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골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력은 몽골에서 사용되는 역법 체계로, 십이지, 월, 요일 등을 포함한다. 십이지는 자, 축, 인 등 12개의 동물을 사용하며, 몽골비사 및 집사 등 사료에 기록되어 있다. 몽골의 월 이름은 1월부터 12월까지 숫자로 표기하며, 중세 몽골어에서는 각 월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했다. 요일은 평상시에는 첫째 날, 둘째 날 등으로 부르며, 토요일과 일요일은 각각 하가스 사인 오도르와 부텐 사인 오도르로 불린다. 또한 티베트어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된 요일 이름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문화 - 보흐
    보흐는 7,000년 역사를 지닌 몽골의 전통 씨름으로, 국가 스포츠이자 문화 유산이며 나담 축제에서 중요한 경기로 치러지고, 할하 보흐, 부랴트 보흐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경기 전후 독특한 춤을 추는 특징이 있다.
  • 역법 - 날짜
    날짜는 연, 월, 일을 숫자로 조합하여 표기하는 방식으로, 년-월-일, 일-월-년, 월-일-년 순서 등 다양한 표기 형식이 존재하며, 국제표준화기구(ISO)는 혼란을 줄이기 위해 년-월-일 순서의 ISO 8601 표준을 권고하고 있다.
  • 역법 - 평년
    평년은 윤년이 아닌 해를 지칭하며, 태양력에서는 365일, 태음태양력에서는 약 354일, 태음력에서는 354일 또는 355일로 구성되고, 그레고리력, 율리우스력, 중국력, 히브리력, 이슬람력 등 다양한 역법에서 사용된다.
몽골력

2. 십이지 (년/年)

몽골에서는 예로부터 십이지에 의한 기년(紀年)을 행했으며, 『몽골비사』나 『집사』와 같은 사료에 기록이 남아 있다.[4]

2. 1. 십이지 표

몽골에서는 예로부터 십이지에 의한 기년을 행했으며, 『몽골비사』나 『집사』와 같은 사료에 기록이 남아 있다.[4]

십이지중세 몽골어『몽골비사』『집사』현대 몽골어
자년quruqana jil忽[鼠盧]合納 只勒Хулгана жилmn
축년üker jil忽客児 只勒hūkārYхэр жилmn
인년bars jil巴児思 只勒bārsБар жилmn
묘년ta’ulai jil討来 只勒Туулай жилmn
진년luu jilЛуу жилmn
사년moqai jilmūghāyМогой жилmn
오년morin jilmūrīnМорин жилmn
미년qonin jil豁紉 只勒qūīnХонин жилmn
신년bečin jilbījīnБичин жилmn
유년takya jil塔乞牙 只勒Тахиа жилmn
술년noqai jil那孩 只勒Нохой жилmn
해년qaqai jil合孩 只勒Гахай жилmn


3. 월(月)

몽골력에서 월 이름은 숫자로 표현되거나, 자연 현상이나 동물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현대 몽골어와 중세 몽골어의 월 이름은 다음과 같다.[5]

중세/현대 몽골어 월 이름 비교
중세 몽골어현대 몽골어발음
1월Qubi saraНэгдүгээр сар|Negdügeer sarmn
2월Qudal ögelǰin sara (거짓 후투티의 달)Хоёрдугаар сар|Hoyordugaar sarmn
3월Ünen ögelǰin sara (진실된 후투티의 달)Гуравдугаар сар|Guravdugaar sarmn
4월Kököi sara (뻐꾸기의 달)Дөрөвдүгээр сар|Dörövdugaar sarmn
5월Qudar sara (비누의 달)Тавдугаар сар|Tavdugaar sarmn
6월Naǰir sara (여름의 달)Зургадугаар сар|Zurgadugaar sarmn
7월Γuran sara (수늑대의 달)Долоодугаар сар|Doloodugaar sarmn
8월Buγun sara (수사슴의 달)Наймдугаар сар|Naimdugaar sarmn
9월Quča talbiq sara (양의 달)Есдүгээр сар|Yösdügeer sarmn
10월Kelebtür saraАравдугаар сар|Aravdugaar sarmn
11월Itelgü sara (송골매의 달)Арван нэгдүгээр сар|Arvan negdügeer sarmn
12월Kököler saraАрван хоёрдугаар сар|Arvan hoyordugaar sarmn


3. 1. 현대 몽골어 월 이름

현대 몽골에서 일 년의 열두 달은 숫자로 불린다.

