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설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설음은 혀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며, 혀끝, 혀날, 또는 혀 아랫면을 사용하여 발음된다.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는 치경 자음 기호에 오른쪽 갈고리를 추가하여 표기하며,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특히 인도아리아어족, 드라비다어족,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등에서 흔히 발견되며,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한국어에는 권설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음 위치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조음 위치 - 양순음
양순음은 국제 음성 기호에서 두 입술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자음을 의미하며,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전 세계 언어의 대부분에서 나타난다. - 권설음 - 유성 권설 마찰음
유성 권설 마찰음은 혀를 말아 올려 치경 후부에서 조음하는 유성 권설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로는 [ʒ˞]로 표기하며 러시아어, 중국어, 폴란드어 등에서 나타난다. - 권설음 - 무성 권설 마찰음
무성 권설 마찰음은 혀끝을 말아 올려 입천장 앞부분에서 공기를 마찰시켜 내는 무성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로 [ʂ]로 표기되며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지만 발음 방식과 빈도는 언어 및 방언에 따라 다르다. - 자음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자음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권설음 | |
---|---|
음성학적 정보 | |
조음 위치 | 권설음 |
조음 방법 | 자음 |
영어 명칭 | Retroflex consonant, apico-domal consonant, cacuminal consonant, cerebral consonant |
예시 | |
스웨덴어 | [vɛː.neɳ] |
스웨덴어 (다른 예시) | [ɲɑ.ʈɑŋ] |
노르웨이어 | [nuːɖ] |
중국어 (표준 중국어) | [ʂɑŋ˥˩.xaɪ˨˩˦] |
러시아어 | [izəbra:ʐɪnɪjə] |
중국어 (표준 중국어, 권설 파찰음) | [ʈʂ͡ʊŋ˥.ku̯ɔ˧˥] |
크메르어 (권설 파찰음) | [kambɔɖʐ͡a] |
타밀어 | [tæmɪɻ] |
말라얄람어 | [pʰəɭ] |
오리야어 | [ʃáːɽa] |
2. 정의 및 분류
권설음은 혀의 모양, 닿는 위치, 기류의 흐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혀끝이 뒤로 말려 올라가는 독특한 발음이 특징이다.
다른 설단 자음과 마찬가지로, 권설음은 혀를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혀는 평평하거나, 안으로 오목하거나, 혀끝이 뒤로 말려 있을 수 있다. 혀가 닿는 부분은 혀끝(apical), 혓날(laminal), 또는 혀 아랫면(subapical)일 수 있다. 입천장에서 혀가 닿는 부분은 치경(alveolar), 치경 뒤쪽(postalveolar), 또는 경구개(palatal)일 수 있다.[1][2][3]
치찰음(fricative 또는 affricate)과 비치찰음(nasal, lateral, rhotic) 자음 모두 권설 발음을 가질 수 있다. 치찰음의 경우, 혀의 모양과 위치의 작은 변화가 소리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다양한 조합이 나타난다. 권설음은 일반적으로 다른 치조음이나 후치조음보다 더 둔하고 낮은 음조를 띤다. 특히 치조 치찰음이 그러하다. 입천장과의 접촉점이 뒤로 갈수록 혀의 모양이 더 오목해지고 소리가 더 둔해지며(음조가 낮아짐), 설단 하 자음이 가장 극단적이다.
권설음은 입의 같은 부분에서 만들어지는 다른 자음과 구별해야 한다.
- 경구개-치경 자음(예: ʃ, ʒ): 영어 단어 "ship", "chip", "vision"에서 발생하는 "sh", "ch", "zh"
- 치경-구개 자음(예: ɕ, ʑ): 중국어의 "j, q, x"
- 배면 자음의 구개 자음(예: ç, ʝ, ɲ): 독일어의 "ich"의 "ch" (ç) 또는 스페인어의 "año"의 "ñ" (ɲ)
- 구(溝)화된 치경 자음(예: s, z): 영어 단어 "sip"와 "zip"에서 발생하는 "s"와 "z"
위의 처음 세 종류의 소리는 혀의 모양이 볼록하며, 이는 추가적인 2차 조음인 구개음화를 부여한다. 마지막 유형은 혀의 중앙선을 따라 홈이 있어 강한 '쉬' 하는 소리를 낸다. 그러나 권설음은 평평하거나 오목한 모양을 가지며 관련 구개음화가 없고 혀를 따라 홈이 없다. '권설음'이라는 용어는 문자 그대로 '뒤로 굽힘'(오목)을 의미하지만, 평평한 혀 모양의 자음도 일반적으로 권설음으로 간주된다.
