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듈 파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듈 파일은 스프레드시트와 유사한 형식으로, 디지털로 녹음된 샘플과 음악 데이터를 "패턴" 또는 "페이지"로 저장하는 파일 형식이다. 패턴은 음표 번호, 악기 번호, 컨트롤러 메시지를 포함하며, 노래는 패턴 목록으로 구성된다. MOD, OKT, MTM, MED/OctaMED, AHX, S3M, XM, IT 등 다양한 형식이 존재하며, 각 형식은 이전 형식의 개념을 기반으로 발전했다. 모듈 파일 제작은 트래킹이라고 불리며, 트래커 커뮤니티에서 공유된다. 모듈 파일은 칩튠 음악 제작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XMPlay, Winamp, Audacious 등 다양한 플레이어 소프트웨어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지털 오디오 - 아이튠즈
    아이튠즈는 애플이 개발한 멀티미디어 플랫폼이자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소프트웨어로, 초기에는 음악 재생 및 관리에 집중했으나 이후 기능이 확장되어 macOS Catalina부터는 개별 앱으로 기능이 분리되었고 윈도우에서는 'Apple 기기' 앱에 관련 기능이 통합되었다.
  • 디지털 오디오 - ASIO
    ASIO는 독일 스타인버그에서 개발한 오디오 입출력 API 규격으로, 낮은 지연 시간과 멀티 채널 I/O를 지원하며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주로 사용된다.
  • 비디오 게임 문화 - 유튜버
    유튜버는 유튜브에 비디오를 제작 및 게시하는 사람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라고도 불리며 MCN의 등장으로 직업으로 자리 잡았으나, 영향력 증가와 수익 창출에도 불구하고 시장 과점, 수익 불안정성, 영상 조작, 저작권 침해 등 문제점과 비판이 존재한다.
  • 비디오 게임 문화 - 칩튠
    칩튠은 1980년대 개인용 컴퓨터와 게임기의 보급과 함께 등장하여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음악 장르로, 독특한 음색과 기법으로 독립적인 장르로 자리매김하여 현재는 다양한 음악가들과 행사를 통해 활발하게 활동하며 주류 팝 음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비디오 게임 용어 - 오픈 월드
    오픈 월드는 플레이어가 자유롭게 탐험하고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비선형적인 게임 플레이를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디자인이다.
  • 비디오 게임 용어 - 비디오 게임 콘솔
    비디오 게임 콘솔은 게임을 즐기도록 설계된 전자 장치로, 기술 발전과 시장 변화에 따라 여러 세대로 구분되며, 다양한 게임 미디어와 종류를 통해 발전해 왔고, 게임 개발 및 시장 경쟁에 중요한 영향을 받는다.
모듈 파일
파일 정보
모듈 파일 아이콘
모듈 파일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아이콘
일반 정보
종류파일 포맷 모음
개발자다양한 개발자
확장자.mod
.xm
.s3m
.it
.umx
MIME 형식audio/mod
audio/x-mod
audio/xm
audio/x-xm
audio/s3m
audio/x-s3m
audio/it
audio/x-it
application/x-mod
application/xm
application/s3m
application/it
기술 정보
컨테이너 포맷해당 없음
오디오 코덱파형 코덱
샘플 기반 신디사이저
이미지 포맷해당 없음
개발 유형개방형
포함된 파일 형식샘플 (오디오)
패턴 (시퀀싱)
악기 정의
추가 정보
관련 용어모듈 음악

2. 구조

모듈 파일은 스프레드시트와 유사한 형식으로 디지털로 녹음된 샘플과 음악 데이터의 여러 "패턴" 또는 "페이지"를 저장한다.[1] 이러한 패턴에는 음표 번호, 악기 번호 및 컨트롤러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다.[1] 동시에 연주할 수 있는 음표 수는 패턴당 "트랙" 수에 따라 달라진다.[2] 노래는 패턴 목록으로 구성되며, 이 목록은 이러한 패턴을 노래에서 어떤 순서로 재생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모듈 파일의 단점은 모듈을 제대로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실제 표준 사양이 없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모듈이 플레이어에 따라, 때로는 상당히 다르게 들릴 수 있다. 이는 주로 모듈 파일의 샘플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와 다양한 플레이어 제작자가 이를 구현하는 방식 때문이다. 그러나 트래커 음악은 재생에 매우 적은 CPU 오버헤드가 필요하며 실시간으로 실행된다는 장점이 있다.[3]

