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용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용회는 후연의 황족으로, 모용보의 차남이다. 모용수의 총애를 받았으며, 황태자 대우를 받기도 했다. 모용수가 죽은 후 황태자로 지명되었으나, 모용보가 다른 아들을 태자로 세우려 하면서 갈등을 겪었다. 북위와의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이후 숙부들과의 갈등, 모용보와의 권력 다툼 끝에 반역을 꾀하다가 패하여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연의 황자 - 모용린
모용린은 전연 왕 모용수의 서자이자 후연의 장군로, 후연 건국에 공을 세웠으나 여러 반란을 일으켜 모용씨를 곤경에 빠뜨리고 남연에서 반란을 꾀하다 처형되어 후연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 후연의 황자 - 모용덕
모용덕은 전연의 모용황의 아들로, 후연을 거쳐 남연을 건국하고 연왕을 자칭했으며, 400년에 황제에 즉위하여 건평으로 개원했다. - 397년 사망 - 암브로시우스
암브로시우스는 4세기 로마 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밀라노 주교가 되어 아리우스파를 물리치고 교회 권위를 드높였으며,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영향을 주는 등 서방 교회의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397년에 사망했다. - 397년 사망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넥타리오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넥타리오스는 4세기 후반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로, 제2차 에큐메니칼 공의회를 주재하고 아리우스파 등과의 논쟁에 관여했으며 교회 개혁을 추진하여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모용회 |
---|
2. 생애
모용보의 차남 모용회는 청하왕(清河王)에 봉해졌으며, 할아버지 모용수의 총애를 받았다. 396년, 모용수가 죽으면서 모용회를 황태자로 지목했지만, 아버지 모용보는 그를 탐탁지 않게 여겼다. 모용보는 장남 모용성과 삼남 모용책 중에서 후계자를 고르려 했고, 모용성 마저 모용회를 견제하여 모용책을 지지하면서 결국 모용책이 황태자가 되었다. 이에 모용회는 크게 분노하였다.
397년, 모용보가 북위에게 패하고 모용상이 중산(中山)에서 황제를 자칭하자, 모용회는 용성(龍城)에서 군사를 이끌고 북위군을 격파하는 공을 세웠다. 그러나 그는 점차 거만해졌고, 모용농과 모용륭의 훈계를 받자 앙심을 품었다. 급기야 모용보는 모용회의 군사를 빼앗아 모용농과 모용륭에게 주었고, 분노한 모용회는 자객을 보내 모용륭을 살해하고 모용농에게 중상을 입혔다.
모용회는 모용농과 모용륭이 반역을 꾀했다고 거짓 보고를 올렸지만, 모용농에게서 진상을 파악한 모용보는 모용회를 제거하려 했다. 이를 눈치챈 모용회는 도주하여 자신의 세력을 이끌고 모용보를 포위, 녹상서사 및 황태자를 자칭하며 모용농과 모용성을 처형하고 자신을 태자로 책봉하라고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결국 모용회는 모용보와의 전투에서 패배했고, 고운에게 공격받아 중산의 모용상에게 의탁했으나, 그곳에서 붙잡혀 살해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총애
모용보(慕容寶)의 차남으로 청하왕(清河王)에 봉해졌다. 지혜롭고 성격도 적극적이어서 할아버지인 성무제(成武帝) 모용수(慕容垂)가 가장 총애하는 손자였다. 모용보가 북벌을 감행했을 때, 모용수의 명에 따라 모용회는 부친을 대신하여 동궁(東宮)의 일을 관장했으며, 그 예우는 황태자와 같았다.건흥 11년(396년), 모용수가 붕어하자 모용회는 차대 황태자로 지명되었다. 그러나 모용보는 모용회에게 불만을 품고 장남인 장락왕(長樂王) 모용성(慕容盛)과 삼남인 복양왕(濮陽王) 모용책(慕容策) 중에서 새로운 태자를 세우려 했다. 모용성도 모용회를 싫어하여 스스로 양보하고 모용책을 태자로 세울 것을 진언했다. 결국 모용책이 태자로 봉해졌고, 모용회는 분노했다.
2. 2. 황태자 책봉과 갈등
모용보(慕容寶)의 차남으로 청하왕(清河王)에 봉해졌으며, 모용수(慕容垂)의 총애를 받았다. 모용수가 북벌을 실시할 당시 모용수는 모용회를 황태자(皇太子)와 같은 대우를 하며 동궁(東宮)을 관장하게 했다.396년, 모용수가 사망하면서 모용회를 다음 황태자로 지목했지만, 모용보는 모용회를 꺼려해 장남 모용성(慕容盛)이나 삼남 모용책(慕容策) 중 황태자를 세우려 했다. 모용성 또한 모용회를 견제하여 모용책에게 황태자 자리를 양보했고, 결국 모용책이 황태자가 되자 모용회는 분노하였다.
