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용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용성은 후연의 황족으로, 모용보의 장남이다. 어린 시절부터 모략에 능했으며, 385년 서연의 공격으로 장안에서 탈출하여 모용수에게 의탁, 장락왕에 봉해졌다. 398년 난한 정권을 무너뜨리고 장락왕을 자칭하며 후연을 대행했으나, 폭정을 일삼아 많은 이들을 처형했다. 398년 말 황제에 즉위했다가 칭호를 낮추기도 했으며, 400년 고구려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했다. 401년 반란으로 사망했으며, 시호는 소무황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01년 사망 - 교황 아나스타시오 1세
    죄송합니다. 제공된 페이지 개요가 없어 교황 아나스타시오 1세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401년 사망 - 단업
    단업은 4세기 후반 강족 출신으로 후량의 건강태수를 지냈으나 양왕을 칭하며 독립, 이고의 반란으로 쇠퇴한 후 고향으로 돌아가 백성을 위한 통치를 지향했다.
  • 후연의 황제 - 모용희
    모용희는 후연의 황족으로, 모용수의 아들이자 모용보의 조카이며, 조카 모용성 사망 후 16세에 천왕으로 즉위했으나 폭정을 일삼다 풍발의 반란으로 처형되었다.
  • 후연의 황제 - 모용보
    모용보는 후연의 2대 황제로, 모용수의 아들이었으나 우유부단한 성격과 잦은 실책, 내분으로 후연을 쇠퇴하게 만들었고 재위 2년 만에 암살당했다.
모용성
기본 정보
통치 정보
왕조

2. 생애

모용보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정(丁)이다. 어린 시절부터 모략이 뛰어났다. 전진의 장안에서 출생하여 비수대전이 벌어졌을 무렵 장안에 거주하고 있었다.

385년, 장안이 서연에 의해 포위되자, 부견은 장안 성내의 모용씨들을 학살하였는데 모용성은 성을 탈출하여 목숨을 건졌다.

모용성은 서연의 모용충을 의지하여 386년병주까지 이동하였으며 12월경에 서연의 진중을 탈출하여 387년후연모용수에게 귀환하였다. 모용성은 장락왕에 봉해졌다.

398년, 용성에서 모반이 일어나 반란군에게 함락되자 모용성은 모용보와 함께 탈출하여 각지를 떠돌았다. 모용보가 난한에게 돌아가는 것을 반대하던 모용성은 결국 이탈하였고, 모용보가 난한에게 살해되자 모용성은 복수를 위해 난한에게 거짓 항복하였다.

난한은 모용성이 자신의 외손자였기 때문에 죽이지 않고 측근으로 삼았다. 모용성은 난한의 형제 사이를 이간질하고 모용기의 반란을 사주하였다. 모용기가 반란을 일으키자 토벌군의 지휘권 문제로 난제(蘭提) 등이 반란을 일으켰고 이를 진압하고 돌아온 난목(蘭穆)을 모용성이 살해, 난한도 군대에 의해 주살되어 난한의 찬탈은 종식되었다. 모용성은 황제로 즉위하지 않은 채 자신이 봉해진 작위인 장락왕을 자칭하며 후연의 황제를 대행하였다.

모용성은 치세 내내 수많은 옥사를 일으켜 많은 공신과 종친들을 처형하였다. 이러한 폭정으로 반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한편 모용성은 398년 말에 황제에 즉위하고 건평으로 개원하였으나, 이듬해 정월에 다시 서인천왕(庶人天王)으로 칭호를 깎았다.

400년에는 고구려를 공격하여 신성남소성을 함락시키고 700여 리의 영토를 개척하였으나, 401년 8월, 용성 내부에서 전장군 단기(段璣)가 일으킨 반란으로 습격을 받아 부상을 입고 끝내 사망하였다.[1]

2. 1. 초기 생애와 서연 시기

모용보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정(丁)이다. 어린 시절부터 모략이 뛰어났다고 한다. 전진의 장안에서 출생하여 비수대전이 벌어졌을 무렵 장안에 거주하고 있었다.[1]

385년, 장안이 서연에 의해 포위되자, 부견은 장안 성내의 모용씨들을 학살하였는데 모용성은 성을 탈출하여 목숨을 건졌다.[1]

모용성은 서연의 모용충을 의지하여 386년병주까지 이동하였으며 12월경에 서연의 진중을 탈출하여 387년후연모용수에게 귀환하였다. 모용수는 그들의 도착을 매우 기뻐하며 이를 축하하기 위해 특별 사면을 선포했다. 모용수가 모용성에게 장자의 상황을 묻자, 14세의 모용성은 서연이 혼란스러운 상태에 있으며, 모용수가 자신의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있다면, 서연을 공격할 준비가 되면 모용영의 군인들이 그를 버릴 것이라고 말했다.[1][4] 모용성은 장락왕에 봉해졌다.[4]