3. 주요 형식

모듈 파일은 스프레드시트와 유사한 형식으로 디지털로 녹음된 샘플과 음악 데이터를 여러 "패턴" 또는 "페이지"에 저장한다. 이러한 패턴에는 음표 번호, 악기 번호, 컨트롤러 메시지 등이 포함되며, 동시에 연주 가능한 음표 수는 패턴당 "트랙" 수에 따라 결정된다. 노래는 이러한 패턴들의 연주 순서를 나타내는 패턴 목록으로 구성된다.

모듈 파일은 재생에 CPU 오버헤드가 거의 필요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실행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재생 방법에 대한 표준 사양이 없어 플레이어에 따라 소리가 다르게 들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각 모듈 파일 형식은 이전 형식에서 도입된 개념을 기반으로 발전하였다. 주요 형식은 다음과 같다.

형식설명
MOD최초의 모듈 파일 형식. 아미가용 얼티메이트 사운드트래커에서 사용.
OKT아미가에 8채널 사운드를 도입하려는 초기 시도.
MTM르네상스에서 제작. PC 트래커 커뮤니티에 최대 32채널 사운드 제공.
MED/OctaMED사운드트래커와 유사하지만 데이터 저장 방식이 다름. OctaMED는 128채널 사운드, 신스 사운드, MIDI 지원 등 제공.
AHX신스-트래커 형식. 샘플 대신 사운드 합성 방법 사용. 매우 작은 파일 크기와 특징적인 사운드.
S3MScream Tracker 3에서 사용. 샘플 튜닝, 채널 수 증가, 볼륨 제어, 패턴 데이터 압축 등 기능 추가.
XMFastTracker 2에서 도입. 악기 개념, 멀티 샘플 악기, 악기 기반 패닝 등 도입.
ITImpulse Tracker에서 도입. 샘플 조옮김, 공진 필터, "새 음표 동작"(NNA) 등 기능 추가.


3. 1. MOD 형식 (.MOD)

MOD 형식은 트래킹 음악을 위한 최초의 파일 형식이다. 1987년 아미가용 카르스텐 오바르스키(Karsten Obarski)의 얼티메이트 사운드트래커에 의해 도입된 이 형식은[4] 4개의 채널과 15개의 샘플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5][6] 얼티메이트 사운드트래커는 곧 더 많은 트래커 명령(효과)과 악기를 허용하는 노이스트래커와 프로트래커로 대체되었다.[6][7] 이후, 개인용 컴퓨터에 나타난 MOD 형식의 변형은 채널 수를 늘리고, 패닝 명령을 추가했으며(아미가의 4개 하드웨어 채널은 사전 정의된 스테레오 설정을 가지고 있었다), 아미가의 주파수 제한을 확장하여 더 많은 옥타브의 음을 지원할 수 있게 했다.[8]

MOD 형식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트래커 형식 중 하나로(많은 컴퓨터 게임과 데모에서도 사용되었기 때문), 사용하기 가장 간단하지만 사용할 수 있는 패턴 명령은 거의 없다.

3. 2. 옥타라이저 형식 (.OKT)

옥타라이저 형식(.OKT)은 아미가에 8채널 사운드를 도입하려는 초창기 시도였다.[4] 이후 리플레이어는 더 까다로운 믹싱 기술을 통해 이러한 모듈에서 얻을 수 있는 음질을 개선했다.

3. 3. 멀티트래커 형식 (.MTM)

르네상스에서 제작한 MultiTracker는 PC 트래커 커뮤니티에 최대 32채널 사운드를 제공했다.[8] 32개의 동시 채널을 최대한 활용하는 곡들은 당시의 일반적인 컴퓨터에 극심한 부하를 주었다.