구개수 근접음은 네덜란드어 북부 방언과 일부 미국 영어 방언에서 발견되며, 음향학적으로 권설 근접음과 유사하다. 이는 혀의 몸통이 연구개에서 뭉쳐서 조음된다.
오래된 서적에서는 권설음을 '정음'(cerebral 또는 cacuminal)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는 인도의 전통적인 음성학에서 권설을 의미하는 mūrdhan(머리, 두개골)의 직역이지만, 조음 위치와 무관하므로 언어학 용어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2. 1. 혀의 모양과 위치에 따른 분류
권설음은 혀끝(apical), 혓날(laminal), 혀 아랫면(subapical) 중 어느 부분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혀가 평평한지, 오목한지, 뒤로 말려 있는지에 따라서도 소리가 달라진다. 입천장에 닿는 위치는 치경(alveolar), 후치경(postalveolar), 경구개(palatal) 등으로 나뉜다.[1][2][3]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주요 조합은 다음과 같다.
- 평평한 혀를 가진 설단 후치조음: 폴란드어의 'cz, sz, ż (rz), dż'에서 나타난다.
- 약간 오목한 혀를 가진 설단 후치조음: 중국어 만다린어의 'zh, ch, sh, r', 힌디어 및 기타 인도아리아어족에서 나타난다.
- 매우 오목한 혀를 가진 설단 하 구개음: 드라비다어족과 일부 인도아리아어족에서 나타난다.
레이데포지드와 매디슨은 혀날 후치조음을 "평평한 후치조음"이라고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4]
조음 위치에 따른 명명 원칙에 따르면, '''설단전부 경구개음'''(sublamino-prepalatal)[15] 및 '''설단후부 치경음'''(sublamino-postalveolar)이 해당된다. 설단후부 치경음은 '''설단 후부 치경음'''이라고도 한다.[16]
정확한 조음 부위는 언어에 따라 다르다. 말라얄람어와 같은 남인도어의 경우 혀끝을 잇몸 뒤쪽에 붙인 후, 떼지 않고 구강 안쪽으로 이동시켜 경구개가 움푹 들어간 곳까지 갔을 때 멈춘다. 힌두어 등 북인도어에서는 혀끝과 잇몸의 가장 솟아오른 부분보다 약간 뒤쪽 부분으로 조음된다. 혀끝은 윗니에서 떨어져 혀의 중앙부가 양쪽을 향해 움푹 들어간 형태가 된다.[17]
중국어 북경어의 권설음이나 러시아어의 ш|shru 등은 실제로는 혀가 말려 있지 않다.[18] 폴란드어의 권설음은 혀끝 또는 혀의 앞부분 소리로, 혀는 평평하며 아마도 뒤로 물러나 있으며, 입술의 둥글림과 내밈을 동반한다.[19] 라디포기드 등에 따르면 중국어와 폴란드어의 것은 권설음이라고 부를 것이 아니라 혀가 평평한 혀끝 후치경음이라고 한다.[20]
2. 2. 기류의 흐름에 따른 분류
권설음은 기류가 혀의 중앙으로 흐르는지, 측면으로 흐르는지에 따라 중앙성(central) 권설음과 설측성(lateral) 권설음으로 나뉜다. 기류가 막혔다가 터지는지, 좁은 틈으로 흐르는지, 자유롭게 흐르는지에 따라 파열음, 마찰음, 접근음 등으로 나뉜다.[1][2][3][4]3. 상세 종류
권설음은 다른 설단 자음과 마찬가지로 혀의 모양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입천장의 접촉점은 치조제, 치조제 뒤쪽, 또는 경구개일 수 있다. 치찰음과 비치찰음(파열음, 비음, 설측음, r음) 자음 모두 권설 발음을 가질 수 있다.[1][2][3]
치찰음에서 다양한 조합이 발생하는데, 혀의 모양과 위치의 작은 변화가 소리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권설음은 일반적으로 다른 치조음 또는 후치조음보다 더 둔하고 낮은 음조를 가지며, 특히 치찰음이 그렇다. 입천장과의 접촉점이 뒤로 갈수록 혀의 모양이 더 오목해지고 소리가 더 둔해지며(음조가 낮아짐), 설단 하 자음이 가장 극단적이다.[4]
권설음은 입의 같은 부분에서 만들어지는 다른 자음과 구별되어야 한다.
