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베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베트어는 티베트 고원에서 사용되는 언어군으로, 7세기 티베트 문자가 창제되면서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했다. 현재는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며, 음운, 발음,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티베트 문자를 주로 사용하며, 라틴 문자 표기법도 개발되었다. 부탄, 인도, 중국, 네팔, 파키스탄 등 여러 국가에 걸쳐 분포하며, 종카어, 발티어 등 각 지역의 언어가 공용어 또는 특정 지역에서 사용된다. 티베트어군은 고대 티베트어에서 기원하며, 언어 접촉을 통해 장족어족, 알롱어족 등과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어 - 와일리 표기법
    와일리 표기법은 티베트어의 철자법적 특징을 반영하여 모호성을 최소화하면서 티베트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로마자로 옮기는 표기 체계로, 음절 내 자음 연속을 연속된 로마자로 표기하는 특징을 가진다.
  • 티베트어 - 암도 티베트어
    암도 티베트어는 티베트어의 주요 방언 중 하나로, 중국 칭하이성과 간쑤성 등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지역 방언으로 나뉘고 음운 체계에 변이가 존재하며, 중국 칭하이 티베트 라디오와 자유아시아방송에서 방송이 제공된다.
  • 티베트의 상징 - 티베트의 기
    티베트의 기는 설산과 사자 도안으로 티베트의 자연, 정신, 역사를 상징하며 1913년 디자인되어 티베트 망명 정부의 깃발로 사용되지만, 중국에서는 사용이 금지된 티베트 독립 운동의 상징이다.
  • 티베트의 상징 - 티베트의 국가
    티베트의 국가는 고타마 붓다의 광휘를 찬양하는 내용으로, 1950년경에 14대 달라이 라마의 스승에 의해 작사되었으며 망명 티베트인들 사이에서 불리고 있다.
  • 티베트의 언어 - 셰르파어
    셰르파어는 티베트버마어족 티베트어파에 속하며 성조 언어이고, SOV 어순을 따르며 5개의 방언이 존재한다.
  • 티베트의 언어 - 중앙 티베트어
    중앙 티베트어는 티베트어군의 방언으로, 라싸 방언을 포함한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암도 티베트어와 70%, 캄 티베트어와 8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이고, 자음 및 모음 체계는 다양한 표기법으로 표기된다.
티베트어
지도 정보
티베트의 역사적인 지방 구분
티베트의 역사적인 지방 구분
기본 정보
이름티베트어
다른 이름중앙 보드어
사용자티베트 민족 및 기타 티베트어 사용자
사용 지역중국 (티베트 자치구, 칭하이성, 쓰촨성, 간쑤성, 윈난성)
인도 (라다크, 시킴 주, 우타라칸드 주, 히마찰프라데시 주,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아삼 주)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
네팔
부탄
미얀마 (카친 주)
어족 색상중국티베트어족
어파티베트버마어파
어군티베트카나우리어군?
하위 어군보드어군
조상 언어고대 티베트어
고전 티베트어
글롯토로그oldm1245
글롯토로그 참조Early Old Tibetan
화자 수600만
사용 년도2014년
관련 참조
하위 언어
주요 언어중앙 티베트어
암도 티베트어
캄 티베트어
존카어 - 로케
라다크-발티어군
라훌-스피티어군
키롱-카가테어군
셰르파어- 지렐어
(다양한 미분류 언어)
기타 언어우차 지역 티베트어
시킴어
발티어
관련 언어라다크 티베트어
존카어
ラーホル・スピティ語
キドン・カガテ語
셰르파・ジレル語
언어 코드
ISO 639-1bo
ISO 639-2btib
ISO 639-2tbod
ISO 639-3guj
LCbod
adx
khg
LD중부티베트어
암도 방언
캄 방언
LL중부티베트어
암도 방언
캄 방언

2. 역사

고대 티베트어에서 기원한 티베트어군은 7세기경 티베트 문자가 만들어지면서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했다.[1] 고전 티베트어에서는 성조 없이 복잡한 닿소리를 소리 냈다고 알려져 있지만, 현대의 많은 티베트어 방언에서는 성조가 나타난다. 암도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서는 성조 없이 글자 그대로 소리 내기도 한다.