현대 몽골어 월 이름
영어 이름몽골어 이름 (키릴 문자)몽골어 이름 (전통 몽골 문자)
1월Нэгдүгээр сар (Negdügeer sar) 또는 Анхдугаар сар (Ankhdugaar sar)ᠨᠢᠭᠡᠳᠦᠭᠡᠷ ᠰᠠᠷ|Nigedüger sarmn 또는 ᠠᠩᠬᠠᠳᠤᠭᠠᠷ ᠰᠠᠷ|Aŋqaduɣar sarmn
2월Хоёрдугаар сар (Khoyordugaar sar)ᠬᠣᠶᠠᠳᠤᠭᠠᠷ ᠰᠠᠷ|Qoyaduɣar sarmn
3월Гуравдугаар сар (Guravdugaar sar)ᠭᠤᠷᠪᠠᠳᠤᠭᠠᠷ ᠰᠠᠷ|Ɣurbaduɣar sarmn
4월Дөрөвдүгээр сар (Dörövdügeer sar)ᠳᠥᠷᠪᠡᠳᠦᠭᠡᠷ ᠰᠠᠷ|Dörbedüger sarmn
5월Тавдугаар сар (Tavdugaar sar)ᠲᠠᠪᠤᠳᠤᠭᠠᠷ ᠰᠠᠷ|Tabuduɣar sarmn
6월Зургаадугаар сар (Zurgaadugaar sar)ᠵᠢᠷᠭᠤᠳᠤᠭᠠᠷ ᠰᠠᠷ|J̌irɣuduɣar sarmn
7월Долоодугаар сар (Doloodugaar sar)ᠳᠣᠯᠣᠳᠤᠭᠠᠷ ᠰᠠᠷ|Doloduɣar sarmn
8월Наймдугаар сар (Naimdugaar sar)ᠨᠠᠢᠮᠠᠳᠤᠭᠠᠷ ᠰᠠᠷ|Naimaduɣar sarmn
9월Есдүгээр сар (Yesdügeer sar)ᠶᠢᠰᠦᠳᠦᠭᠡᠷ ᠰᠠᠷ|Yisüdüger sarmn
10월Аравдугаар сар (Aravdugaar sar)ᠠᠷᠪᠠᠳᠤᠭᠠᠷ ᠰᠠᠷ|Arbaduɣar sarmn
11월Арваннэгдүгээр сар (Arvannegdügeer sar)ᠠᠷᠪᠠᠨ ᠨᠢᠭᠡᠳᠦᠭᠡᠷ ᠰᠠᠷ|Arban nigedüger sarmn
12월Арванхоёрдугаар сар (Arvankhoyordugaar sar)ᠠᠷᠪᠠᠨ ᠬᠣᠶᠠᠳᠤᠭᠠᠷ ᠰᠠᠷ|Arban qoyaduɣar sarmn

[5]

3. 2. 중세 몽골어 월 이름

일 년의 열두 달은 첫째 달, 둘째 달 등과 같이 숫자로 불린다.