3. 4. MED/OctaMED 형식 (.MED)

이 형식은 사운드트래커, 프로트래커, 노이스트래커와 매우 유사하지만, 데이터 저장 방식이 다르다. MED는 SoundTracker의 직접적인 복제품이 아니며, 다른 기능과 파일 형식을 가지고 있었다. OctaMED는 MED의 8채널 버전으로, 결국 128채널 사운드, 선택적 신스 사운드, MIDI 지원 및 기타 여러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OctaMED Soundstudio로 발전했다.[9]

3. 5. AHX 형식 (.AHX)

AHX 형식은 신스-트래커 형식이다. 이 형식의 모듈 파일에는 샘플이 없고, 대신 필요한 사운드를 합성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들어있다. 이는 매우 작은 오디오 파일(AHX 모듈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1k–4k)과 매우 특징적인 사운드를 만들어낸다. AHX는 칩튠 사운드의 음악을 위해 설계되었다. AHX 트래커는 킥스타트 2.0 및 2MB RAM 메모리가 필요하다.[9]

3. 6. 스크림트래커 3 형식 (.S3M)

Scream Tracker 3에서 사용된 S3M 형식은 샘플 튜닝(샘플의 가운데 C의 정확한 주파수를 정의함), 재생 채널 수 증가, 볼륨 제어를 위한 별도 열 사용(다른 트래커에서 패닝 명령 처리를 위해 확장됨), 파일 크기 축소를 위한 패턴 데이터 압축 등의 기능을 추가했다.[8] 또한 샘플 재생과 실시간 합성을 동시에 지원하는 몇 안 되는 널리 사용되는 형식 중 하나이다(OPL2 칩을 통해).[10]

3. 7. 패스트트래커 2 형식 (.XM)

FastTracker 2가 도입한 XM 형식은 샘플에 볼륨 및 패닝 엔벨로프를 적용하는 "악기" 개념을 도입했다.[8] 또한 여러 샘플을 동일한 악기에 매핑하여 멀티 샘플 악기 또는 드럼 세트를 만들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XM은 악기 기반 패닝을 사용하는데, 패턴의 악기 번호는 항상 채널의 패닝을 현재 샘플의 초기 패닝으로 재설정한다. MOD 효과 명령 문자 외에 자체적인 몇 가지 사운드 제어 문자를 사용한다. 작곡가는 초기 템포와 속도를 정의할 수 있고, 악기에 할당하여 샘플에 엔벨로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샘플 루핑을 설정하고 자동 샘플 비브라토 진동을 적용할 수 있다.[8]

3. 8. 임펄스 트래커 형식 (.IT)

Impulse Tracker는 IT 형식을 도입했는데, 이는 XM 형식과 비교하여 악기가 연주되는 음에 따라 할당된 샘플의 조옮김을 지정하고, 샘플에 공진 필터를 적용하며, 악기를 위한 "새 음표 동작"(NNA)을 정의하여 새 음표가 이미 연주되고 있는 동안 패턴 채널에서 연주 음표를 해제할 수 있게 하여 높은 폴리포니를 유지하면서 패턴 채널 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8] S3M 파일과 마찬가지로( XM 파일과 달리) 패닝은 채널 기반이므로 채널은 패닝 명령 또는 악기 및 샘플의 기본 패닝 설정으로 재정의될 수 있는 초기 패닝 위치를 갖는다.[8]

4. 관련 씬(Scene)

모듈 파일 제작은 일반적인 작곡보다 음악적 사운드와 훨씬 더 긴밀하게 접촉하는 숙련된 활동으로, 음높이와 지속 시간부터 정확한 볼륨, 패닝, 에코, 트레몰로, 페이드와 같은 수많은 효과의 적용에 이르기까지 각 음향 이벤트의 모든 측면이 코딩된다.[11] 완성된 모듈 파일은 트래커 커뮤니티에 공개되는데, 작곡가들은 새로운 작품을 여러 사이트에 업로드하여 모듈 파일을 보관하고, 청취자들이 자신의 컴퓨터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작곡가들은 각 모듈 파일 내에 텍스트 정보를 인코딩하여 이메일 주소, 팬과 다른 작곡가에게 보내는 인사말, 가상 서명을 포함함으로써 청취자 및 다른 작곡가들과 연락을 유지한다.[11]