9세기경부터 중앙 방언에서 자음군 단순화, 무성음화, 성조화가 진행되었다. 이는 티베트어가 주변 언어, 특히 중국어와 위구르어에 음역된 기록을 통해 확인된다. 821-822년 티베트와 중국 사이에 체결된 조캉 사원 조약 비문에서 볼 수 있듯이, 9세기에는 복잡한 초성자음군이 없어지고 성조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이후 짱(Tsang 혹은 Gtsang) 방언에서는 'ra-btags'가 반전 자음으로, 'ya-btags'가 구개음으로 변화하는 등 추가적인 음운 변화가 발생했다.

3. 문자

티베트 문자는 표음 문자이며, 산스크리트어에서 기원한다. 기본적으로 자음 30자와 모음 4자로 구성되어 있다. 퇸미 삼보다(Thönmi Sambhoṭa)가 만들었다고 전해지지만, 고대 티베트 문헌에 등장하지 않는 인물이라 창제자는 확실하지 않다.

라틴 문자 표기법에는 와일리 표기법, 티베트 문자 병음, THL 음성 전사법 등이 있다.

대부분의 티베트어는 티베트 문자로 쓰이며, 역사적으로 보수적인 철자법을 사용하여 티베트어 사용 지역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다. 인도와 네팔의 일부 티베트어 사용 지역에서는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파키스탄발티어 사용자는 우르두 문자를 사용하는데, 이는 파키스탄에서 이슬람 수용 이후 사용이 중단되었던 티베트 문자를 부활시키려는 움직임의 일환이다.

4. 발음

현대 티베트어의 발음은 방언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티베트어의 홀소리
rowspan="2" |전설후설
평순원순평순원순
rowspan="2" |



고대 티베트어의 음운은 문서를 통해 더욱 정확하게 구현된다. 종성은 무성음화(devoiced)하여 읽지만 쓰기로는 유성음화(voiced)하여 작성한다. 접두사 문자는 기본음문자(root letter)에 음을 동화하여 표기한다. 문자 조합 ''hr''과 ''lh''는 무성음으로 읽되 반드시 ''r''과 ''l''에 해당하는 발음으로 대기음(aspirate)으로 읽지는 않는다. 문자 '는 모음 앞에서 유성 후두 마찰음(voiced guttural fricative)으로 읽지만, 자음 앞에서는 동기관 전비음화(homorganic prenasalization)로 읽는다.

예를 들어, 'Srongbtsan Sgampo'는 로 읽어 왔지만, 현대 표준 라싸 티베트어는 로 읽으며, 'babs'는 로 읽어 왔지만 현재 표준 티베트어는 로 읽는다.

이미 9세기에 연속음 단순화(cluster simplification), 무성화, 성조화가 중앙 방언에서 시작하였고, 다른 언어 특히 중국어와 위구르어로 음역된 티베트 단어들에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발생은 티베트어가 진화한 모습을 그리게 한다. 821-822년 티베트와 중국 사이에 체결된 라싸 조캉 사원 조약 비문에서 보이듯이, 9세기에는 복잡한 초성자음군이 없어지고 성조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다음 변화는 짱(Tsang 혹은 Gtsang) 방언에서 발생하였다. 라딱(ra-btags)이 반전 자음(retroflex consonant)으로 대체되었고, 야딱(ya-btags)은 구개음(palatal)으로 되었다.

이후 상접자/유관자(superscribed letter)와 후접자(final) ''d''와 ''s''는 사라졌지만, 동쪽과 서쪽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 단계에서 티베트어는 라훌(Lahul)과 스피티(Spiti)에서 확산되었는데, 상접자는 묵음이 되고 ''d''와 ''g'' 후접자는 거의 들리지 않았으며, ''as'', ''os'', ''us''는 ''ai'', ''oi'', ''ui''가 되었다. 티베트에서 국경 언어로 도입된 단어들은 초기에 도입된 것들과 크게 다르다.