영어 이름몽골어 이름 (키릴 문자)몽골어 이름 (몽골 문자)
1월Нэгдүгээр сар (Negdügeer sar) 또는 Анхдугаар сар (Ankhdugaar sar)ᠨᠢᠭᠡᠳᠦᠭᠡᠷ ᠰᠠᠷ 또는 ᠠᠩᠬᠠᠳᠤᠭᠠᠷ ᠰᠠᠷ
2월Хоёрдугаар сар (Khoyordugaar sar)ᠬᠣᠶᠠᠳᠤᠭᠠᠷ ᠰᠠᠷ
3월Гуравдугаар сар (Guravdugaar sar)ᠭᠤᠷᠪᠠᠳᠤᠭᠠᠷ ᠰᠠᠷ
4월Дөрөвдүгээр сар (Dörövdügeer sar)ᠳᠥᠷᠪᠡᠳᠦᠭᠡᠷ ᠰᠠᠷ
5월Тавдугаар сар (Tavdugaar sar)ᠲᠠᠪᠤᠳᠤᠭᠠᠷ ᠰᠠᠷ
6월Зургаадугаар сар (Zurgaadugaar sar)ᠵᠢᠷᠭᠤᠳᠤᠭᠠᠷ ᠰᠠᠷ
7월Долоодугаар сар (Doloodugaar sar)ᠳᠣᠯᠣᠳᠤᠭᠠᠷ ᠰᠠᠷ
8월Наймдугаар сар (Naimdugaar sar)ᠨᠠᠢᠠ|Naimaduɣar sar-a}}
9월Есдүгээр сар (Yesdügeer sar)ᠶᠢᠰᠦᠳᠦᠭᠡᠷ ᠰᠠᠷ
10월Аравдугаар сар (Aravdugaar sar)ᠠᠷᠪᠠᠳᠤᠭᠠᠷ ᠰᠠᠷ
11월Арваннэгдүгээр сар (Arvannegdügeer sar)ᠠᠷᠪᠠᠨ ᠨᠢᠭᠡᠳᠦᠭᠡᠷ ᠰᠠᠷ
12월Арванхоёрдугаар сар (Arvankhoyordugaar sar)ᠠᠷᠪᠠᠨ ᠬᠣᠶᠠᠳᠤᠭᠠᠷ ᠰᠠᠷ



숫자중세 몽골어현대 몽골어발음
1월Qubi saraНэгдүгээр сарmnNegdügeer sar
2월Qudal ögelǰin sara (거짓 후투티의 달)Хоёрдугаар сарmnHoyordugaar sar
3월Ünen ögelǰin sara (진실된 후투티의 달)Гуравдугаар сарmnGuravdugaar sar
4월Kököi sara (뻐꾸기의 달)Дөрөвдүгээр сарmnDörövdugaar sar
5월Qudar sara (비누의 달)Тавдугаар сарmnTavdugaar sar
6월Naǰir sara (여름의 달)Зургадугаар сарmnZurgadugaar sar
7월Γuran sara (수늑대의 달)Долоодугаар сарmnDoloodugaar sar
8월Buγun sara (수사슴의 달)Наймдугаар сарmnNaimdugaar sar
9월Quča talbiq sara (양의 달)Есдүгээр сарmnYösdügeer sar
10월Kelebtür saraАравдугаар сарmnAravdugaar sar
11월Itelgü sara (송골매의 달)Арван нэгдүгээр сарmnArvan negdügeer sar
12월Kököler saraАрван хоёрдугаар сарmnArvan hoyordugaar sar

[5]

4. 요일

현대 몽골어의 요일 명칭은 몽골 인민 공화국 시대에 정착되었다.[1] 평상시에는 주의 첫 5일을 숫자로 부르고, 토요일과 일요일은 각각 "절반 좋은 날", "완전 좋은 날"이라는 의미의 고유 명칭으로 부른다. 티베트어에서 유래한 요일 이름은 격식을 갖춘 문서에서 주로 사용되며,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요일 이름은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1]

4. 1. 요일 표

평상시에는 주의 첫 5일을 첫째 날, 둘째 날 등으로 부른다. 토요일은 하가스 사인 오도르(Хагас сайн өдөр, "절반 좋은 날"), 일요일은 부텐 사인 오도르(Бүтэн сайн өдөр, "완전 좋은 날")로 부르는데, 이는 몽골 인민 공화국 시대에 5일의 완전한 근무일과 토요일이 반 근무일이었던 것의 결과이다.[1]

