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무지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래무지아과는 잉어목에 속하는 물고기 아과로, 피시베이스(Fishbase)에 따르면 다양한 속을 포함한다. 이 아과는 Hemibarbus-Squalidus 그룹과 Sarcocheilichthyini, Gobionini의 두 개의 큰 클레이드로 나뉜다. 한국에는 버들매치속, 왜매치속, 모래무지속 등 다양한 속의 어종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래무지아과 - 참붕어
참붕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은백색 몸에 검은색 세로줄이 있고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잡식성으로 수생 곤충 등을 먹고, 봄부터 여름까지 번식하며 기생충의 매개체로 식용 및 낚시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모래무지아과 - 돌고기
돌고기는 압록강 이남의 한반도, 일본에 분포하며, 몸길이 10~15cm로, 하천이나 용수로에 서식하며 수생 곤충 등을 먹고, 5~6월에 알을 낳으며, 서식지 변경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식용 또는 관상어로 이용된다. - 피터르 블레이커르가 명명한 분류군 - 아프리카유리메기과
아프리카유리메기과는 메기목에 속하는 어류 과의 하나로, 15개의 속으로 구성되며 계통 분류 연구 결과 메기목 내 Big Africa 분지군에서 클라로테스과와 자매군을 이룬다. - 피터르 블레이커르가 명명한 분류군 - 청어목
청어목은 덴티케프스아목과 청어아목으로 나뉘는 조기어류 분류군으로, 멸치, 청어, 정어리 등을 포함하여 전 세계 해역에 널리 분포하는 약 405종의 현존하는 대부분의 종이 청어아목에 속한다.
모래무지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Gobioninae 블레커, 1863 |
과 | 잉어과 |
목 | 코이목 (Cypriniformes)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류 |
하위 분류 | |
속 | 본문 참조 |
2. 분류
모래무지아과는 크게 Hemibarbus-Squalidus 그룹, Sarcocheilichthyini, Gobionini의 세 분기군으로 나뉜다.[4][5] 종의 수는 Fishbase를 따른다.[6] 해외 서식 속(屬)의 한국어 명칭은 관련 자료를 참고한다.[7][8]
2. 1. Hemibarbus-Squalidus 그룹
속 | 종 수 | 주요 서식 어종 |
---|---|---|
버들매치속 (Abbottina) | ||
왜매치속 (Biwia) | ||
Coreius | ||
Gnathopogon | ||
Gobio | ||
꾸구리속 (Gobiobotia) | ||
누치속 (Hemibarbus) | 12종 | 누치, 중국누치, 긴몰개 |
모래주사속 (Microphysogobio) | ||
모래무지속 (Pseudogobio) | ||
참붕어속 (Pseudorasbora) | ||
감돌고기속 (Pseudopungtungia) | ||
돌고기속 (Pungtungia) | ||
Rhinogobio | ||
Romanogobio | ||
중고기속 (Sarcocheilichthys) | ||
두우쟁이속 (Saurogobio) | ||
몰개속 (Squalidus) | ||
Xenophysogobio | ||
참갈겨니속 | 14종 | 참갈겨니, 줄납자루, 돌상어, 한강납줄개 |
Belligobio | 2종 |
약 30종이 포함된다.
