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권설 마찰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권설 마찰음은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사용하고 성대의 진동이 없는 무성음으로, 혀끝을 말아 치경 후부에서 조음하는 소리이다. 이 소리는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의 'Ш', 폴란드어의 'sz', 표준 중국어의 'sh'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무성 권설 마찰음([ʂ])은 여러 언어에서 발견되는 자음이다.
2. 특징
3. 언어별 발음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압하스어 | амш|암쉬ab | '낮' | 압하스어 음운론 참조 | |||
아디게어 | '소녀' | 설측음. | ||||
중국어 | 표준 중국어 | / | '돌' | 설단음. 표준 중국어 음운론 참조 | ||
에밀리아-로마냐어 | 로마냐 방언 | sé|세rgn | '예' | 설단음; 또는 일 수 있다. | ||
페로어 | fýrs|퓌르스fo | '80' | ||||
bert|베르트fo | '만' | 의 무성 근사 음성 동위 이음. 페로어 음운론 참조 | ||||
힌두어 | 힌디어 | कष्ट|카슈트hi | '문제' | 힌디어 음운론 참조 | ||
칸나다어 | ಕಷ್ಟ|카슈타kn | '어려운' | 외래어에만 사용. 칸나다어 음운론 참조. | |||
카자흐어 | шағын|샤근kk | '작은, 콤팩트한' | 카자흐어 음운론 참조 | |||
한티어 | 대부분 북부 방언 | шаш|샤슈kca | '무릎' | 남부 및 동부 방언에서는 무성 권설 파찰음 에 해당. | ||
저지 소르브어[2] | glažk|글라슈크dsb | '유리' | ||||
말라얄람어 | കഷ്ടം|카슈탐ml | '어려운' | 외래어에만 나타남. | |||
마푸체어 | trukur|트루쿠르arn | '안개' | 핵 이후 위치에서 의 가능한 동위 이음. | |||
마라티어 | ऋषी|레쉬mr | '현자' | 마라티어 음운론 참조 | |||
네팔어 | षष्ठी|소슈티ne | '샤슈티 (날)' | 권설 자음의 인접 환경에서 /s/의 동위 이음. | |||
노르웨이어 | norsk|노르슈크no | '노르웨이어' | 도시 동부 노르웨이어를 포함한 많은 방언에서 시퀀스의 동위 이음. 노르웨이어 음운론 참조 | |||
오다마어 | Cuk-Ṣon | 투손 | ||||
파슈토어 | 남부 방언 | ښودل|쇼덜ps | '보이다' | |||
폴란드어 | 표준[3] | szum|슘pl | '바스락거림' | 무성 자음 뒤에서는 로도 표기. 이처럼 쓰일 때는 소수의 화자에 의해 무성 고설 치경 비음 자음으로 발음될 수도 있다.[4] 대부분의 폴란드어 학자들은 로 전사. 폴란드어 음운론 참조 | ||
남동부 쿠야비 방언[5] | schowali|스호발리pl | rowspan="2" | | '그들은 숨겼다' | 일부 화자. 와 의 보다 일반적인 병합 로의 과잉 교정의 결과(szadzenie 참조). | ||
수와우키 방언[6] | ||||||
루마니아어 | 몰도바 방언 | șură|슈러ro | rowspan="2" | | '헛간' | 설단음. 루마니아어 음운론 참조 | |
트란실바니아 방언 | ||||||
러시아어[3] | шут|슈트ru | '광대' | 러시아어 음운론 참조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 | '스카프' | 일반적으로 /ʃ/로 전사.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참조 | |||
슬로바키아어 | šatka|샤트카sk | '손수건' | ||||
스웨덴어 | fors|포르스sv | '급류' | 중부 표준 스웨덴어를 포함한 많은 방언에서 시퀀스의 동위 이음. 스웨덴어 음운론 참조 | |||
타밀어 | கஷ்டம்|카슈탐ta | rowspan="2" | | '어려운' | 외래어에만 나타나며, 종종 /s/로 대체. 타밀어 음운론 참조 | ||
텔루구어 | కష్టం|카슈탐te | 외래어에만 나타남. 텔루구어 음운론 참조 | ||||
토다어 | '(씨족 이름)' | 하위 설단음, /θ s̪ s̠ ʃ ʒ ʂ ʐ/와 대조. | ||||
토르왈리어 | šeš|셰슈trw | '가는 밧줄' | ||||
우비흐어 | '머리' | 우비흐어 음운론 참조 | ||||
우크라이나어 | шахи|샤흐uk | '체스' | 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조 | |||
상 소르브어 | 일부 방언 | — | — | 호이어스베르다 북쪽 마을에서 사용되는 방언; 표준어에서 에 해당.[2] | ||
베트남어 | 남부 방언 | sữa|스어vi | '우유' | 베트남어 음운론 참조 | ||
이족어 | ꏂ|쉬ii / | '금' | ||||
유로크어[7] | 's'egep | '코요테' | ||||
사포텍어 | 틸키아판 | — | — | 의 및 앞의 동위 이음. |
3. 1.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에서 Ш는 이 소리가 난다.[1]3. 2. 중국어
