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목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목황후는 남조 송나라 효무제의 황후이자 전폐제의 어머니이다. 동진 간문제의 딸 파양공주의 손녀이자 송 무제 유유의 외손녀로, 443년 무릉왕 유준(훗날 효무제)과 결혼하여 무릉 공주로 불렸다. 유준이 황제가 된 후 황후로 책봉되었으며, 2남 4녀를 두었다. 464년 전폐제가 즉위한 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같은 해 3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 (남조)의 황후 - 왕정풍
    왕정풍은 남북조 시대 유송의 황후로, 회양왕비에서 명제의 황후가 되었고, 명제 사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유송 멸망 후 여음왕태비로 생을 마감한 후 명공황후로 추증되었다.
  • 428년 출생 - 고밀
    고밀은 북위 시대의 관료로서 헌문제의 스승이자 학문적 업적을 남겼으며, 강직한 성품으로 칭송받았고, 사후 북제 건국 후 태조로 추존된 인물이다.
  • 428년 출생 - 북위 경목제
    북위 경목제는 태무제의 아들이자 태자로, 감국으로 임명되어 국경을 방어하고 농업을 장려했으며 불교를 옹호했으나, 측근과의 갈등과 환관과의 불화로 젊은 나이에 사망 후 황제로 추존되었다.
문목황후
기본 정보
이름왕헌원 (王憲嫄)
존호문목황후 (文穆皇后)
생애
출생427년경
사망464년 10월 9일
사망 장소건강, 유송
가족 관계
배우자유송 효무제
자녀유초옥, 회계공주 (446년? - 466년 1월 2일)
전폐제, 황제 유자업 (449년 - 466년)
유자상, 의장왕 (451년 - 466년 1월 2일)
아버지왕연
어머니오흥공주
왕조
왕조유송
지위
지위황후
재위 기간453년 6월 5일 - 464년 7월 12일
이전헌목황후
이후명공황후
시호 및 능묘
시호효무문목황후 (孝武文穆皇后)

2. 배경

왕헌원은 명문가 출신으로, 진나라 재상 왕도의 증손녀였다. 아버지 왕옌(王偃)의 어머니는 진 간문제의 딸인 파양 공주였고[6], 왕옌의 아내는 송 무제의 딸인 오흥 공주 류룽난(劉榮男)이었다. (다만, 류룽난이 왕헌원의 친어머니인지는 불분명하다.)

443년, 왕헌원은 송 문제의 아들 류준(무릉왕 시절)과 혼인하여 '''무릉 공주''' 칭호를 받았다. 왕헌원은 류준의 총애를 받았으며, 유자업, 유자상(劉子尚), 유초옥 등 최소 여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7]

453년, 류준의 이복형 유소가 송 문제를 시해하고 황위에 오르자, 류준은 반란을 일으켰다. 이때 왕헌원은 류준의 근거지인 순양(尋陽, 현재의 장시성 지우장)에 머물렀다. 그해 말 류준은 유소를 죽이고 황제(효무제)가 되었고, 왕헌원은 황후로 책봉되었다. 454년, 왕헌원의 아들 유자업이 태자가 되었다.

효무제는 많은 후궁을 거느리며 문란한 성생활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송서》에 따르면, 효무제는 심지어 어머니 노혜남 태후와도 근친상간을 했다는 소문이 있었다. 효무제가 특히 총애한 음빈(陰嬪)은 효무제의 숙부 유의선(劉義宣)의 딸이었는데, 이로 인해 황후 왕씨에 대한 총애는 크게 줄었다. 효무제는 유자업을 폐하고 음빈의 아들 유자란(劉子鸞)을 태자로 삼으려 했으나, 왕헌원의 황후 지위는 유지되었다. 460년, 왕헌원은 황실 농업 장려를 위해 직접 뽕나무 잎을 누에에게 먹이는 의식을 주재했다.

2. 1. 가계

문목황후 왕헌원(王憲嫄)의 가문은 명문가 출신으로, 증조부는 진나라 재상 왕도였다. 아버지 왕옌(王偃)은 진나라의 신하였고, 왕옌의 어머니는 진 간문제의 딸인 파양 공주였다.[6] 왕옌의 아내는 송 무제의 딸인 오흥 공주 유룽난(劉榮男)이었다. (그녀가 왕헌원의 어머니였는지는 불분명하다.)

관계이름비고
증조부왕도진나라 재상
할아버지왕옌(王偃)진나라 신하
할머니파양공주진 간문제의 딸
아버지왕옌(王偃)
어머니유영남(劉英男)여흥장공주, 송 무제의 딸
자녀유자업
자녀유자상예장왕(豫章王)
자녀유초옥산음공주
자녀유초패(劉楚佩)임회공주(臨淮公主)
자녀유초수(劉楚琇)
자녀유수명(劉脩明)강락공주(康樂公主)


3. 생애

왕헌원은 동진 간문제 사마욱(司馬昱)의 딸 파양공주의 손녀이며, 어머니는 무제 유유(劉裕)의 딸 여흥장공주 유영남이다. 이처럼 왕헌원은 친가와 외가 양쪽으로 왕실과 인연이 깊은 집안 출신이었다.

