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시베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시베이스는 어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이다. 1970년대 다니엘 파울리의 구상으로 시작되어 1988년 초기 형태의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로 개발되었으며, 1995년 CD-ROM 형태로 처음 출시되었다. 이후 모든 경골어류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고, 1996년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되어 세계적으로 가장 크고 많이 사용되는 어류 데이터베이스가 되었다. 피시베이스는 성체 경골어류를 주로 다루며, 어류의 초기 단계 정보는 LarvalBase에서, 경골어류 외 수생 생물 정보는 SeaLifeBase에서 제공한다. 현재는 국제 컨소시엄의 감독 하에 운영되며, 어업 관리, 환경 보전,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학 웹사이트 - 미국 통합 분류학 정보 시스템
미국 통합 분류학 정보 시스템(ITIS)은 종에 대한 과학적 이름과 일반 이름을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분류학적 데이터의 소스로 사용되고 생명의 목록 제작에 기여한다. - 생물학 웹사이트 - 생명의 백과사전
생명의 백과사전은 다양한 온라인 데이터 소스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유기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계층적 분류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집계 환경이다. - 어류학 - 회유
회유는 동물이 번식, 먹이 획득 등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는 현상이며, 어류는 산란, 색이, 월동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분류되고, 고래, 참치 등 해양 생물은 먹이와 번식을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하며,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인해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하다. - 어류학 - 난태생
난태생은 어미의 몸 안에서 알을 부화시켜 새끼를 낳는 생식 방식으로, 난황낭 난태생과 모체영양 난태생으로 구분되며 난생과 태생의 중간 단계로 여겨진다. - 온라인 백과사전 - 메타피디아
메타피디아는 스웨덴 네오 나치 출판인에 의해 설립된 극단주의적 관점을 담은 위키 사이트이다. - 온라인 백과사전 - 니코니코 대백과
니코니코 대백과는 니코니코 동화 관련 정보를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투고하고 편집하는 온라인 백과사전으로, 위키백과와 유사하지만 출처 명시 의무가 없고 독자 연구 기반 작성이 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있으며, 저작권은 드왕고에 있다.
| 피시베이스 | |
|---|---|
| 일반 정보 | |
| 이름 | 피시베이스 (FishBase) |
| 설명 | 어류에 대한 대규모 생물학적 데이터베이스 |
| 범위 | 분류, 생체 측정, 행동, 분포, 서식지 및 사진을 포함한 포괄적인 종 데이터 |
| 대상 생물 | 성어류 (지느러미 어류) |
| 센터 | GEOMAR 헬름홀츠 해양 연구 센터 킬, 피시베이스 컨소시엄 코디네이터 |
| 저자 | 다니엘 폴리, 라이너 프로에세 |
| 라이선스 | 데이터에 대한 CC-BY-NC; 미디어 파일(사진, 사운드, ...)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라이선스 (개별적으로 확인 필요) |
| 버전 관리 | 매년 짝수 달 |
| 업데이트 빈도 |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
| 큐레이션 | 피시베이스 컨소시엄 |
| 최신 버전 | 2024년 2월 |
| 웹사이트 | fishbase.us |
2. 역사
피시베이스 프로젝트는 1987년 해양 생물학자 다니엘 파울리가 당시 소속되어 있던 국제 수산 자원 관리 센터(ICLARM, 현 월드피시센터)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일환으로 어류 종에 관한 보편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9][11] 파울리는 어류 유생 식별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던 라이너 프로제와 협력하여 1988년 데이터베이스 개발에 착수했으며, 초기에는 DataEase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사용했다. 1989년에는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보조금이 확보되었다.
1993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로 전환하였고, 데이터베이스의 범위도 초기 열대어 중심에서 모든 경골어류로 확장되었다. 1995년에는 첫 번째 CD-ROM 버전인 '''FishBase 100'''이 출시되었으며, 이후 매년 CD-ROM이 발행되었다.[9] 1996년 8월에는 웹사이트를 통해 피시베이스가 공개되어 온라인 접근성을 높였다.[9]
피시베이스가 성체 경골어류 중심으로 구축되면서, 어류의 초기 생애 단계 정보를 다루는 보완적인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1999년에는 어류 플랑크톤과 유년기 어류 정보를 전문으로 하는 LarvalBase가 온라인으로 공개되었다. 또한, 피시베이스의 성공에 힘입어 경골어류 외 다른 수생 생물 정보를 포괄하는 SeaLifeBase가 2006년 출범하였다.[9][13]
피시베이스는 1,700명 이상의 기여자가 참여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과학적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해 모든 정보는 반드시 출판된 학술 문헌에 근거하도록 하고 있다.