- 경구개-치경 자음(예: 영어 단어 "ship", "chip", "vision"에서 발생하는 "sh", "ch", "zh")
- 치경-구개 자음(예: 중국어의 "j, q, x")
- 배면 자음의 구개 자음(예: 독일어의 "ich"의 "ch" 또는 스페인어의 "año"의 "ñ")
- 구(溝)화된 치경 자음(예: 영어 단어 "sip"와 "zip"에서 발생하는 "s"와 "z")
위의 처음 세 종류의 소리는 혀의 모양이 볼록하며, 이는 추가적인 2차 조음인 구개음화를 부여한다. 마지막 유형은 혀의 중앙선을 따라 홈이 있어 강한 '쉬' 하는 소리를 낸다. 그러나 권설음은 평평하거나 오목한 모양을 가지며 관련 구개음화가 없고 혀를 따라 홈이 없다. '권설음'이라는 용어는 문자 그대로 '뒤로 굽힘'(오목)을 의미하지만, 평평한 혀 모양의 자음도 일반적으로 권설음으로 간주된다.
구개수 근접음은 네덜란드어 북부 방언과 일부 미국 영어 방언에서 발견되며, 음향학적으로 권설 근접음과 유사하다. 이는 혀의 몸통이 연구개에서 뭉쳐서 조음된다.
3. 1. 혀의 모양과 위치
혀는 평평하거나 안으로 오목할 수 있으며, 심지어 혀끝이 뒤로 말려 있을 수도 있다. 혀의 접촉점은 혀끝(apical), 혓날(laminal), 또는 혀의 아랫면(subapical)일 수 있다.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주요 조합은 다음과 같다.
- 평평한 혀를 가진 설단 후치조음: 폴란드어의 ''cz, sz, ż (rz), dż''에서 나타난다.
- 약간 오목한 혀를 가진 설단 후치조음: 중국어 만다린어의 ''zh, ch, sh, r'', 힌디어 및 기타 인도아리아어족에서 나타난다.[1][2]
- 매우 오목한 혀를 가진 설단 하 구개음: 특히 드라비다어족과 일부 인도아리아어족에서 나타난다. 이들은 가장 둔하고 낮은 음조를 띤다.[3]
설단 하 소리는 혀의 말린 모양 때문에 때때로 "진정한 권설음"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정확한 조음 부위는 언어에 따라 다르다. 말라얄람어와 같은 남인도어의 경우 혀끝을 잇몸 뒤쪽에 붙인 후, 떼지 않고 구강 안쪽으로 이동시켜 경구개가 움푹 들어간 곳까지 갔을 때 멈춘다. 힌두어 등 북인도어에서는 혀끝과 잇몸의 가장 솟아오른 부분보다 약간 뒤쪽 부분으로 조음된다. 혀끝은 윗니에서 떨어져 혀의 중앙부가 양쪽을 향해 움푹 들어간 형태가 된다.[17]
중국어 북경어의 권설음이나 러시아어의 ш|shru 등은 실제로는 혀가 말려 있지 않다.[18] 폴란드어의 권설음은 혀끝 또는 혀의 앞부분 소리로, 혀는 평평하며 아마도 뒤로 물러나 있으며, 입술의 둥글림과 내밈을 동반한다.[19]
3. 2. 조음 방법
IPA | 명칭 | 예시 | |||
---|---|---|---|---|---|
언어 | 정자법 | IPA | 의미 | ||
무성 권설 파열음 | 힌디어 | छोटा (choṭā) | 작은 | ||
유성 권설 파열음 | 스웨덴어 | nord | 북 | ||
권설 비음 | 펀자브어 | ਪਾਣੀ (pṇī) | 물 | ||
무성 권설 마찰음 | 중국어 | 上海(Shànghǎi) | 상하이 | ||
유성 권설 마찰음 | 러시아어 | жаба (zhaba) | 두꺼비 | ||
무성 권설 파찰음 | 중국어 | 中国、中國 (Zhōngguó) | 중국 | ||
style="font-size: 120%;" | | 유성 권설 파찰음 | 폴란드어 | dżem | 잼 | |
권설 접근음 | 타밀어 | தமிழ் (Tamiḻ) | 타밀어 | ||
권설 탄음 | 힌디어 | पहाड़ (pahāṛ) | 산 | ||
권설 설측 접근음 | 한국어 | 말한국어 (mal) | 말 | ||
권설 설측 탄음 | 파슈토어 | ړوند | 맹목 | ||
권설 흡착음 | 쿵어족 | 물 |
4. 표기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권설 자음 기호는 일반적으로 치경 자음과 동일하지만, 기호 아래에 오른쪽을 향하는 갈고리가 추가된다.
