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코의 지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로코의 지방은 1997년 이전 7개, 1997년부터 2015년까지 16개로 나뉘어 행정 구역이 운영되었다. 2015년 이후에는 권한 분권을 목표로 12개의 지역으로 개편되었으며, 서사하라 지역은 모로코와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간의 영유권 분쟁 지역으로, 행정 구역 개편에 영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모로코의 지방 | |
---|---|
개요 | |
![]() | |
일반 정보 | |
국가 | 모로코 왕국 |
유형 | 단일 국가 |
정부 | 지방 의회 |
하위 행정 구역 | 현 및 구 |
시작일 | 알 수 없음 |
현재 구역 수 | 12 |
구역 수 기준 시점 | 알 수 없음 |
인구 범위 | 142,955명 (다클라-우에드 에드다합) – 6,861,737명 (카사블랑카-세타트) |
면적 범위 | 알 수 없음 |
2. 1997년 이전 행정 구역
1997년 이전 모로코는 7개의 지역으로 나뉘었다: 중부, 동부, 북중부, 북서부, 남중부, 남부, 그리고 탄시프트.[9]
3. 1997년 ~ 2015년 행정 구역
1997년부터 2015년까지 모로코는 16개의 지방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 체제를 운영했다.[8] 이 시기 행정 구역에는 국제적으로 분쟁 지역인 서사하라에 위치한 영토를 포함하는 지방들이 있었다.
3. 1. 지방 목록 (1997년 ~ 2015년)
1997년부터 2015년까지 모로코는 16개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8]
지도 번호 | 지방 | 주도 |
---|---|---|
1 | 우에드 에드-다합-라구이라 | -- 다클라 |
2 | 라아윤-부두르-사키아 엘 함라 | -- 라아윤 |
3 | 겔밈-에스 세마라 | -- 겔밈 |
4 | 수스-마사-드라아 | -- 아가디르 |
5 | 가르브-슈라르다-베니 헨 | -- 케니트라 |
6 | 샤위아-와르디가 | -- 세타트 |
7 | 마라케시-텐시프트-엘 하우즈 | -- 마라케시 |
8 | 동부 | -- 우지다 |
9 | 그랑 카사블랑카 | -- 카사블랑카 |
10 | 라바트-살레-제무르-자에르 | -- 라바트 |
11 | 두칼라-아브다 | -- 사피 |
12 | 타들라-아질랄 | -- 베니멜랄 |
13 | 메크네스-타필랄레트 | -- 메크네스 |
14 | -- 페스-불레만 | -- 페스 |
15 | 타자-알 호세이마-타우나테 | -- 알호세이마 |
16 | 탕헤르-테투안 | -- 탕헤르 |
표에서 이탤릭체로 표시된 우에드에드다하브라구이라 지방(1) 전체, 라윤부즈두르사키아엘함라 지방(2)의 대부분, 겔밈에스스마라 지방(3)의 일부는 분쟁 지역인 서사하라에 위치해 있었다. 서사하라의 주권은 모로코와 해당 영토를 독립적인 사흐라위 아랍 민주 공화국으로 주장하는 폴리사리오 전선 사이에 분쟁 중이다. 이 지역의 대부분은 모로코에 의해 남부 지방으로 행정 관리된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알제리 남서부의 틴두프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모로코 방벽 동쪽 지역만을 통제하고 있다.
3. 2. 서사하라 지역 (1997년 ~ 2015년)
1997년부터 2015년까지 적용된 행정 구역 체제에서 모로코의 16개 지방 중 일부는 국제적으로 분쟁 지역인 서사하라에 위치해 있었다.[8] 서사하라는 모로코가 대부분 지역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며 남부 지방으로 관리하고 있지만,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폴리사리오 전선) 또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알제리 틴두프에 망명 정부를 두고 모로코 방벽 동쪽 일부 지역을 통제하고 있다.
당시 서사하라 지역에 전체 또는 일부가 포함되었던 지방은 다음과 같다.
지도 번호 | 지방 | 주도 |
---|---|---|
1 | 우에드 에드-다합-라구이라 | 다클라 |
2 | 라아윤-부두르-사키아 엘 함라 | 라아윤 |
3 | 겔밈-에스 세마라 | 겔밈 |
우에드 에드-다합-라구이라 지방(지도 번호 1) 전체, 라아윤-부두르-사키아 엘 함라 지방(지도 번호 2) 대부분, 겔밈-에스 세마라 지방(지도 번호 3)의 일부가 서사하라 영토에 해당했다.
