 | 1993년 | 
| 박사 논문 제목 |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ARP-1, a p53-dependent DNA-damage inducible gene | 
| 박사 논문 발표 년도 | 1999년 | 
| 박사 지도교수 | Eric A. Hendrickson | 
| 학사 지도교수 | 박상대 | 
2. 학력
명경재는 서울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전공하여 1991년에 우등으로 졸업했다. 1993년에 서울대학교에서 박상대 교수의 지도 아래 분자 생물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에는 브라운 대학교에서 에릭 A. 헨드릭슨 교수의 지도 아래 분자 생물학, 세포 생물학 및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논문은 배리 제이 로젠 기념상을 수상했다.[1] 
3. 경력

명경재는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루드비히 암 연구소에서 리처드 콜로드너 교수의 지도 하에 박사후 연수 과정을 마쳤다.[3][4] 이 기간 동안 데이먼-러니언-윈첼 암 연구 재단으로부터 연구 펠로우십을 받았다.[5] 2002년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산하 국립 인간 게놈 연구소(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NHGRI) 유전학 및 분자 생물학 부서의 연구원 겸 부서장으로 임명되었으며, 2009년에 선임 연구원[17][6] 및 부서장으로 승진하여[7] 2014년까지 재직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분자 및 생명 과학부 겸임 교수를, 2013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및 울산과학기술원(UNIST) 나노생명화학공학부 겸임 교수를 역임했다. 2014년 울산광역시로 이주하여 UNIST 생명과학부 석좌교수가 되었으며, 기초과학연구원(Institute for Basic Science)과의 협력을 통해 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초대 단장을 맡게 되었다.
3. 1. 학회 활동
명경재는 미국 암 연구 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미국 유전학회(Genetics Society of America), 재미 한인 과학 기술자 협회, 환경 돌연변이 및 유전체학회(Environmental Mutagenesis and Genomics Society),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한국 통합생물학회 회원으로 활동했다.[8][9][10][11] ''PLoS 유전학''(PLoS Genetics)의 객원 부편집인이었으며,[8] ''돌연변이 연구 (저널)''(Mutation Research)의 객원 편집인,[9] ''유전체 불안정 및 질병'', ''유전체학 (저널)''(Genomics),[10] ''유전체 항상성'',[11] 및 ''분자 및 세포 생물학''(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의 편집 위원을 역임했다.
4. 수상
| 연도 | 수상 내역 | 
|---|---|
| 2017년 | 올해의 학자상, 대한유전학회[12] | 
| 2014년 | 올해의 과학자상,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KSEA) 및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KOFST)[13][14][15] | 
| 2013년 | 우수 봉사상, KSEA 워싱턴 메트로 지부 미국 정부 공로상 (10년), 국립인간게놈연구소(NHGRI), 국립보건원(NIH)[16]  | 
| 2012년 | 올해의 이사, KSEA | 
| 2008년 | 비아 싱어 젊은 연구자상 (GRC DNA 손상, 돌연변이 및 암) 미국 정부 공로상 (5년), NHGRI, NIH  | 
| 2006년 | 생의학 연구 학회/충근당 생의학 연구 업적상 | 
| 2002년 | 서우회 학술상 주간조선 선정, 차세대 리더  | 
| 2001년 | 제임스 커 연구 우수성상[17] | 
| 1999년 | 여행 지원금, 미국미생물학회 배리 제이 로젠 기념상, 브라운 대학교[2]  | 
참조
[1] 
웹사이트
 
네이버 인물검색
 
https://people.searc[...] 
2019-07-22
 
[2] 
웹사이트
 
Student Handbook - Barry Jay Rosen Award
 
https://www.brown.ed[...] 
2019-07-17
 
[3] 
논문
 
Maintenance of Genome Stability in Saccharomyces cerevisiae
 
2002-07-26
 
[4] 
논문
 
Suppression of spontaneous chromosomal rearrangements by S phase checkpoint function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2001-02-09
 
[5] 
웹사이트
 
제 57회 초청 강연회 개최
 
http://www.chosun.ac[...] 
Chosun University
 
2019-07-22
 
[6] 
서적
 
해외한국과학기술자협회 2011 연차보고서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2019-07-23
 
[7] 
논문
 
KSEA Letters
 
https://seattle.ksea[...] 
2019-07-23
 
[8] 
논문
 
Peroxiredoxin Tsa1 Is the Key Peroxidase Suppressing Genome Instability and Protecting against Cell Death in Saccharomyces cerevisiae
 
2009-06-19
 
[9] 
논문
 
Eukaryotic 4Rs: DNA replication, repair, recombination, and damage response
 
2018-05
 
[10] 
웹사이트
 
Editorial Board
 
http://www.jgenomics[...] 
2019-07-23
 
[11] 
웹사이트
 
Editorial Board
 
http://www.genome-in[...] 
2019-07-23
 
[12] 
웹사이트
 
"[Award] Director Kyungjae Myung selected as the GSK scholar of the Year 2017"
 
https://cgi.ibs.re.k[...] 
2019-07-23
 
[13] 
웹사이트
 
2014 KSEA AWARDS WINNERS HAVE BEEN SELECTED
 
https://ksea.org/mai[...] 
2019-07-17
 
[14] 
웹사이트
 
한미한인 과학자들 한자리에
 
http://ny.koreatimes[...] 
2019-07-22
 
[15] 
웹사이트
 
"[재미과협] UKC2014 was held from August 6-9 with a great success"
 
https://www.ultari.o[...]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2019-07-23
 
[16] 
웹사이트
 
Director Prof. Kyungjae Myung
 
https://cgi.ibs.re.k[...] 
2019-07-23
 
[17] 
웹사이트
 
Table of Contents to Candidate Profile
 
https://election.kse[...] 
Korean-American Scientists and Engineers Association
 
2019-07-22
 
[18] 
웹인용
 
네이버 인물검색
 
https://people.searc[...] 
2019-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