혀가 경구개보다는 치경 또는 후치경 영역에 닿는 더 앞선 조음을 가진 자음은 후퇴 기호(아래 빼기 기호)로 표시될 수 있다.
조음 위치에 따른 명명 원칙에 따르면, '''설단전부 경구개음''' 및 '''설단후부 치경음'''이 해당된다. 설단후부 치경음은 '''설단 후부 치경음'''이라고도 한다. 후치경음의 일종이 될 터이나, 음성학에서는 전통적으로 후치경음이라고 하면 설단으로 조음되는 음만을 가리키며, 권설음과는 구별된다.
오래된 서적에서는 '''정음'''(cerebral 또는 cacuminal)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이는 인도의 전통적인 음성학에서 권설을 의미하는 mūrdhan(머리, 두개골)의 직역이지만, 조음 위치와 무관하므로, 언어학 용어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4. 1. 국제 음성 기호 (IPA)
IPA | 설명 | 언어 | 정서법 | IPA | 의미 |
---|---|---|---|---|---|
무성 권설 비음 | 이아이어[5] | hnrathu|흐나라투iai | 추운 | ||
rowspan="2" | | 유성 권설 비음 | 펀자브어 | ਗਾਣਾ / گاݨا|가나pa | 노래 | |
텔루구어 | పణము|파나무te | 말뚝, 내기 | |||
rowspan="2" | | 무성 권설 파열음 | 힌디어/우르두어 | टांग / ٹانگ|탕hi | 다리 | |
텔루구어 | టెక్కెము|테케무te | 배너, 깃발 | |||
rowspan="3" | | 유성 권설 파열음 | 소말리아어 | Bandhig|반디그so | 발표 | |
힌디어/우르두어 | डब्बा / ڈبا|다바hi | 상자 | |||
텔루구어 | డగ్గర|다가라te | 환영, 유령 | |||
무성 권설 파찰음 | 토르왈리어 | ڇووو|추우우trw | 꿰매다 | ||
유성 권설 파찰음 | 이족어 | ꎐ|르ii/ | 이 | ||
rowspan="3" | | 무성 권설 마찰음 | 중국어(만다린) | 上海|상하이중국어() | 상하이 | |
산스크리트어 | भाषा|바샤sa | 언어 | |||
텔루구어 | మిష|미샤te | 구실 | |||
rowspan="2" | | 유성 권설 마찰음 | 러시아어 | жаба|자바ru | 두꺼비 | |
폴란드어 | żaba|자바pl | 개구리 | |||
무성 권설 비시비란트 마찰음 | 오르무리어[6] | colspan=3 | | |||
유성 권설 비시비란트 마찰음 | 영어(동케이프)[7] | red|레드영어 | 빨간 | ||
유성 권설 접근음 | 타밀어 | தமிழ்|타밀ta | 타밀 | ||
rowspan="3" | | 유성 권설 설측 접근음 | 타밀어 | ஆள்|알ta | 사람 | |
텔루구어 | నెళవు|넬라부te | 친밀함, 지인 | |||
스웨덴어 | Karlstad|칼스타드sv | 칼스타드 | |||
무성 권설 탄음 | 디베히어 | colspan=3 | | |||
rowspan="2" | | 유성 권설 탄음 | 하우사어 | shaara|샤아라ha | 청소 | |
힌디어/우르두어 | कीचड़ / کیچڑ|키차르hi | 진흙 | |||
무성 권설 떨림음 | 디베히어[8] | colspan=3 | | |||
유성 권설 떨림음 | 윈투어[9] | boloy noṛ-toṛoṛ|볼로이 노르-토로르win | 캘리포니아 헤이포크에서 캘리포니아 하임폼까지 이어진 길의 능선 | ||
() | 무성 권설 설측 탄음 | 와기어 | colspan=3 | | ||
() | 유성 권설 설측 탄음 | 파슈토어 | ړوند|룬드ps | 맹인 | |
마라티어 | बाळ|발mr | 아기 | |||
() | 무성 권설 설측 마찰음 | 토다어 | pü·ł̣|퓌tcx | 여름 | |