표준 중국어, 눠쑤어에서 병음 sh가 이 소리를 낸다.[1] 베이징 관화에서는 한어 병음 'sh'와 주음 부호 'ㄕ'로 표기한다.[2]3. 3. 폴란드어
폴란드어에서는 'sz'에서 이 소리가 난다.3. 4. 기타 언어
-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Ш에서 이 소리가 난다.[3]
- 폴란드어: sz에서 이 소리가 난다.[3]
- 슬로바키아어: š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표준 중국어, 눠쑤어: 병음 sh에서 이 소리가 난다.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압하스어 | амш|암쉬ab | '낮' | 압하스어 음운론 참조 | |||
아디게어 | '소녀' | 설측음. | ||||
중국어 | 표준 중국어 | / | '돌' | 설단음. 표준 중국어 음운론 참조 | ||
에밀리아-로마냐어 | 로마냐 방언 | sé|세rgn | '예' | 설단음; 또는 일 수 있다. | ||
페로어 | fýrs|퓌르스fo | '80' | ||||
bert|베르트fo | '만' | 의 무성 근사 음성 동위 이음. 페로어 음운론 참조 | ||||
힌두어 | 힌디어 | कष्ट|카슈트hi | '문제' | 힌디어 음운론 참조 | ||
칸나다어 | ಕಷ್ಟ|카슈타kn | '어려운' | 외래어에만 사용. 칸나다어 음운론 참조. | |||
카자흐어 | шағын|샤근kk | '작은, 콤팩트한' | 카자흐어 음운론 참조 | |||
한티어 | 대부분 북부 방언 | шаш|샤슈kca | '무릎' | 남부 및 동부 방언에서는 무성 권설 파찰음 에 해당. | ||
저지 소르브어[2] | glažk|글라슈크dsb | '유리' | ||||
말라얄람어 | കഷ്ടം|카슈탐ml | '어려운' | 외래어에만 나타남. | |||
마푸체어 | trukur|트루쿠르arn | '안개' | 핵 이후 위치에서 의 가능한 동위 이음. | |||
마라티어 | ऋषी|레쉬mr | '현자' | 마라티어 음운론 참조 | |||
네팔어 | षष्ठी|소슈티ne | '샤슈티 (날)' | 권설 자음의 인접 환경에서 /s/의 동위 이음. | |||
노르웨이어 | norsk|노르슈크no | '노르웨이어' | 도시 동부 노르웨이어를 포함한 많은 방언에서 시퀀스의 동위 이음. 노르웨이어 음운론 참조 | |||
오다마어 | Cuk-Ṣon | 투손 | ||||
파슈토어 | 남부 방언 | ښودل|쇼덜ps | '보이다' | |||
폴란드어 | 표준[3] | szum|슘pl | '바스락거림' | 무성 자음 뒤에서는 rzpl로도 표기. 이처럼 쓰일 때는 소수의 화자에 의해 무성 고설 치경 비음 자음으로 발음될 수도 있다.[4] 대부분의 폴란드어 학자들은 로 전사. 폴란드어 음운론 참조 | ||
남동부 쿠야비 방언[5] | schowali|스호발리pl | rowspan="2" | | '그들은 숨겼다' | 일부 화자. 와 의 보다 일반적인 병합 로의 과잉 교정의 결과(szadzenie 참조). | ||
수와우키 방언[6] | ||||||
루마니아어 | 몰도바 방언 | șură|슈러ro | rowspan="2" | | '헛간' | 설단음. 루마니아어 음운론 참조 | |
트란실바니아 방언 | ||||||
러시아어[3] | шут|슈트ru | '광대' | 러시아어 음운론 참조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 | '스카프' | 일반적으로 /ʃ/로 전사.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참조 | |||
슬로바키아어 | šatka|샤트카sk | '손수건' | ||||
스웨덴어 | fors|포르스sv | '급류' | 중부 표준 스웨덴어를 포함한 많은 방언에서 시퀀스의 동위 이음. 스웨덴어 음운론 참조 | |||
타밀어 | கஷ்டம்|카슈탐ta | rowspan="2" | | '어려운' | 외래어에만 나타나며, 종종 /s/로 대체. 타밀어 음운론 참조 | ||
텔루구어 | కష్టం|카슈탐te | 외래어에만 나타남. 텔루구어 음운론 참조 | ||||
토다어 | '(씨족 이름)' | 하위 설단음, /θ s̪ s̠ ʃ ʒ ʂ ʐ/와 대조. | ||||
토르왈리어 | šeš|셰슈trw | '가는 밧줄' | ||||
우비흐어 | '머리' | 우비흐어 음운론 참조 | ||||
우크라이나어 | шахи|샤흐uk | '체스' | 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조 | |||
상 소르브어 | 일부 방언 | — | — | 호이어스베르다 북쪽 마을에서 사용되는 방언; 표준어에서 에 해당.[2] | ||
베트남어 | 남부 방언 | sữa|스어vi | '우유' | 베트남어 음운론 참조 | ||
이족어 | ꏂ|쉬ii / | '금' | ||||
유로크어[7] | 's'egep | '코요테' | ||||
사포텍어 | 틸키아판 | — | — | 의 및 앞의 동위 이음. |
3. 5. 무성 권설 비시찰 마찰음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앙가미어[8] | {{lang|njm|ɻ̥ə³|}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