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충은 고려 시대의 인물로, 홍건적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에 녹훈되었으며, 정세운 살해 사건을 고발했다. 1364년에는 최유의 반역 음모를 막는 과정에서 정찬을 무고하여 죽음에 이르게 했다. 이후 왜구 격퇴에 기여했으나, 이인임과 최영을 참소하다가 안동으로 유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장군 - 최영
    최영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쌍성총관부를 수복하는 등 국방을 굳건히 했으며,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공민왕을 보필했으나, 우왕의 요동정벌에 참여했다가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에 의해 처형당한 후 무민이라는 시호를 받은 고려 말기의 대표적인 무신이다.
  • 고려의 장군 - 최무선
    최무선은 고려 후기에 태어나 화약과 화포 개발에 힘썼으며 왜구 격퇴에 기여했고,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화포를 제작하고 진포 해전에서 활약했으며, 그의 업적은 아들에게 이어졌다.
  • 사천 목씨 - 충정공 목서흠 묘역
    충정공 목서흠 묘역은 조선시대 문신 목서흠과 부인 안동 권씨의 묘소로, 동분이실 구조와 석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조경이 비문을 짓고 이정영과 조위명이 글씨를 쓴 신도비가 있어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사천 목씨 - 목요상
    목요상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판사, 변호사, 국회의원, 주요 당직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이다.
  • 고려의 병마사 - 최영
    최영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쌍성총관부를 수복하는 등 국방을 굳건히 했으며,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공민왕을 보필했으나, 우왕의 요동정벌에 참여했다가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에 의해 처형당한 후 무민이라는 시호를 받은 고려 말기의 대표적인 무신이다.
  • 고려의 병마사 - 오연총
    오연총은 고려 예종 때 요나라와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여진 정벌에서 윤관의 부원수로 활약했으며, 신기군 징발 조건 완화와 서경 궁궐 창건 반대 등의 정치적 행보를 보이다가 문하시중평장사를 지내고 문양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목충
목충
기본 정보
본관사천 목씨
자안(子安)
삼탄(三灘)
생애
출생1350년 (충정왕 2년)
사망1428년 (세종 10년)
주요 활동조선의 문신
태종의 국구(國舅)
가족 관계
아버지목인길
어머니정부인 전주 이씨 (全州 李氏)
부인명빈 민씨
장녀정신옹주
사위영평군 이간

2. 생애

목충은 고려 말기의 무신으로, 여러 차례 중요한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다.

1376년 9월 조전병마사(助戰兵馬使)가 되었고,[11] 1377년 4월에는 동지밀직(同知密直)에 임명되었다.[12]

1377년 (우왕 3년) 왜구가 진포(鎭浦 : 현 충청남도 서천군)로부터 한주(韓州 : 현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로 침입했을 때 왕안덕이 지원군을 요청하자 밀직부사로서 구원하였다.[13]

1381년 동지밀직으로서 찬성사 이득분과 함께 이인임·최영을 참소하다가 안동에 유배되었다.[14]

2. 1. 초기 활동과 공신 책봉

1361년 홍건적이 침입하여 복주(福州)로 피난하였을 때 상호군(上護軍)으로서 어가를 호종한 공으로 1363년 2등공신(二等功臣)에 녹훈되었다.[8]

1362년(공민왕 11) 여러 장수들이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친 정세운을 살해하고 비밀로 하였는데, 장군(將軍) 목충(睦忠)이 군전(軍前)으로부터 돌아와 왕에게 “여러 장수들이 정세운을 살해하였는데, 쉬쉬하며 발표하지 않고 있습니다.”라고 고하였다.[9]

1364년 최유(崔儒)가 원나라에 있으면서 원제(元帝)에게 참소하여 공민왕을 폐하고 덕흥군(德興君)을 추대, 요양성(遼陽省)의 병사로 고려를 공격하러 온다는 소식이 들렸다. 이에 밀직부사(密直副使) 정찬(丁贊)이 서북면도안무사(西北面都安撫使)에 임명되어 이들을 막게 되었을 때, 정찬은 휘하의 병마사(兵馬使) 목충을 보내어 군사를 거느리고 요해처(要害處)에 주둔하게 하였다. 목충은 사촌 형인 재상(宰相) 목인길(睦仁吉)의 권세를 믿고 정찬의 지휘를 따르지 않아 정찬이 제압할 수 없었다. 목충은 정찬이 덕흥군과 함께 음모를 꾸몄다고 무고(誣告)하였으며, 둔소(屯所)를 버리고 정찬의 진영 가까이까지 가서 그를 습격하여 죽이고자 하였다. 정찬이 크게 두려워하여 군사를 버리고 경복흥의 진영으로 달려가서 그의 무고함을 밝히려고 하였다. 왕이 사자를 보내어 정찬을 순군(巡軍)에 가두고 목충을 불러 대질시켰는데, 사실을 증명할 것이 없었으므로 정찬은 울분에 차서 죽었다.[10]