2. 1. 초기 개발
피시베이스의 기원은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어류 과학자인 다니엘 파울리는 물고기의 성장 능력이 아가미 크기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고자 했으나, 이를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실증 데이터가 필요했다.[8][9] 당시 수산 관리 분야에서는 어류의 성장과 사망률 추정치를 필요로 하는 분석 모델을 사용하고 있었지만,[10] 관련 정보가 수많은 학술 논문, 보고서 등에 흩어져 있어 수산 과학자나 관리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얻기 어려웠다. 특히 개발 도상국의 연구자들에게는 더욱 힘든 상황이었다. 파울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판된 문헌의 모든 데이터를 모아 중앙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유일한 실용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했다.[9][11] 그는 데이터가 표준화되고 검증된다면, 새로운 가설 검증 시 기존 데이터를 즉시 활용할 수 있어 연구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9][12]1987년, 해양 생물학자인 다니엘 파울리는 당시 소속되어 있던 국제 수산 자원 관리 센터(ICLARM, 현 월드피시센터)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일환으로 어류 종에 관한 보편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안했다. 그는 어류 유생 단계에서 종을 식별하는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던 라이너 프로제와 협력하기 시작했으며, 초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는 DataEase를 채용했다. 1988년, 이들은 열대어에 초점을 맞춘 초기 형태의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를 코딩했는데, 이것이 피시베이스의 프로토타입이 되었다.[9] 1989년에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보조금이 지급되었다.
1993년, 프로젝트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로 전환했다. 이후 피시베이스는 모든 경골어류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1995년에는 첫 번째 CD-ROM 버전인 '''피시베이스 100'''(FishBase 100)이 출시되었고, 이후 매년 CD가 발행되었다. 이 소프트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 기반으로 개발되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환경에서 작동했다.[9] 1996년 8월에는 웹사이트를 통해 피시베이스가 공개되어 더 많은 사람이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9]
2. 2. 발전과 확장
1987년, 해양 생물학자 다니엘 파울리는 당시 국제 수산 자원 관리 센터(ICLARM)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일환으로 어류 종 정보를 집대성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안했다. 그는 어류 유생을 식별하는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 중이던 라이너 프로제와 협력하여 1988년부터 데이터베이스 개발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DataEase를 사용했으나, 1993년에는 Microsoft Access로 전환했다.[9]1995년, 첫 결과물인 '''FishBase 100'''이 CD-ROM 형태로 출시되었다.[9] 이후 매년 CD-ROM이 발행되었고, 데이터 규모가 점차 커져 2004년 판은 CD 5장 분량(DVD 1장 분량)에 달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윈도우 98 이후 버전 환경에서만 작동하는 제한이 있었다.
1996년 8월, 피시베이스는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되어 전 세계 누구나 온라인으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9] 이는 특히 관련 정보 접근에 어려움을 겪던 개발도상국의 연구자나 관리자들에게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9][11] 웹 버전의 등장으로 CD-ROM에 수록되었던 모든 데이터를 온라인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피시베이스가 주로 성체 경골어류를 다루는 데 비해, 어류의 초기 생애 단계 정보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면서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이어졌다. 1999년, 베른트 우에베르샤르의 감독 아래 어류 플랑크톤과 유년기 어류 정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LarvalBase가 온라인으로 공개되었다. LarvalBase는 어류의 알과 유생에 대한 상세 정보, 종 식별, 그리고 양식 관련 데이터를 제공한다.[9]
피시베이스의 성공은 경골어류 외 다른 수생 생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요구로 이어졌고, 그 결과 2006년 SeaLifeBase가 출범했다.[9] SeaLifeBase는 피시베이스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해양 및 담수 환경의 모든 수생 생물(약 30만 종 추정) 정보를 포괄하는 것을 장기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13]
피시베이스의 운영 및 정보 수집에는 1700명 이상의 기여자가 참여하고 있다. 데이터의 과학적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든 정보는 반드시 출판된 학술 문헌에 근거해야 하며, 문헌적 근거가 없는 독자적인 데이터의 수록은 허용되지 않는다.
