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사형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의 사형제는 살인, 강간, 테러 등 몽골 법률에 규정된 범죄에 대해 적용되었으며, 18세에서 60세 사이의 남성에게만 집행되었다. 과거에는 나무 상자에 가두어 굶겨 죽이는 형벌이 있었으나, 근현대에는 총살형으로 대체되었다. 몽골은 사형 집행 사실을 비밀리에 부쳐왔으며, 2007년 45명이 사형 선고를 받았고, 2008년 5명이 집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2009년 대통령의 모라토리엄 선언 이후, 2012년 국회에서 사형제 폐지를 공식화했고, 2015년 법률에서 사형 조항이 삭제되었으며, 2017년 완전 폐지되었다. 이후 사형제 부활 시도가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법 - 야삭
야사는 칭기즈 칸이 선포한 몽골 제국의 법률, 칙령, 관습을 아우르는 용어로, '정돈하다'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으며 몽골 사회 구성원을 위한 규범을 담고 있다. - 나라별 사형제 - 일본의 사형제
일본의 사형제도는 5세기부터 시작되어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현재 형법은 특정 범죄에 대해 사형을 규정하고 법무대신 명령에 따라 집행되지만, 제도 운영에 대한 비판과 존폐 논쟁이 지속적으로 존재한다. - 나라별 사형제 - 사우디아라비아의 사형제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슬람 율법에 기반하여 살인, 테러, 마약 범죄 등에 사형을 집행하며, 국제 인권 단체로부터 사법 절차와 인권 문제에 대한 비판을 받는 사형 집행 건수가 많은 국가이다. - 사형 - 교수형
교수형은 목에 밧줄을 매달아 사망에 이르게 하는 형벌로, 뇌허혈이나 연수 손상을 유발하며, 고통이 적은 사형 방법으로 여겨지지만 질식, 목 절단 등의 사고와 비인도적인 논란이 있어 사형 제도와 함께 감소하는 추세이다. - 사형 - 십자가형
십자가형은 고대 로마에서 사용된 사형 방식으로, 십자가에 못 박아 공개 처형하는 잔혹한 형벌로, 주로 노예나 반란자에게 적용되었으며 질식이나 심부전 등으로 사망에 이르게 했다.
몽골의 사형제 | |
---|---|
개요 | |
상태 | 법적으로 폐지됨 |
마지막 사형 집행 | 1987년 |
역사 | |
마지막 사형 집행 연도 | 1987년 |
사형 폐지 | 2010년 |
관련 법률 | |
형법 조항 | 모든 범죄에 대해 사형 폐지 |
비준 |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 의정서 |
2. 몽골의 사형제 역사
몽골은 사형제도가 폐지되기 전 살인죄, 강간죄, 테러범죄 등 몽골 법률에 있는 범죄로 사형에 처할 수 있었다. 연령은 18세부터 60세까지의 남성만 집행될 수 있었고, 여성에게는 사형에 처하진 않았다.[3]
과거 20세기 초만 하더라도 나무상자에 감금하여 굶겨 죽이는 방법이었다. 이후 근.현대에 들어서 총살형으로 대체하였고, 폐지하기 전까지 사용하였다.
국제앰네스티에 따르면 몽골은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와 마찬가지로 비밀리에 사형을 집행했다. 또한 집행 날짜, 매장지 등 수형자 가족에게는 알려주지 않았다. 2007년에 몽골에서 사형이 선고된 사람은 45명이지만 당국에 의해 집행 횟수를 공개하진 않는다. 2008년 5명의 사형수가 사형이 집행된 것으로 추측된다.[4]
2. 1. 20세기 초: 나무 상자 형벌
20세기 초 몽골에서는 죄수를 나무 상자에 가두어 굶겨 죽이는 방식의 사형이 존재했다.[3] 이는 불법 감금의 형태로, 굶주림을 통해 죄수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잔혹한 방법이었다.[3]이러한 방식은 당시 몽골 사회의 인권 의식 부재를 보여주는 사례이며, 오늘날 국제 인권 기준에 비추어 볼 때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2. 2. 근현대: 총살형
몽골은 사형제도가 폐지되기 전 살인죄, 강간죄, 테러범죄 등 몽골 법률에 있는 범죄로 사형에 처할 수 있었다. 연령은 18세부터 60세까지의 남성만 집행될 수 있었고, 여성에게는 사형에 처하진 않았다.[3]과거 20세기 초만 하더라도 나무상자에 감금하여 굶겨 죽이는 방법이었다.
이후 근현대에 들어서 총살형으로 대체하였고, 폐지하기 전까지 사용하였다.