기타 변화들은 최근에 일어났으며 위(Ü)와 짱(Tsang)에만 국한된다. 위 지방에서, 현재 모음 'a', 'o', 'u'는 설단음(舌端音, coronal) 'i', 'd', 's', 'l', 'n'이 뒤에 올 경우 대부분 움라우트화되어 'ä', 'ö', 'ü'로 발음된다. 같은 현상이 짱 지방에도 발생하고 있지만, 'l'이 뒤에 오는 경우는 움라우트화가 안되고 모음이 장음화되기만 한다. 유성파열음(medial)은 저음(low intonation)의 가벼운 대기음(aspirate tenue)이 되고, 이 역시 단순한 초성 자음(initial consonant) 단어들이 그러하다. 구어에서 단순화되는 전대기음(former aspirate)과 복합초성군(complex initial)은 고조의 날카롭고 빠른 음성으로 발음된다.

5. 종류

티베트어는 단일 언어가 아니라 다양한 방언/언어로 이루어진 어군이다. 전통 지방 구분에 따라 크게 위창어, 암도어, 캄어의 세 가지 방언으로 나눌 수 있지만, 실제로는 더 다양한 언어와 방언들이 존재한다.[1]

니콜라 투르나드레는 중국-티베트어족 연구에서 사용되는 "티베트어족"이라는 용어를 고대 티베트어에서 유래한 어족으로 정의했다.[1] 그는 티베트어족을 다른 어족들과 구분하는 어휘 혁신이 있다고 보았는데, 예를 들어 བདུན|bdunbo "일곱"이 있다.[1]

"티베트어족 언어"는 이전의 "티베트어/방언"이라는 용어를 대체한다. "언어"와 "방언"의 구분은 간단하지 않으며, 티베트어족의 여러 방언들을 "티베트 방언"으로 분류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 왜냐하면 이 "방언"들은 종종 상호 이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어족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티베트인으로 자신을 여기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셰르파족, 라다크인, 발티족, 라훌라인, 시킴인, 부탄인의 경우가 그러하다.[1]

티베트의 민족언어 지도


북쪽과 동쪽에서는 언어 접촉을 통해 장족어, 알롱어와 접촉했기 때문에 다른 언어들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칼롱어에서 보이는 차이점 또한 언어 전환 때문일 수 있다. 또한, 명백한 장족어의 기층을 유지하고 암도어, 캄어, 중구어로부터 여러 겹의 차용을 보이지만, 기존의 티베트어 분류에는 해당하지 않는 백마어가 있다.[4]

5. 1. 주요 방언군 (Tournadre & Suzuki (2023) 분류)


  • '''티베트어'''
  • * '''남동부''' 구역 (14개 그룹):
  • ** 나크추 (전통적으로 호르 방언이라고 불림)
  • ** 드라첸/바첸
  • ** 키에구
  • ** 팜바르
  • ** 큭포
  • ** 롱드락
  • ** 미냐크 랍강
  • ** 북부 루트(창두, 더거, 간자)
  • ** 남부 루트 (마르캄, 바탕, 리탕)
  • ** 자위
  • ** 데롱-뇰
  • ** 차그트렝
  • ** 폼보르강
  • ** 셈키 니다
  • * '''동부''' 구역 (11개 그룹):
  • ** 초네
  • ** 테워-토
  • ** 테워-매
  • ** 드루크추
  • ** 팔키/파시
  • ** 크호포콕
  • ** 샤르콕
  • ** 트롬젝콕
  • ** 중구
  • ** 트로추
  • ** 바이마
  • * '''북동부''' 구역 (14개 그룹):
  • ** 초 뇸포 (또는 코코노르)
  • ** 쫑카
  • ** 라브랑-레브공
  • ** 르와낙(바낙) 유목민 그룹
  • ** 아바
  • ** 아릭
  • ** 흐와리(파리)
  • ** 메와 유목민 그룹 (캄 지역에 정착촌 보유)
  • ** 와슐 유목민 그룹 (캄으로 이주)
  • ** 고르카 (이질적)
  • ** 걀롱-권역 암도 (이질적)
  • ** 둥낙과 르탐닉 (서유구르어 근처 감숙성) (이질적)
  • * '''중앙''' 구역 (8개 그룹):
  • ** 위
  • ** 창
  • ** 펜포
  • ** 토 유목민 방언 (드로그파 토-카)
  • ** 동부 토 경작민 방언 (샤르촉 롱파 토-카)
  • ** 서부 토 경작민 방언 (누브촉 롱파 토-카)
  • ** 콩포
  • ** 로카
  • * '''남부''' 구역 (7개 그룹):
  • ** 종카어
  • ** 로케
  • ** 초차-응가차 (차망-차칼링이라고도 함)
  • ** 브록파 (메라 사크텡 유목민 방언)
  • ** 두르 유목민 방언
  • ** 라카 또는 사푸크 유목민 방언
  • ** 드로모
  • * '''남서부''' 구역 (9개 그룹):
  • ** 훔라 (또는 리미롱)
  • ** 카르마롱 (무구)
  • ** 돌포 및 티추롱
  • ** 로-몬탕 (종종 로카/무스탕이라고 불림)
  • ** 키롱-욜모
  • ** 지렐
  • ** 셰르파
  • ** 로미어
  • ** 골라
  • * '''서부''' 구역 (8개 그룹):
  • ** 스피티
  • ** 크누-토트
  • ** 가르자
  • ** 팡기
  • ** 팔다르
  • ** 두르부크 장파 방언
  • ** 뇨마 장파 방언
  • ** 자당 (또는 자탕) 방언
  • * '''북서부''' 구역 (7개 그룹):
  • ** 발티
  • ** 푸리크
  • ** 누브라
  • ** 샴
  • ** (중앙 라다크)
  • ** 잔하르
  • ** 카루
[1]