3. 구성 및 내용
피시베이스는 수산 관리와 수산 과학 연구에 필요한 어류의 성장, 사망률 추정치 등[10]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포괄적인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는 어류 과학자 다니엘 파울리가 방대한 실증 데이터 없이는 가설 검증이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8][9] 파울리는 출판된 문헌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중앙 저장소에 통합하고 표준화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9][11][12]
1988년, 파울리는 라이너 프로제와 협력하여 초기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했다. 처음에는 DataEase를 사용했으며 열대어에 국한되었지만, 이것이 피시베이스의 프로토타입이 되었다.[9] 이후 모든 경골어류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고, 1993년에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로 전환했다. 피시베이스에 수록된 모든 정보는 신뢰성 유지를 위해 반드시 출판된 문헌에 근거해야 하며,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독자적인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는다.
1995년, '피시베이스 100'이라는 이름으로 첫 CD-ROM이 출시되었고, 이후 매년 CD 형태로 발행되었다. 1996년 8월에는 월드 와이드 웹을 통해 온라인으로 공개되어[9]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크고 널리 사용되는 온라인 어류 데이터베이스로 자리 잡았다. 초기 데이터베이스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환경에서만 작동했다. 피시베이스의 운영과 정보 수집에는 1700명 이상의 연구자 및 협력자들이 기여하고 있다.
피시베이스는 주로 성체 경골어류를 다루기 때문에, 어류의 초기 생애 단계인 알, 유생, 유년기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1999년에 공개된 보완 데이터베이스인 LarvalBase에서 제공한다. LarvalBase는 어류 플랑크톤, 식별 정보, 그리고 양식에서 어린 물고기를 키우는 데 필요한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9] 또한, 경골어류 이외의 다른 모든 수생 생물(해양 및 담수 포함)에 대한 정보는 2006년에 시작된 SeaLifeBase에서 다루고 있다. SeaLifeBase는 피시베이스를 모델로 삼아, 약 30만 종으로 추정되는 다양한 수생 생물 정보를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장기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9][13]
4. 운영 및 관리
피시베이스는 1970년대 다니엘 파울리가 어류 성장과 아가미 크기의 관계 가설 검증에 필요한 방대한 데이터를 모으기 위해 구상한 것에서 시작되었다.[8][9] 당시 수산 관리에 필요한 어류 성장 및 사망률 데이터는 여러 문헌에 흩어져 있어 접근이 어려웠는데, 특히 개발 도상국의 연구자들에게는 더욱 큰 장벽이었다.[9][11] 파울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판된 모든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표준화하고 검증된 형태로 제공하는 중앙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을 인식했다.[9][11][12]
1988년, 파울리는 라이너 프로제와 협력하여 데이터베이스 개발을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열대어에 국한되었으나 점차 모든 경골어류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피시베이스는 1996년 8월 웹에 공개되어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크고 널리 사용되는 온라인 어류 데이터베이스로 자리 잡았다.[9] 1995년에는 '피시베이스 100'이라는 이름으로 첫 CD-ROM 버전이 출시되었고, 이후 매년 업데이트된 CD가 발매되었다.
피시베이스의 운영은 과학적 정확성과 데이터 신뢰성 유지를 핵심 원칙으로 삼는다. 모든 정보는 발표된 학술 문헌에 기반해야 하며, 독자적인 데이터 수록은 허용되지 않는다. 데이터는 표준화되고 검증된 형태로 제공되어 연구자나 관리자가 새로운 가설 검증이나 정책 수립 시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9][12] 이러한 데이터 관리 원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데이터 관리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00년부터 피시베이스는 국제 연구 기관들로 구성된 피시베이스 컨소시엄에 의해 운영 및 감독되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피시베이스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현재 2,480명이 넘는 기여자 및 협력자들이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개선에 참여하고 있다.