443년 16세의 나이로 유준과 결혼하여 2남 4녀를 두었다. 453년 유준이 유소를 죽이고 황제가 되자 왕헌원 또한 황후가 되었다. 그러나 유준은 주색에 빠져 지냈고, 왕헌원은 464년 38세의 나이로 남편과 같은 해에 죽었다.[8]

464년 7월, 효무제가 죽고 유자업이 황제가 되자 황태후가 되었다. 왕태후는 아들 전폐제의 잔혹하고 제멋대로인 통치를 제어할 수 없었다. 같은 해 가을, 병이 깊어져 전폐제를 불렀으나, 전폐제는 아픈 사람들의 방에는 귀신이 있을 것이라며 거절했다. 이에 분노한 왕태후는 시녀들에게 칼을 가져오라 명하며, 자신이 낳은 아들에 대한 원망을 토로했다.[8]

3. 1. 황후 이전

왕셴위안은 명문가 출신으로, 아버지 왕옌(王偃)은 진나라 재상 왕도의 증손자였다. 왕옌의 아버지 왕구(王嘏)는 진나라 신하였고, 왕옌의 어머니는 진 간문제의 딸 파양 공주였다.[6] 왕옌의 아내는 송 무제의 딸 오흥 공주 류룽난(劉榮男)이었다. (그녀가 왕셴위안의 어머니였는지는 불분명하다.)

443년, 남편 유준이 아버지 송 문제 아래에서 무릉왕으로 있을 때 왕셴위안과 결혼하여 '''무릉 공주''' 칭호를 받았다. 류준의 총애를 받아 유자업, 유자상(劉子尚), 유초옥, 유초패(劉楚佩), 유초수(劉楚琇), 유수명(劉脩明) 등 최소 여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7]

3. 2. 황후 시절

443년 유준과 결혼하여 2남 4녀를 두었다. 453년 유준이 아버지를 죽이고 제위를 찬탈한 큰형 유소를 주살하고 황제가 되자, 왕헌원도 황후로 봉해졌다. 그러나 유준은 사촌누이의 성(姓)을 은씨로 바꾸어 억지로 입궁시키는 등 주색에 빠져 지냈다.[1]

453년, 유준의 이복 형 유소 태자가 아버지 문제를 시해하고 스스로 황위에 오르자, 유준은 반란을 일으켰다. 그해 말 유소를 사로잡아 죽이고 스스로 황위에 올라 효무제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왕씨는 그의 방어 기지인 순양(현재의 장시성 지우장)에 머물렀고, 수도 건강 공격에는 동행하지 않았다. 그러나 승리 후 왕씨와 그의 어머니인 후궁 노혜남은 수도로 환영받았고, 왕씨는 황후로 책봉되었다. 454년, 아들 유자업을 태자로 책봉했다.[2]

황후 왕씨가 남편의 통치 기간 동안 어떻게 살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러나 효무제는 많은 수의 후궁을 거느리고 있었고, 숙부 유의선 남군왕의 딸들과 근친상간을 포함하여 매우 문란한 성생활을 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송서》에 따르면 당시 소문에는 심지어 그의 어머니인 노태후와도 관계를 가졌다는 내용이 있었다. 효무제가 자신의 신하인 은염(殷琰)의 친척이라고 주장하며 음빈(陰嬪)이라는 가명을 붙인 유의선의 딸 중 한 명은 효무제의 특별한 총애를 받았고, 황후 왕씨의 효무제에 대한 총애는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황후 왕씨의 지위는 위협받지 않은 것으로 보였는데, 남편은 때때로 충동적인 아들 유자업을 폐하고 음빈의 아들 유자란 신안왕을 태자로 교체할 것을 고려하기도 했다. 460년 황실의 농업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기 위해 왕헌원이 직접 뽕나무 잎을 누에에게 먹이는 의식을 주재했고, 노태후도 참석했다.[2]

대명 4년 (460년) 3월, 왕헌원은 육궁을 이끌고 서교에서 궁상의 의식을 행하고, 황태후 노혜남이 그 의례를 관람했다.[3]

3. 3. 황태후 시절

王憲嫄|왕헌원중국어은 송 전폐제가 즉위하자 황태후가 되어 영훈궁이라 불렸다.[8] 464년 8월 23일, 함장전에서 38세의 나이로 붕어하였고,[8] 9월, 경녕릉에 남편 효무제와 함께 묻혔다.[8] 시호는 문목황후이다.[8]

전폐제는 즉위하자마자 잔혹하고 제멋대로인 통치자의 모습을 보였고, 왕태후는 아들을 통제할 방법이 거의 없었다.[8] 464년 가을, 왕태후는 심각한 병에 걸려 전폐제를 불러달라고 요청했으나, 전폐제는 아픈 사람들의 방에는 귀신이 있을 것이라며 거절했다.[8] 분노한 왕태후는 시녀들에게 "칼을 가져와서 나를 갈라 이 짐승이 어떻게 나에게서 나왔는지 보아라!"라고 말했다.[8]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할머니파양공주동진 간문제의 딸
외할아버지송 무제 유유
어머니여흥장공주 유영남
남편송 효무제 유준
아들전폐제 유자업
아들유자상예장왕
산음공주 유초옥
유초패임회공주
유초수
유수명강락공주



분류:송나라의 황후

참조

[1] 문서
[2] 서적 Book of Song 466-01-02
[3] 서적 Book of Song
[4] 서적 Book of Song 427-02-12
[5] 서적 Zizhi Tongjian
[6] 서적 Book of Jin
[7] 서적 Song Shu
[8] 서적 Zizhi Tongjian
[9] 서적 宋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