국제앰네스티에 따르면 몽골은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와 마찬가지로 비밀리에 사형을 집행했다.[4] 또한 집행 날짜, 매장지 등 수형자 가족에게는 알려주지 않았다. 2007년에 몽골에서 사형이 선고된 사람은 45명이지만 당국에 의해 집행 횟수를 공개하진 않는다. 2008년 5명의 사형수가 사형이 집행된 것으로 추측된다.[4]
2. 3. 사형 집행의 비밀성
몽골은 사형제도가 폐지되기 전 살인죄, 강간죄, 테러범죄 등 몽골 법률에 있는 범죄로 사형에 처할 수 있었다. 연령은 18세부터 60세까지의 남성만 집행될 수 있었고, 여성에게는 사형에 처하진 않았다.[3] 과거 20세기 초만 하더라도 나무상자에 감금하여 굶겨 죽이는 방법이었다. 이후 근.현대에 들어서 총살형으로 대체하였고, 폐지하기 전까지 사용하였다. 국제앰네스티에 따르면 몽골은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와 마찬가지로 비밀리에 사형을 집행했다. 또한 집행 날짜, 매장지 등 수형자 가족에게는 알려주지 않았다.[4] 2007년에 몽골에서 사형이 선고된 사람은 45명이지만 당국에 의해 집행 횟수를 공개하진 않는다. 2008년 5명의 사형수가 사형이 집행된 것으로 추측된다.[4] 이러한 국제앰네스티는 이러한 비밀주의가 사형수와 그 가족들의 인권을 침해한다고 지적했다.3. 사형제 폐지 과정
2009년 6월, 차히아깅 엘벡도르지 대통령이 사형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사형 집행에 대해 모라토리엄을 부과하기 시작했다.[5][6] 이후 차히아깅 엘벡도르지 대통령은 사형 선고를 받은 모든 사람들을 사면하였고, 사형 대신 징역 30년형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5][6] 2012년 1월 5일 국회 과반수가 찬성하여 최초로 사형제 폐지를 공식화하였다.[5][6] 2015년 법률에서 사형 조항을 삭제하였고,[5][6] 2017년 정부는 공식적으로 모든 범죄에 대해 사형을 폐지하였다.[5][6]
폐지 이후, 2017년과 2018년 할트마깅 바톨가 대통령과 참모진이 사형제도를 부활 해줄 것을 국회에 제안했으나 이후 무산되었다.[5][6]
3. 1. 엘벡도르지 대통령의 모라토리엄 선언 (2009)
2009년 6월, 차히아깅 엘벡도르지 대통령은 사형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사형 집행에 대해 모라토리엄을 부과했다.[5][6] 이후 엘벡도르지 대통령은 사형 선고를 받은 모든 사람들을 사면하였고, 사형 대신 징역 30년형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5][6]3. 2. 국회의 사형제 폐지 결의 (2012)
2009년 6월, 차히아깅 엘벡도르지 대통령이 사형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사형 집행에 대해 모라토리엄을 부과하기 시작했다.[5][6] 이후 차히아깅 엘벡도르지 대통령은 사형 선고를 받은 모든 사람들을 사면하였고, 사형 대신 징역 30년형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5][6] 2012년 1월 5일 국회 과반수가 찬성하여 최초로 사형제 폐지를 공식화하였다.[5][6] 이는 몽골 사회의 인권 의식 성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며, 국제사회의 사형제 폐지 추세에 발맞춘 결정이었다.3. 3. 법률 개정 및 완전 폐지 (2015-2017)
2009년 6월, 차히아깅 엘벡도르지 대통령은 사형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사형 집행에 대해 모라토리엄을 부과하기 시작했다.[5] 이후 엘벡도르지 대통령은 사형 선고를 받은 모든 사람들을 사면하였고, 사형 대신 징역 30년형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5] 2012년 1월 5일 국회 과반수가 찬성하여 최초로 사형제 폐지를 공식화하였다.[5] 2015년 법률에서 사형 조항을 삭제하였고,[5] 2017년 정부는 공식적으로 모든 범죄에 대해 사형을 폐지하였다.[6]폐지 이후, 2017년과 2018년 할트마깅 바톨가 대통령과 참모진이 사형제도를 부활 해줄 것을 국회에 제안했으나 이후 무산되었다.[5]
3. 4. 사형제 부활 시도와 무산
차히아깅 엘벡도르지 대통령이 사형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사형 집행에 대해 모라토리엄을 부과하기 시작했다.[5][6] 이후 차히아깅 엘벡도르지 대통령은 사형 선고를 받은 모든 사람들을 사면하였고, 사형 대신 징역 30년형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 2012년 1월 5일 국회 과반수가 찬성하여 최초로 사형제 폐지를 공식화하였다. 2015년 법률에서 사형 조항을 삭제하였고, 2017년 정부는 공식적으로 모든 범죄에 대해 사형을 폐지하였다.폐지 이후, 2017년과 2018년 할트마깅 바톨가 대통령과 참모진이 사형제도를 부활 해줄 것을 국회에 제안했으나 이후 무산되었다.[5][6]
4. 사형제 폐지의 의의와 영향
4. 1. 몽골의 인권 개선
4. 2. 국제사회의 사형제 폐지 추세 강화
참조
[1]
뉴스
엠네스티 "전 세계 사형 집행 4% 감소…사형 폐지 106개국"
https://www.newsis.c[...]
뉴시스
2018-04-12
[2]
웹사이트
http://www.asiapacif[...]
[3]
간행물
Press Release
http://www.unhchr.ch[...]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mmission
2000-03-22
[4]
웹인용
Amnesty International │ Working to Protect Human Rights
http://web.amnesty.o[...]
2004-06-26
[5]
뉴스
엠네스티 "전 세계 사형 집행 4% 감소…사형 폐지 106개국"
https://www.newsis.c[...]
뉴시스
2018-04-12
[6]
뉴스
몽골 국민들 “사형제 폐지는 잘한 일” 여겨
https://news.cpbc.co[...]
cpbc뉴스
2023-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