397년, 모용보가 계(薊)에서 북위(北魏)에 패배한 뒤 모용상(慕容詳)이 중산(中山)에서 황제를 자칭하자 모용보는 황룡(黃龍)으로 피신했다. 용성(龍城)에 주둔하던 모용회는 군사를 이끌고 북위 군사를 격파했다. 그러나 모용회는 점차 거만하게 행동했고, 모용농(慕容農)과 모용륭(慕容隆)은 모용회를 훈계했다. 이에 모용보는 모용회의 군사를 거두어 모용농과 모용륭에게 배속시켰다. 모용회는 격노하여 모용농과 모용륭을 암살하고자 자객을 보냈고, 모용륭은 살해되었으나 모용농은 자객 구니귀(仇尼歸)를 포획한 뒤 모용보에게 도망쳤다.
모용회는 모용농과 모용륭이 반역을 꾀했다는 거짓 보고를 올렸으나, 모용농에게서 사정을 들은 모용보는 모용회를 불러들인 뒤 바로 살해하려 했다. 하지만 모용회는 도주하여 자신의 세력을 이끌고 용성에 머물던 모용보를 포위했다. 모용회는 녹상서사(錄尙書事) 및 황태자를 자칭하며 모용보에게 사자를 보내 모용농과 모용성을 사형시키고 자신을 태자로 책봉할 것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모용회는 모용보와의 결전에서 패배했고, 고운(高雲)의 공격을 받은 뒤 중산의 모용상에게로 피신했으나 모용상에게 붙잡혀 살해되었다.
2. 3. 북위와의 전쟁과 권력 투쟁
396년 모용수가 사망하면서 모용회를 다음 황태자로 지목했으나, 모용보는 모용회를 꺼려해 장남 모용성과 삼남 모용책 중 황태자를 세우려 했다. 모용성 또한 모용회를 견제하여 모용책에게 황태자를 양보했고, 결국 모용책이 황태자가 되자 모용회는 분노하였다.397년 모용보가 계에서 북위에 패배한 뒤 모용상이 중산에서 후연 황제를 자칭하자 모용보는 황룡으로 피신했으며, 용성에 주둔하던 모용회는 군사를 이끌고 북위 군사를 격파하였다. 하지만 모용회는 점차 거만하게 행동했으며, 이에 모용농과 모용륭에게 훈계를 들었고, 모용보는 모용회의 군사를 거두어 모용농과 모용륭에게 배속시켰다. 이에 모용회는 격노하여 모용농과 모용륭을 암살하고자 자객을 보냈으며, 모용륭은 살해되었으나 모용농은 자객 구니귀(仇尼歸)를 포획한 뒤 모용보에게 도망쳤다.
이후 모용회는 모용농과 모용륭이 반역을 꾀했다는 거짓 보고를 하였으나, 모용농에게서 사정을 파악한 모용보는 모용회를 불러들인 뒤 바로 살해하려 하였다. 하지만 모용회는 도주하여 자신의 세력을 이끌고 용성에 머물던 모용보를 포위했으며, 녹상서사 및 황태자를 자칭하며 모용보에게 사자를 보내 모용농과 모용성을 사형시키고 자신을 태자로 책봉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했다.
그 뒤 모용회는 모용보와의 결전에서 패배했으며, 고운의 공격을 받은 뒤 중산의 모용상에게로 피신했으나 모용상에게 붙잡혀 살해되었다.
2. 4. 모용보와의 대립과 최후
모용보의 차남으로 청하왕(清河王)에 봉해졌으며, 모용수의 총애를 받았다. 모용수가 사망할 당시 모용회를 다음 대의 황태자로 지목했으나, 모용보는 모용회를 꺼려해 장남인 모용성과 삼남인 모용책 중 황태자를 세우려 했다. 모용성 또한 모용회를 견제해 모용책에게 황태자를 양보했으며, 결국 모용책이 황태자가 되자 모용회는 분노하였다.397년 모용보가 북위에 패배한 뒤 모용상이 중산(中山)에서 스스로 황제를 자칭하자 모용보는 황룡(黃龍)으로 피신했으며, 용성(龍城)에 주둔하던 모용회는 군사를 이끌고 북위 군사를 격파하였다. 하지만 모용회는 점차 거만하게 행동했으며, 이에 모용농과 모용륭으로부터 훈계를 들었고, 모용보는 모용회의 군사를 거두어 모용농과 모용륭에게 배속시켰다. 이에 모용회는 격노하여 모용농과 모용륭을 암살하고자 자객을 보냈으며, 모용륭은 살해되었으나 모용농은 자객 구니귀(仇尼歸)를 포획한 뒤 모용보에게로 도망쳤다.
이후 모용회는 모용농과 모용륭이 반역을 꾀했다는 거짓 보고를 하였으나, 모용농으로부터 사정을 파악한 모용보는 모용회를 불러들인 뒤 바로 살해하려 하였다. 하지만 모용회는 도주한 뒤 자신의 세력을 이끌고 용성에 머물던 모용보를 포위했으며, 녹상서사(錄尙書事) 및 황태자를 자칭하며 모용보에게 사자를 보내어 모용농과 모용성을 사형시키고 자신을 태자로 책봉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했다.
그 뒤 모용회는 모용보와의 결전에서 패배했으며, 고운의 공격을 받은 뒤 중산의 모용상에게로 피신했으나 모용상에게 붙잡혀 살해되었다.
3. 가계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