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성 권설 내파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권설 내파음은 조음 방법, 조음 위치, 발성 측면에서 특징을 갖는 자음의 한 종류이다. 내파음의 조음 방법은 성문을 닫거나 혀를 뒤로 당겨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며, 권설음은 혀끝을 입천장 뒤쪽으로 말아 올려 소리를 낸다. 무성음은 성대의 진동 없이 소리 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 소리는 에티오피아의 오로모어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응기티어에서 보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파음 - 유성 치경 내파음
    유성 치경 내파음은 혀의 끝과 잇몸으로 조음되는 유성음이며, 후두를 하강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내파음이자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 통하는 통로를 막는 구강음이다.
  • 내파음 - 유성 경구개 내파음
    유성 경구개 내파음은 국제 음성 기호 ʄ로 표기되며, 경구개와 혀 앞부분을 사용하여 조음하고 후두를 하강시켜 소리를 내는 유성 내파음의 일종이다.
  • 권설음 - 유성 권설 마찰음
    유성 권설 마찰음은 혀를 말아 올려 치경 후부에서 조음하는 유성 권설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로는 [ʒ˞]로 표기하며 러시아어, 중국어, 폴란드어 등에서 나타난다.
  • 권설음 - 무성 권설 마찰음
    무성 권설 마찰음은 혀끝을 말아 올려 입천장 앞부분에서 공기를 마찰시켜 내는 무성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로 [ʂ]로 표기되며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지만 발음 방식과 빈도는 언어 및 방언에 따라 다르다.
무성 권설 내파음
음성학 정보
무성 권설 내파음
IPA 유니코드 1xDF09
IPA 기호ᶑ̥
IPA 기호 2𝼉
무성 권설 내파음
앵브르 IPAᶑ̥
앵브르 IPA 2ʈʼ↓
앵브르 IPA 3𝼉
IPA 표기ƭ̢
IPA 표기 (자음)1

2. 특징


  • 닿소리가 혀끝과 윗잇몸, 또는 혀끝을 말아 올려 입천장(경구개 또는 연구개)에 닿아서 만들어진다.
  • 혀의 움직임은 권설음이다.
  • 성대의 울림을 수반하지 않는 무성 단음이다.
  •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강음이다.
  • 혀의 중앙으로 공기가 새어나가는 중설음이다.
  • 성대를 닫은 상태에서 허파로부터 공기를 강하게 밀어넣어, 닫힌 성대가 순간적으로 열리면서 나는 내파음이다.

3. 발생

오로모어[1] 콩고 민주 공화국의 응기티어에서 보고되었다.[2]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오로모어[1]aadh'aaadh'a|하ː다om어머니는 대개 유성음 이며, 모음 사이에서는 로 약화될 수 있다.[3] 오로모어 참조.
응기티어[4]/ɓ ᶑ ʄ ɓ̥ ᶑ̥ ʄ̥/와 대조된다.


참조

[1] 기타 Some aspects of Oromo phonology http://krex.k-state.[...] 1980
[2] 학위논문 Ngiti: a Central-Sudanic language of Zaire Rüdiger Köppe Verlag 1994
[3] 기타 1997
[4] 학위논문 Ngiti: a Central-Sudanic language of Zaire Rüdiger Köppe Verlag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