티베트어에서 유래된 요일 이름은 좀 더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 거의 전적으로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되며, 산스크리트어 이름은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1]

영어 이름구어체 (키릴 문자)구어체 (전통 몽골 문자)티베트어 기원 (키릴 문자)티베트어 기원 (전통 몽골 문자)산스크리트어 기원 (키릴 문자)산스크리트어 기원 (전통 몽골 문자)의미
월요일Нэг дэх өдөр (Neg dekh ödör)ᠨᠢᠭᠡᠳᠡᠬᠢ ᠡᠳᠦᠷ|니게데키 에두르mnДаваа гараг (Davaa garag)ᠳᠠᠸᠠ ᠭᠠᠷᠠᠭ|다와 가라그mnСумьяа (Sum'yaa)ᠰᠤᠮᠢᠶ찬드라
화요일Хоёр дахь өдөр (Khoyor dakh' ödör)ᠬᠣᠶᠠᠳᠠᠬᠢ ᠡᠳᠦᠷ|호야다키 에두르mnМягмар гараг (Myagmar garag)ᠮᠢᠭᠮᠠᠷ ᠭᠠᠷᠠᠭ|미그마르 가라그mnАнгараг (Angarag)ᠠᠩᠭᠠᠷᠠᠭ|앙가라그mn망갈라
수요일Гурав дахь өдөр (Gurav dakh' ödör)ᠭᠤᠷᠪᠠᠳᠠᠬᠢ ᠡᠳᠦᠷ|구르바다키 에두르mnЛхагва гараг (Lkhagva garag)ᡀᠠᠭᠪᠠ ᠭᠠᠷᠠᠭ|라그바 가라그mnБуд (Bud)ᠪᠤᠳ부다
목요일Дөрөв дэх өдөр (Döröv dekh ödör)ᠳᠥᠷᠪᠡᠳᠡᠬᠢ ᠡᠳᠦᠷ|도르베데키 에두르mnПүрэв гараг (Pürev garag)ᠫᠦᠷᠪᠦ ᠭᠠᠷᠠᠭ|푸르부 가라그mnБархасбадь (Barkhasbad')ᠪᠠᠷᠬᠠᠰᠪᠠᠳᠢ|바르하스바디mn브리하스파티
금요일Тав дахь өдөр (Tav dakh' ödör)ᠲᠠᠪᠤᠳᠠᠬᠢ ᠡᠳᠦᠷ|타부다키 에두르mnБаасан гараг (Baasan garag)ᠪᠠᠰᠠᠩ ᠭᠠᠷᠠᠭ|바상 가라그mnСугар (Sugar)ᠱᠤᠭᠠᠷ슈크라
토요일Хагас сайн өдөр (Khagas sain ödör)ᠬᠠᠭᠠᠰ ᠰᠠᠶᠢᠨ ᠡᠳᠦᠷ|하가스 사인 에두르mnБямба гараг (Byamba garag)ᠪᠢᠮᠪᠠ ᠭᠠᠷᠠᠭ|빔바 가라그mnСанчир (Sanchir)ᠰᠠᠨᠢᠴᠠᠷ|사니차르mn샤니
일요일Бүтэн сайн өдөр (Büten sain ödör)ᠪᠦᠲᠦᠨ ᠰᠠᠶᠢᠨ ᠡᠳᠦᠷ|부텐 사인 에두르mnНям гараг (Nyam garag)ᠨᠢᠮАдьяа (Ad'yaa)ᠠᠳᠢᠶ수리야


참조

[1] 간행물 Lunar and Solar Calendars on the Mongolian Plateau https://brill.com/di[...] Brill 2002-01-01
[2] 문서 Zurkhai (from the verb ''zur'' - ''draw'') is a system of knowledge embracing mathematics, astronomy and astrology
[3] 논문 A Commentary on Kalacakra or Wheel of Time https://www.jstor.or[...] 1981
[4] 서적 小林1983
[5] 서적 小林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