5. 2. 기타 분류

Bod skad|보 스캇bo의 방언/언어 분류는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뉜다.

; 투르나드레(Tournadre) (2014)

투르나드레는 2014년 티베트어군을 8개의 지리언어적 연속체로 분류했다.[5]

분류하위 분류
북서부라다크어, 장스카르어, 발티어, 푸르키어
서부스피티어, 가르자어, 쿠누어, 자드어
중앙부중앙 티베트어 (드부스어, 창어, 펜포어, 로카어, 토어, 콩포어 (바숨어 포함))
남서부셰르파어, 지렐어, 훔라어, 무구 방언, 돌포어, 로케어, 누브리어, 츠움어, 랑탕어, 키롱어, 욜모어, 걀숨도어, 카가테어, 로미어, 왈룽게어, 톡페골라어
남부종카어, 드렌종어, 차망어, 드로모 라카어, 두르 브로카트어, 브록파어
동남부호르 나추어, 호르 바첸어, 유술어, 펨바르어, 롱드락어, 미냐크어, 자위어, 데롱-졸어, 차크트렝어, 뮬리-다파어, 셈키 니다어
동부드룩추어, 크호포콕어, 테워-초네어, 바이마어, 샤르콕어, 팔키어 (또는 파시어, 4개의 방언 포함, 초스르제 포함), 중구 티베트어
북동부암도 티베트어, 그세르파어, 칼롱어[7]



; 브래들리 (1997)

브래들리는 1997년 티베트어 방언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10]

분류하위 분류
서부 고대 티베트어라다크어, 발티어, 부릭어 (무성조)
암도 티베트어테우-초네 포함 (무성조)
캄 티베트어성조 있음
서부 혁신 티베트어약한 성조 있음
중앙 티베트어약한 성조 있음
북부 티베트어약한 성조 있음
남부 티베트어약한 성조 있음



; 니시 (일본)

일본에서 많이 참고되는 니시의 분류는[19] 서부 고대 방언, 서부 개혁 방언, 남부 방언, 중앙 방언, 캄 방언, 암도 방언으로 나뉜다. 이는 브래들리의 분류와 대체로 비슷하지만, 북부 티베트어라는 분류는 없고, 지렐, 카가테, 셰르파 등은 중앙 방언에 포함시킨다.

6. 분포



티베트어군은 티베트 고원을 중심으로 부탄, 인도,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네팔, 파키스탄 등 여러 국가에 걸쳐 분포한다. 북쪽과 동쪽에서는 언어 접촉을 통해 장족어, 알롱어와 접촉했기 때문에 다른 언어들이 사용된다. 칼롱어에서 보이는 차이점은 언어 전환 때문일 수 있다. 암도어, 캄어, 중구어로부터 여러 겹의 차용을 보이지만, 기존의 티베트어 분류에는 해당하지 않는 백마어는 명백한 장족어의 기층을 유지한다.[4]

투르나드레(Tournadre, 2014)는 티베트어군을 50개 언어와 200개 이상의 방언으로 구성된 8개의 지리언어적 연속체(geolinguistic continua)로 분류한다.[5] 동부 및 동남부 가지는 내부 상호 이해도가 낮지만, 북서부 가지와 특정 남부 및 북부 캄 티베트어 방언 간에는 더 제한적이다.