2. 2. 정찬과의 갈등과 무고

1364년 최유가 원나라에 있으면서 원제(元帝)에게 참소하여 공민왕을 폐하고 덕흥군(德興君)을 추대, 요양성(遼陽省)의 병사로 고려를 공격하러 온다는 소식이 들리자, 밀직부사(密直副使) 정찬이 서북면도안무사(西北面都安撫使)에 임명되어 이들을 막게 되었다. 이때 정찬은 휘하의 병마사(兵馬使) 목충을 보내어 군사를 거느리고 요해처(要害處)에 주둔하게 하였다.[10]

목충은 사촌 형인 재상(宰相) 목인길의 권세를 믿고 정찬의 지휘를 따르지 않아 정찬이 제압할 수 없었다. 목충은 정찬이 덕흥군과 함께 음모를 꾸몄다고 무고(誣告)하였으며, 둔소(屯所)를 버리고 정찬의 진영 가까이까지 가서 그를 습격하여 죽이고자 하였다. 정찬이 크게 두려워하여 군사를 버리고 경복흥의 진영으로 달려가서 그의 무고함을 밝히려고 하였다. 왕이 사자를 보내어 정찬을 순군(巡軍)에 가두고 목충을 불러 대질시켰는데, 사실을 증명할 것이 없었으므로 정찬은 울분에 차서 죽었다.[10]

2. 3. 왜구 격퇴와 유배

1361년 홍건적이 침입하여 복주(福州)로 피난하였을 때 상호군(上護軍)으로서 어가를 호종한 공으로 1363년 2등공신(二等功臣)에 녹훈되었다.[8]

1362년(공민왕 11) 여러 장수들이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친 정세운을 살해하고 비밀로 하였는데, 장군(將軍) 목충(睦忠)이 군전(軍前)으로부터 돌아와 왕에게 여러 장수들이 정세운을 살해하고 쉬쉬하며 발표하지 않고 있다고 고하였다.[9]

1364년 최유(崔儒)가 원나라에 있으면서 원제(元帝)에게 참소하여 공민왕을 폐하고 덕흥군(德興君)을 추대, 요양성(遼陽省)의 병사로 고려를 공격하러 온다는 소식이 들리자, 밀직부사(密直副使) 정찬(丁贊)이 서북면도안무사(西北面都安撫使)에 임명되어 이들을 막게 되었다. 이때 정찬은 휘하의 병마사(兵馬使) 목충을 보내어 군사를 거느리고 요해처(要害處)에 주둔하게 하였다. 목충은 사촌 형인 재상(宰相) 목인길의 권세를 믿고 정찬의 지휘를 따르지 않아 정찬이 제압할 수 없었다. 목충은 정찬이 덕흥군과 함께 음모를 꾸몄다고 무고(誣告)하였으며, 둔소(屯所)를 버리고 정찬의 진영 가까이까지 가서 그를 습격하여 죽이고자 하였다. 정찬이 크게 두려워하여 군사를 버리고 경복흥의 진영으로 달려가서 그의 무고함을 밝히려고 하였다. 왕이 사자를 보내어 정찬을 순군(巡軍)에 가두고 목충을 불러 대질시켰는데, 사실을 증명할 것이 없었으므로 정찬이 울분에 차서 죽었다.[10]

1376년 9월에 조전병마사(助戰兵馬使)가 되었고,[11] 1377년 4월에는 동지밀직(同知密直)으로 임명되었다.[12]

1377년(우왕 3) 왜구가 진포(鎭浦 : 현 충청남도 서천군)로부터 한주(韓州 : 현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로 침입했을 때 양광도원수(楊廣道元帥) 왕안덕(王安德)이 지원군을 요청하자 목충이 밀직부사로서 구원하였다.[13]

1381년 동지밀직(同知密直)으로서 찬성사 이득분과 함께 이인임·최영을 참소하다가 안동에 유배되었다.[14]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사』 https://terms.naver.[...] ネイバー 2008-08-30
[2] 웹사이트 『고려사』 https://terms.naver.[...] ネイバー 2008-08-30
[3] 웹사이트 『고려사』 https://terms.naver.[...] ネイバー 2006-11-20
[4] 웹사이트 『고려사』 https://terms.naver.[...] ネイバー 2008-08-30
[5] 웹사이트 『고려사』 https://terms.naver.[...] ネイバー 2008-08-30
[6] 웹사이트 『고려사』 https://terms.naver.[...] ネイバー 2006-11-20
[7] 웹사이트 『고려사』 https://terms.naver.[...] ネイバー 2006-11-20
[8] 문서 《고려사》 권40 세가 권제40 공민왕(恭愍王) 12년 윤3월 http://db.history.go[...]
[9] 문서 《고려사》 권40 세가 권제40 공민왕(恭愍王) 11년 1월 http://db.history.go[...]
[10] 문서 《고려사》 권111 열전 권제24 제신(諸臣) 경복흥 http://db.history.go[...]
[11] 문서 《고려사》 권133 열전 권제46 신우(禑王) 2년 9월 http://db.history.go[...]
[12] 문서 《고려사》 권133 열전 권제46 신우(禑王) 3년 4월 http://db.history.go[...]
[13] 문서 《고려사》 권126 열전 권제39 http://db.history.go[...]
[14] 문서 《고려사》 권122 열전 권제35 환자(宦者) 이득분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