트래커는 몇 가지 기술적 제한이 있다고 여겨질 수 있지만, 창의적인 개인이 전문적으로 제작된 음악과 구별할 수 없는 음악을 제작하는 것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데모신들은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데 집중했다.[12] 많은 트래커 뮤지션들이 MOD 소프트웨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일부는 유명 비디오 게임 스튜디오에서 일하거나 대형 음반 레이블에 출연하기도 했다.[7][13] 주목할 만한 아티스트로는 앤드류 세가(Andrew Sega), 퍼플 모션(Jonne Valtonen), 다루드(Darude), 알렉산더 브랜든(Alexander Brandon), 피터 하이바(Peter Hajba), 악스웰(Axwell), 베네치안 스네어스(Venetian Snares), 예스퍼 키드(Jesper Kyd), TDK(Mark Knight), 토마스 J. 버거슨(Thomas J. Bergersen), 마르쿠스 카알로넨(Markus Kaarlonen), 미힐 반 덴 보스(Michiel van den Bos), 댄 가도피(Dan Gardopée) 등이 있다. 아프로디테의 초기 릴리스 대부분이 OctaMED를 실행하는 두 대의 동기화된 Amiga에서 제작되었으며, 제임스 홀든이 초기 자료의 대부분을 Jeskola Buzz에서 제작했다는 사실도 널리 알려져 있다. 데드마우스(Deadmau5)와 인펙티드 머쉬룸(Infected Mushroom)의 에레즈 아이젠은 모두 초기에 임펄스 트래커(Impulse Tracker)를 사용했다.[14][15]

5. 뮤직 디스크 (Music disk)

뮤직 디스크(Music disk) 또는 뮤직디스크는 데모신(demoscene)에서 컴퓨터로 제작된 곡들을 모아놓은 것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컴퓨터 상의 음반과 같은 것이다. 뮤직 디스크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되므로, 청취자는 곡을 재생하기 위해 다른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다.[16] "디스크"라는 용어는 뮤직 디스크가 한때 하나의 플로피 디스크에 담길 수 있었고, 데모 파티에서 쉽게 배포될 수 있었다는 사실에서 유래되었다. 현대 플랫폼에서는 뮤직 디스크가 보통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다운로드된다.

아미가 뮤직 디스크는 주로 MOD 파일로 구성되는 반면, PC 뮤직 디스크는 종종 XM 또는 IT와 같은 멀티채널 형식을 포함한다. 뮤직 디스크는 Commodore 64와 Atari ST에서도 흔하며, 자체적인 고유 형식을 사용한다.

관련 용어로는 자체 플레이어를 포함하지 않는 데모신 음악 모음을 지칭하는 '뮤직 팩'과, MP3 뮤직 디스크의 큰 크기를 감안할 때 PC에서 인기를 얻은 칩튠만 포함하는 뮤직 디스크인 '칩디스크'가 있다.

6. 소프트웨어

모듈 파일은 스프레드시트와 유사한 형식으로 디지털 녹음된 샘플과 음악 데이터의 여러 "패턴"(또는 "페이지")을 저장한다. 이러한 패턴에는 음표 번호, 악기 번호, 컨트롤러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다. 동시에 연주할 수 있는 음표 수는 패턴당 "트랙" 수에 따라 달라진다.[1] 노래는 이러한 패턴이 어떤 순서로 연주되는지 알려주는 패턴 목록으로 구성된다.[2]

모듈 파일은 플레이어에 따라 소리가 다르게 들릴 수 있는데, 이는 모듈을 올바르게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 사양이 없기 때문이다. 주로 모듈 파일의 샘플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와 다양한 플레이어 제작자가 해당 효과를 구현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트래커 음악은 재생에 CPU 오버헤드가 거의 필요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실행된다는 장점이 있다.[3]

6. 1. 플레이어

다음은 모듈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플레이어 목록이다.