2. 2. Sarcocheilichthyini
Sarcocheilichthyini|중국어에는 약 40종이 포함된다.속 | 종 | 비고 |
---|---|---|
버들매치속(Abbottina) | ||
왜매치속(Biwia) | ||
Coreius | ||
Gnathopogon | ||
Gobio | ||
꾸구리속(Gobiobotia) | ||
누치속(Hemibarbus) | ||
모래주사속(Microphysogobio) | ||
모래무지속(Pseudogobio) | ||
참붕어속(Pseudorasbora) | ||
감돌고기속(Pseudopungtungia) | ||
돌고기속(Pungtungia) | ||
Rhinogobio | ||
Romanogobio | ||
중고기속(Sarcocheilichthys) | ||
두우쟁이속(Saurogobio) | ||
몰개속(Squalidus) | ||
Xenophysogobio | ||
코레이우스속(Coreius) | 4종 | 수염동자개 |
Rhinogobio | 5종 | 긴코메기 |
네카시마모로코속(Paraleucogobio) | 1종 | 네카시마모로코 |
Gobiocypris | 1종 | |
참갈겨니속(Gnathopogon) | 9종 | 참갈겨니, 모래무지, 스와모로코(멸종) |
묵납자루속(Pungtungia) | 3종 | 묵납자루 |
참붕어속(Pseudorasbora) | 4종 | 참붕어, 쇠붕어, 시나이붕어 |
히가이속(Sarcocheilichthys) | 11종 | 기름종개, 갈겨니, 비와히가이 |
야가타묵납자루속(Coreoleuciscus) | 2종 | 야가타묵납자루 |
미나가미히가이속(Ladislavia) | 1종 | 미나가미히가이 |
Paracanthobrama | 1종 | |
검정묵납자루속(Pseudopungtungia) | 2종 | 검정묵납자루, 호소묵납자루 |
2. 3. Gobionini
모래무지아과는 약 130종을 포함하며, 유럽에서 북동아시아에 걸쳐 서식하는 Gobio Group과 아시아에 서식하는 Pseudogobio Group으로 나뉜다.Gobio Group에는 참갈겨니속(''Gobio''), ''Acanthogobio'', ''Mesogobio'', ''Romanogobio'' 등이 속한다. Pseudogobio Group에는 ''Xenophysogobio'', 꾸구리속(''Gobiobotia''), 모래무지속(''Pseudogobio''), ''Platysmacheilus'', 왜매치속(''Biwia''), ''Huigobio''[9], 모래주사속(''Microphysogobio''), 두우쟁이속(''Saurogobio''), 버들매치속(''Abbottina''), ''Parasqualidus'' 등이 속한다. 각 그룹에 속하는 종의 수는 다음과 같다.
- Gobio Group
- 참갈겨니속(''Gobio''): 38종
- ''Acanthogobio'': 1종
- ''Mesogobio'': 2종
- ''Romanogobio'': 18종
- Pseudogobio Group
- ''Xenophysogobio'': 2종
- 꾸구리속(''Gobiobotia''): 18종
- 모래무지속(''Pseudogobio''): 4종
- ''Platysmacheilus'': 4종
- 왜매치속(''Biwia''): 2종
- ''Huigobio''[9]: 2종
- 모래주사속(''Microphysogobio''): 25종
- 두우쟁이속(''Saurogobio''): 7종
- 버들매치속(''Abbottina''): 6종
- ''Parasqualidus'': 1종
2. 3. 1. Gobio Group
Fishbase영어에 따르면 다음 속들이 모래무지아과에 속한다.[3]속 | 한글명 |
---|---|
Abbottina | 참갈겨니 |
Acanthogobio | 가시납지리 |
Belligobio | Belligobio |
Biwia | 왜매치 |
Coreius | Coreius |
Coreoleuciscus | Coreoleuciscus |
Gnathopogon | Gnathopogon |
Gobio | 모래무지 |
Gobiobotia | 꾸구리 |
Gobiocypris | Gobiocypris |
Hemibarbus | 피라미 |
Huigobio | Huigobio |
Ladislavia | Ladislavia |
Mesogobio | Mesogobio |
Microphysogobio | 모래주사 |
Paracanthobrama | Paracanthobrama |
Paraleucogobio | Paraleucogobio |
Parasqualidus | Parasqualidus |
Platysmacheilus | Platysmacheilus |
Pseudogobio | 모래무지 |
Pseudopungtungia | 참중고기 |
Pseudorasbora | 줄납자루 |
Pungtungia | 중고기 |
Rhinogobio | Rhinogobio |
Romanogobio | Romanogobio |
Sarcocheilichthys | 중고기 |
Saurogobio | 두우쟁이 |
Squalidus | 몰개 |
Xenophysogobio | Xenophysogobio |
2. 3. 2. Pseudogobio Group
피시베이스(Fishbase)는 다음 속들을 모래무지아과로 분류한다.[3]속 | 한글명 |
---|---|
Abbottina | 버들매치 |
Acanthogobio | 가시납지리 |
Belligobio | Belligobio |
Biwia | Biwia |
Coreius | Coreius |
Coreoleuciscus | Coreoleuciscus |
Gnathopogon | Gnathopogon |
Gobio | 모래무지 |
Gobiobotia | Gobiobotia |
Gobiocypris | Gobiocypris |
Hemibarbus | 피라미 |
Huigobio | Huigobio |
Ladislavia | Ladislavia |
Mesogobio | Mesogobio |
Microphysogobio | Microphysogobio |
Paracanthobrama | Paracanthobrama |
Paraleucogobio | Paraleucogobio |
Parasqualidus | Parasqualidus |
Platysmacheilus | Platysmacheilus |
Pseudogobio | Pseudogobio |
Pseudopungtungia | 참중고기 |
Pseudorasbora | 줄납자루 |
Pungtungia | 중고기 |
Rhinogobio | Rhinogobio |
Romanogobio | Romanogobio |
Sarcocheilichthys | Sarcocheilichthys |
Saurogobio | Saurogobio |
Squalidus | Squalidus |
Xenophysogobio | Xenophysogobio |
[1]
논문
Phylogeny of the gudgeons (Teleostei: Cyprinidae: Gobioninae)
https://web.archive.[...]