피시베이스는 주로 성체 경골어류를 다루지만, 어류의 초기 발달 단계를 위한 LarvalBase(1999년 출시)와 경골어류 외 다른 모든 수생 생물을 포괄하는 SeaLifeBase(2006년 출시)라는 보완적인 데이터베이스도 운영하여 정보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9]
4. 1. 피시베이스 컨소시엄
2000년부터 피시베이스는 여러 국제 기관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의 감독 아래 운영된다. 초기에 9개 기관으로 시작한 이 컨소시엄은 현재 12개 회원 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독일의 GEOMAR 헬름홀츠 해양 연구 센터(GEOMAR)가 전체 컨소시엄의 조정을 맡고 있으며[14][15], 필리핀의 Quantitative Aquatics, Incorporated가 2017년 2월부터 행정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16]| 피시베이스 컨소시엄 | |
|---|---|
![]() | |
| 테살로니키 아리스토텔레스 대학교, 테살로니키, 그리스[18] | |
| 중국 수산 과학원, 베이징, 중국 | |
| 해양 및 어업 연구소,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밴쿠버, 캐나다 | |
|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 로마, 이탈리아 | |
| 국립 자연사 박물관, 파리, 프랑스 | |
| 로열 중앙 아프리카 박물관, 테르뷔렌, 벨기에 | |
| 스웨덴 자연사 박물관, 스톡홀름, 스웨덴 | |
| 월드피쉬, 페낭, 말레이시아 | |
| 세르지페 연방 대학교, 상크리스토방 – SE, 브라질 | |
| 서호주 대학교, 퍼스, 호주 | |
| Quantitative Aquatics, Incorporated, 라구나, 필리핀 | |
4. 2. 데이터 관리
피시베이스는 출판된 문헌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어류 관련 데이터를 모아 중앙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저장소로 통합하려는 목표에서 시작되었다.[9][11] 이는 수산 과학자나 관리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수많은 학술 논문, 보고서 등 흩어진 자료를 일일이 찾아야 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함이었다.[9] 특히 데이터가 표준화되고 검증되었을 때 그 유용성이 커지는데, 이를 통해 과학자나 관리자가 새로운 가설을 검증해야 할 때 이미 검증된 데이터를 즉시 활용할 수 있어 연구 및 관리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9][12]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다니엘 파울리와 라이너 프로제의 협력으로 초기에는 DataEase를 사용했으나, 1993년에 Microsoft Access로 전환하여 개발을 이어갔다. 피시베이스는 과학적 데이터베이스로서의 신뢰성과 질을 유지하기 위해 엄격한 데이터 수록 원칙을 가지고 있다. 모든 데이터는 반드시 공식적으로 발표된 학술 논문이나 신뢰할 수 있는 문헌에 기반해야 하며, 출처가 명확하지 않거나 검증되지 않은 독자적인 데이터의 추가는 허용되지 않는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피시베이스의 유용성과 인지도가 높아짐에 따라, 현재 2,480명이 넘는 연구자 및 전문가들이 기여자 및 협력자로서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개선에 참여하고 있다. 2000년부터는 피시베이스의 운영과 발전을 위해 여러 국제 연구 기관들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이 구성되어 감독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컨소시엄은 현재 12개 회원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일의 GEOMAR 헬름홀츠 해양 연구 센터(GEOMAR)가 전체 컨소시엄의 조정 기관 역할을 맡고[14][15], 2017년 2월부터는 필리핀에 기반을 둔 비영리 회사인 Quantitative Aquatics, Inc.가 행정 및 재정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16]
5. 활용 및 영향
피시베이스는 수산 과학자와 관리자들이 어류 관련 정보를 얻는 데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과거에는 어류의 성장이나 사망률 같은 중요한 정보들이 수많은 학술 논문, 보고서, 뉴스레터 등에 흩어져 있어 필요한 데이터를 찾기 어려웠다.[10] 특히 개발 도상국의 연구자나 관리자들에게는 이러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이 더욱 컸다.[9][11]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니엘 파울리는 출판된 문헌의 모든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중앙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실용적인 해결책이라고 보았다.[9][11]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정보가 표준화되고 검증되어 있어, 연구자들이 새로운 가설을 검증하거나 관리자들이 수산 관리 정책을 수립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즉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구 및 관리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데 기여했다.[9][12] 피시베이스는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여 개발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온라인 어류 데이터베이스로서, 특히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었던 지역의 연구자와 관리자들에게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9]
5. 1. 과학 연구