4. 2015년 이후 행정 구역
2010년 1월 3일, 모로코 정부는 각 지역에 권한을 분권화하고 특히 서사하라 지역에 더 큰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지역화 자문 위원회(CCR)를 설립했다. 위원회는 새로운 지역의 잠정적인 이름과 구획을 발표했으며,[3] 이는 2015년 3월 5일 공식 관보를 통해 12개의 새로운 지역으로 확정되었다.[4] 이후 2015년 9월 14일에는 새로운 지역 의회가 구성되어 의장을 선출했고,[5] 같은 해 10월 13일에는 각 지역의 주지사가 임명되었다.[6]
4. 1. 지역 목록 (2015년 ~ 현재)
2010년 1월 3일, 모로코 정부는 지역에 권한을 분권화하고 서사하라와 관련된 지역에 더 큰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지역화 자문 위원회(CCR)를 설립했다. 위원회는 새로운 지역의 잠정적인 이름과 번호를 발표했으며,[3] 이 이름들은 2015년 3월 5일자 공식 관보를 통해 확정되었다.[4] 새로운 지역 의회는 2015년 9월 14일에 의장을 선출했고,[5] 지역 주지사는 2015년 10월 13일에 임명되었다.[6]지도 번호 | 지역 | 수도 | 인구 (2014년)[7] |
---|---|---|---|
1 | 탕제-테투안-엘 호세이마 | -- 탕헤르 | 3,556,729 |
2 | 오리엔탈 | -- 우지다 | 2,314,346 |
3 | 페스-메크네스 | -- 페스 | 4,236,892 |
4 | ![]() | 라바트 | 4,580,866 |
5 | ![]() | 베니 멜랄 | 2,520,776 |
6 | 카사블랑카-세타트 | 6,861,739 | |
7 | ![]() | ![]() | 4,520,569 |
8 | 드라-타필랄레트 | 라시디아 | 1,635,008 |
9 | ![]() | -- 아가디르 | 2,676,847 |
10 | 겔미밈-우에드 눈 | 겔미밈 | 433,757 |
11 | ![]() | 라아욘 | 367,758 |
12 | 다클라-우에드 에드-다합 | 다클라 | 142,955 |
'''2010년에 제안된 여러 지역 구성안'''
4. 2. 서사하라 지역 (2015년 ~ 현재)
서사하라 지역은 현재 모로코가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으나,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과 모로코 양측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분쟁이 계속되고 있는 곳이다. 모로코의 행정 구역 상으로는 겔밈우에드눈 지방, 라윤사키아엘함라 지방, 다클라우에드에드다하브 지방이 이 지역에 해당한다. 이는 2015년 행정 구역 개편 이전의 겔밈에스스마라 지방, 라윤부즈두르사키야엘함라 지방, 우에드에드다하브라구이라 지방을 대체한 것이다.2010년 1월 3일, 모로코 정부는 지역화 자문 위원회(CCR)를 설립했다. 이는 각 지역에 더 많은 권한을 분권화하고, 특히 서사하라 지역에 더 큰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위원회는 새로운 지방의 잠정적인 이름과 구획을 발표했으며,[3] 이 내용은 2015년 3월 5일자 공식 관보를 통해 최종 확정되었다.[4] 새로운 지방 의회는 2015년 9월 14일에 의장을 선출했고,[5] 각 지방의 주지사는 2015년 10월 13일에 임명되었다.[6]
아래 표는 2015년 개편 이후의 모로코 지방 목록이며, 서사하라 분쟁 지역에 속하는 지방은 별도로 표시되어 있다.
지도 번호 | 지역 | 수도 | 인구 (2014년)[7] |
---|---|---|---|
1 | 탕제-테투안-엘 호세이마 | -- 탕헤르 | 3,556,729 |
2 | 오리엔탈 | -- 우지다 | 2,314,346 |
3 | 페스-메크네스 | -- 페스 | 4,236,892 |
4 | 라바트-살레-케니트라 | 라바트 | 4,580,866 |
5 | 베니 멜랄-케니프라 | 베니 멜랄 | 2,520,776 |
6 | 카사블랑카-세타트 | 카사블랑카 | 6,861,739 |
7 | 마라케시-사피 | 마라케시 | 4,520,569 |
8 | 드라-타필랄레트 | 라시디아 | 1,635,008 |
9 | 수스-마사 | -- 아가디르 | 2,676,847 |
10 | 겔미밈-우에드 눈A | 겔미밈 | 433,757 |
11 | 라아윤-사키아 엘 함라A | 라아욘 | 367,758 |
12 | 다클라-우에드 에드-다합A | 다클라 | 142,955 |
'''A.''' A 표시는 해당 지방이 서사하라 분쟁 지역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위치함을 의미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orocco in Figures 2003: A document by the Moroccan Embassy in the USA
http://dcusa.themoro[...]
2018-05-07
[2]
웹사이트
Maroc: Fiche technique
https://portal.cor.e[...]
ARLEM
2016-10-23
[3]
웹사이트
Moroccan Government website concerning the regionalization
http://www.regionali[...]
2018-05-07
[4]
웹사이트
Décret fixant le nom des régions
http://www.pncl.gov.[...]
2015-07-11
[5]
간행물
Ministère de l'Intérieur : l'élection des présidents des Conseils des régions s'est déroulée dans de bonnes conditions et dans un climat de transparence
http://www.maroc.ma/[...]
Maghreb Arabe Press
2015-12-11
[6]
뉴스
SM le Roi a procédé à la nomination les Walis des régions
http://www.lavieeco.[...]
2015-12-13
[7]
웹사이트
POPULATION LÉGALE DES RÉGIONS, PROVINCES, PRÉFECTURES, MUNICIPALITÉS, ARRONDISSEMENTS ET COMMUNES DU ROYAUME D'APRÈS LES RÉSULTATS DU RGPH 2014
http://rgph2014.hcp.[...]
Haut Commissariat au Plan
2017-09-29
[8]
웹사이트
Régions
http://www.maroc.ma/[...]
Government of Morocco
2013-04-22
[9]
웹사이트
Morocco Regions
http://www.statoids.[...]
2018-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