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64년은 갑진년으로, 각 국가와 지역에서 다양한 사건, 출생, 사망이 발생한 해이다. 연호로는 원나라 지정 24년, 고려 공민왕 13년, 일본 남조 정평 19년/북조 정치 3년 등이 사용되었다. 주요 사건으로는 최유의 고려 침공, 스트레와 전투에서의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패배, 네빌스 크로스 전투에서의 스코틀랜드 데이비드 2세의 포로 억류 등이 있었다. 이 해에는 존 피츠알란, 마누엘 3세, 아시카가 미쓰아키라 등이 태어났으며, 프랑스 국왕 장 2세, 고곤 천황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64년 | |
---|---|
1364년 | |
로마 숫자 | MCDLXIV |
세기 | 14세기 |
천년기 | 제2천년기 |
연대 | |
1360년대 | 1360년, 1361년, 1362년, 1363년, 1364년, 1365년, 1366년, 1367년, 1368년, 1369년 |
1370년대 | 1370년, 1371년, 1372년, 1373년, 1374년, 1375년, 1376년, 1377년, 1378년, 1379년 |
관련 | 1364년 이전, 1364년 이후 |
주요 사건 | |
사건 | 1364년 바젤 지진 발생. 일본에서 쇼헤이 시대가 끝남. 명나라가 한족의 통치하에 놓임. 조선의 문과가 시작됨. |
탄생 | 조선의 효령대군 (태종의 둘째 아들) 프랑스의 루이 2세 (1384년 사망) |
사망 | 고려의 공민왕의 모후 원나라의 공원왕후 고려의 경순부인 이씨 남송의 황후 사씨 (공제) |
2. 연호
연호 |
---|
원 : 지정 24년 |
일본 남조 : 쇼헤이(정평) 19년 |
일본 북조 : 조지 3년 |
쩐 왕조 : 다이찌(대치) 7년 |
한림아 : 용봉 10년 |
진리 : 덕수 2년 (구 2월까지) |
하 : 천통 2년 |
고려 : 공민왕 13년 |
3. 기년
4. 사건
- 1월 16일 - 체사레 데스포르토가 아비뇽 유수 기간 동안 교황 클레멘스 6세에 의해 피렌체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 2월 15일 - 마그누스 에릭손과 호콘 마그누손은 스웨덴의 공동 국왕이었으나 귀족들에 의해 폐위되었고, 마그누스의 조카 알브레크트 폰 메클렌부르크가 새로운 스웨덴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 2월 20일 - 데이비드 2세가 마거릿 드럼몬드와 결혼했다.
- 5월 12일 - 야гел론 대학교가 크라쿠프에 설립되었다.
- 6월 20일 - 제노바 공화국이 베네치아 공화국과 사르데냐의 알게로를 놓고 전쟁을 벌였다.
- 7월 25일 - 가톨릭교회의 성 야고보 축일 - 아비뇽 유수 기간 동안 교황 클레멘스 6세가 로마에서 축일을 기념했다.
- 7월 28일 - 카시나 전투: 갈레오토 말라테스타가 이끄는 피렌체 공화국 군대가 피사 공화국 군대를 격파했다.
- 8월 6일 - 이그나티우스 사바 1세가 시리아 정교회의 투르 아브딘 총대주교가 되었다.
- 9월 10일 - 앙주의 필리프가 콘스탄티노폴리스 명목 황제이자 타란토 공이 되었다.
- 9월 19일 - 스코틀랜드 왕국의 데이비드 2세가 네빌스 크로스 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다.
- 10월 20일 - 세인트루이스에서 성 대성당이 헌납되었다.
- 11월 11일 - 보헤미아 왕국의 카를 4세가 로마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했다.
4. 1. 고려
최유가 원나라 군사를 이끌고 고려를 침공했으나 패주하였다.[6][7][8]4. 2. 동아시아
{| class="wikitable"|-
! 간지
| 갑진
|-
! 고려 공민왕 13년
| 최유가 원나라 군사를 이끌고 고려를 침공했으나 패주하였다.[6][7][8]
|-
! 단군기원
| 3697년
|-
! 원
| 지정 24년
|-
! 한림아
| 용봉 10년
|-
! 진리
| 덕수 2년 (음력 2월까지)
|-
! 하
| 천통 2년
|-
! 쩐 왕조
| 대치 7년
|-
! 일본
|
|}
4. 3. 서유럽
- 4월 8일 - 샤를 5세가 프랑스 왕국의 왕이 되었다.[1]
- 8월 22일 - 잉글랜드 왕국의 에드워드 3세가 프랑스 왕국의 필리프 6세와 크레시 전투에서 승리했다.[1]
- 9월 29일 - 오레 전투에서 몽포르 가문이 샤를 드 블로를 상대로 승리하면서 브르타뉴 왕위 계승 전쟁이 종결되었다.[1]
4. 4. 동유럽
- 5월 11일 -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튜턴 기사단과 스트레와 전투에서 패배했다.[1]
- 블라디슬라프 1세(Vladislav I of Wallachia)가 왈라키아의 보이보드가 되었다.[1]
- 보그다나 수도원이 몰다비아에 세워졌다.[1]
4. 5. 기타 지역
- 키프로스 왕국의 피에르 1세가 알렉산드리아를 약탈했다.[1]
- 카스티야 왕국에서 알폰소 1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페드로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1]
- 베트남에서 쩐 두이똥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쩐 꽌쭝이 뒤를 이었다.[1]
- 라나 크셰트라 싱이 라나 하미르 싱의 뒤를 이어 메와르 (오늘날 서부 인도의 일부)의 통치자가 되었다.[1]
- 아나베마 레디가 아나보타 레디의 뒤를 이어 안드라프라데시 (오늘날 남부 인도의 일부)에 있는 레디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1]