티베트어군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 '''북서부''': 라다크어, 장스카르어, 발티어, 푸르키어
  • '''서부''': 스피티어, 가르자어, 쿠누어, 자드어
  • '''중앙부''': 드부스어, 창어, 펜포어, 로카어, 토어, 콩포어 (바숨어 포함)
  • '''남서부''': 셰르파어, 지렐어. 중국-네팔 국경을 따라 있는 훔라어, 무구 방언, 돌포어, 로케어, 누브리어, 츠움어, 랑탕어, 키롱어, 욜모어, 걀숨도어, 카가테어, 로미어, 왈룽게어, 톡페골라어 등의 언어/방언
  • '''남부''': 종카어, 드렌종어, 차망어, 드로모 라카어, 두르 브로카트어, 메라 사크텡 브록파케어
  • '''동남부''': 호르 나추어, 호르 바첸어, 유술어, 펨바르어, 롱드락어, 미냐크어, 자위어, 데롱-졸어, 차크트렝어, 뮬리-다파어, 셈키 니다어
  • '북부 경로' 방언: 참도(Chab-mdo), 더거어 (sde-dge), 간즈어 (dkar-mdzes)
  • '남부 경로' 방언: 마르캄어 (smar-khams), 바탕어 ('ba'-thang), 리탕어 (li-thang)
  • '''동부''': 드룩추어, 크호포콕어, 테워-초네어, 바이마어, 샤르콕어, 팔키어 (또는 파시어, 초스르제 포함 4개의 방언), 중구어
  • '''북동부'''
  • 암도어
  • '''Gser-Rdo''':[7] 그세르파어, 칼롱어

6. 1. 국가별 분포

티베트어 사용 지역은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네팔, 파키스탄, 인도, 부탄, 미얀마 등 6개국에 걸쳐 있다.[1] 유럽, 북아메리카(예: 토론토 리틀 티베트),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의 티베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 '''부탄''': 종카어가 공용어이며, 원래 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던 언어이다. 비티베트어 계열 언어인 츠앙라어(Tshangla) 등이 부탄의 많은 지역에서 주요 언어로 사용되지만, 종카어는 제2언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부탄에서 사용되는 다른 티베트어 방언으로는 초차-응가차, 브로크파어, 라카어가 있다.
  • '''인도''': 라다크, 시킴주, 히마찰프라데시주(키나우르, 라훌 스피티), 서벵골주(다르질링과 칼림퐁), 그리고 우타라칸드주에서 일부 티베트 방언이 사용된다. 부탄과 네팔과 마찬가지로, 중앙 티베트 행정부 본부가 위치한 다람살라를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많은 티베트 난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중국)''': 티베트 자치구 외에도, 쓰촨성, 칭하이성, 감숙성, 윈난성에는 이 "민족"을 위한 여러 자치주가 있다. 중국 내 티베트어 사용자 대다수는 공식적으로 "티베트족(藏族)"으로 분류되지만, 이는 갬롱어와 같이 다른 히말라야 너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포함한다.
  • '''네팔''': 셰르파어, 지렐어, 욜모어와 같은 다른 티베트어 방언들은 네팔의 여러 지방들, 특히 중국-네팔 국경을 따라 위치한 지역에서 사용된다. 1950년대 이후 티베트 망명자들이 네팔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라싸 티베트어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표준 티베트어이다.
  •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에서 발티어가 사용된다.
  • '''미얀마''': 카ms 티베트어의 방언이 카친주의 카카보 라지 산 근처에서 사용되는데, 이 지역은 윈난성누장 리수족 자치주티베트 자치구에 인접해 있다.

7. 음운사

고대 티베트어의 음운은 티베트 문자에 비교적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9세기에 중앙 방언에서 자음군 단순화(cluster simplification), 자음의 무성음화, 성조 발생이 시작되었다.[3]

예를 들어, 'Srongbtsan Sgampo'(송첸 감포)는 로 읽어 왔지만, 현대 표준 라싸 티베트어는 로 읽으며, 'babs'는 로 읽어 왔지만 현재 표준 티베트어는 로 읽는다.