389년, 16세의 모용성은 모용수에 의해 구 전연의 수도 계성(오늘날의 베이징)을 관할하게 되었다. 391년에는 총관의 직함을 받았다. 그는 396년경까지 그곳에 머물렀는데, 이는 그의 아버지 모용보가 찬가구 전투에서 북위의 왕자 탁발규에게 패배한 것을 고려하여 모용수가 모용성 및 그의 삼촌 모용룡 (또 다른 구 전연의 수도인 용성(龍城, 오늘날의 진저우, 랴오닝)의 총관)을 군대와 함께 중산으로 소환하여 북위에 대한 또 다른 공격을 준비하기 위해서였다. 396년 봄, 모용수의 북위에 대한 원정은 초반에는 성공적이었으나, 그는 병에 걸려 중산으로 퇴각해야 했고, 그 과정에서 사망했다. 모용보가 그의 뒤를 이었다.[4]

모용성은 건원 9년(373년)에 전진의 부장인 모용보와 정태후의 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인 모용수는 건원 20년(384년)에 전진으로부터 독립하여 후연을 건국했다. 건원 21년(385년), 전진 천왕 부견모용위의 반란을 받아 장안으로 이주해 있던 선비모용부의 천여 명 처형을 명했는데, 모용성의 숙부인 모용유는 환관 송아에게 양육된 적이 있었기 때문에 피해를 면했다. 이때 모용유는 모용성과 함께 장안 부근에서 전진에 반란을 일으킨 모용충에게로 달아났다.[1]

건원 21년(385년) 봄, 모용위가 처형된 것을 계기로 모용충은 서연의 황제에 즉위했다. 그러나 12세[3]의 모용성은 모용충이 대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평가했다[1]。같은 해 여름에 모용충이 장안을 점령하자, 배하의 선비족은 그대로 장안으로 이주하는 것에 찬성하지 않고, 동쪽의 옛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어했다. 이듬해, 배하의 부장 중 한 명이 모용충을 암살했고, 서연군은 장안을 버리고 동진했다. 동진에 반대하는 다섯 명의 황제를 수개월 사이에 교체한 후, 황제는 모용영으로 정해졌고, 서연에서 모용성은 모용유와 모용회와 함께 장자(산서성)로 이주했다.[1][4]

같은 해 겨울, 모용성은 모용유와 모용회에게 서연 황제에게 황통 관계 때문에 소외되고 있다는 것을 상의했고, 세 사람은 모용수후연으로 달아났다.[4](덧붙여 서연 황제는 후년에 모용수의 자손을 모두 주살했다.[4]). 모용수는 스스로 세 사람을 후연의 수도 중산(허베이성)으로 맞이했다. 모용수가 14세의 모용성에게 서연의 사정을 묻자, 모용수가 인정을 베풀면 서연군은 황제를 버리고 후연으로 귀순할 것이라고 대답했다.[1][4]。모용수는 기뻐하며, 모용유를 양평왕에, 모용회를 청하공에, 그리고 모용성을 장락공에 봉했다.[4]

2. 2. 후연에서의 활동과 란한 정권 전복

모용보의 장남으로 전진의 장안에서 출생한 모용성은 어린 시절부터 모략이 뛰어났다. 385년 장안이 서연에 의해 포위되자, 부견이 장안 성내의 모용씨들을 학살할 때 모용성은 성을 탈출하여 목숨을 건졌다.

이후, 모용성은 서연의 모용충을 의지하여 386년병주까지 이동하였으며 12월경에 서연에서 탈출하여 387년후연모용수에게 귀환하였다. 모용수는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장락왕에 봉했다.

398년, 모용보가 난한에게 살해되자, 모용성은 복수를 위해 난한에게 거짓 항복하였다. 난한은 모용성이 자신의 외손자였기 때문에 죽이지 않고 측근으로 삼았다. 모용성은 난한의 형제 사이를 이간질하고 모용기의 반란을 부추겼다. 모용기가 반란을 일으키자 토벌군의 지휘권 문제로 난제(蘭提) 등이 반란을 일으켰고, 이를 진압하고 돌아온 난목(蘭穆)을 모용성이 살해했다. 난한도 군대에 의해 주살되어 난한의 찬탈은 종식되었다.

모용성은 황제로 즉위하지 않은 채 자신이 봉해진 작위인 장락왕을 자칭하며 후연의 황제를 대행하였다. 398년 말에 황제에 즉위하고 건평으로 개원하였으나, 이듬해 정월에 다시 서인천왕(庶人天王)으로 칭호를 낮추었다.