- 타도 민뱌가 오늘날 북부 버마에 아바 왕국을 세웠다. 그러나 일부 연대기와 자료에서는 이 사건의 연도를 1365년으로 기록한다.[1]
5. 탄생
- 11월 30일 - 존 피츠알란, 제2대 애런들 남작 (잉글랜드 군인, 1390년 사망)[1]
- 12월 16일 - 마누엘 3세 (트레비존드 제국 황제, 1417년 사망)[7]
- 7월 6일 (정평 19년/정지 3년 음력 5월 29일) - 아시카가 미쓰아키라 (일본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1418년 사망)[1]
- 이마가와 노리마사 (일본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슈고 다이묘, 스루가 이마가와 씨의 4대 당주, 1433년 사망)[1]
- 날짜 불명
- * 알-마크리ar (이집트 역사학자이자 전기 작가, 1442년 사망)[2]
- * 크리스틴 드 피잔 (프랑스 작가, 1430년 사망)[3]
- * 로렌 공작 샤를 2세 (1431년 사망)[4]
- * 걀차브 제 (불교 겔룩파의 초대 법주, 1432년 사망)[5]
- * 카디 자다 알-루미 (페르시아 수학자, 1436년 사망)[6]
5. 1. 고려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5. 2. 동아시아
7월 6일(정평 19년/정지 3년 음력 5월 29일) - 아시카가 미쓰아키라는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이었다. 1418년 사망하였다.[1] 이마가와 노리마사는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슈고 다이묘이자, 스루가 이마가와 씨의 4대 당주였다. 1433년 사망하였다.[1]5. 3. 유럽
크리스틴 드 피잔은 프랑스 작가이다. (1430년 사망)[3]알-마크리ar는 이집트 역사학자이자 전기 작가이다. (1442년 사망)[2]
로렌 공작 샤를 2세가 태어났다. (1431년 사망)[4]
걀차브 제는 불교 겔룩파의 초대 법주이다. (1432년 사망)[5]
카디 자다 알-루미는 페르시아 수학자이다. (1436년 사망)[6]
11월 30일 - 존 피츠알란, 제2대 애런들 남작은 잉글랜드 군인이다. (1390년 사망)[1]
12월 16일 - 마누엘 3세는 트레비존드 제국의 황제이다. (1417년 사망)[7]
6. 사망
- 4월 8일 - 장 2세, 발루아 왕조 프랑스 왕국의 제2대 국왕 (* 1319년)[5]
- 6월 19일 - 엘리센다 데 몽카다, 아라곤의 여왕이자 섭정 (* 1292년)
- 6월 30일 - 아르노슈트 오브 파르두비체, 프라하의 대주교 (* 1297년)
- 8월 5일 - 고곤 천황, 일본 남북조 시대 북조 초대 천황 (* 1313년)
- 9월 10일 - 타란토의 로베르토
- 9월 29일 - 샤를 1세, 브르타뉴의 공작 (* 1319년)
- 10월 15일 - 아소 고레즈미,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무장, 아소씨의 제10대 당주 (* 1309년?)
- 에드워드 발리올, 스코틀랜드 왕 (* 1282년경)
- ''날짜 불명''
- * 니콜라에 알렉산드루 (왈라키아의 공작)
- * 가자 마다 (마자파힛 제국의 재상)
- * 발데마르 3세, 덴마크의 국왕 (* 1314년)
- * 고바야카와 사네요시, 남북조 시대의 무장, 다케하라 고바야카와씨의 제6대 당주 (* 출생년도 미상)
- * 무바리즈 앗딘 무함마드, 무자파르 왕조의 창시자 (* 1301년)
- * 대각, 남북조 시대의 일련종의 승려 (* 1297년)
- * 유인우, 고려의 무신[1]
6. 1. 고려
4월 8일 - 유인우는 고려의 무신이다.[1]6. 2. 동아시아
1364년은 고려,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여러 사건이 일어난 해이다.- 고려의 무신 유인우(柳仁雨)가 사망했다.
- 5월 5일 (정평 19년/조지 3년 4월 3일) - 대각, 남북조 시대의 일련종 승려 (* 1297년)
- 8월 5일 (정평 19년/조지 3년 7월 7일) - 고곤 천황, 남북조 시대 북조 초대 천황 (* 1313년)
- 10월 15일 (정평 19년/조지 3년 9월 20일) - 아소 고레즈미,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무장, 아소씨의 제10대 당주 (* 1309년?)
- 고바야카와 사네요시, 남북조 시대의 무장, 다케하라 고바야카와씨의 제6대 당주 (* 출생년도 미상)
6. 3. 유럽
참조
[1]
웹사이트
5 forgotten queens and princesses of Scotland
https://www.scotsman[...]
2022-05-04
[2]
웹사이트
Charles V king of France
https://www.britanni[...]
2018-08-22
[3]
서적
The History of Tur Abdin
Gorgias Press
2008
[4]
웹사이트
World-Changing Women: Christine de Pizan
http://www.open.edu/[...]
2018-08-22
[5]
웹사이트
John II king of France
https://www.britanni[...]
2018-08-22
[6]
웹사이트
기황후 [奇皇后]
https://terms.naver.[...]
[7]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1997
[8]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