이미 9세기에 자음군 단순화, 무성음화, 성조화가 중앙 방언에서 시작되었고, 중국어와 위구르어로 음역된 티베트 단어들에서도 볼 수 있다.

821-822년 티베트와 중국 사이에 체결된 라싸 조캉 사원 조약 비문에서 보이듯이, 9세기에는 복잡한 초성자음군이 없어지고 성조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다음 변화는 짱(Tsang 혹은 Gtsang) 방언에서 발생하였다. 라딱(ra-btags)이 반전 자음(retroflex consonant)으로 대체되었고, 야딱(ya-btags)은 경구개음(palatal)으로 되었다.

이후 상접자/유관자(superscribed letter)와 후접자(final) ''d''와 ''s''는 사라졌지만, 동쪽과 서쪽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 단계에서 티베트어는 라훌(Lahul)과 스피티(Spiti)에서 확산되었는데, 상접자는 묵음이 되고 ''d''와 ''g'' 후접자는 거의 들리지 않았으며, ''as'', ''os'', ''us''는 ''ai'', ''oi'', ''ui''가 되었다. 티베트에서 국경 언어로 도입된 단어들은 초기에 도입된 것들과 크게 다르다.

기타 변화들은 최근에 일어났으며 위(Ü)와 짱(Tsang)에만 국한된다. 위 지방에서, 현재 모음 'a', 'o', 'u'는 설단음(coronal) 'i', 'd', 's', 'l', 'n'이 뒤에 올 경우 대부분 움라우트화되어 'ä', 'ö', 'ü'로 발음된다. 같은 현상이 짱 지방에도 발생하고 있지만, 'l'이 뒤에 오는 경우는 움라우트화가 안되고 모음이 장음화되기만 한다.

8. 어휘 비교

"티베트어족"이라는 용어는 중국-티베트어족 연구 전통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니콜라 투르나드레는 이를 고대 티베트어에서 유래한 어족으로 정의했다.[1] 니시(1987)[1]와 베이어(1992)[1]의 연구를 바탕으로, 그는 티베트어족을 이 어족의 다른 언어들과 구분하는 진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몇 가지 어휘 혁신을 확인했는데, 예를 들어 བདུན|bdunbo "일곱"이 있다.[1]

"티베트어족 언어"는 이전 문헌에서 사용된 "티베트어/방언"이라는 용어를 대체한다. "언어"와 "방언"의 구분은 간단하지 않으며, 티베트어족의 여러 방언들을 "티베트 방언"으로 분류하는 것은 이 "방언"들이 종종 상호 이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어족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티베트인으로 자신을 여기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셰르파족, 라다크인, 발티족, 라훌라인, 시킴인, 부탄인의 경우가 그러하다.[1]

투르나드레(Tournadre, 2014)[5]는 티베트어군을 50개 언어와 200개 이상의 방언으로 구성된 8개의 지리언어적 연속체(geolinguistic continua)로 분류했다. 이는 2008년에 발표한 연구의 수정된 버전이다.[6] 동부 및 동남부 가지는 내부 상호 이해도가 낮지만, 북서부 가지와 특정 남부 및 북부 캄 티베트어(Khams Tibetan) 방언 간에는 더 제한적이다. 이러한 연속체는 미얀마 카친 주(Kachin State)에 있는 캄 티베트어(Khams Tibetan) 방언인 상담(Sangdam)을 제외하고 5개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암도 티베트어는 중앙 티베트어와 캄 티베트어와 7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이는 반면, 캄 티베트어는 중앙 티베트어와 8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인다.[12]

8. 1. 숫자 비교 (예시)

위짱어, 암도어, 캄바어로 소리낸 티베트어 수사는 다음과 같다.[20]