2. 3. 후연 황제 즉위와 통치

398년 모용성은 용성에서 일어난 모반을 진압하고 난한을 제거한 뒤, 황제에 즉위하지 않고 장락왕을 자칭하며 후연의 황제를 대행하였다. 그는 치세 동안 수많은 옥사를 일으켜 많은 공신과 종친들을 처형하는 폭정을 펼쳤다.[9][11]

모용성은 398년 말에 황제에 즉위하고 건평으로 개원하였으나, 이듬해 정월에 다시 서인천왕(庶人天王)으로 칭호를 낮추었다. 그의 치세는 가혹하여 관리들과 백성들을 소외시켰고, 많은 이들이 반역 혐의로 처형되었다.[9][11]

  • 398년 가을: 장군 마륵, 모용성의 사촌 고양공 모용충(서연 황제와 다른 인물), 둥핑공 모용징
  • 398년 겨울: 장군 모용호, 관리 장통, 장순
  • 399년 봄: 관리 류충, 류지, 단성, 둥양공 모용근
  • 399년 봄: 장군 장진, 화한
  • 399년 가을: 장군 이랑
  • 399년 겨울: 장군 위쌍


그러나 모용성은 형사 사건에 대한 관심과 고문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항소를 청취하여 진실을 식별하는 시스템을 수립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11]

401년 8월, 전장군 단기(段璣)가 일으킨 반란으로 습격을 받아 부상을 입고 사망하였다.[2] 그의 사후, 그의 어머니 정태후는 삼촌 모용희와 불륜 관계를 맺었고, 태자 정을 제쳐두고 모용희를 황제로 즉위시켰다.

2. 3. 1. 고구려와의 관계

398년 모용성이 용성을 장악한 이후, 400년에는 고구려를 공격하여 신성남소성을 함락시키고 700여 리의 영토를 개척하였다.[11]

2. 4. 최후

398년, 용성에서 모반이 일어나 반란군에게 함락되자 모용성은 모용보와 함께 탈출하여 각지를 떠돌았다. 모용보가 난한에게 돌아가는 것을 반대하던 모용성은 결국 이탈하였고, 모용보가 난한에게 살해되자 모용성은 복수를 위해 난한에게 거짓 항복하였다.[1]

난한은 모용성이 자신의 외손자였기 때문에 죽이지 않고 측근으로 삼았다. 모용성은 난한의 형제 사이를 이간질하고 모용기(慕容奇)의 반란을 사주하였다. 모용기가 반란을 일으키자 토벌군의 지휘권 문제로 난제(蘭提) 등이 반란을 일으켰고 이를 진압하고 돌아온 난목(蘭穆)을 모용성이 살해, 난한도 군대에 의해 주살되어 난한의 찬탈은 종식되었다. 모용성은 황제로 즉위하지 않은 채 자신이 봉해진 작위인 장락왕을 자칭하며 후연의 황제를 대행하였다.[1]

모용성은 치세 내내 수많은 옥사를 일으켜 많은 공신과 종친들을 처형하였다. 이러한 폭정으로 반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한편 모용성은 398년 말에 황제에 즉위하고 건평으로 개원하였으나, 이듬해 정월에 다시 서인천왕(庶人天王)으로 칭호를 깎았다.[1]

400년에는 고구려를 공격하여 신성남소성을 함락시키고 700여 리의 영토를 개척하였으나,[1] 401년 8월, 용성 내부에서 전장군 단기(段璣)가 일으킨 반란으로 습격을 받아 부상을 입고 끝내 사망하였다.[1]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모용보
어머니정비402년 자결 강요, 사후 선유황후로 추존
정실란씨난한의 딸
아들모용정요서공(400년 책봉), 태자(400년 책봉, 401년 자결 강요)


4. 평가

모용성의 치세는 그의 재능과 엄격함을 동시에 보여준다. 그는 의심이 많아 반역 혐의로 많은 사람들을 처형했다.[9][11]

처형 시기처형된 인물
398년 가을부장 마륵, 모용륭의 아들 모용숭과 모용징
398년 겨울모용호, 장통, 장순
399년류충, 류지, 단성, 모용근
399년장진, 화한
399년 가을이랑
399년 겨울위쌍



모용성은 법에 대해 엄격한 태도를 보였으며, 열흘에 하루는 직접 재판에 참여하여 고문 없이도 많은 사건의 진상을 밝혀냈다고 한다.[11] 북위와의 전쟁에서는 서로 큰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400년에는 직접 3만 군사를 이끌고 고구려를 공격하여 모용국을 선봉장으로 삼아 신성과 남소 두 성을 함락시키고, 국경 7백여 리를 개척하여 5천 호를 빼앗았다.[11]

참조

[1] 서적 晋書 巻124「慕容盛載記」
[2] 서적 資治通鑑「晋紀」巻112
[3] 서적 資治通鑑 巻106では13歳。
[4] 서적 資治通鑑「晋紀」巻106
[5] 서적 資治通鑑「晋紀」巻107
[6] 서적 資治通鑑「晋紀」巻108
[7] 서적 晋書 巻123「慕容垂載記」
[8] 서적 資治通鑑「晋紀」巻109
[9] 서적 資治通鑑「晋紀」巻110
[10] 서적 晋書 巻124「慕容宝載記」
[11] 서적 資治通鑑「晋紀」巻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