피시베이스의 기원은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어류 과학자 다니엘 파울리는 물고기의 성장 능력이 아가미 크기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고자 했으나, 이를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실증적 데이터가 필요했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8][9] 당시 수산 관리 분야에서는 어류의 성장과 사망률 추정치를 필요로 하는 분석 모델을 사용하고 있었는데,[10] 관련 정보가 수많은 학술 논문, 보고서, 뉴스레터 등에 흩어져 있어 수산 과학자나 관리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얻기 어려웠다. 특히 개발 도상국의 연구자들에게는 이러한 어려움이 더욱 컸다.[9][11]이에 파울리는 출판된 문헌의 모든 데이터를 모아 중앙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저장소로 통합하는 것이 유일한 실용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했다.[9][11] 데이터가 표준화되고 검증된 형태로 제공된다면, 과학자나 관리자가 새로운 가설을 검증해야 할 때 별도의 데이터 수집 및 검증 과정 없이 기존의 검증된 데이터를 바로 활용할 수 있어 연구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9][12]
이러한 구상을 바탕으로 파울리는 라이너 프로제와 협력하여 1988년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의 초기 형태를 개발했다. 처음에는 열대어 정보에 국한되었지만, 이것이 피시베이스의 프로토타입이 되었다. 이후 피시베이스는 모든 경골어류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고, 1996년 8월 웹을 통해 공개되어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크고 널리 사용되는 온라인 어류 데이터베이스로 자리 잡았다.[9] 1995년에는 "피시베이스 100"이라는 이름으로 첫 CD-ROM 버전이 출시되었으며, 이후 매년 CD 형태로도 배포되었다. 이 소프트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환경의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 기반으로 작동한다.
피시베이스는 주로 성체 경골어류를 다루며, 어류의 초기 발생 단계나 유년기에 대한 상세 정보는 부족하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1999년 베른트 우에베르샤르의 주도로 LarvalBase라는 데이터베이스가 온라인으로 공개되었다. LarvalBase는 어류 플랑크톤과 어린 물고기 단계를 전문적으로 다루며, 어류의 알과 유생에 대한 상세 데이터, 종 식별 정보, 그리고 양식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피시베이스의 성공은 경골어류 외 다른 수생 생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요구로 이어졌고, 그 결과 2006년 SeaLifeBase가 개발되었다.[9] SeaLifeBase는 피시베이스를 모델로 삼아, 경골어류를 제외한 모든 수생 생물(해양 및 담수 포함, 약 30만 종[13])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시스템 구축을 장기 목표로 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FishBase 2000: concepts, design and data sources
http://fishbase.org/[...]
ICLARM
2000
[2]
웹사이트
Marine Fellow: Rainer Froese
http://www.pewenviro[...]
[3]
간행물
Scientific impact of FishBase: A citation analysis
http://ichthyology.b[...]
UBC Fisheries Centre
2006
[4]
웹사이트
References Citing FishBase
http://www.fishbase.[...]
2010-07-05
[5]
논문
Measuring the scientific impact of FishBase after three decades
https://donnadim.com[...]
2023
[6]
간행물
"FishBase: encyclopaedia and research tool"
http://www.vliz.be/i[...]
VLIZ Special Publication
2004
[7]
웹사이트
FishBase
http://www.fishbase.[...]
2023-11
[8]
서적
"The oxygen constrai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9]
서적
"Organizing and disseminating marine biodiversity information: the Fishbase and SeaLifeBase 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0]
서적
"Assessment of exploited stock of tropical fishes: an overvie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1]
간행물
LarvalBase: A Global Information System on Fish Larvae
http://www.larvalbas[...]
2002-05
[12]
서적
"The science in FishBa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3]
웹사이트
SeaLifeBase – home page
http://www.sealifeba[...]
2011-07-21
[14]
웹사이트
FishBase
http://www.fishbase.[...]
2018-11-28
[15]
웹사이트
Ecology, Population Dynamics, and Fisheries: FishBase
http://www.ifm-geoma[...]
IFM-GEOMAR, Kiel
2014-01-27
[16]
웹사이트
About Us – Quantitative Aquatics, Inc.
https://www.q-quatic[...]
2023-09-22
[17]
웹사이트
Leibniz Institute of Marine Sciences
http://www.ifm-geoma[...]
[18]
웹사이트
Fishbase and Aristotle University
http://ichthyology.b[...]
2006-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