2019-09-29
3. 한국의 모래무지아과 어종
속 학명 비고 버들매치속 Abbottina 왜매치속 Biwia Coreius Gnathopogon Gobio 꾸구리속 Gobiobotia 누치속 Hemibarbus 모래주사속 Microphysogobio 모래무지속 Pseudogobio 참붕어속 Pseudorasbora 감돌고기속 Pseudopungtungia 돌고기속 Pungtungia Rhinogobio Romanogobio 중고기속 Sarcocheilichthys 두우쟁이속 Saurogobio 몰개속 Squalidus Xenophysogobio 참갈겨니 Abbottina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가시납지리 Acanthogobio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Belligobio Belligobio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Biwia Biwia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Coreius Coreius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Coreoleuciscus Coreoleuciscus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Gnathopogon Gnathopogon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모래무지 Gobio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Gobiobotia Gobiobotia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Gobiocypris Gobiocypris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피라미 Hemibarbus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Huigobio Huigobio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Ladislavia Ladislavia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Mesogobio Mesogobio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Microphysogobio Microphysogobio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Paracanthobrama Paracanthobrama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Paraleucogobio Paraleucogobio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Parasqualidus Parasqualidus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Platysmacheilus Platysmacheilus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Pseudogobio Pseudogobio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참중고기 Pseudopungtungia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줄납자루 Pseudorasbora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중고기 Pungtungia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Rhinogobio Rhinogobio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Romanogobio Romanogobio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Sarcocheilichthys Sarcocheilichthys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Saurogobio Saurogobio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Squalidus Squalidus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Xenophysogobio Xenophysogobio 피시베이스(Fishbase) 기준[3]
참조
[2]
간행물
The evolution of pharyngeal bones and teeth in Gobioninae fishes (Teleostei: Cyprinidae) analyzed with phylogenetic comparative methods
https://web.archive.[...]
Hydrobiologia
2013-10-27
[3]
웹사이트
Fish Identification: Find Species Class: Actinopterygii Order: Cypriniformes Family: Cyprinidae Minnows or carps Subfamily: Gobioninae
http://www.fishbase.[...]
2017-10-15
[4]
논문
Phylogeny of the gudgeons (Teleostei: Cyprinidae: Gobioninae)
[5]
논문
Estimated evolutionary tempo of East Asian gobionid fishes (Teleostei: Cyprinidae) from mitochondrial DNA sequence data
[6]
웹사이트
Gobioninae in Fishbase
http://www.fishbase.[...]
2015-03-28
[7]
서적
朝鮮魚類誌
朝鮮総督府水産試験場
[8]
서적
第一次満蒙学術調査研究団報告 第5部 第1編
第一次満蒙学術調査研究団
[9]
논문
Molecular evidence for taxonomic status of the gudgeon genus Huigobio Fang, 1938 (Teleostei: Cypriniformes),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rom Guangdong Province, South China
[10]
웹인용
Fish Identification: Find Species Class: Actinopterygii Order: Cypriniformes Family: Cyprinidae Minnows or carps Subfamily: Gobioninae
http://www.fishbase.[...]
Fishbase
2017-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