  • XMPlay (윈도우), Un4seen Developments에서 제작, MO3 형식도 제작[3]
  • OZMod (자바, 크로스 플랫폼)[3]
  • Winamp (윈도우)[3]
  • AIMP[3]
  • BZR Player (윈도우)[3]
  • OpenCubicPlayer (리눅스/BSD 포트가 활발하게 유지 관리됨)[3]
  • XMP (리눅스, 안드로이드)[3]
  • foobar2000 (윈도우) (foo_dumb 또는 foo_openmpt 플러그인 포함)[3]
  • Mod4Win (윈도우), 최초의 윈도우 Mod 플레이어 중 하나[3]
  • K-Multimedia Player (윈도우)[3]
  • Audacious (리눅스, 윈도우)[3]
  • XMMS 및 XMMS2 (리눅스)[3]
  • Music Player Daemon (리눅스)[3]
  • DeaDBeeF (리눅스, 윈도우, 안드로이드)[3]
  • MikMod (리눅스, macOS, 윈도우, DOS)[3]
  • Modo Computer Music Player (안드로이드)[3]
  • DeliPlayer (윈도우)[3]
  • Amigaamp (아미가)[3]
  • JavaMod (리눅스, macOS, 윈도우)[3]
  • VLC[3]

6. 2. 컨버터 및 트래커


  • Cog (macOS)
  • Audacious (리눅스)
  • OpenMPT (윈도우)
  • SunVox (윈도우, macOS, 리눅스, 안드로이드, iOS)
  • MilkyTracker (윈도우, macOS, 리눅스, 안드로이드)
  • Schism Tracker (윈도우, macOS, 리눅스)
  • Protracker (Amiga, 윈도우, macOS, 리눅스)
  • OctaMED (Amiga)
  • Renoise (윈도우, macOS, 리눅스)
  • Unix Amiga Delitracker Emulator (리눅스)
  • HoustonTracker (TI-82/83/84)
  • Radium (윈도우, macOS, 리눅스)

6. 3. 라이브러리

모듈 파일 재생을 위한 다양한 라이브러리가 존재한다. 주요 라이브러리는 다음과 같다:[3]

  • libmikmod - MikMod 프로젝트에서 관리
  • libmodplug - ModPlug XMMS 플러그인 프로젝트에서 관리
  • libopenmpt - OpenMPT 프로젝트에서 관리
  • libBASS - Un4seen Developments에서 개발했으며 XMPlay에서 사용
  • libxmp
  • uFMOD

참조

[1] 서적 Principles of Multimedia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2006
[2] 웹사이트 MIDI and home computer music composition and performance http://www.upei.ca/~[...] University of Prince Edward Island 1996-10-21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nteractive Audio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Art Platforms and Cultural Production on the Internet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서적 Music and Game: Perspectives on a Popular Allia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VS 2012-08-11
[6] 서적 Game Sound: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Theory, and Practice of Video Game Music and Sound Design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08-08
[7] 서적 From Pac-Man to Pop Music: Interactive Audio in Games and New Media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08-05-12
[8] 웹사이트 OpenMPT Documentation https://wiki.openmpt[...] 2015-12-26
[9] 간행물 RBF Software Octamed Soundstudio. The release of this tracker is welcome news for Amiga users, but it's also a glimpse of things to come on the PC platform. Amiga expert PAUL OVERAA puts the package through its paces http://www.soundonso[...] 1997-05
[10] 웹사이트 ScreamTracker 3 manual (ST3.DOC) https://files.scene.[...] 1994
[11] 서적 Music and Technoculture https://books.google[...] Wesleyan University Press 2003-10-29
[12] 서적 From Pac-Man to Pop Mus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 웹사이트 A brief video history of the demoscene in memory of Commodore boss Jack Tramiel https://www.theverge[...] Vox Media 2012-04-10
[14] 간행물 Deadmau5: It's complicated http://www.residenta[...] 2008-09-30
[15] 간행물 Geeking Out With Infected Mushroom http://www.emusician[...] 2009-09-01
[16] 학술 Endless loop: A brief history of chiptunes http://journal.trans[...]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