() | 유성 권설 설측 마찰음 | 아오어[10] | colspan=3 | | ||
() | 무성 권설 설측 파찰음 | 바다르와히어 | ट्ळा|틀라bhd | 셋 | |
() | 유성 권설 설측 파찰음 | 바다르와히어 | हैड्ळ|하이들라bhd | 강황 | |
권설 방출 파열음 | 요쿠츠어 | ṭʼa∙yʼ|타이yok | 솜털 | ||
권설 방출 파찰음 | 그위친어 | etrʼuu|에트루우gwi | 북극 제비갈매기 | ||
() | 무성 권설 내파음 | 은기티어 | colspan=3 | | ||
유성 권설 내파음 | 응가다어 | modhe|모데ncd | 좋은 | ||
권설 클릭음 | 중부 !쿵어 | 물 |
4. 2. 다른 표기법
일부 언어학자들은 혀를 뒤로 말아 경구개에 닿는 설단 경구개 조음을 가진 자음에 대해서만 이 기호를 사용하고, 치경 조음의 설단 후치경 조음에는 구식 IPA 하점 기호가 있는 치경 기호를 사용한다. ṭ, ḍ, ṇ, ṣ, ẓ, ḷ, ɾ̣, ɹ̣|ㅌ, ㄷ, ㄴ, ㅅ, ㅈ, ㄹ, ɾ, ɹ영어 그리고 폴란드어와 러시아어처럼 설측 반전음을 위해 ᶘ, ᶚ|ᶘ, ᶚ영어를 사용한다.[11]5. 언어별 분포
전 세계 언어의 약 20%가 권설음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절반가량은 권설 유성음만 가지고 있고 나머지는 대부분 파열음과 유성음을 모두 가지고 있다.[12]
권설 자음은 인도아리아어와 드라비다어를 포함한 인도 아대륙에 집중되어 있으며, 문다어 및 부루샤스키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서도 발견된다. 아프가니스탄 동부의 누리스탄어와 파슈토어, 와키어, 상글레치-이슈카쉬미어, 문지어-이드가어와 같은 동부 이란어에서도 흔히 사용된다. 중국어, 자바어, 베트남어와 같은 다른 아시아 언어에서도 나타난다.
오스트레일리아 언어와 서태평양(특히 뉴칼레도니아)의 대부분 언어는 권설 파열음, 비음, 접근음을 가지고 있다.
유럽 언어에서는 비교적 드물지만, 북유럽의 스웨덴어 및 노르웨이어, 남유럽의 일부 로망스어 (사르데냐어, 시칠리아어, 칼라브리아 방언 및 살렌토 방언 포함), 이탈리아의 루니자나 방언, 스페인의 일부 아스투리아스어 방언과 (치찰음만 해당) 페로어, 그리고 여러 슬라브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 슬로바키아어, 소르브어)에서 나타난다.
권설 접근음 은 특히 미국 중서부의 많은 미국 영어 방언에서 나타난다.
권설 자음은 남아메리카의 극남부, 미국 남서부의 호피어 및 오오담어, 알래스카와 유콘 준주의 아타바스카어 그위친어 및 헨어를 제외하고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아프리카 언어에서도 드물지만, 몇몇 닐-사하라어족, 반투어 마쿠와어 및 다른 변종에서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 에티오피아 남서부에서는 변별적인 권설 자음이 벤치어와 셰코어에서 발견된다.[13]
국제 음성 기호 협회는 여러 권설 자음을 암시하고 있다. 이 소리들의 대부분은 흔하지 않지만 모두 발생한다.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의 이와이쟈어는 권설 측음 플랩 뿐만 아니라 권설 탭 과 권설 설측 접근음 을 가지고 있으며, 드라비다어 토다어는 무성 권설 측 마찰음 과 권설 트릴 을 가지고 있다. 플로레스섬의 응아다어는 권설 내파음 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아치경 권설 클릭은 중앙 !쿵에서 발생하며,[14] 다민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권설음을 나타내는 기호는 다음과 같다.