GLOSA위짱 (가운데)암도캄/캄바고전 티베트어
라싸청쨩돌뽀지렐무곰셸빠욜모
'1'ʨiʔ53ʨi53ʂikdokpoiʧɪkʦɪk55ʨīːxʨɨxʨi55*xʨik
gtšig
'2'ȵi55ȵi55ɲiːŋiŋiŋi55ɲìːɦȵiɲɯ53*gnis
gnis
'3'sum55sɔ̃53sumsumsumsum55sūmsɘm53*xsum
gsum
'4'ɕi13ɣɯ31ɕi̤ːsiɕiʣi55ʑì̤ɦʑɘʐə33*βʑi
bži
'5'ŋa53ɴɐ53ŋaŋaŋáŋɑ55ŋɑ̀ɦŋaŋɑ53*ɬŋɑ
lŋa
'6'tʂʰuʔ13tʂu31ʈṳktʰukdukɖʊk11ʈṳ̀ːtʂəxtʂo33*dɽuk
drug
'7'tỹ15dɛ̃24ty̤nduindundɪn55t̪ì̤nɦdɘn33*βdun
bdun
'8'ɕɛʔ13dʑe31ce̤ʔgetket55cē̤ːɦdʑʲɛʑe33*βɽgjat
brgyad
'9'ku13ɡɯ31kṳgugugu55kṳ̀ɦgɘ33*dgu
dgu
'10'ʨu53ʨɯ53tɕuʦutʰambaːʧúʦi55tʰɑm11ba11ʨʉ̄ʨɘʨə55*ɸʨu
btšu



수사 발음에는 대체로 성조가 있다.

동부, 중부 티베트 언어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GLOSA종카-라카발티-라닼스삐티브호띠
종카시킴발띠챵탕라다크뿌릭장스까리
'1'ʨíʧiʧikʧikʧikʧikʧiʔʧík
'2'ɲíniɲisɲisɲisɲisɲiːɲiː
'3'súmsúmxsumsumsumsumsumsúm
'4'ʃi̤ʒeβʒiziziʒiʒiʒì
'5'ŋəŋaɣɑŋaʂŋaʂŋəŋaŋá
'6'dʑotʰutrukɖrukʈukʈukʈuʔʈùk
'7'ty̤nβdundunrdunrdunðundùn
'8'kæ̤βgyʌtgʲatrgʲatrgyətʝətɟèt
'9'kṳgorgugurgurguɣu
'10'ʨu tʰamʧɔːmbaɸʧuʧurʧurčuʧuʧú


참조

[1] 서적 The Tibetic languages and their classification Mouton de Gruyter
[2] 서적 Trans-Himalayan Linguistics: Historical and Descriptive Linguistics of the Himalayan Area http://www.nicolas-t[...] De Gruyter
[3] 간행물 On the origins of Tibetan http://hdl.handle.ne[...] Kyoto University
[4] 서적 On the position of Báimǎ within Tibetan
[5] 서적 The Tibetic languages and their classification Mouton de Gruyter
[6] 서적 Chomolangma, Demawend und Kasbek: Festschrift für Roland Bielmeier zu Seinem 65. Geburtstag, Vol. 1 http://tournadre.nic[...] International Institute for Tibetan and Buddhist Studies
[7] 웹사이트 Gser-Rdo: A New Tibetic Language Across the Rngaba-Dkarmdzes Border https://www.academia[...]
[8] 간행물 L'aire linguistique tibétaine et ses divers dialectes http://tournadre.nic[...]
[9] 서적 Hexi Zoulang binwei Zangyu Dongnahua yanjiu 河西走廊濒危藏语东纳话研究 Zhongshan University Publishing House 中山大学出版社
[10] 웹사이트 The Tibetan Dialects http://www.isw2.unib[...]
[11] 서적 Ethnic Groups of North, East, and Central Asi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4-05-12
[12] 웹사이트 China http://www.ethnologu[...] 2016
[13] 웹사이트 Bodish Numerals (Eugene Chan) http://lingweb.eva.m[...]
[14] 서적 Chomolangma, Demawend , Kasbek: Festschrift für Roland Bielmeier zu seinem 65. Geburtstag http://www.nicolas-t[...]
[15] 서적 Evidence and Counter-Evidence
[16] 간행물 L'aire linguistique tibétaine et ses divers dialectes http://www.nicolas-t[...]
[17] 서적 Trans-Himalayan Linguistics: http://glottolog.org[...] De Gruyter Mouton
[18] 웹사이트 The Tibetan Dialects http://www.isw2.unib[...]
[19] 논문 現代チベット語方言の分類 https://doi.org/10.1[...] 1987-03
[20] 웹사이트 Bodish Numerals (E. Chan) http://lingweb.eva.m[...] 2014-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