IPA | 명칭 | 언어 | 정자법 | IPA | 의미 |
---|---|---|---|---|---|
권설 비음 | 펀자브어 | ਪਾਣੀ (pṇī) | 물 | ||
무성 권설 파열음 | 힌디어 | छोटा (choṭā) | 작은 | ||
유성 권설 파열음 | 스웨덴어 | nord | 북 | ||
무성 권설 마찰음 | 중국어 | 上海(Shànghǎi) | 상하이 | ||
유성 권설 마찰음 | 러시아어 | жаба (zhaba) | 두꺼비 | ||
무성 권설 파찰음 | 중국어 | 中国、中國 (Zhōngguó) | 중국 | ||
유성 권설 파찰음 | 폴란드어 | dżem | 잼 | ||
권설 접근음 | 타밀어 | தமிழ் (Tamiḻ) | 타밀어 | ||
권설 설측 접근음 | 한국어 | 말한국어 (mal) | 말 | ||
권설 탄음 | 힌디어 | पहाड़ (pahāṛ) | 산 | ||
권설 흡착음 | 쿵어족 | 물 | |||
권설 설측 탄음 | 파슈토어 | ړوند | 맹목 |
5. 1. 인도아리아어족
힌디어हिन्दीhi, 우르두어اردوur, 펀자브어ਪੰਜਾਬੀpa 등 인도아리아어에서 사용되는 권설음 기호는 다음과 같다.
5. 2. 드라비다어족
தமிழ்|타밀ta어, తెలుగు|텔루구te어, മലയാളം|말라얄람ml어 등 드라비다어족에는 권설 자음이 많이 나타난다.[12]5. 3.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Iwaidja영어어와 같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의 오스트레일리아 언어는 권설 측음 플랩뿐만 아니라 권설 탭과 권설 설측 접근음을 가지고 있다.[13]5. 4. 기타 언어
중국어중국어 (만다린), 러시아어, 폴란드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등에서 권설음이 나타난다.중국어 북경어의 권설음이나 러시아어의 шru 등은 실제로는 혀가 말려 있지 않다.[18] 폴란드어의 권설음은 혀끝 또는 혀의 앞부분 소리로, 혀는 평평하며 아마도 뒤로 물러나 있으며, 입술의 둥글림과 내밈을 동반한다. 이것에 의해 혀와 입술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고 주파수가 낮아진다고 한다.[19] 라디포기드 등에 따르면 중국어와 폴란드어의 것은 권설음이라고 부를 것이 아니라 혀가 평평한 혀끝 후치경음이라고 한다.[20]
스웨덴어와 노르웨이어에서는 'r'과 치경 자음의 시퀀스가 치경 자음의 권설 대응 음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rtin"이라는 이름은 스웨덴어에서 , 노르웨이어에서 으로 발음되며, "nord" ("북쪽")는 (표준) 스웨덴어에서는 로, 노르웨이어의 많은 방언에서는 로 발음된다. 이는 'r' 다음에 여러 자음에 대해 한 번에 수행되기도 한다. Hornstull은 로 발음된다.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권설음을 나타내는 기호는 다음과 같다.
IPA | 명칭 | 예시 | |||
---|---|---|---|---|---|
언어 | 정자법 | IPA | 의미 | ||
무성 권설 마찰음 | 중국어 | 上海 (Shànghǎi) | 상하이 | ||
무성 권설 파찰음 | 중국어 | 中国、中國 (Zhōngguó) | 중국 | ||
유성 권설 마찰음 | 러시아어 | жаба (zhaba) | 두꺼비 | ||
유성 권설 파찰음 | 폴란드어 | dżem | 잼 |
참조
[1]
학회발표논문
An Articulatory and Acoustical Analysis of the Syllable-Initial Sibilants and Approximant in Beijing Mandarin
https://www.internat[...]
1999
[2]
서적
东方语言学: 第十五辑
https://books.google[...]
上海教育出版社
2023-07-24
[3]
서적
The Handbook of Phonetic Sciences
John Wiley & Sons
2010-02-22
[4]
서적
The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s
Blackwell
[5]
간행물
UCLA ''Working Papers in Phonetics''
[6]
PhD
Problem of Archaism and Innovation in the Eastern Iranian Languages
Charles University
2013
[7]
서적
[8]
간행물
A General Overview of the Dhivehi Language
http://www.qaumiyyat[...]
National Centre for Linguistic and Historical Research
[9]
서적
Wintu gramma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10]
논문
Ao-Naga Phonetic Reader
Central Institute of Indian Languages
[11]
서적
Principles of Phonetics
1994
[12]
서적
Patterns of sou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학술지논문
Phonological features of Gimira and Dizi
Helmut Buske Verlag
1988
[14]
학술지논문
Retroflex Clicks in Two Dialects of ǃXung
2010-06-02
[15]
서적
実践音声学入門
大修館書店
[16]
서적
改訂 音声学入門
大学書林
[17]
서적
A Course in Phonetics
Heinle & Heinle
[18]
서적
現代博言学
大修館書店
[19]
학술지논문
Retroflex fricatives in Slavic languages
http://www.fon.hum.u[...]
[2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